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053A -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053A
KR20210117053A KR1020200033390A KR20200033390A KR20210117053A KR 20210117053 A KR20210117053 A KR 20210117053A KR 1020200033390 A KR1020200033390 A KR 1020200033390A KR 20200033390 A KR20200033390 A KR 20200033390A KR 20210117053 A KR20210117053 A KR 2021011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sensor
modu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미
고성규
이민종
이윤성
손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053A/ko
Publication of KR2021011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는 주행 중인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는 영역 정보로 연산되어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영역 정보에 따라 메인 휠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 중인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이를 반영하여 스마트 유모차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휠의 회전이 제어됨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를 주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Smart stroller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모차가 주행 중인 주변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출생한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 연령대의 어린이를 지칭한다. 유아는 아직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쉽게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유아가 집안에서 체재하는 경우는 별론, 집 밖으로 나가는 경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들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외출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로,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모차는 내부에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유아는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보호자가 인가하는 힘에 따라 이동되는 유모차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 상태가 급변함에 따라, 보호자는 유모차가 주행되는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유모차는 바퀴에 의해 주행되는 바, 보호자는 유모차가 주행되는 도로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 또한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폰 등의 통신 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클라우드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각 지역에 체재하는 사용자들이 미세먼지 정보, 언덕, 계단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소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089516호는 루트 평탄화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개인용 휴대용 트레이닝 기기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평탄화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루트 평탄화는 사용자가 지나온 경로를 추적함에 그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사용자가 위치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559026호는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유아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GPS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유모차가 지나온 경로를 추적함에 그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전술한 선행문헌과 같이 사용자가 위치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 있는 클라우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일이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날씨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 상태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모차가 위치되는 미소면적에서의 대기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4-0089516호 (2014.07.15.)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559026호 (2015.10.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모차가 위치되는 미소면적의 대기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착된 유아가 흡입하는 공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모차가 위치되는 미소면적의 지형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모차가 위치되는 미소면적의 지형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유모차에 인가하는 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지역에 대한 대기 상태 및 지형 상태에 대한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유모차를 직접 주행시키는 경우에만 유모차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기 카트부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면적을 갖는 기 설정된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 상기 시트 지지부가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수직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먼지 농도에 대한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센서는, 상기 베이스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공간의 고도에 대한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고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고도 센서는, 상기 수직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노면에 대한 노면 정보를 감지하는 노면 센서; 및 상기 카트부의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노면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는, 상기 수직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정보를 전달받는 정보 수신 모듈; 전달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부의 주행 여부에 대한 주행 정보를 연산하는 주행 정보 연산 모듈; 및 감지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부는,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메인 휠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대한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회전 정보 연산 모듈; 및 연산된 상기 회전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부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 상기 시트 지지부가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는,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누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외부의 단말기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 전달받은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전달받은 상기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센서부가 카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가 감지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d)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e) 단말기가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1) 위치 센서가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a2) 공기 센서가 상기 공간의 먼지 농도에 대한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3) 위치 센서가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4) 기울기 센서가 상기 공간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5) 고도 센서가 상기 공간의 고도에 대한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6) 노면 센서가 상기 공간의 지면에 대한 노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a7) 진동 센서가 상기 공간을 주행하는 상기 카트부의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b1) 정보 수신 모듈이 감지된 상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b2) 주행 정보 연산 모듈이 상기 카트부의 주행 여부에 대한 주행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b2) 단계 이후에, (b3) 연산된 상기 주행 정보가 상기 카트부의 주행이 진행 중임을 의미하는 경우, 영역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b4) 출력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1) 회전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부의 회전에 대한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2) 모터부 제어 모듈이 연산된 상기 회전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c3)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메인 휠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d1) 입력 모듈이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d2) 저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e1) 통신 모듈이 상기 제어부로부터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e2)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e3) 스피커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상기 (e) 단계는, (e4)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e5)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e6) 스피커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센서부는 먼지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 등 대기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한다. 공기 센서는 스마트 유모차가 위치되는 소정의 면적의 영역 내의 공기 정보를 감지한다. 감지된 공기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로 연산된다. 연산된 영역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가 위치되는 미소면적의 대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센서는 베이스부에 반대되는 수직부의 일측, 즉 상측에 위치된다. 공기 센서는 유아가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공기 센서가 감지하는 공기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영역 정보 중 대기 정보는, 유아가 호흡하기 위한 공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가 흡입하는 공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되는 영역의 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고도 센서, 노면 센서 및 진동 센서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는 지형의 기울기를, 고도 센서는 지형의 고도를, 노면 센서는 지면의 상태를, 진동 센서는 스마트 유모차의 진동을 감지한다.
