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447A -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 Google Patents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447A
KR20210107447A KR1020200022460A KR20200022460A KR20210107447A KR 20210107447 A KR20210107447 A KR 20210107447A KR 1020200022460 A KR1020200022460 A KR 1020200022460A KR 20200022460 A KR20200022460 A KR 20200022460A KR 20210107447 A KR20210107447 A KR 20210107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control unit
main wheel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울
원효진
이민재
서경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447A/ko
Publication of KR2021010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05Safety means for traffic, e.g. lights, reflectors, mirror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는 회전 가능한 메인 휠에 배치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감지된 조도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부는 제어부가 연산한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는 메인 휠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중인 메인 휠 주변의 환경이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Cart unit and smart strol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안전한 주행이 가능한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아 또는 유아가 안착되어, 보호자에 의해 주행될 수 있는 도구를 가리킨다.
유모차는 크게 유아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와, 유모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바퀴 등이 구비된 카트부를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자는, 유아를 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카트부를 가압하거나 당김으로써 유모차를 주행시킬 수 있다.
유모차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유모차는, 실외에서 주행되는 시간이 주간임을 전제한다. 이는, 전통 사회에서는 부모 중 한 명은 생업에 종사하고, 다른 한 명이 육아를 전담함이 일반적이었음에 기인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사회 구조의 변화로 인해 부모 모두가 생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유모차가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실외에서 주행되는 경우 또한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유모차는 상술한 안착부 및 카트부 외에 별도의 조명 수단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유모차가 어두운 환경에서 주행 중인 경우, 보호자 및 안착된 유아는 유모차 주변의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예상 주행 경로에 불측의 장애물 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렵다. 더 나아가, 식별 불가능한 환경에 의해 유아가 공포감 등을 느끼게 되어, 유아의 심리적 안정감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47344호는 유모차용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의 손잡이나 보호가이드를 감싸 덮도록 구성되는 보호 덮개에 조명 부재를 구비하여, 타인이 주행 중인 유모차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구조의 유모차용 조명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용 조명 장치는, 외부의 타인이 유모차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은 별론, 유모차를 작동시키는 보호자가 유모차 외부의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술한 유형의 유모차용 조명 장치는, 외부에서 유모차를 인식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할 뿐, 유모차가 외부의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0-0032478호는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의 전방 측에 조명 장치를 구비하여, 유모차가 주행 중인 방향의 환경을 비출 수 있는 구조의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는 유모차에 별도의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전동 유모차는, 조명 장치가 구비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은 유모차의 주행 방식으로 무한궤도 방식을 채택한다.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은 용이할지언정, 방향 전환시 해당 방향의 환경을 식별하기 위한 방안은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47344호 (2018.04.10.)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0-0032478호 (2010.03.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주행 중인 주변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변 환경에 빛을 발산하기 위한 부재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되더라도, 발광 중인 빛의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전 중인 바퀴 주변의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인자에 근거하여 상기 부재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의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wheel);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며, 환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 신호, 감지된 조도 정보 및 감지된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카트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메인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메인 휠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이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각 반대 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발광부는, 발산된 빛이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발광부가 발산하는 빛의 소정의 각도는 4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유닛; 상기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조도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 및 상기 발광 제어 유닛 및 외부의 단말기과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발광 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입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며, 환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카트부의 외측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 신호, 감지된 조도 정보 및 감지된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메인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메인 휠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이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각 반대 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발광부는, 발산된 빛이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발광부가 발산하는 빛의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는, 상기 수직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 지지부를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제어부의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되어,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유닛; 상기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조도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카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 휠에는 발광부가 위치된다. 발광부는 배터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광부는 메인 휠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어, 카트부의 외측을 향해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인 휠에 위치되는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 중인 주변의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는 메인 휠에 구비되어, 메인 휠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는 메인 휠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 원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가 배치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주행 중인 유모차의 주변 환경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가 배치될 공간이 과다하게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는 메인 휠과 같은 중심축을 공유하고, 메인 휠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발광부는 메인 휠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광량의 빛을 일정한 각도로 발산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유모차가 주행됨에 따라 메인 휠이 회전되더라도, 회전 각도에 따라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의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는 메인 휠의 중심축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메인 휠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에서 발산된 빛은 메인 휠의 방사상 외측을 향해 진행된다. 