KR20210107445A - 스마트 유모차 - Google Patents

스마트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445A
KR20210107445A KR1020200022457A KR20200022457A KR20210107445A KR 20210107445 A KR20210107445 A KR 20210107445A KR 1020200022457 A KR1020200022457 A KR 1020200022457A KR 20200022457 A KR20200022457 A KR 20200022457A KR 20210107445 A KR20210107445 A KR 2021010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cart
spac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울
원효진
이민재
서경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445A/ko
Publication of KR2021010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는 유아가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 및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한다.
카트부에는 유아용 시트부가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가 구비된다. 시트 지지부에는 유아용 시트부의 카트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 부재가 구비된다. 카트 결합부의 결합 핀부는 삽입 부재의 결합 홈에 삽입되고, 카트 결합부의 통전부는 삽입 부재의 통전 단자부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가 용이하게 결합, 분리 및 되고,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유모차{Smart strol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가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가 용이하게 결합, 통전 및 분리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아 또는 유아가 안착되어, 보호자에 의해 주행될 수 있는 도구를 가리킨다.
유모차는 크게 유아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와, 유모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바퀴 등이 구비된 카트부를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자는, 유아를 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카트부를 가압하거나 당김으로써 유모차를 주행시킬 수 있다.
전통적인 구조의 유모차는, 상기 안착부와 카트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카트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해먹(hammock)과 같은 형태의 안착부가 구비되어 유아가 탑승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안착부와 카트부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유모차가 개발되고 있다. 즉,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고자 할 경우, 안착부를 카트부에 결합하여 유모차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유모차는 유아의 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한다. 따라서, 안착부와 카트부의 결합은 신뢰성 있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안착부와 카트부는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안착부와 카트부의 결합 및 분리에 과다한 노력이 요구되는 경우, 안착부와 카트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의의가 희미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안착부와 카트부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327708호는 탈부착이 가능한 2인용 삼륜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1인의 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유모차의 전방에, 다른 1인의 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2인용 삼륜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1인의 유아만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가 유모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적어도 1인의 유아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모차에 수용됨을 전제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247213호는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 몸체부에 형성된 요철기둥을 유아용 카시트에 형성된 요홈부에 삽입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유모차는, 유아용 카시트가 단지 유모차 몸체부에 안착되어 결합됨에 불과한 것으로, 상하 방향의 요동시 유아용 카시트가 유아용 몸체부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유아용 카시트와 유아용 몸체부 사이의 결합의 신뢰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은 유아의 건강 상태 유지를 위한 다양한 전기 장치들이 안착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공통적인 한계를 갖는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327708호 (2003.09.26.)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247213호 (2001.10.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카트부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카트부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카트부가 용이하게 통전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는,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카트부가 분리되지 않는 구조의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카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 부재를 수용하는 삽입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삽입 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 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결합 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 공간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 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핀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되면, 상기 결합 핀부가 상기 결합 홈에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외부 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 및 상기 공간을 향하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 핀부와 연결되는 제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이 누름 조작되면, 상기 제어 스프링이 상기 결합 핀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에서 함몰 형성된 공간인 결합 함몰부; 및 상기 결합 함몰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 핀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삽입 부재의 상측 단부에는 배터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전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삽입 공간부의 상측에 노출되며,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상기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 상기 통전부와 상기 통전 단자부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통전부 및 상기 통전 단자부는 포고 핀(pogo pin)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삽입 부재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삽입 부재의 상측 단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는, 상기 시트 지지부와 연결되는 승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은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지지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카트부는 유아용 시트부가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시트 지지부에는 유아용 시트부의 카트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 부재가 구비된다. 유아용 시트부가 시트 지지부에 안착되면, 삽입 부재는 카트 결합부에 삽입된다. 삽입 부재와 카트 결합부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부재에는 함몰 형성된 결합 홈이 형성된다. 카트 결합부에는 결합 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결합 핀부가 구비된다. 결합 핀부는 삽입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즉, 결합 핀부는 항상 삽입 부재를 가압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삽입 부재가 카트 결합부와 결합되어 결합 핀부가 결합 홈에 삽입되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삽입 부재가 카트 결합부와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카트 결합부에는 통전부가 구비된다. 삽입 부재에는 통전 단자부가 구비된다. 삽입 부재가 카트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면, 통전부와 통전 단자부는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부와 통전 단자부는 포고 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가 결합되면, 통전부와 통전 단자부가 접촉되어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가 용이하게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부재의 결합 홈에는 카트 결합부의 결합 핀부가 삽입된다. 이때, 결합 핀부는 삽입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으므로, 외력의 인가 없이는 결합 핀부가 결합 홈에서 인출되지 않는다.
유아용 시트부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된다. 손잡이부는 결합 핀부와 연결되어, 손잡이부가 누름 조작되면 결합 핀부가 결합 홈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는 유아용 시트부의 외주면과 같은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는 유아용 시트부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누름 조작하지 않는 한, 결합 핀부는 결합 홈에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서 유아용 시트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유아용 시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아용 시트부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유아용 시트부가 카트부에 장착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 및 시트 지지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 및 시트 지지부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유아용 시트부가 도 7의 카트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3의 유아용 시트부가 도 7의 카트부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가 하강(a) 및 상승(b)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가 하강(a) 및 상승(b)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 및 시트 지지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 및 시트 지지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확대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7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승강부 및 시트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a) 및 접힌 상태(b)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크래들부 또는 독자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 신호, 전력 등이 전달될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는 사용자가 핸들부(340)를 통해 인가하는 힘에 의해, 휠부(330)가 회전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 사이의 결합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바디부(100)의 하측 및 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바디부(10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바디부(100) 및 카트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1) 바디부(100)의 설명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내부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에는 에어 커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가 실외에 위치된 경우, 에어 커버부(30)에 의해 외부의 미세먼지 등이 필터링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외측 커버부(110), 내측 커버부(120), 안착부(130), 공간부(140) 및 손잡이부(150)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즉,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는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내측 커버부(120) 및 안착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간에는 유아를 안착부(1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노출되는 부분은 경량이면서도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충격 등에 의해 부상당하지 않게 된다.