감지된 각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로 연산된다. 연산된 영역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울기 센서, 고도 센서, 노면 센서 및 진동 센서는 베이스부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감지되는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될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가 위치되는 미소면적 또는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될 미소면적의 지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회전 정보 연산 모듈을 포함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은 연산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지형 정보에 따라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스마트 유모차가 오르막길 또는 평지에 위치된 경우, 회전 정보 연산 모듈은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모터부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스마트 유모차가 내리막길에 위치된 경우, 회전 정보 연산 모듈은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모터부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즉, 유모차가 위치되는 영역의 지형 상태에 따라, 모터부는 스마트 유모차의 주행 방향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은 크기의 힘만을 인가하여 스마트 유모차를 용이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내리막길의 경우, 모터부가 경사의 역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스마트 유모차가 임의로 경사를 따라 하강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각 정보 및 연산된 영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복수 개의 스마트 유모차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에는 각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단말기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감지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의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전달한다. 또는,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지역의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베이스부에는 각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가 누적 저장되므로, 저장된 영역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마트 유모차가 사용자에 의해 주행되는지 여부에 대한 주행 정보를 연산한다. 제어부는, 연산된 주행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영역 정보를 연산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연산 수행이 방지될 수 있어, 전력 효율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 중인 경우에만 영역 정보가 연산되므로, 연산된 영역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S1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S2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S3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S4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의 S5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정보가 출력된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크래들부 또는 독자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 신호, 전력 등이 전달될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배터리(미도시)에서 공급된 전력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통해 인가하는 힘에 의해, 휠부(200)가 회전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및 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의 전방 측 및 하측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쿠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버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물리적, 정전기적 인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에는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2) 카트부(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행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휠부(200)에 의해 달성된다.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부(2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트부(2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핸들부(13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LED(미도시) 등이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20)는 몸체부(100) 및 휠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6을 더 참조하면, 카트부(20)는 센서부(300), 제어부(400), 데이터베이스부(500) 및 단말기(6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센서부(300), 제어부(400), 데이터베이스부(500) 및 단말기(6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몸체부(100)의 설명
몸체부(100)는 카트부(20)의 골격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카트부(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수직부(110), 베이스부(120), 핸들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시트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수직부(110)는 몸체부(100) 중 상하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수직부(11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 및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110)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보호자가 핸들부(130)를 파지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110)는 보호자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수직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11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부(11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지면을 향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베이스부(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베이스부(120)를 향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면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핸들부(13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30)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가장 용이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와 핸들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110)의 일 위치에는, 시트 지지부(150)와 연결되는 승강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관통 결합된다.
승강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부(1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핸들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승강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카트부(20)의 하측의 수평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20)는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120)에 가방 등의 소품들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120)의 형상은 수직부(110)와 결합되고, 휠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20)에는 유아 이외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짐 등이 수납,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12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수직부(110)를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측에는 수직부(110)가 결합된다.
수직부(110)에 반대되는 베이스부(1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는 메인 휠 지지부(213)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12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는 서브 휠 지지부(2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발광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발광부(미도시)는 LED 램프 등으로 구비되어,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상태 또는 카트부(20)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핸들부(130)는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카트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30)는 베이스부(120)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장에 맞춰 핸들부(13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130)를 수직부(110)의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130)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부(140)가 위치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및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시각화 정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40)는 UI(User Interface) 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패널, 누름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LED 램프, LED 패널, LCD 램프 및 LCD 패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미도시)가 공급하는 전력은 시트 지지부(15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핸들부(130)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인지하며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수직부(110)와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는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지지부(150) 또한 수직부(110)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15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15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면(sphere surface)의 일부로 형성된다.
이는,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시트 지지부(150)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2) 휠부(200)의 설명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휠부(200)를 포함한다.
휠부(200)는 회전 가능하게 카트부(20)에 구비된다. 휠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20)가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200)는 회전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210)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220)을 포함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메인 휠(210), 서브 휠(220) 및 모터부(230)를 포함한다.
메인 휠(210)은 베이스부(120)의 하측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210)은 카트부(2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한다.
메인 휠(210)은 모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카트부(20)가 주행 중인 상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이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이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트부(20)가 임의 주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휠(2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21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21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212)을 포함한다.
메인 휠(210)은 브레이크(미도시)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레이크(미도시)를 가압하면, 메인 휠(2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미도시)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휠(210)은 제1 메인 휠(211), 제2 메인 휠(212) 및 메인 휠 지지부(213)를 포함한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은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 중 어느 하나는 브레이크(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브레이크(미도시)를 조작할 경우, 카트부(20)의 주행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휠(211)의 좌측 면 및 제2 메인 휠(212)의 우측 면에는 상기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은 각각 메인 휠 지지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21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베이스부(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휠(210)은 임의로 주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메인 휠 지지부(213)는 베이스부(120)의 일 구성 요소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각 메인 휠(211, 21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메인 휠(2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메인 휠(2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브레이크(미도시)의 일부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에는 카트부(2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 휠(220)은 베이스부(120)의 하측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220)은 카트부(20)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서브 휠(2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22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휠(22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서브 휠(2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은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휠(221, 222)이 이격되는 거리는 각 메인 휠(211, 212)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은 각각 서브 휠 지지부(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서브 휠(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서브 휠(220)은 서브 휠 지지부(22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220)이 결합된 서브 휠 지지부(223)가 베이스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브 휠(220)이 주행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220)은 서브 휠 지지부(223)의 좌우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이스부(120)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메인 휠(210)에 반대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의 전방의 하측에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 또는 메인 휠(210)이 회전되는 상태에 따라, 서브 휠 지지부(223)가 해당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트부(20)의 주행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휠 지지부(223)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어링(미도시)의 형태로 서브 휠(221, 222)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휠 지지부(223)는 서브 휠(221, 222)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후술될 바와 같이, 서브 휠 지지부(223)에는 센서부(30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에 결합되어, 메인 휠(210)을 회전시킨다.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휠(210)은 카트부(20)가 전진되는 방향 또는 후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터부(230)는 각 메인 휠(211, 2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터부(230)는 제1 메인 휠(211)에 결합되는 제1 모터(231) 및 제2 메인 휠(212)에 결합되는 제2 모터(232)를 포함한다.
