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554A -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554A
KR20120062554A KR1020100123856A KR20100123856A KR20120062554A KR 20120062554 A KR20120062554 A KR 20120062554A KR 1020100123856 A KR1020100123856 A KR 1020100123856A KR 20100123856 A KR20100123856 A KR 20100123856A KR 20120062554 A KR20120062554 A KR 2012006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oller
guardian
fram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0012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2554A/ko
Publication of KR2012006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7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combined with means for braking th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요약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부에 의해 유모차의 현 상태를 감지하게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에 유모차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동 스토퍼가 장착된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유모차 및; 상기 손잡이에 결합된 손잡이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 장착부 및, 상기 유모차에 부착된 경보장치부로 구성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유모차의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유모차의 이동을 강제로 구속하면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STROLLER WITH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부에 의해 유모차의 현 상태를 감지하게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에 유모차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동 스토퍼가 장착된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보행기 등과 함께 3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아와 함께 외출을 할 경우, 유모차는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는 하부에 바퀴가 장착된 의자식 탑승부를 이용하여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성인의 몸에 둘러메어 유아를 이동시키는 아기 배낭과 주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탑승부에 바퀴를 장착하여 유아의 자력으로 이동하게 하는 보행기와는 달리 동행자의 수고를 경감시키는 면에서 유용한 이동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써, 유아의 안전과 함께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유모차는 돌발적인 상황 또는 보호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유모차가 보호자의 지배 관리 상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어, 보호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모차가 보호자의 지배 관리 상태를 벗어나 이동하면, 유모차의 이동을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게함으로써, 유모차의 위험 상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유모차 및; 상기 손잡이에 결합된 손잡이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 장착부 및, 상기 유모차에 부착된 경보장치부로 구성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장착부는, 상기 손잡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와; 보호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와; 상기 유모차의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 및; 상기 터치 센서부와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와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의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장착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통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기울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 잔량 체크부 및; 상기 제어부, 기울기 센서부, 제동부 및 배터리 잔량 체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장치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와 통신하는 제3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3 무선통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제3 무선통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경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를 상기 바퀴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장착부, 프레임 장착부 및, 경보장치부는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의 손잡이 터치가 인식되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동부의 동작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의 손잡이 터치가 인식되지 않으나, 보호자가 적외선 센서 감지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기울기 센서부로부터 신호에 의해 유모차의 기울어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동부의 동작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의 손잡이 터치가 인식되지 않으며, 보호자가 적외선 센서 감지범위 내에 있지 않으며, 상기 기울기 센서부로부터 신호에 의해 유모차의 기울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제동부를 동작시켜 유모차를 강제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부를 작동시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체크부를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이 한계전압 이하인지를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이 한계전압 이하라면, 제동부를 동작시켜 유모차를 강제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부를 작동시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장치부는, 보호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발광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경적부를 작동시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는 보호자가 첫 번째 터치하는 경우 동작되며, 두 번째 터치하는 경우 동작을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유모차의 상태와 무관하게 보호자가 임의로 상기 제동부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유모차의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유모차의 이동을 강제로 구속하면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요부인 손잡이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인 프레임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프레임 장착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프레임 장착부의 내부 구성도.
도 7은 도 4의 프레임 장착부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인 손잡이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요부인 프레임 장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프레임 장착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프레임 장착부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4의 프레임 장착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의 안전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200)를 구비한 유모차(100)는 프레임(102), 수용부(104), 손잡이(106), 바퀴(108), 손잡이 장착부(210), 프레임 장착부(220) 및 경보장치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2)은 유모차(100)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2)의 상측은 수용부(104)를 지지하며, 그 하측에는 바퀴(10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4)는 탑승자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으로, 천(fabric)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수용부(104)는 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며, 탑승자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쿠션감을 제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2)의 하측에는 바퀴(108)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102)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데, 상기 바퀴(108)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2)의 전방에 결합된 2개의 바퀴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모차(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2)의 상측에는 손잡이(106)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손잡이(106)는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밀기 