외측 커버부(110)는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경사부(111)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부(112)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2 경사부(112)의 후방 측 각 단부는 제1 경사부(111)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의 전방 측 각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3 경사부(113)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는 제2 경사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부분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각각 연속된다.
각 경사부(111, 112, 113)는 제1 경사부(111)에서 제3 경사부(113)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경사부(111)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제3 경사부(113)가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 및 제3 경사부(113) 사이의 높이에 위치된다.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내측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된다.
유아가 공간부(140)에 수용되면, 유아의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등에서 머리에 이르는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기 공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공간부의 전방 측은 내측 커버부(1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안착부(130)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부(12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제3 경사부(113)의 내측에서, 제3 경사부(113)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 커버부(120)의 상측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가 외측 커버부(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커버부(120)와 외측 커버부(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미세먼지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통해 정화된 후, 다시 유아용 시트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안착부(130)는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안착부(130)는 상기 공간의 하측을 형성한다.
안착부(13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0)는 내측 커버부(120)와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30)에 안착된 유아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공간부(140)는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40)는 외측 커버부(110) 및 내측 커버부(12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하측에는 안착부(13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신체 부위 중 하체는 안착부(13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전방 측에는 내측 커버부(12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상체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연통된다. 유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간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카트부(20)의 핸들부(340)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핸들부(340)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은 개방 형성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는 상기 후방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손잡이부(15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손잡이부(150)는 내측, 즉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아용 시트부(10)를 옮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택-스프링(tact-spr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50)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복수 개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두 손으로 잡고 옮기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손잡이부(150)는 바디부(10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와 동일한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어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그에 따라 카트 결합부(200)의 결합 핀부(230)와 시트 지지부(500)의 결합 홈(522)이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택 - 스프링(tack -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외부 프레임(151), 내부 프레임(152), 스프링 수용부(153),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외부 프레임(151)은 손잡이부(150)의 외측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51)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에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51)이 노출되는 면은 외측 커버부(110)와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이 외측 커버부(110)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10)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은 바디부(100)의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공간부(1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외부 프레임(151)은 내부 프레임(152)을 향하는 방향 또는 내부 프레임(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이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힘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프레임(151)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외부 프레임(151)을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으로부터 공간부(140)를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내부 프레임(152)이 구비된다.
내부 프레임(152)은 손잡이부(150)의 내측을 형성한다. 내부 프레임(152)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내부 프레임(152)은 공간부(140)를 둘러싸는 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프레임(152)이 공간부(140)를 향해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가 상해를 입거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내부 프레임(152)은 바디부(100)에 고정 결합된다. 즉, 외부 프레임(151)의 누름 조작과 무관하게, 내부 프레임(152)은 이동되지 않는다.
외부 프레임(151)과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는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이 수용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과 내부 프레임(15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스프링 수용부(153)로 정의된다.
스프링 수용부(153)는 외부 프레임(151)과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다.
외부 프레임(151)의 이동 거리는 스프링 수용부(153)의 폭(즉, 방사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은 스프링 수용부(153)를 통과하여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 수용부(153)는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을 수용한다.
복귀 스프링(154)은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된 외부 프레임(151)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부 프레임(151)을 누름 조작함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은 복귀 스프링(154)을 압축하며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된다. 사용자가 외부 프레임(151)의 누름 조작을 종료하면, 복귀 스프링(154)은 압축되며 저장한 복원력을 외부 프레임(15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5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154)은 두 개 구비된다. 각 복귀 스프링(154)은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이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에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154)은 양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각 홈에 수용된다.
복귀 스프링(154)은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154)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54) 사이에는 제어 스프링(155)이 위치된다.
제어 스프링(155)은 외부 프레임(151)의 이동을 카트 결합부(200)의 결합 핀부(230)에 전달한다. 제어 스프링(155)은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 핀부(230)와 연결된다.
제어 스프링(155)은 사용자가 외부 프레임(151)을 누름 조작함에 따라, 가압되며 압축될 수 있다. 제어 스프링(155)이 압축되며 저장된 복원력은 상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 핀부(230)에 전달되어, 결합 핀부(230)가 결합 홈(522)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으로 작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스프링(155)은 강체(rigid body) 형태의 부재로 구비되어, 외부 프레임(151)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이 이동되면, 상기 부재 또한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되어, 결합 핀부(230)를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 스프링(155)은 양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각 홈에 수용된다.
제어 스프링(155)은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스프링(155)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카트 결합부(200)의 설명
카트 결합부(2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카트 결합부(20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5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카트부(20)에 의해 지지됨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중심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의 질량중심이 시트 지지부(500)의 질량중심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100)가 카트부(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카트 결합부(200)는 결합 함몰부(210),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가이드부(240) 및 삽입 공간부(250)를 포함한다.
결합 함몰부(210)는 시트 지지부(500)의 삽입 부재(52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결합 함몰부(210)는 바디부(100)의 하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결합 함몰부(210)의 크기는 시트 지지부(500)의 삽입 부재(5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함몰부(210)는 카트부(20)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삽입 부재(520)는 카트부(20)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삽입 부재(520)가 결합 함몰부(21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는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가이드부(240) 및 삽입 공간부(250)가 위치된다.
통전부(22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통전부(220)는 카트부(20)의 통전 단자부(524)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전부(220)는 통전 단자부(524)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부(220)는 포고 핀(pogo pin)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통전부(220)는 삽입 공간부(25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20)는 바디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되, 삽입 부재(520)를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가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카트 결합부(200)와 시트 지지부(500)의 결합이 완료되면, 통전부(220)는 삽입 부재(520)의 통전 단자부(524)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 상태는 카트 결합부(200)와 시트 지지부(500)가 분리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 중 바디부(1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면에 위치된다.
통전부(22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트부(2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결합 함몰부(210)의 내측에 노출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통전부(2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바디부(100)의 내측에 함몰된다.