모터부(23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모터부(230)는 제어부(400)의 모터부 제어 모듈(45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부(230)는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회전 정보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파지하고, 힘을 인가하는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230) 및 이에 연결된 메인 휠(210)이 임의 회전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전력 및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 및 정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서, 모터부(230)는 모터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가 연산한 회전 정보에 따라 모터부(230)가 회전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3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센서부(300)를 더 포함한다.
센서부(30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되는 주변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00)는 스마트 유모차(1)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면적을 갖는 공간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스마트 유모차(1)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공간 상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반경은 1 m일 수 있다.
센서부(300)가 감지한 각 정보는 제어부(400)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연산되어 출력된다. 센서부(30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300)가 감지한 각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각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단말기(6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500)에는 복수 개의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각 영역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카트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감지 대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경우에만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유모차(1)는 특정 위치에 정차되어 있거나, 차량 등에 탑재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센서부(300)가 감지하는 각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과 무관하므로, 의미 없는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30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사용자에 의해 주행되는 경우에만 각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실시간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00)가 감지하는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mapping)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위치 센서(310), 공기 센서(320), 기울기 센서(330), 고도 센서(340), 노면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를 포함한다.
위치 센서(31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위치 센서(310)는 위치 센서(310)가 구비된 부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센서(310)는 위치 정보를 X-Y 좌표의 형태로 표현되는 평면 상의 정보로 감지하는 GPS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센서(310)는 카트부(20)에 구비된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경우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위치 센서(310)가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될 경우, 정확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어려움에 기인한다.
위치 센서(310)는 베이스부(120)에 위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310)는 서브 휠(220)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위치 센서(310)가 감지하는 위치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mapping)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와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면, 스마트 유모차(1)의 이동 속도가 연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의 이동 여부가 연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센서(31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스마트 유모차(1)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다른 센서(320, 330, 340, 350, 360)는 위치 센서(310)에 의해 획득된 정보가 연산된 결과에 따라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제어부(400)의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으로 전달된다. 위치 센서(310)와 제어부(4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센서(32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공기의 질, 구체적으로 먼지 농도와 관련된 공기 정보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센서(32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농도 또는 미세 먼지 농도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공기 센서(320)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 또는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센서(32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먼지 농도 또는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센서(320)는 카트부(20)에 구비된다. 공기 센서(320)는 카트부(20)의 수직부(110)에 위치된다. 공기 센서(32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인접하도록, 수직부(11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센서(320)는 핸들부(130)가 수직부(110)와 결합되는 양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는 방향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는, 내부에 안착된 유아가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보호자를 향하도록 카트부(20)와 결합된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10)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수직부(110)에 인접한 영역, 특히, 유아용 시트부(10)와 같은 높이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공기 센서(320)는 유아가 호흡하는 공기가 체류하는 위치인 수직부(11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유아가 직접 호흡하는 공기의 질을 측정할 수 있다.
공기 센서(320)가 감지하는 공기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센서(320)가 감지한 공기 정보와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면, 해당 지역에서의 공기 질의 상황이 시간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공기 센서(320)가 감지한 공기 정보는 제어부(400)의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으로 전달된다. 공기 센서(320)와 제어부(4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울기 센서(33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지면의 기울기와 관련된 기울기 정보를 감지한다.
기울기 센서(330)는 기울기 센서(330)가 구비된 부재가 이동되는 지면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울기 센서(33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30)가 감지하는 기울기 정보는 각도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30)는 카트부(20)에 구비된다. 기울기 센서(330)는 베이스부(120)에 위치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30)는 서브 휠(220)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울기 센서(330)는 위치 센서(31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30)가 감지하는 기울기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 센서(330)가 감지한 기울기 정보와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면, 해당 지역이 오르막길, 평지 또는 내리막길인지 여부가 연산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330)가 감지한 기울기 정보는 제어부(400)의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으로 전달된다. 기울기 센서(330)와 제어부(4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도 센서(34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고도, 즉 높이와 관련된 고도 정보를 감지한다.
고도 센서(340)는 고도 센서(340)가 구비된 부재가 위치된 영역의 고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도 센서(340)가 감지하는 정보는 센티미터(cm) 또는 미터(m)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고도 센서(340)는 카트부(20)에 구비된다. 고도 센서(340)는 베이스부(120)에 위치될 수 있다. 고도 센서(340)는 서브 휠(220)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도 센서(340)는 위치 센서(310) 및 기울기 센서(3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고도 센서(340)가 감지하는 고도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고도 센서(340)가 감지한 고도 정보와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면, 스마트 유모차(1)가 오르막길, 평지 및 내리막길 중 어느 길을 주행했는지 여부가 연산될 수 있다.
고도 센서(340)가 감지한 고도 정보는 제어부(400)의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으로 전달된다. 고도 센서(340)와 제어부(4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면 센서(35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노면의 정보, 즉 노면이 포장되었는지, 요철이 존재하는지, 또는 비포장되었는지 등과 관련된 노면 정보를 감지한다.
노면 센서(350)는 노면 센서(350)가 구비된 부재가 주행되는 노면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면 센서(350)는 카메라(camera) 또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노면 센서(350)는 카트부(20)에 구비된다. 노면 센서(350)는 베이스부(120)에 위치될 수 있다. 노면 센서(350)는 서브 휠(220)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노면 센서(350)는 위치 센서(310), 기울기 센서(330) 및 고도 센서(34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노면 센서(350)가 감지하는 노면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노면 센서(350)가 감지한 노면 정보와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면,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노면의 상태가 연산될 수 있다.
노면 센서(350)가 감지한 노면 정보는 제어부(400)의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으로 전달된다. 노면 센서(350)와 제어부(4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진동 센서(36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 진동되는지 여부 및 진동의 정도와 관련된 진동 정보를 감지한다.