이에 따라, 회전 중인 메인 휠 주변의 환경이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는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는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는 외부의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발광부를 제어하여 빛이 발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다양한 인자에 근거하여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연산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광부의 발광, 소광 및 점멸 여부, 발광될 빛의 조도, 색상, 명도, 채도 등 다양한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제어되어, 다양한 형태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의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환경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빛이 발광부에서 발산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서 유아용 시트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를 도시하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브레이크부가 누름 조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브레이크부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메인 휠의 제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크래들부 또는 독자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 신호, 전력 등이 전달될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배터리(미도시)에서 공급된 전력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는 사용자가 핸들부(230)를 통해 인가하는 힘에 의해, 휠부(300)가 회전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및 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의 전방 측 및 하측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쿠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버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물리적, 정전기적 인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에는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2) 카트부(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행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휠부(300)에 의해 달성된다.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부(2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트부(2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핸들부(23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LED(미도시) 등이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20)는 몸체부(200), 휠부(300), 제어부(400) 및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휠부(300), 제어부(400) 및 제동부(5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몸체부(200)는 카트부(20)의 골격을 형성한다. 몸체부(200)는 카트부(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2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2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2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수직부(210), 베이스부(220), 핸들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시트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수직부(210)는 몸체부(200) 중 상하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수직부(21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 및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210)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210)는 보호자가 핸들부(230)를 파지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210)는 보호자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수직부(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21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21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부(21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지면을 향하는 수직부(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베이스부(2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210)는 베이스부(220)를 향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면에 반대되는 수직부(2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핸들부(23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230)는 수직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230)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가장 용이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와 핸들부(23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210)의 일 위치에는, 시트 지지부(250)와 연결되는 승강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관통 결합된다.
승강부는 수직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부(2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핸들부(2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승강부는 수직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카트부(20)의 하측의 수평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부(220)는 수직부(210)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220)에 가방 등의 소품들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20)는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220)의 형상은 수직부(210)와 결합되고, 휠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22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수직부(210)를 향하는 베이스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측에는 수직부(210)가 결합된다.
수직부(210)에 반대되는 베이스부(2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는 메인 휠 지지부(313)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22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는 서브 휠 지지부(3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220)의 폭 방향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발광부(330)가 구비된다. 발광부(330)는 LED 램프 등으로 구비되어,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상태 또는 카트부(20)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핸들부(230)는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23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카트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핸들부(230)는 수직부(2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230)는 베이스부(220)에 반대되는 수직부(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핸들부(230)는 수직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장에 맞춰 핸들부(23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230)를 수직부(210)의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230)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부(240)가 위치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및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시각화 정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40)는 UI(User Interface) 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패널, 누름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LED 램프, LED 패널, LCD 램프 및 LCD 패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의 각 센서 유닛(410, 420)을 통해 감지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의 발광 제어 유닛(430)을 통해 발광부(330)가 제어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어 신호 및 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지지부(25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25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지지부(2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미도시)가 공급하는 전력은 시트 지지부(25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핸들부(230)에 반대되는 수직부(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2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인지하며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수직부(210)와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는 수직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지지부(250) 또한 수직부(210)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25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25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면(sphere surface)의 일부로 형성된다.
이는, 시트 지지부(250)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시트 지지부(250)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부(300) 및 제어부(4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휠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휠부(300)는 회전 가능하게 카트부(20)에 구비된다. 휠부(30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20)가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300)는 회전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300)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30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310)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32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300)는 메인 휠(310), 서브 휠(320) 및 발광부(330)를 포함한다.
메인 휠(310)은 베이스부(220)의 하측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310)은 카트부(2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휠(310)은 모터 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가 핸들부(2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주행 중인 상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310)이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310)이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트부(20)가 임의 주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휠(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31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31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312)을 포함한다.