통전부(220)의 상기 타측은 도선 등의 부재(미도시)에 의해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등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520)의 결합 홈(522)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카트 결합부(200)와 시트 지지부(50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52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522)에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가 분리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손잡이부(150)와 임의의 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핀부(230)는 제어 스프링(155)과 상기 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이 누름 조작되어 제어 스프링(155)이 가압되면, 제어 스프링(155)이 저장하는 탄성력은 상기 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 핀부(2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52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결합 홈(522)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를 카트부(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가압하며 결합 홈(522)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외부 프레임(151)의 누름 조작이 정지되면, 결합 핀부(230)는 가압된 탄성 부재(231)가 저장하는 복원력에 의해, 결합 홈(5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핀부(23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결합 핀부(230b)를 포함한다.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52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이격 거리는 삽입 부재(5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520)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면, 삽입 부재(520)의 두께에 의해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삽입 부재(520)가 소정의 거리만큼 삽입되면, 결합 홈(522)이 결합 핀부(230)와 인접한 높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522)의 형상으로 인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522)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이 완료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는 서로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231)는 삽입 부재(52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된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탄성 부재(231)는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탄성 부재(231)는 결합 핀부(230)와 가이드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각 결합 홈(522a, 522b)에 삽입되면, 탄성 부재(231)는 저장된 탄성력을 각 결합 핀부(230a, 230b)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결합 홈(522)에 삽입된 결합 핀부(23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탄성 부재(231)는 압축 또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1)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1)는 두 개 구비된다. 두 개의 탄성 부재(231)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와 각각 연결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함몰부(210)는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0)는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 및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두 쌍의 옆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24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부(220)와 통전 단자부(524)를 통한 통전 이외의 다른 통전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24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부(250)에는 삽입 부재(520)가 삽입 결합된다. 삽입 공간부(250)는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250)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250)는 삽입 부재(5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250)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일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판형의 기둥 형상이다.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는 삽입 공간부(250) 내부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 또는 서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의 상기 이동은 외부 프레임(151)이 가압되거나, 탄성 부재(231)의 형상 변형에 의해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삽입 공간부(250)에는 통전부(22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부(2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된다.
삽입 공간부(250)에 삽입 부재(520)가 삽입되면, 삽입 부재(520)에 구비되는 통전 단자부(524)와 통전부(220)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에 통전되는 전류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되어, 다양한 구성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구성의 설명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행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휠부(330)에 의해 달성된다.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5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부(2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트부(2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핸들부(34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UI(User Interface)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LED(미도시) 등이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20)는 몸체부(300), 승강부(400) 및 시트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승강부(400) 및 시트 지지부(5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몸체부(300)는 카트부(20)의 골격을 형성한다. 몸체부(300)는 카트부(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3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3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3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수직부(310), 베이스부(320), 휠부(330) 및 핸들부(340)를 포함한다.
수직부(310)는 몸체부(300) 중 상하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수직부(31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 및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310)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310)는 보호자가 핸들부(340)를 파지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310)는 보호자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수직부(3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31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31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부(31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지면을 향하는 수직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베이스부(3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310)는 베이스부(320)를 향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면에 반대되는 수직부(3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핸들부(34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340)는 수직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340)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가장 용이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320)와 핸들부(34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310)의 일 위치에는, 승강부(400)가 관통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직부(310)는 승강부(40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공간부(411)에 관통 결합된다.
승강부(400)는 수직부(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부(34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핸들부(3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승강부(400)는 수직부(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400)의 높이를 조정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직부(310)는 레일부(311)를 포함한다.
레일부(311)는 승강부(400)의 걸림 돌기(413)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레일부(311)는 삽입된 걸림 돌기(413)가 공간에서 임의 배출되지 않도록 걸림 돌기(413)를 구속한다.
레일부(311)는 수직부(3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레일부(311)는 수직부(310)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부(311)는 베이스부(320)와 핸들부(340) 사이에서 연장된다. 즉, 레일부(311)의 하측 단부는 베이스부(320)를 향하고, 레일부(311)의 상측 단부는 핸들부(340)를 향할 수 있다.
레일부(311)는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일부(311)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150 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400)가 가장 높게 위치된 부분과 가장 낮게 위치된 부분 사이의 거리 또한 150 mm일 수 있다.
레일부(311)는 시트 지지부(500)를 향하는 수직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부분에는 걸림 돌기(413)가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레일부(311)는 치형(teeth)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부(311)는 시트 지지부(500)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부(311a)를 포함한다. 돌출부(311a)는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걸림 돌기(413)를 구속한다.
또한, 레일부(311)는 복수 개의 돌출부(311a) 사이에 위치되어, 시트 지지부(5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복수 개의 수용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11b)는 걸림 돌기(413)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기능된다.
돌출부(311a)의 돌출 및 수용부(311b)의 함몰은 서로 상대적임이 이해될 것이다.
즉, 돌출부(311a)가 돌출된 것으로 정의될 경우, 수용부(311b)는 서로 인접한 돌출부(311a)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용부(311b)가 함몰된 것으로 정의될 경우, 돌출부(311a)는 수용부(311b)를 상측 및 하측에서 둘러싸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부(311a) 및 복수 개의 수용부(311b) 각각은, 레일부(311)가 연장되는 방향(즉,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연속될 수 있다.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다양한 높이에 위치된 수용부(31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400)는 다양한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311a)는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돌출부(311a) 사이의 거리는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돌출부(311a)는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기둥 형상이다. 이때,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돌출부(311a)의 일측 단부는 모따기(taper) 가공될 수 있다.
베이스부(320)는 카트부(20)의 하측의 수평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부(320)는 수직부(310)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3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320)에 가방 등의 소품들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3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320)는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320)의 형상은 수직부(310)와 결합되고, 휠부(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32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32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수직부(310)를 향하는 베이스부(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측에는 수직부(310)가 결합된다.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베이스부(3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는 메인 휠 지지부(332)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32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는 서브 휠 지지부(33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320)의 폭 방향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발광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부재(미도시)는 LED 램프 등으로 구비되어,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상태 또는 카트부(20)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휠부(330)는 회전 가능하게 카트부(20)에 구비된다. 휠부(33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20)가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330)는 회전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330)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33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331)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333)을 포함한다.