진동 센서(360)는 진동 센서(360)가 구비된 부재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센서(360)는 가속도 센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센서(360)는 카트부(20)에 구비된다. 진동 센서(360)는 베이스부(120)에 위치될 수 있다. 진동 센서(360)는 서브 휠(220)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센서(360)는 위치 센서(310), 기울기 센서(330), 고도 센서(340) 및 노면 센서(35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치에 의해, 기울기 센서(330), 고도 센서(340), 노면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되는 위치 뿐만 아니라 스마트 유모차(100가 향후 진행될 위치의 정보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진동 센서(360)가 감지하는 진동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센서(360)가 감지한 진동 정보와 감지된 시간을 이용하면, 스마트 유모차(1)가 특정 영역을 주행할 때, 진동이 발생되는지 여부 및 그 세기 등이 연산될 수 있다.
진동 센서(360)가 감지한 진동 정보는 제어부(400)의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으로 전달된다. 진동 센서(360)와 제어부(4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400)의 설명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센서부(300)가 감지한 각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와 센서부(300)는 도선 부재(미도시)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달된 각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 회전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연산하고 출력한다. 제어부(400)가 연산한 영역 정보, 회전 정보 및 출력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제어부(400)와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와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셀룰러(Cellular) 또는 와이파이(Wi-Fi)의 형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가 연산한 영역 정보, 회전 정보 및 출력 정보는 단말기(6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0)와 단말기(6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와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셀룰러(Cellular),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의 형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보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부(400)의 각 모듈(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모듈(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은 각 정보를 서로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정보 수신 모듈(410),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 모터부 제어 모듈(450),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 정보 출력 모듈(470) 및 정보 송신 모듈(480)을 포함한다.
정보 수신 모듈(410)은 센서부(300)가 감지한 각 정보, 즉 위치 정보, 공기 정보, 기울기 정보, 고도 정보, 노면 정보 및 진동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수신 모듈(410)은 센서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보 수신 모듈(410)이 전달받은 각 정보는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에 전달된다. 정보 수신 모듈(410)과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보 수신 모듈(410)은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 및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을 포함한다.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은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은 위치 센서(3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이 수신한 위치 정보는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 및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은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 및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은 공기 센서(320)가 감지한 공기 정보를 수신한다.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은 공기 센서(3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이 수신한 공기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은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은 기울기 센서(330)가 감지한 기울기 정보를 수신한다.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은 기울기 센서(3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이 수신한 기울기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은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은 고도 센서(340)가 감지한 고도 정보를 수신한다.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은 고도 센서(34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이 수신한 고도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은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은 노면 센서(350)가 감지한 노면 정보를 수신한다.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은 노면 센서(35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이 수신한 노면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은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은 진동 센서(360)가 감지한 진동 정보를 수신한다.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은 진동 센서(36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이 수신한 진동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은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330), 고도 센서(340), 노면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는 베이스부(120)의 전방 측, 즉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될 영역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기울기 센서(330), 고도 센서(340), 노면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가 감지하는 각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될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사용자(즉, 보호자)가 인가하는 힘에 의해 주행되는지 여부를 연산한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이 연산하는 정보는 "주행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주행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사용자에 의해 주행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이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은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에서 전달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감지된 시간에 따라 매핑될 수 있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은 위치 정보 및 이에 매핑된 시간을 이용하여 스마트 유모차(1)의 이동 여부 및 이동 속도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이 연산하는 주행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이동 또는 정지되었는지 여부, 스마트 유모차(1)가 이동되었다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이 연산한 주행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로 전달된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과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센서부(300)가 감지한 각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한다. 영역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위치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300)는 스마트 유모차(1)를 중심으로 하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영역에서의 정보를 감지한다. 따라서,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이 연산하는 영역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상기 영역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센서부(300)가 감지한 위치 정보, 공기 정보, 기울기 정보, 고도 정보, 노면 정보 및 진동 정보를 전달받는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정보 수신 모듈(41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이 연산한 주행 정보를 전달받는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이 연산한 영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된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연산된 주행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임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영역 정보를 연산한다. 즉, 스마트 유모차(1)가 주차되었거나, 차량 등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경우에는 영역 정보가 연산되지 않는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이 연산하는 영역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영역의 상태에 대한 임의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영역 정보가 대기 정보, 지형 정보 및 통합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 및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을 포함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은 감지된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정보를 연산한다. 대기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센서(320)가 감지하는 공기 정보는 감지된 시간과 매핑될 수 있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은 공기 정보를 감지된 시간에 따라 배열하여, 해당 영역에서의 시간에 따른 공기의 질에 대한 대기 정보를 연산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이 연산한 대기 정보는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에 전달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과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이 연산한 대기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과 데이터베이스부(5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이 연산한 대기 정보는 단말기(600)에 전달된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과 단말기(6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은 감지된 기울기 정보, 고도 정보, 노면 정보, 및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 정보를 연산한다. 지형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의 지형과 관련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지형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되는 영역의 지형과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형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되는 영역이 오르막길, 평지 및 내리막길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형 정보는 기울기 정보 및 고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또한, 지형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되는 영역이 도로, 인도, 비포장도로 등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형 정보는 노면 정보 및 지면 정보 등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형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되는 영역 또는 주행될 영역에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형 정보는 기울기 정보, 고도 정보 및 노면 정보 등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즉, 지형 정보는 감지된 기울기 정보, 고도 정보, 노면 정보 및 진동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이 연산한 지형 정보는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에 전달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과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이 연산한 지형 정보는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에 전달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과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이 연산한 지형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과 데이터베이스부(5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이 연산한 지형 정보는 단말기(600)에 전달된다.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은 단말기(6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은 연산된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정보를 연산한다. 통합 정보는 특정 영역에서의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영역에 대한 임의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통합 정보는 연산된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가 감지된 위치 정보와 매핑(mapping)된 정보이다. 즉,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 및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은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영역에 대한 정보이다.