메인 휠(310)은 제동부(50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를 작동시키면, 메인 휠(3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동 패드(510)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에 의해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휠(310)은 제1 메인 휠(311), 제2 메인 휠(312), 메인 휠 지지부(313) 및 메인 휠 회전축(314)을 포함한다.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은 베이스부(2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중 어느 하나는 후술될 제동부(5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동부(500)를 조작할 경우, 카트부(20)의 주행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휠(311)의 좌측 면 및 제2 메인 휠(312)의 우측 면에는 상기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사이에는 제동부(500)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미도시)은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의 각 면 중 제동부(500)를 향하는 각 면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홈(미도시)에는 제동 축(5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상기 삽입 및 인출은 제동 패드(510) 및 구속 부재(520)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홈(미도시)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홈(미도시)은 각 메인 휠(311, 312)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미도시)이 각 메인 휠(311, 312)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는, 후술될 제동 축(530)이 각 메인 휠(311, 312)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동 패드(510) 및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어 제동 축(530)의 단부를 가압하면,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 또는 제2 메인 휠(312)에 형성된 상기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인 휠(311) 또는 제2 메인 휠(31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은 각각 메인 휠 지지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는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31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는 베이스부(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휠(310)은 임의로 주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메인 휠 지지부(313)는 베이스부(220)의 일 구성 요소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 휠 지지부(313)는 각 메인 휠(311, 31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메인 휠(3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메인 휠(3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제동부(500)의 일부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휠 지지부(313)의 상기 공간에는 제동 회전축(511), 구속 부재(520) 및 제동 축(530)이 실장될 수 있다.
메인 휠 회전축(314)은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의 회전 중심이다(도 13 참조). 메인 휠 회전축(314)은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휠 회전축(314)이 회전되면,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휠 회전축(314)은 복수 개 구비되어,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은 서로 다른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메인 휠 회전축(314)은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서브 휠(320)은 베이스부(220)의 하측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320)은 카트부(20)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서브 휠(3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32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휠(32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서브 휠(3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휠(321) 및 제2 서브 휠(322)은 베이스부(2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휠(321, 322)이 이격되는 거리는 각 메인 휠(311, 312)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서브 휠(321) 및 제2 서브 휠(322)은 각각 서브 휠 지지부(3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는 제1 서브 휠(321) 및 제2 서브 휠(3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32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는 베이스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브 휠 지지부(323)의 회전 방향을 조정하여 카트부(20)가 주행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휠 지지부(323)는 각 서브 휠(321, 32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서브 휠(3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서브 휠(3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광부(3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발광된다. 발광부(330)에서 발광된 빛은 카트부(20)의 양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비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환경의 조도가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1)의 주변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과 외주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과 동축의 중심을 갖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과 동축인 환형(ring shape)이다.
발광부(330)는 제어 신호 또는 전력의 인가에 따라 발광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는 복수 개의 LED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LED 램프는, 발광부(33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또는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30)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된다. 발광부(330)가 발광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은 배터리(미도시)에서 전달될 수 있다.
발광부(33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부(330)는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에 따라 발광되거나 소광될 수 있다.
발광부(330)는 시각화 정보를 임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30)는 색상, 명도, 채도 등이 다양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전달받은 정보 및 발광부(330)를 제어한 결과에 대한 정보는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보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RAM, ROM, Micro SD, SS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휠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휠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400)가 발광부(330)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메인 휠(310)의 회전과 관련된 사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가 전달받은 정보 및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정보는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부(400)의 각 유닛(410, 420, 430, 440)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정보가 서로 다른 유닛(410, 420, 430, 44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조도 센서 유닛(410), 위치 센서 유닛(420), 발광 제어 유닛(430) 및 입출력 유닛(440)을 포함한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의 조도(luminous intensity)를 감지한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빛의 세기 또는 밝기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광전도 효과를 이용하여 빛의 세기 또는 밝기 등을 감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메인 휠(310)에 배치되는 발광부(3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도 센서 유닛(410)은 발광부(330)에 인접한 환경의 조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메인 휠(310)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다.