메인 휠(331)은 베이스부(320)의 하측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331)은 카트부(2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휠(331)은 모터 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가 핸들부(34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주행 중인 상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331)이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331)이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트부(20)가 임의 주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휠(331)은 브레이크부(미도시)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레이크부(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메인 휠(331)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레이크부(미도시)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휠(33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331)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331a)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331b)을 포함한다.
제1 메인 휠(331a) 및 제2 메인 휠(331b)은 베이스부(3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메인 휠(331a) 및 제2 메인 휠(331b)은 각각 메인 휠 지지부(3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32)는 제1 메인 휠(331a) 및 제2 메인 휠(331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332)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32)는 베이스부(3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휠(331)은 임의로 주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메인 휠 지지부(332)는 각 메인 휠(331a, 331b)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휠 지지부(332)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메인 휠(331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32)의 좌측 단부에는 제2 메인 휠(331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333)은 베이스부(320)의 하측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333)은 카트부(20)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서브 휠(333)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333)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휠(333a)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서브 휠(333b)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휠(333a) 및 제2 서브 휠(333b)은 베이스부(3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휠(333a, 333b)이 이격되는 거리는 각 메인 휠(331a, 331b)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서브 휠(333a) 및 제2 서브 휠(333b)은 각각 서브 휠 지지부(3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34)는 제1 서브 휠(333a) 및 제2 서브 휠(333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334)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34)는 베이스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브 휠 지지부(334)의 회전 방향을 조정하여 카트부(20)가 주행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휠 지지부(334)는 각 서브 휠(333a, 333b)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브 휠 지지부(334)의 우측 단부에는 제1 서브 휠(333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34)의 좌측 단부에는 제2 서브 휠(333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부(340)는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34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카트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핸들부(340)는 수직부(3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340)는 베이스부(320)에 반대되는 수직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핸들부(340)는 수직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장에 맞춰 핸들부(34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340)를 수직부(310)의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400)의 설명
다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승강부(400)는 몸체부(300)의 수직부(31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승강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5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강부(400)를 수직부(3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수직부(310)에 관통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승강부(400)의 결합 공간부(411)에 수직부(310)가 관통 결합되어 달성된다.
승강부(4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부(4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4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40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승강부(400)는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승강부(400)의 전방 측 단부는 시트 지지부(5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부(400)와 시트 지지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승강부(400)는 제1 결합부(410), 제2 결합부(420) 및 탄성부(430)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410)는 승강부(400)가 수직부(3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결합부(4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직부(31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부(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면에 대해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410) 또한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는 수직부(310)의 레일부(31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410)는 레일부(31)의 복수 개의 수용부(31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부(311b)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돌출부(31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누름 버튼(412) 및 걸림 돌기(413)에 의해 달성된다.
제1 결합부(4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결합 공간부(411)와 다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누름 버튼(412)의 부분, 걸림 돌기(413), 회전축(414) 및 복귀 부재(415)가 수용된다.
또한, 제1 결합부(410)의 상기 공간에는 후술될 탄성부(430)의 제2 탄성 부재(432)가 수용된다.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제1 결합부(4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하측은, 전방의 상측에 비해 전방 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의 상기 하측은,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제2 결합부(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의 하측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410)는 결합 공간부(411), 누름 버튼(412), 걸림 돌기(413), 회전축(414), 복귀 부재(415), 구속 돌기(416) 및 구속 홈(417)을 포함한다.
결합 공간부(411)는 수직부(31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결합 공간부(411)는 제1 결합부(410)의 내부에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411)는 수직부(3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411)는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411)의 크기는 수직부(31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공간부(411)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수직부(310)의 수평 방향의 단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400)는 결합 공간부(411)에 삽입된 수직부(3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결합 공간부(4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누름 버튼(412), 걸림 돌기(413), 회전축(414) 및 복귀 부재(415)가 구비된다.
누름 버튼(412)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걸림 돌기(413)가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서 배출되게 한다.
누름 버튼(412)은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제1 결합부(4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누름 버튼(412)은 제1 결합부(410)의 전방 측의 상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즉, 누름 버튼(412)의 상측은 제1 결합부(41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고, 누름 버튼(412)의 하측은 제1 결합부(4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걸림 돌기(413)와 연결된다.
누름 버튼(412)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베이스부(32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누름 조작될 수 있다. 누름 버튼(412)이 누름 조작되면,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 수용된 걸림 돌기(413)가 배출될 수 있다. 누름 버튼(412)은 걸림 돌기(413)와 연결된다.
누름 버튼(412)이 누름 조작되지 않는 경우,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서 임의 배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승강부(400)가 조정된 높이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누름 버튼(412)의 하측에는 복귀 부재(415)가 구비될 수 있다. 복귀 부재(415)는 누름 버튼(412)을 하측에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 버튼(412)에 인가하는 압력을 해제하면, 누름 버튼(412)은 상측으로 이동되어, 누름 조작되기 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에 형성된 수용부(311b)에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부분이다. 걸림 돌기(413)가 수용부(311b)에 삽입되면, 승강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수용부(311b)에 수용된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돌출부(311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서 임의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걸림 돌기(413)는 제1 결합부(4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걸림 돌기(413)는 누름 버튼(412)과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 버튼(412)과 걸림 돌기(4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누름 버튼(412)이 하측으로 누름 조작되면,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서 배출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 버튼(412)이 누름 조작되면, 걸림 돌기(413)가 레일부(311)의 돌출부(311a)에서 해방되어, 승강부(400)가 수직부(3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걸림 돌기(413)가 누름 버튼(412)과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걸림 돌기(413)는 복귀 부재(415)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413)가 누름 버튼(412)과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되는 실시 예에서도, 누름 버튼(412)이 복귀 부재(415)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걸림 돌기(413) 또한 복귀 부재(415)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누름 버튼(412) 및 걸림 돌기(4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회전축(414)이 위치된다.