통합 정보는, 감지된 위치 정보(즉, 시간에 따라 매핑된 위치 정보)와 연산된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가 매핑되어 연산된다. 따라서, 통합 정보는, 특정 시간에, 특정 영역에서의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이 연산한 통합 정보는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에 전달된다. 이때,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에 전달된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 또한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에 전달될 수 있다.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은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연산된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에 대한 정보인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이 연산한 회전 정보는 모터부 제어 모듈(450)로 전달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모터부 제어 모듈(45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이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산된 지형 정보가 오르막길임을 의미하는 경우,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전진되는 방향(즉,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모터부(23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예에서, 메인 휠(2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오르막길을 따라 상승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를 오르막길을 따라 주행시키기 위해 스마트 유모차(1)에 인가해야 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연산된 지형 정보가 내리막길을 의미하는 경우,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스마트 유모차(1)가 후진되는 방향(즉,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모터부(23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메인 휠(2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내리막길을 따라 하강되는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회전된다. 즉, 메인 휠(2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내리막길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회전된다.
스마트 유모차(1)가 내리막길을 따라 이동될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1)가 고속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 유모차(1)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한다. 이때, 스마트 유모차(1)가 후진되는 방향으로 메인 휠(210)이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에 인가해야 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이 연산한 회전 정보는 모터부 제어 모듈(450)에 전달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과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이 연산한 회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과 데이터베이스부(500)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연산된 회전 정보에 따라 모터부(2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손쉽게 주행시킬 수 있다.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이 연산한 회전 정보를 전달받는다.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전달받은 회전 정보에 따라 모터부(230)를 제어한다.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모터부(2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산된 회전 정보는 모터부(230)를 주행 방향 또는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정보를 포함한다. 연산된 회전 정보에 따라 모터부(230)가 회전되어, 카트부(20)가 용이하게 주행되는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즉, 회전 정보는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에 대해, 각각 연산될 수 있다.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연산된 대기 정보, 지형 정보 및 이들이 위치 정보와 매핑된 통합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정보 출력 모듈(470) 및 정보 송신 모듈(480)에 전달한다.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정보 출력 모듈(470) 및 정보 송신 모듈(48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 및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을 포함한다.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한다.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이 연산하는 시각화 정보는 문자, 도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이 연산하는 시각화 정보는 다양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이 연산한 시각화 정보는 정보 출력 모듈(470)에 전달된다.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은 정보 출력 모듈(47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한다.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이 연산하는 청각화 정보는 단어,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이 연산하는 청각화 정보는 다양한 소리의 세기 또는 높낮이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이 연산한 청각화 정보는 정보 출력 모듈(470)에 전달된다.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은 정보 출력 모듈(47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보 출력 모듈(47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전달한다. 정보 출력 모듈(470)은 디스플레이부(14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는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출력 모듈(470)이 디스플레이부(140)에 전달하는 영역 정보는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정보임이 이해될 것이다.
정보 송신 모듈(480)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00) 또는 단말기(600)에 전달한다.
정보 송신 모듈(48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보 송신 모듈(480)은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보 송신 모듈(48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단말기(60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보 송신 모듈(480)은 단말기(6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500)의 설명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데이터베이스부(50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제어부(400)에서 연산한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주행될 수 있다. 이때, 각 스마트 유모차(1)는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500)에는 상기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감지된 정보 및 그에 따라 연산된 영역 정보가 누적 저장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해 연산된 영역 정보, 즉 대기 정보, 지형 정보 및 통합 정보가 누적 저장되면,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할 수 있는 임의의 영역 전체에서의 대기 정보, 지형 정보 및 통합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500)에는 다양한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다양한 영역 정보는, 해당 지역을 주행하고 있는 단말기(60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지역에 진입한 경우에도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영역 정보를 통해 용이하게 스마트 유모차(1)를 주행시킬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부(500)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일종의 서버(server)로 기능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500)는 각 스마트 유모차(1)마다 구비되는 것보다는, 별도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스마트 유모차(1)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스마트 유모차(1)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정보의 입력, 저장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00)는 RAM, ROM, 하드디스크, SSD, SD 카드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입력 모듈(510), 저장 모듈(520) 및 출력 모듈(530)을 포함한다.
입력 모듈(510)은 제어부(400)로부터 연산된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 즉, 입력 모듈(510)에는 연산된 영역 정보가 입력된다.
입력 모듈(510)은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셀룰러 또는 와이파이 등 무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모듈(510)에 입력된 영역 정보는 저장 모듈(520)로 전달된다. 입력 모듈(510)과 저장 모듈(52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저장 모듈(520)은 전달된 영역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 모듈(520)에는 연산된 영역 정보가 지역 및 시각에 따라 분류 및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모듈(520)에 저장된 영역 정보는 특정 시각, 특정 지역에서의 영역 정보임이 이해될 것이다.
저장 모듈(520)에 저장된 영역 정보는 출력 모듈(53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600)에 전달될 수 있다. 저장 모듈(520)과 출력 모듈(53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력 모듈(530)은 저장 모듈(520)에 저장된 영역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600)로 출력한다.