조도 센서 유닛(410)이 감지한 조도 정보는 발광 제어 유닛(430)에 전달될 수 있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발광 제어 유닛(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스마트 유모차(1)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특정 물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센서 유닛(420)은 GPS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스마트 유모차(1)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센서 유닛(420)은 디스플레이부(240)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의 상측에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위치 센서 유닛(420)이 감지한 위치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위치 센서 유닛(420)이 감지한 위치 정보는 발광 제어 유닛(430)에 전달될 수 있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발광 제어 유닛(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발광부(330)의 발광 여부 및 형태 등을 제어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디스플레이부(24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각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각 센서 유닛(410, 4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발광 제어 유닛(430)이 전달받은 제어 신호, 각 정보 및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입출력 유닛(440)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과 입출력 유닛(44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입력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 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발광부(330)의 점등, 소등 또는 점멸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 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발광부(330)가 발산할 빛의 색상, 명도, 채도, 세기, 시간 등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상응하도록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조도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와 비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도 정보 및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는 특정한 값을 갖는 수치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는, 발광부(330)가 발광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유모차(1) 주변의 식별이 어려운 상태에서의 조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는, 발광부(330)가 발광되지 않더라도 스마트 유모차(1) 주변 환경의 식별이 가능한 최소한의 조도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된 조도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 미만일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감지된 조도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 이상일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정보 및 기준 위치 정보는 3차원의 좌표값을 갖는 수치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주변 환경의 조도가 다른 환경의 조도에 비해 낮은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발광부(330)가 발광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유모차(1) 주변의 환경의 식별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숲, 야산 또는 바닷가 등에 대한 위치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감지된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에 해당할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감지된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이때,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산될 빛의 조도, 색상, 명도 및 채도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에는, 발산될 빛의 점멸 여부, 점멸 간격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30)는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광되거나 소광될 수 있다.
입출력 유닛(440)은 각 센서 유닛(410, 420)이 감지한 조도 정보 및 위치 정보,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를 전달받는다. 입출력 유닛(440)은 각 센서 유닛(410, 420) 및 발광 제어 유닛(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 유닛(440)은 전달받은 각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입출력 유닛(440)은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출력 유닛(440)은 외부의 단말기(E.D)와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 유닛(440)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형태로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입출력 유닛(440)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 유닛(440)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된 각 정보는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감지된 각 정보 및 감지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제어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의 설명
도 7,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제동부(500)는 휠부(300)의 회전을 구속하여, 카트부(20)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동부(500)는 메인 휠(310)의 회전을 제한하여, 카트부(20)가 이동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 유모차(1)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손은 핸들부(230)를 파지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제동부(500)는 휠부(3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동부(50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제동 패드(510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동부(500)는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오른발 또는 왼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부(50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3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는, 오른손잡이인 사람은 일반적으로 오른발을 더 용이하게 활용함에 기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동부(50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31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동부(500)가 제1 메인 휠(311)에 인접하게 위치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제동부(500)는 디스플레이부(24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동부(500)가 조작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각화 정보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될 경우(즉,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되었으며, 메인 휠(310)의 회전이 불가하다는 내용의 시각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Break On" 등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경우(즉,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되지 않았으며, 메인 휠(310)의 회전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시각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Break Off" 등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부(500)는 제동 패드(510), 구속 부재(520) 및 제동 축(530)을 포함한다.
제동 패드(51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누름 조작하는 부분이다. 제동 패드(510)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되면, 후술될 구속 부재(520) 및 제동 축(530)에 의해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된다.
즉, 제동 패드(510)는 카트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위치로 기능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회전축(314)에 대해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회전축(314)의 후방의 상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상기 배치 방식에 의해,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회전축(314)과 사용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31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 패드(510)는 제1 메인 휠(31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에서 메인 휠 지지부(313)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동 패드(5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후방 측에 노출된다.
제동 패드(510)가 노출된 상기 후방 부분은,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동부(500)를 작동시켜 메인 휠(310)의 회전을 구속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2 부분을 가압하여 제동 패드(510)를 회전(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시킬 수 있다.
또한, 제동부(500)의 작동 상태를 해제하여 메인 휠(31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1 부분을 가압하여 제동 패드(510)를 회전(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시킬 수 있다.
제동 패드(510)의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에는 제동 회전축(511)이 관통 결합된다.
제동 회전축(511)은 제동 패드(510)가 회전되는 중심축으로 기능된다. 제동 패드(510)의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이 가압되면, 제동 패드(510)는 제동 회전축(5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동 회전축(511)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동 회전축(511)은 제동 패드(510)의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제동 회전축(511)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동 회전축(51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동 회전축(511)의 길이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메인 휠(3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회전축(511)은 메인 휠(31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동 패드(510)의 상기 제2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구속 부재(520)가 접촉된다.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가 가압되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제동 축(53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동 축(530)이 메인 휠(310)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메인 휠(310)이 이동되지 않는다.
구속 부재(52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의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위치된다.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에 구비되는 돌출부와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에 비해 메인 휠 회전축(314)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와 메인 휠 회전축(314) 사이에 위치된다.