회전축(414)은 제1 결합부(410)와 제2 결합부(4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회전축(414)은 제2 결합부(420)를 향하는 제1 결합부(4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수직부(310)를 향하는 회전축(4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제1 결합부(410)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414)의 상기 일측에는 회전축(414)과 제1 결합부(410)의 내벽을 연결하는 결합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414)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414)의 연장 길이는 제1 결합부(410) 및 제2 결합부(420)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414)에는 회전 걸쇠(4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414)이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단부에는 회전 걸쇠(421)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걸쇠(421)는 회전축(4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부(310)를 향하는 방향 또는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제2 결합부(420)에 연결된 시트 지지부(50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복귀 부재(415)는 사용자가 인가한 압력에 의해 누름 조작된 누름 버튼(412)이 원 상태로 복귀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복귀 부재(415)는 누름 버튼(41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복귀 부재(415)는 누름 버튼(41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복귀 부재(415)는 누름 버튼(412)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압축되며 탄성력(복원력)을 저장한다. 또한, 복귀 부재(415)는 누름 버튼(412)의 가압이 해제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며 누름 버튼(412)을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412)은 걸림 돌기(41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귀 부재(415)가 저장한 탄성력은 걸림 돌기(413) 또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복귀 부재(415)가 탄성력을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 버튼(412)은 제1 결합부(4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 수용된 상태이다.
누름 버튼(412)이 누름 조작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면, 복귀 부재(415)는 탄성력을 저장하고, 동시에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서 배출된다.
복귀 부재(415)는 형상 변형되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귀 부재(415)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또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속 돌기(416)는 구속 부재(422)와 접촉되어, 구속 부재(422)의 임의 회전을 제한한다.
구속 돌기(416)의 상측은 제1 결합부(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속 돌기(416)의 하측은 제1 결합부(410)의 하측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속 돌기(416)의 하측을 조작하여 구속 돌기(416)를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속 돌기(416)는 탄성부(430)의 제1 탄성 부재(431)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구속 돌기(416)는 제1 탄성 부재(431)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구속 부재(422)가 임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구속 돌기(416)가 조작되어 전방 측으로 이동된 경우, 제1 탄성 부재(431)는 구속 돌기(416)에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구속 부재(422)가 회전된 후, 구속 돌기(416)는 구속 부재(422)에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을 인가하게 되어, 구속 부재(422)가 임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구속 돌기(416)는 구속 부재(422)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4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 즉 제2 결합부(420)가 제1 결합부(410)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구속 돌기(416)는 구속 홈(417)의 후방 측에서 구속 부재(422)와 접촉된다.
또한, 제2 결합부(420)가 회전된 상태에서, 구속 돌기(416)는 구속 홈(417)의 상기 후방 측보다 전방 측에서 구속 부재(422)와 접촉된다.
구속 돌기(416)는 구속 홈(417)에 관통 결합된다.
구속 홈(417)은 제1 결합부(410)의 하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구속 홈(417)은 수직부(310) 및 시트 지지부(5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속 홈(417)에는 구속 돌기(416)가 관통 결합된다. 구속 돌기(416)는 구속 홈(417)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부(310)를 향하는 방향 또는 시트 지지부(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속 홈(417)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구속 홈(417)의 길이는, 구속 부재(422)의 회전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410)의 전방의 하측 단부는 제2 결합부(4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의 전방의 하측은 제2 결합부(420)의 후방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구속 돌기(416) 및 구속 홈(417)은 제1 결합부(410)의 상기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 및 시트 지지부(500)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와 시트 지지부(500)를 연결한다.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제2 결합부(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시트 지지부(500)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420)와 시트 지지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310)를 향하는 제2 결합부(4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1 결합부(410)와 연결된다.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의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수직부(310)를 향하는 방향 또는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420)에 연결된 시트 지지부(50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제2 결합부(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은 제1 결합부(410)의 전방의 하측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의 하측을 향해 회전되거나, 제1 결합부(410)의 하측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제2 결합부(4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회전 걸쇠(421), 구속 부재(422), 구속 돌기(416) 및 구속 홈(417)이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420)는 회전 걸쇠(421) 및 구속 부재(422)를 포함한다.
회전 걸쇠(421)는 제2 결합부(420)가 제1 결합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회전 걸쇠(421)에 의해, 제2 결합부(420)는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걸쇠(421)는 회전축(4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걸쇠(421)는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회전축(414)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회전 걸쇠(42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걸쇠(421)는 하측에 위치되며,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부분(421a), 상기 제1 부분(421a)과 연속되며 원의 일부로 형성되는 제2 부분(421b) 및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부분(421b)과 연속되며 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3 부분(421c)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부분(421a)의 연장 길이는 제3 부분(421c)의 연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421a) 및 제3 부분(421c)에는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걸쇠(421)는 회전축(414)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걸쇠(42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걸쇠(421)는 두 개 구비되어, 회전축(414)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두 개의 회전 걸쇠(421)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310)를 향하는 회전 걸쇠(42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구속 부재(422)가 구비된다.
구속 부재(422)는 제2 결합부(420)가 회전된 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속 부재(422)는 회전 걸쇠(421)와 제1 결합부(410)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부재(422)는 회전축(414)의 후방 측에서 회전 걸쇠(421)와 결합된다.