출력 모듈(530)은 단말기(6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셀룰러 또는 와이파이 등 무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출력 모듈(530)을 통해 단말기(600)에 전달되는 영역 정보는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 정보임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출력 모듈(530)을 통해 단말기(600)에 전달되는 영역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영역 정보를 단말기(600)를 통해 얻을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600)의 설명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단말기(600)를 포함한다.
단말기(600)는 연산된 영역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단말기(600)는 제어부(400) 및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셀룰러,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600)는 정보의 입력, 저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600)는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600)는 스마트 유모차(1)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단말기(600)는 스마트 유모차(1)에 탑재되어 별도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기 소유한 것일 수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 상황을 고려하면, 후자의 경우가 더 일반적임이 이해될 것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600)가 스마트 유모차(1)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말기(600)는 통신 모듈(610), 디스플레이 모듈(620) 및 스피커 모듈(63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610)은 제어부(400)가 연산한 영역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
통신 모듈(610)은 제어부(400) 및 데이터베이스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610)은 정보 송신 모듈(480) 및 출력 모듈(5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신 모듈(610)은 정보 송신 모듈(480) 및 출력 모듈(5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610)은 셀룰러,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듈(610)이 전달받은 영역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620) 및 스피커 모듈(630)로 전달된다. 통신 모듈(610)은 디스플레이 모듈(620) 및 스피커 모듈(6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전달받은,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620)에 표시된 영역 정보를 통해,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LCD, LE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단독으로, 또는 스피커 모듈(630)과 함께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피커 모듈(630)은 전달받은,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스피커 모듈(630)을 통해 출력된 영역 정보를 통해,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630)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피커 모듈(630)은 스피커(speaker)로 구비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제어 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를 운용하는 보호자는 스마트 유모차(1) 주변의 환경에 대한 정보(즉, 영역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마트 유모차(1)의 제어 방법은 센서부(300)가 카트부(20)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00), 제어부(400)가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 제어부(400)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300),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0) 및 단말기(600)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1) 센서부(300)가 카트부(20)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00)의 설명
센서부(300)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 즉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S100)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센서부(300)가 카트부(20)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문구는, 센서부(300)가 스마트 유모차(1)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같은 의미임이 이해될 것이다.
먼저, 위치 센서(310)가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S110). 즉, 위치 센서(31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영역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는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이 주행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활용된다.
다음으로, 공기 센서(320)가 상기 공간의 먼지 농도에 대한 공기 정보를 감지한다(S120). 공기 센서(32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영역의 공기 질에 대한 공기 정보를 감지한다.
또한, 기울기 센서(330), 고도 센서(340), 노면 센서(350) 및 진동 센서(360)는 상기 공간의 지형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S130).
구체적으로, 기울기 센서(330)는 상기 공간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며(S131), 고도 센서(340)는 상기 공간의 고도에 대한 고도 정보를 감지한다(S132).
노면 센서(350)는 상기 공간의 지면의 상태에 대한 노면 정보를 감지하며(S133), 진동 센서(360)는 상기 공간을 주행하는 스마트 유모차(1)의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를 감지한다(S134).
각 센서(310, 320, 330, 340, 350, 360)가 감지한 각 정보는 정보 수신 모듈(410)을 통해 제어부(400)에 전달된다.
(2) 제어부(400)가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의 설명
제어부(400)의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이 감지된 각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보 수신 모듈(410)은 센서부(300)가 감지한 각 정보를 전달받는다(S210).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은 위치 정보를, 공기 정보 수신 유닛(412)은 공기 정보를 전달받는다.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413)은 기울기 정보를, 고도 정보 수신 유닛(414)은 고도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노면 정보 수신 유닛(415)은 노면 정보를, 진동 정보 수신 유닛(416)은 진동 정보를 전달받는다.
정보 수신 모듈(410)이 전달받은 각 정보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에 전달된다. 이때, 위치 정보 수신 유닛(411)이 전달받은 위치 정보는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에도 전달된다.
주행 정보 연산 모듈(420)은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여부에 대한 주행 정보를 연산한다(S220). 상기 주행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가 사용자에 의해 주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연산된 주행 정보가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이 사용자에 의해 진행됨을 의미할 경우,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전달된 각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연산한다(S230).
즉, 영역 정보 연산 모듈(43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사용자에 의해 주행되고 있는 경우에 영역 정보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정지한 상태이거나, 차량 등에 탑재되어 이동되는 경우에는 영역 정보가 연산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 및 연산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대기 정보 연산 유닛(431)은 전달된 위치 정보 및 공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대기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지형 정보 연산 유닛(432)은 전달된 위치 정보, 기울기 정보, 고도 정보, 노면 정보 및 진동 정보 등을 이용하여 지형 정보를 연산한다.
더 나아가, 통합 정보 연산 유닛(433)은 연산된 대기 정보 및 지형 정보를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통합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대기 정보, 지형 정보 및 통합 정보가 영역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연산된 영역 정보는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 및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에 전달된다.
출력 정보 연산 모듈(460)은 연산된 영역 정보, 즉 대기 정보, 지형 정보 및 통합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 즉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한다(S240).
구체적으로,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461)은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한다. 또한,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462)은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한다.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는 정보 출력 모듈(470)로 전달된다.