구속 부재(520)는 메인 휠(31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부재(520)는 제1 메인 휠(31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에서 메인 휠 지지부(313)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면, 메인 휠 지지부(313)를 향하는 제동 축(530)의 일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구속 부재(520)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구속 부재(520)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구속 부재(520)에 구비되는 구속 회전축(521)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속 부재(520)는 구속 회전축(521)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제동 패드(510)에 접촉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제동 패드(510)가 회전되기 전 제동 패드(510)와 접촉될 수 있다(도 13의 (a) 참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속 회전축(521)은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는 중심축으로 기능된다. 구속 부재(520)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제동 패드(510)에 의해 가압되면, 구속 부재(520)는 구속 회전축(5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속 회전축(521)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구속 회전축(521)은 구속 부재(520)의 상기 제1 부분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구속 회전축(521)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속 회전축(52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속 회전축(521)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메인 휠(3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회전축(512)은 메인 휠(31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동 회전축(512)은 메인 휠 회전축(314)과 제동 회전축(5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 회전축(512)은 메인 휠 회전축(314)을 중심으로 제동 회전축(511)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제동 축(530)은 제동 패드(510) 및 구속 부재(520)가 회전됨에 따라 메인 휠(31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메인 휠(310)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동 축(53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 축(53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일 방향이 제동 회전축(511) 및 구속 회전축(521)이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제동 축(530)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또한, 제동 축(530)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서,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1 메인 휠(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 또는 상기 홈(미도시)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의 중심에서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제동 축(530)과 제1 메인 휠(311)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과 제1 메인 휠(311)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구속 부재(5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동 축(530)은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속 부재(520)와 접촉되지 않되, 구속 부재(520)가 회전된 경우 구속 부재(520)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동 축(530)은 구속 부재(520)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된다.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1 메인 휠(3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된다.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동 축(530)은 상기 홈(미도시)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휠(311)에 반대되는 제동 축(5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와 제1 메인 휠(311) 사이의 거리는 구속 부재(520)와 제1 메인 휠(311)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동 축(530)의 부분 중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구속 부재(520)와 제1 메인 휠(311)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제1 메인 휠(310)에 반대되는 방향의 제동 축(530)의 단부,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모따기(taper) 가공될 수 있다. 즉, 제동 축(530)의 상기 단부는, 제1 메인 휠(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의 직경이 감소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동 축(530)의 상기 단부는 제1 메인 휠(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외주면이 제동 축(530)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동 축(530)의 상기 형상에 의해,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어 제동 축(530)과 접촉되어 제동 축(530)을 가압하면,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지지 부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는 제동 축(53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구속 부재(520)의 회전에 상응하게,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의 상기 홈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제동 축(530)을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의 일측(즉, 좌측) 단부는 상기 홈(미도시)을 향하는 제동 축(530)의 일측(즉, 우측) 단부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의 타측(즉, 우측) 단부는 상기 홈(미도시)을 감싸는 일 면(즉, 우측 면)에 접촉된다.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압축되지 않는다.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어 제동 축(530)이 상기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가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구속 부재(520)가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즉, 구속 부재(520)와 제동 축(530)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저장한 탄성력을 제동 축(5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동 축(530)은 상기 홈(미도시)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구속 부재(520)와 접촉되기 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제동부(500)가 동작되어 카트부(20)의 주행이 제한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발광부(33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의 조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따라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에 따라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어, 주행의 안정성 및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는 상태가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인자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감지된 조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한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한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입력된 제어 신호는 입출력 유닛(440)을 통해 발광 제어 유닛(430)에 전달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발광 제어 유닛(430)은 조도 센서 유닛(410) 또는 위치 센서 유닛(420)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조도 정보와 기준 조도 정보의 비교 결과 또는 감지된 위치 정보와 기준 위치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발광부(330)의 발광 여부, 발광부(330)의 발광 형태 및 발광부(330)에서 발산될 빛의 조도, 색상, 명도, 채도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발광부(3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발광부(330)에서는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빛이 발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외측에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발광부(330)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도록 발산될 수 있다.