구속 부재(422)는 회전 걸쇠(421)와 결합된다. 회전 걸쇠(421)가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구속 부재(422) 또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410) 및 제2 결합부(420)의 형상으로 인해,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의 상측에 위치되는 공간에서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속 부재(422)는 회전 걸쇠(421)의 후방 측에 위치되므로, 회전축(414)의 후방 측 및 하측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속 부재(422)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구속 돌기(416)에 의해 구속된다. 이에 따라, 구속 부재(422)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구속 돌기(416)를 조작하여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면, 구속 부재(422)는 구속 돌기(416)에서 해방되어 회전 걸쇠(4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걸쇠(421)가 회전됨에 따라, 구속 부재(422) 또한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회전축(414)의 하측을 향해 회전된다. 구속 부재(422)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전방 측으로 이동된 구속 돌기(416)와 구속 부재(422)가 접촉된다. 이에 따라, 구속 부재(422)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제2 결합부(42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속 부재(422)는 일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제1 결합부(410)의 하측 면의 형상에 상응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탄성부(430)는 제2 결합부(420)가 제1 결합부(410)와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부(430)는 구속 돌기(416)가 구속 부재(422)를 안정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430)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며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430)는 제1 결합부(4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430)는 토션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4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부(430)는 제2 결합부(420)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속 돌기(416)와 연결되는 제1 탄성 부재(431 및 제1 결합부(410)와 제2 결합부(420)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제2 탄성 부재(432)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431)는 구속 돌기(416)를 탄성 지지한다. 즉, 제1 탄성 부재(431)는 구속 돌기(416)에, 수직부(310)를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 구속 돌기(416)는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구속 돌기(416)는 구속 부재(422)에,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인가한다.
결과적으로, 구속 부재(422) 및 이에 연결된 회전 걸쇠(421)는, 구속 돌기(416)에 의해 임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2 탄성 부재(432)는 제1 결합부(410)와 제2 결합부(420)를 탄성 연결한다. 즉, 제2 탄성 부재(432)는 제2 결합부(420)에,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 제2 결합부(420)는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결합부(420)가 제1 결합부(410)와 임의로 분리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결합부(410) 또는 제2 결합부(42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승강부(400)가 조작되어, 승강부(400)의 높이가 조정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지지부(500)의 설명
다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시트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시트 지지부(5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지지부(50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50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후술될 삽입 부재(520)에 의해 달성된다.
시트 지지부(50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미도시)가 공급하는 전력은 시트 지지부(50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500)는 핸들부(340)에 반대되는 수직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50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인지하며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500)는 제2 결합부(42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시트 지지부(500)는 제1 결합부(410) 또는 수직부(310)에 반대되는 제2 결합부(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500)는 제2 결합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5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5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500)는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50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면(sphere surface)의 일부로 형성된다.
이는, 시트 지지부(500)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시트 지지부(500)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500)는 오목부(510) 및 삽입 부재(520)를 포함한다.
오목부(51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다. 오목부(510)는 하측으로 볼록한 시트 지지부(500)의 하부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오목부(510)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카트 결합부(200)가 수용된다. 오목부(510)에 수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될 수 있다.
오목부(510)의 내부에는 삽입 부재(520)가 위치된다.
삽입 부재(520)는 카트 결합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삽입 부재(520)와 결합 핀부(230)의 결합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삽입 부재(520)는 카트 결합부(2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에 의해,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와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삽입 부재(520)는 오목부(5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52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510)의 중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520)의 위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카트 결합부(20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부재(52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시트 지지부(5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삽입 부재(520)의 돌출 길이는 카트 결합부(2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부재(520)는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삽입 부재(520)는 베이스부(3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520)는 베이스부(320)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형상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는 공간부(140)가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을 향하도록 시트 지지부(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는 카트부(20)가 주행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외부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보호자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520)는 삽입 부재 바디부(521), 결합 홈(522), 삽입 부재 헤드부(523) 및 통전 단자부(524)를 포함한다.
삽입 부재 바디부(521)는 삽입 부재(520)의 몸체를 형성한다. 삽입 부재 바디부(521)는 시트 지지부(500)의 상측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삽입 부재 바디부(521)의 일측에는 삽입 부재 헤드부(523)가 위치된다.
삽입 부재 바디부(521)와 삽입 부재 헤드부(523) 사이에는 결합 홈(522)이 형성된다.
결합 홈(522)은 결합 핀부(2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결합 홈(522)은 삽입 부재 바디부(521) 및 삽입 부재 헤드부(523) 사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522)은 삽입 부재 바디부(521)와 삽입 부재 헤드부(523)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 홈(522)의 형상은 서로 마주하는 결합 핀부(230)의 단부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522)에 결합 핀부(230)가 삽입되면, 손잡이부(150)의 조작 없이는 결합 핀부(230)가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홈(522)은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 홈(522)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522)은 제1 결합 홈(522a) 및 제2 결합 홈(522b)을 포함하여 두 개 형성된다. 제1 결합 홈(522a) 및 제2 결합 홈(522b)은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 결합 홈(522a) 및 제2 결합 홈(522b)에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복수 개의 결합 홈(522)의 배치 방식은 결합 핀부(230)의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부재 헤드부(523)는 결합 홈(522)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삽입 부재 헤드부(523)는 결합 홈(522)보다 베이스부(451)에서 더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삽입 부재 헤드부(523)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 헤드부(523)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형상에 의해, 삽입 부재(520)가 카트 결합부(20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재 헤드부(523)의 상측에는 통전 단자부(524)가 구비된다.