(3) 제어부(400)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300)의 설명
제어부(400)의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이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고, 모터부 제어 모듈(450)이 연산된 회전 정보에 따라 모터부(230)를 제어하는 단계(S300)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에 전달된 영역 정보는, 지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부(230)의 회전에 대한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연산된 영역 정보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영역이 오르막길 또는 평지임을 의미할 경우,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메인 휠(210)이 주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부(230)를 제어하는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영역 정보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되는 영역이 내리막길임을 의미할 경우, 회전 정보 연산 모듈(440)은 메인 휠(210)이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부(230)를 제어하는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연산된 회전 정보는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 각각의 회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된 회전 정보는 모터부 제어 모듈(450)에 전달된다.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전달된 회전 정보에 따라 모터부(230)를 제어한다(S320). 모터부 제어 모듈(450)은 제1 모터(231) 및 제2 모터(232)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모터부(230)에 연결된 메인 휠(210) 또한 회전된다(S33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1)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주행시킬 수 있다.
(4)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0)의 설명
데이터베이스부(500)가 제어부(400)가 연산한 영역 정보를 전달받고 저장하는 단계(S400)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 모듈(510)은 제어부(400)의 정보 송신 모듈(480)로부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S410). 입력 모듈(510)과 정보 송신 모듈(48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저장 모듈(520)은 전달된 영역 정보를 저장한다(S420). 이때, 저장 모듈(520)에 저장되는 영역 정보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스마트 유모차(1)로부터 송신된 것이다. 또한, 저장 모듈(520)에 저장되는 영역 정보는 위치 및 시각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출력 모듈(530)은 저장된 영역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600)에 전달한다(S430). 단말기(600)에 전달되는 영역 정보는 위치 센서(310)가 감지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단말기(600)를 통해 입력한 임의의 위치에 대한 영역 정보 또한 출력 모듈(530)을 통해 단말기(6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 및 원하는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5) 단말기(600)가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의 설명
단말기(600)가 전달된 영역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S500)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단계는 제어부(400)에서 영역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S510) 및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영역 정보가 전달되는 단계(S520)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전달되는 단계(S510)를 설명한다.
통신 모듈(610)은 제어부(400)의 정보 송신 모듈(480)로부터 연산된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S511). 상기 영역 정보는 실시간으로 연산된 영역 정보임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영역 정보는 시각화 정보 및 청각화 정보의 형태를 모두 포함함이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S512).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영역 정보는 문자, 그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630)은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S513).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영역 정보는 문구, 소리의 세기 및 고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부(500)에 저장된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전달되는 단계(S520)를 설명한다.
통신 모듈(610)은 데이터베이스부(500)의 출력 모듈(530)로부터 저장된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다(S521). 상기 영역 정보는 스마트 유모차(1)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역 정보는 사용자가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입력한 위치 정보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정보는 시각화 정보 및 청각화 정보의 형태를 모두 포함함이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620)은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S512).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영역 정보는 문자, 그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630)은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된 영역 정보를 출력한다(S513).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영역 정보는 문구, 소리의 세기 및 고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1)가 현재 주행 중인 지역 또는 원하는 지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가 감지한 각 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600)에 출력되는 예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 및 그 제어 방법은,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지역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결과를 보호자에게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라 연산된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되는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20)에는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 중인 영역에 대한 지도가 표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 센서(32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연산된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역 정보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경로로 안내합니다."와 같은 문구 형태로 출력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330) 및 고도 센서(34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역 정보는 "오르막길에 진입 중입니다. 다른 추천 경로를 안내받으려면 "예"를 눌러 주세요."와 같은 문구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기(600)에는 "예"와 "아니오"가 표시된 선택 버튼 또한 함께 표시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330) 및 고도 센서(34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역 정보는 "내리막길에 진입 중입니다. 안전에 유의하세요."와 같은 문구 형태로 표시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330) 및 고도 센서(34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역 정보는 "언덕으로 진입 중입니다. 평지로 진행하시려면 "예"를 눌러 주세요."와 같은 문구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기(600)에는 "예"와 "아니오"가 표시된 선택 버튼 또한 함께 표시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노면 센서(35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역 정보는 "울퉁불퉁한 지면으로 진입 중입니다. 포장된 인도를 안내 받으려면 "예"를 눌러 주세요."와 같은 문구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기(600)에는 "예"와 "아니오"가 표시된 선택 버튼 또한 함께 표시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진동 센서(36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지형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단말기(600)에 출력된 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영역 정보는 "유모차가 심하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유아의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와 같은 문구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영역 정보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13 내지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영역 정보가 디스플레이 모듈(620)을 통해 시각화 정보로 출력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13 내지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영역 정보가 디스플레이 모듈(620)을 통해 시각화 정보 및 스피커 모듈(630)을 통해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되는 예가 도시된다.
도 13 내지 도 18의 (c)를 참조하면, 영역 정보가 디스플레이 모듈(620)을 통해 시각화 정보 및 스피커 모듈(630)을 통해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되고, 영역 정보가 출력됨을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단말기(600)가 진동되는 예가 도시된다.