즉,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메인 휠(310)의 중심에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발산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메인 휠(310)의 중심 축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메인 휠(310)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으로 발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일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보다 넓은 공간을 향해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 중 하측을 향해 발산된 빛은 메인 휠(310)의 축 방향의 외측을 향해 조사된다(도 9 및 도 10의 음영 부분 참조). 이에 따라, 메인 휠(310) 주변의 지면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정지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제동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메인 휠(31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카트부(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이 제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후방 측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부(500)는 제1 메인 휠(311)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동부(500)의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른발을 이용하여 제동부(500)를 용이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제동 패드(510)의 나머지 부분 및 제동부(500)의 기타 구성 요소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공간 및 메인 휠(310)에 수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제동 패드(510)가 회전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2의 (a) 및 도 13의 (a)는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제동 패드(510)의 제1 부분은 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2 부분은 후방의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둔각을 이루며 연속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휠(310)은 제동 축(530)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카트부(20)가 주행될 수 있다.
도 12의 (b) 및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동 패드(510)의 제2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동 패드(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된다. 따라서, 메인 휠(310)의 회전은 제동 축(530)에 의해 구속되어, 카트부(20)가 주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에서 발을 떼더라도, 제동 패드(510)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동 패드(510)는 틸팅(tilting)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된 제동 패드(51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하여 카트부(20)의 주행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고, 카트부(20)의 임의 주행이 방지되어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20: 카트(cart)부
30: 에어 커버부
200: 몸체부
210: 수직부
220: 베이스부
230: 핸들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시트 지지부
300: 휠(wheel)부
310: 메인 휠
311: 제1 메인 휠
312: 제2 메인 휠
313: 메인 휠 지지부
314: 메인 휠 회전축
320: 서브 휠
321: 제1 서브 휠
322: 제2 서브 휠
323: 서브 휠 지지부
330: 발광부
331: 제1 발광부
332: 제2 발광부
400: 제어부
410: 조도 센서 유닛
420: 위치 센서 유닛
430: 발광 제어 유닛
440: 입출력 유닛
500: 제동부
510: 제동 패드
511: 제동 회전축
520: 구속 부재
521: 구속 회전축
530: 제동 축
E.D(External Device): 외부의 단말기
L.E(Light Emitted): 발산된 빛

Claims (1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wheel);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며, 환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 신호, 감지된 조도 정보 및 감지된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카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메인 휠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이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각 반대 면에 각각 위치되는,
    카트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산된 빛이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빛을 발산하는,
    카트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인,
    카트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유닛;
    상기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조도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카트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카트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카트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 및
    상기 발광 제어 유닛 및 외부의 단말기과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발광 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입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카트부.
  9.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며, 환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카트부의 외측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제어 신호, 감지된 조도 정보 및 감지된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스마트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메인 휠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이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각 반대 면에 각각 위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발산된 빛이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빛을 발산하는,
    스마트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인,
    스마트 유모차.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는,
    상기 수직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 지지부를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제어부의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의 상측 단부에 위치되어, 누름 조작 또는 터치 조작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유닛;
    상기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조도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스마트 유모차.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유닛;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발광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제어 유닛은,
    감지된 상기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0200022460A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07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0A KR20210107447A (ko)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0A KR20210107447A (ko)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47A true KR20210107447A (ko) 2021-09-01

Family

ID=7778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60A KR20210107447A (ko)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44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478A (ko) 2008-09-18 2010-03-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
KR101847344B1 (ko) 2017-06-08 2018-04-10 황인철 유모차용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478A (ko) 2008-09-18 2010-03-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 겸용 전동 유모차
KR101847344B1 (ko) 2017-06-08 2018-04-10 황인철 유모차용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8659B2 (en) Status light assembly for patient handling equipment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28985B1 (en) Seat assembly for a patient transport device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KR20130107684A (ko) 셀프 밸런싱 전동장치가 구비된 백팩형 가방
KR102277565B1 (ko)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JP7356817B2 (ja) 車両表示装置
KR20120062554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WO2021178425A1 (en) Hybrid wheelchair
KR102278027B1 (ko)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05450A (ko) 인력거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력거
KR20210107447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07448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57225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20140137588A (ko) 전방향 보행보조 로봇
US7080710B2 (en) Wheelchair control sensor using movement of shoulders and wheelchair driv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10117050A (ko) 유아용 시트부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900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17053A (ko)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5828B1 (ko) 사용자의 안전한 착석을 위한 패턴 발생기를 구비한 휠체어
KR20210107445A (ko) 스마트 유모차
KR101694900B1 (ko) 보행 재활운동을 보조하는 스마트 전동 휠체어
KR20210089011A (ko)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KR2021012256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