통전 단자부(524)는 카트부(20)가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되는 부분이다. 삽입 부재(520)가 삽입 공간부(250)에 삽입되면, 통전 단자부(524)는 통전부(22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단자부(524)는 다른 부재와 접촉되어 의해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단자부(524)는 포고 핀(pogo pi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 및 통전 구조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 및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가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은, 별도의 도선 부재 없이도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 및 통전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시트 지지부(500)에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시트 지지부(500)에 결합된다. 이때,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시트 지지부(500)의 오목부(510)에 수용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시트 지지부(500)의 삽입 부재(46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삽입 공간부(250)에 삽입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공간부(250)를 둘러싸는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결합 핀부(23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는 삽입 부재(460)에 접촉되며 소정 거리만큼 삽입 부재(46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압축하며 이동된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결합 핀부(230)는 시트 지지부(500)의 결합 홈(462)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 핀부(230) 및 결합 홈(462)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가 복수 개의 결합 홈(462)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삽입 부재(460)의 상측에 위치되는 통전 단자부(464)는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되는 통전부(220)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배터리(미도시)에서 시트 지지부(500)로 유입된 전류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는 상기 결합에 의해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가 분리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의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된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이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되며 제어 스프링(155)이 압축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제어 스프링(155) 대신 강체(rigid body)가 구비되어, 외부 프레임(151)과 함께 이동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150)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삽입 부재(460)와 결합 핀부(230)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제어 스프링(155)과 연결되는 결합 핀부(230) 또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46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결합 홈(462)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60)는 결합 핀부(230)에서 해방되어,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가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는 결합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이에,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가 분리되면, 상기 통전 상태가 해소됨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의 통전부(220)와 카트부(20)의 통전 단자부(524)는 포고 핀(pogo pin)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아용 시트부(10)가 시트 지지부(500)에 안착되는 방향과 무관하게, 유아용 시트부(10)와 시트 지지부(500)가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 및 보호자를 향하는 방향 중 어떠한 방향을 향하도록 유아용 시트부(10)가 시트 지지부(500)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승강부(40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시트 지지부(500)는 승강부(400)와 연결된다. 승강부(400)는 몸체부(300)의 수직부(310)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별도 조작이 없는 경우, 승강부(400)는 승강된 높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승강부(400)가 수직부(3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의 (a) 및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승강부(400) 및 이에 연결된 시트 지지부(500)가 수직부(310)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또한, 도 16의 (b) 및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승강부(400) 및 이에 연결된 시트 지지부(500)가 수직부(310)를 따라 상측으로 상승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410)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413)는 수직부(310)의 레일부(311)의 복수 개의 수용부(31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수용부(311b)에 삽입된 걸림 돌기(413)는 수용부(311b)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둘러싸는 돌출부(311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413)는 수용부(311b)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413)를 구비하는 제1 결합부(410)(즉, 승강부(400)) 및 이에 연결된 시트 지지부(500) 또한 해당 높이에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누름 버튼(412)을 누름 조작하여 걸림 돌기(413)를 수용부(311b)에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누름 버튼(412)과 걸림 돌기(413)는 서로 연결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누름 버튼(412)과 걸림 돌기(413)는 별도의 축(미도시)을 통해 링크 연결(link connected)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누름 버튼(412)이 하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걸림 돌기(413)가 상기 축(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부(311b)에서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승강부(40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킨 후, 사용자는 누름 버튼(412)에 인가하던 압력을 해제한다.
이때, 누름 버튼(412)은 복귀 부재(415)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누름 버튼(412)이 누름 조작되어 복귀 부재(415)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 버튼(412)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걸림 돌기(413)는 누름 버튼(41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누름 버튼(41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과정이 반대로 수행되어, 걸림 돌기(413)는 레일부(311)의 복수 개의 수용부(31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레일부(311)의 상기 수용부(311b)를 상하 방향에서 둘러싸는 돌출부(311a)는, 상기 수용부(311b)를 향하는 방향, 즉 상기 수용부(311b)가 함몰된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수용부(311b)의 전방 측 단면은 후방 측 단면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 돌기(413)가 정확하게 수용부(311b)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돌출부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걸림 돌기(413)가 수용부(311b)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400)를 조작하여 유아용 시트부(10)가 안착된 시트 지지부(5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누름 버튼(412)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걸림 돌기(413)가 레일부(311)의 수용부(311b)에 삽입되어, 승강부(400)가 임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고 승강부(400)가 안정적으로 조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지지부(5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시트 지지부(500)는 승강부(400)의 제2 결합부(420)와 연결된다. 제2 결합부(420)는 수직부(3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4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2 결합부(420)가 제1 결합부(4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 시트 지지부(500) 또한 제2 결합부(4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별도 조작이 없는 경우, 시트 지지부(500)는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지지부(500)가 수직부(31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2 내지 도 14 및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지지부(5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의 (a) 및 도 21의 (a)를 참조하면, 승강부(400)의 제2 결합부(420) 및 시트 지지부(500)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에서, 제2 결합부(420)의 후방의 하측은 제1 결합부(410)의 전방의 하측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구속 돌기(416)는 시트 지지부(500)에 반대되는 방향, 즉 후방 측에 위치된다. 구속 돌기(416)는 구속 부재(422)가 전방 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속 부재(422)를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는 회전 걸쇠(421)가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구속 돌기(416)를 시트 지지부(500)를 향하는 방향, 즉 전방 측을 향해 가압하면, 구속 돌기(416)가 구속 홈(417)을 따라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속 부재(422)는 구속 돌기(416)에서 해방된다.
이때, 구속 돌기(416)는 제1 탄성 부재(431)에 의해 시트 지지부(500)에 반대되는 방향, 즉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인가받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탄성 부재(431)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보다 큰 힘을 구속 돌기(416)에 인가하여야 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시트 지지부(500) 또는 제2 결합부(420)를 수직부(3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트 지지부(500) 및 이에 연결된 제2 결합부(420)가 수직부(310)를 향해 회전된다.