따라서, 영역 정보가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영역 정보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를 조작하는 사용자(즉, 보호자)는 스마트 유모차(1)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주행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20: 카트(cart)부
30: 에어 커버부
100: 몸체부
110: 수직부
120: 베이스부
130: 핸들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시트 지지부
200: 휠(wheel)부
210: 메인 휠
211: 제1 메인 휠
212: 제2 메인 휠
213: 메인 휠 지지부
220: 서브 휠
221: 제1 서브 휠
222: 제2 서브 휠
223: 서브 휠 지지부
230: 모터부
231: 제1 모터
232: 제2 모터
300: 센서부
310: 위치 센서
320: 공기 센서
330: 기울기 센서
340: 고도 센서
350: 노면 센서
360: 진동 센서
400: 제어부
410: 정보 수신 모듈
411: 위치 정보 수신 유닛
412: 공기 정보 수신 유닛
413: 기울기 정보 수신 유닛
414: 고도 정보 수신 유닛
415: 노면 정보 수신 유닛
416: 진동 정보 수신 유닛
420: 주행 정보 연산 모듈
430: 영역 정보 연산 모듈
431: 대기 정보 연산 유닛
432: 지형 정보 연산 유닛
433: 통합 정보 연산 유닛
440: 회전 정보 연산 모듈
450: 모터부 제어 모듈
460: 출력 정보 연산 모듈
461: 시각화 정보 연산 유닛
462: 청각화 정보 연산 유닛
470: 정보 출력 모듈
480: 정보 송신 모듈
500: 데이터베이스부
510: 입력 모듈
520: 저장 모듈
530: 출력 모듈
600: 단말기
610: 통신 모듈
620: 디스플레이 모듈
630: 스피커 모듈

Claims (20)

  1.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기 카트부를 중심으로 하고, 소정의 면적을 갖는 기 설정된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
    상기 시트 지지부가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수직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먼지 농도에 대한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센서는,
    상기 베이스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공간의 고도에 대한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고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고도 센서는,
    상기 수직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노면에 대한 노면 정보를 감지하는 노면 센서; 및
    상기 카트부의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를 감지하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노면 센서 및 상기 진동 센서는,
    상기 수직부에 반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기 정보를 전달받는 정보 수신 모듈;
    전달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부의 주행 여부에 대한 주행 정보를 연산하는 주행 정보 연산 모듈; 및
    감지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영역 정보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는,
    하측에 위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메인 휠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대한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회전 정보 연산 모듈; 및
    연산된 상기 회전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부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
    상기 시트 지지부가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스마트 유모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외부의 단말기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 모듈;
    전달받은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전달받은 상기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2. (a) 센서부가 카트부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가 감지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d) 데이터베이스부가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e) 단말기가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위치 센서가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a2) 공기 센서가 상기 공간의 먼지 농도에 대한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3) 위치 센서가 상기 공간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4) 기울기 센서가 상기 공간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5) 고도 센서가 상기 공간의 고도에 대한 고도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a6) 노면 센서가 상기 공간의 지면에 대한 노면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a7) 진동 센서가 상기 공간을 주행하는 상기 카트부의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정보 수신 모듈이 감지된 상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b2) 주행 정보 연산 모듈이 상기 카트부의 주행 여부에 대한 주행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b2) 단계 이후에,
    (b3) 연산된 상기 주행 정보가 상기 카트부의 주행이 진행 중임을 의미하는 경우, 영역 정보 연산 모듈이 감지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부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b4) 출력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회전 정보 연산 모듈이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부의 회전에 대한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c2) 모터부 제어 모듈이 연산된 상기 회전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c3)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메인 휠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입력 모듈이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및
    (d2) 저장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통신 모듈이 상기 제어부로부터 연산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e2)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e3) 스피커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4) 통신 모듈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영역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e5)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및
    (e6) 스피커 모듈이 전달된 상기 영역 정보를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의 제어 방법.
KR1020200033390A 2020-03-18 2020-03-18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17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90A KR20210117053A (ko) 2020-03-18 2020-03-18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390A KR20210117053A (ko) 2020-03-18 2020-03-18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053A true KR20210117053A (ko) 2021-09-28

Family

ID=7792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390A KR20210117053A (ko) 2020-03-18 2020-03-18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70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6474A1 (en) * 2021-12-29 2023-07-06 Wonderland Switzerland Ag Power assist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516A (ko) 2011-09-13 2014-07-15 톰톰 폴스카 에스피 제트.오.오. 루트 평탄화
KR101559026B1 (ko) 2015-07-27 2015-10-08 주식회사 쁘레베베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유아 상태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516A (ko) 2011-09-13 2014-07-15 톰톰 폴스카 에스피 제트.오.오. 루트 평탄화
KR101559026B1 (ko) 2015-07-27 2015-10-08 주식회사 쁘레베베 유모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유아 상태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6474A1 (en) * 2021-12-29 2023-07-06 Wonderland Switzerland Ag Power assist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51742U (zh) 压控电动载具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126139B2 (ja) 移動補助ロボット
US20170190335A1 (en) Vehicle Comprising Autonomous Steering Column System
KR101497096B1 (ko) 시각장애인용 쇼핑 도우미 로봇
KR101457257B1 (ko) 계단을 이동할 수 있는 운송 시스템.
KR20130107684A (ko) 셀프 밸런싱 전동장치가 구비된 백팩형 가방
CN106553728A (zh) 自平衡式运输车辆
CN109641535A (zh) 运输设备存放和充电
US10913476B1 (en) Smart shopping cart
US10919555B1 (en) Automated robotic shopping cart
KR20210117053A (ko)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37778A1 (en) Autonomous vehicle
CN107878651A (zh) 折叠式六轮电动多用车
US10744396B2 (en) Configurable transportation structure
WO2021178425A1 (en) Hybrid wheelchair
US11492030B2 (en) Mobility apparatus
KR101979846B1 (ko) 지능형 라인 트레이싱 이동 시스템 및 워킹로봇
US8939455B1 (en) Ride-on vehicle and game sea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KR20210117050A (ko) 유아용 시트부 및 그 제어 방법
JP6306769B2 (ja) 移動補助ロボット
CN214340611U (zh) 智能行李箱
US20210300451A1 (en) Car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2256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US20220266105A1 (en) Wheeled personal robotic omni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