이때, 회전 걸쇠(421)에 연결된 구속 부재(422) 또한 함께 회전되어, 시트 지지부(500)를 향하는 방향, 즉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구속 부재(422)와 회전축(414)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구속 부재(422)가 회전축(414)의 하측에 위치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의 (b), 도 19, 도 20 및 도 2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과정을 통해 승강부(400)의 제2 결합부(420) 및 시트 지지부(500)가 접힌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에서, 구속 돌기(416)는 시트 지지부(500)에 보다 인접하게, 즉 더 전방 측에 위치된다. 구속 돌기(416)는 구속 부재(422)가 추가적으로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는 회전 걸쇠(421)가 회전축(414)을 중심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승강부(400)의 제2 결합부(420) 및 시트 지지부(500)를 펼치고자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구속 돌기(416)를 구속 부재(422)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전방 측을 향해 가압한다. 이에 따라, 구속 돌기(416)가 구속 홈(417)을 따라 전방 측으로 이동되며, 구속 부재(422)가 구속 돌기(416)에서 해방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시트 지지부(500) 또는 제2 결합부(420)를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시트 지지부(500) 및 이에 연결된 제2 결합부(420)가 수직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시트 지지부(500) 및 제2 결합부(420)는, 제2 결합부(420)의 후방의 하측이 제1 결합부(410)의 전방의 하측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속 돌기(416)는 제1 탄성 부재(431)에 의해 시트 지지부(500)에 반대되는 방향, 즉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인가받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 측으로 이동시킨 구속 돌기(416)를 추가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탄성력에 의해 구속 돌기(416)가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구속 부재(422)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속 돌기(416)를 가압하는 과정이 진행되기 전, 제2 결합부(420)를 제1 결합부(410)에서 소정 거리만큼 분리하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420)를 제1 결합부(410)에 반대되는 방향, 즉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후, 상기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420)는 제2 탄성 부재(432)에 의해 제1 결합부(410)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인가받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탄성 부재(432)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보다 큰 힘을 제2 결합부(420)에 인가해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시트 지지부(500)가 수직한 방향까지 접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시트 지지부(500)가 수직부(310)에 대해 평행하도록 접힐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시트 지지부(500) 및 제2 결합부(420)를 수직부(310)를 향해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시트 지지부(500) 및 제2 결합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구속 돌기(416)를 가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시트 지지부(500) 및 제2 결합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결합부(420)를 제1 결합부(410)에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부(500) 및 제2 결합부(420)가 임의로 회전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트 지지부(500) 및 제2 결합부(420)를 원하는 바에 따라 접거나 펼친 후, 구속 돌기(416)는 제1 탄성 부재(431)가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구속 부재(422)를 구속하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안전 사고가 예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20: 카트(cart)부
30: 에어 커버부
100: 바디부
110: 외측 커버부
111: 제1 경사부
112: 제2 경사부
113: 제3 경사부
120: 내측 커버부
130: 안착부
140: 공간부
150: 손잡이부
151: 외부 프레임
152: 내부 프레임
153: 스프링 수용부
154: 복귀 스프링
155: 제어 스프링
200: 카트 결합부
210: 결합 함몰부
220: 통전부
230: 결합 핀부
230a: 제1 결합 핀부
230b: 제2 결합 핀부
231: 탄성 부재
240: 가이드부
250: 삽입 공간부
300: 몸체부
310: 수직부
311: 레일부
311a: 돌출부
311b: 수용부
320: 베이스부
330: 휠(wheel)부
331: 메인 휠
331a: 제1 메인 휠
331b: 제2 메인 휠
332: 메인 휠 지지부
333: 서브 휠
333a: 제1 서브 휠
333b: 제2 서브 휠
334: 서브 휠 지지부
340: 핸들부
400: 승강부
410: 제1 결합부
411: 결합 공간부
412: 누름 버튼
413: 걸림 돌기
414: 회전축
415: 복귀 부재
416: 구속 돌기
417: 구속 홈
420: 제2 결합부
421: 회전 걸쇠
421a: 제1 부분
421b: 제2 부분
421c: 제3 부분
422: 구속 부재
430: 탄성부
431: 제1 탄성 부재
432: 제2 탄성 부재
500: 시트 지지부
510: 오목부
520: 삽입 부재
521: 삽입 부재 바디부
522: 결합 홈
522a: 제1 결합 홈
522b: 제2 결합 홈
523: 삽입 부재 헤드부
524: 통전 단자부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카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 부재를 수용하는 삽입 공간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 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결합 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삽입 공간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 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핀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되면, 상기 결합 핀부가 상기 결합 홈에서 인출되는,
    스마트 유모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외부 프레임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외부 프레임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 및
    상기 공간을 향하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 핀부와 연결되는 제어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이 누름 조작되면, 상기 제어 스프링이 상기 결합 핀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유모차.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에서 함몰 형성된 공간인 결합 함몰부; 및
    상기 결합 함몰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 핀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상측 단부에는 배터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전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트 결합부는,
    상기 삽입 공간부의 상측에 노출되며, 외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상기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 상기 통전부와 상기 통전 단자부가 접촉되는,
    스마트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부 및 상기 통전 단자부는 포고 핀(pogo pin)으로 구비되는,
    스마트 유모차.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상인,
    스마트 유모차.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상측 단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스마트 유모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부와 연결되는 승강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은 하측으로 볼록한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트 지지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0200022457A 2020-02-24 2020-02-24 스마트 유모차 KR20210107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57A KR20210107445A (ko) 2020-02-24 2020-02-24 스마트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57A KR20210107445A (ko) 2020-02-24 2020-02-24 스마트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45A true KR20210107445A (ko) 2021-09-01

Family

ID=7778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57A KR20210107445A (ko) 2020-02-24 2020-02-24 스마트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4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118A1 (ko)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활물질에 도입된 붕소의 함량 및 분포 분석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213Y1 (ko) 2001-06-08 2001-10-26 박기수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유모차
KR200327708Y1 (ko) 2003-06-25 2003-09-26 최무진 탈부착이 가능한 2인용 삼륜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213Y1 (ko) 2001-06-08 2001-10-26 박기수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유모차
KR200327708Y1 (ko) 2003-06-25 2003-09-26 최무진 탈부착이 가능한 2인용 삼륜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118A1 (ko)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활물질에 도입된 붕소의 함량 및 분포 분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206B1 (en) Transformable folding electric scooter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US20040251717A1 (en) Suitcase with foldable chair
KR20120030621A (ko) 유모차
KR10114960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CN101489444A (zh) 具有高度调整的模块式高脚椅
CN105857377B (zh) 一种座部位置高的婴儿车
KR20210107445A (ko) 스마트 유모차
WO2018161501A1 (zh) 一种轻便型儿童推车
KR20210107443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07439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30012949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20100078909A1 (en) Baby walker as walk helper
KR20210146144A (ko) 카트부
TWM453624U (zh) 雙人座嬰兒車結構
CN210611280U (zh) 一种亲子旅行箱
CN212373460U (zh) 一种折叠儿童推车
EP1593323A1 (en) Swing chair and child-care chair
KR20210146142A (ko) 스마트 유모차
KR2021011705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3A (ko) 스마트 유모차
CN113442989B (zh) 可折叠婴儿车
CN213282317U (zh) 儿童椅
KR20210089010A (ko) 스마트 카시트
KR2021012256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