위해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는 터치 센서부(211), 적외선 센서부(212),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 및 제1 무선통신부(214)로 이루어지며 손잡이(106)에 장착되어 지는데,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탈착부는 그 하측에 장착홀(310)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홀(310)은 손잡이 장착부(210)의 하측을 좌우로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장착홀(310)에 손잡이(106)를 삽입함으로써, 손잡이 장착부(210)의 손잡이(106)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는 상부케이스(210-1)와 하부케이스(210-2)의 분리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케이스(210-1)의 하측과 하부케이스(210-2)의 상측에는 장착홀(310)의 형성을 위한 홈구조(310a, 310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는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는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를 조작하여 후술되어질 제동부(224)의 동작 여부를 보호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는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근접센서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의 상면의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를 조작하여 간편하게 제동부(224)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는 상기 터치 센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부(211)는 적외선 센서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기 별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적외선 센서부(212)는 손잡이 장착부(210)의 일면에 결합되는데, 보호자를 향한 일면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적외선 센서부(212)의 작동에 의해 보호자가 상기 적외선 센서부(212)의 감지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터치 센서부(211)는 유모차(100)의 손잡이(106)를 감지하여 보호자가 손잡이(106)를 터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인체의 접촉으로 생성되는 캐패시턴스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터치 센서부(211) 및 상기 적외선 센서부(212)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1 무선통신부(214)를 통해, 후술되어질 프레임 장착부(220)의 제2 무선통신부(221)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장착부(220)는 제2 무선통신부(221), 제어부(222), 기울기 센서부(223), 제동부(224) 및 전원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장착부(220)의 제2 무선통신부(221)는 상술한 손잡이 장착부(210)의 제1 무선통신부(214)와 통신을 통해,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에서 감지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무선통신부(221), 제어부(222), 기울기 센서부(223), 제동부(224) 및 전원부(225)는 하우징(420)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장착부(220)의 하우징(420)은 탈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410)는 유모차(100)의 바퀴(108)와 인접한 프레임(102)을 둘러쌈으로써(취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장착부(220)는 프레임(102)에 설치시킬 수 있는데, 상기 탈착부(410)는 상부홀더(410a)와 하부홀더(41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형상은 유모차(100)의 바퀴(108)와 인접한 프레임(102)의 형상에 대응되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25)는 상기 안전장치(2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225)는 예를 들어 휴대용 건전지나 배터리와 같은 전력저장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224)는 구동모터(610), 감속기어(612), 리드스크류(614), 이동부(616) 및 마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610)의 회전은 상기 감속기어(612)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614)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14)와 상기 이동부(616)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616)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420)에 상기 이동부(616)가 삽입되는 홈도 이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14)의 회전운동은 이동부(616)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616)는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616)의 말단에는 마찰부(4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부(430)는 이동부(616)에 의해 유모차(100)의 바퀴(108)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바퀴(108)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유모차(1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200)의 동작을 참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200)의 동작은 먼저, 터치 센서부(21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가 유모차(100)의 손잡이(106)를 쥐고 있는 지의 여부를 제어부(222)가 인식할 수 있다(S810).
그 후, 제어부(222)는 보호자의 손잡이(106) 터치가 인식되면, 보호자가 유모차(100)를 지배 관리하고 있는 상황, 즉,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동부(224)의 동작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S820).
만일, 보호자의 손잡이(106) 터치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적외선 센서부(212)가 작동하여, 보호자가 적외선 센서부(212)의 감지범위 내에 있는 지를 감지한다(S830)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222)는 기울기 센서부(223)로부터 유모차(100)의 기울어짐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한다(S840).
상기 제어부(222)가 보호자의 손잡이(106)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보호자가 상기 적외선 센서부(212)의 감지범위 내에 있으며, 유모차(100)가 기울어져 있지 않으면, 보호자가 잠시 유모차(100)에서 손을 뗀 상태라고 판단하며,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동부(224)의 동작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S820)
상기 제어부(222)가 보호자의 손잡이(106)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보호자가 상기 적외선 센서부(212)의 감지범위 내에 있지 않으며, 유모차(100)가 기울어져 있으면, 이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인식하고, 제동부(224)를 동작시킨다(S850).
상기 제동부(224)가 동작되면, 상기 제동부(224)는 바퀴(108)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유모차(100)를 정지시키거나 정지 상태를 유지시켜, 유모차(100)의 안전을 담보함과 동시에, 경보장치부(230)의 발광부(232)와 경적부(233)를 작동시켜(S860), 발광 및 경적으로 위험 상황임을 보호자에게 알려줘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무선통신부(221)를 통해 신호가 상기 경보장치부(230)의 제3 무선통신부(231)로 통신되고, 이 통신에 의해 상기 발광부(232)와 상기 경적부(233)가 작동된다.
또한, 상기 발광부(232)는 LED와 같은 발광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경적부(233)는 사이렌 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한편, 보호자의 손잡이(106)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보호자가 유모차의 손잡이(106)를 잡고 있지 않은 상태)라도, 보호자가 상기 적외선 센서부(212)의 감지범위 내에 있으며, 유모차(100)가 기울어져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보호자가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를 터치하는 경우(S870), 제어부(222)는 제동부(224)의 동작여부를 확인한다(S880). 이때, 제동부(224)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 제어부(222)는 제동부(224)를 동작시킬 수 있다(S850).
또한, 보호자가 제동부(224)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222)는 제동부(224)의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S820).
즉, 보호자는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213)를 첫 번째 터치하는 경우, 제동부(224)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두 번째 터치하는 경우 제동부(224)의 동작을 해제할 수 있어, 유모차(100)의 상태와 무관하게 보호자가 임의로 제동부(224)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22)는 배터리 잔량 체크부(226)을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이 한계전압 이하인지를 체크한다(S890). 만약, 배터리의 잔량전압이 한계전압 이하라면, 상기 제어부(222)는 제동부(224)를 동작시키며(S850), 경보 장치부(230)를 작동시켜(S860), 보호자에게 배터리의 방전을 알려 보호자가 배터리를 교체하게 한다.
여기서, 위험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작동되는 경적부(233)의 음향과, 배터리 방전을 알리는 경적부(233)의 음향은 서로 상이하여, 보호자가 현상황이 위험상황인지, 아니면 배터리 교체상황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경적부(233)와 함께 작동되는 발광부(232)도 예를 들어, 점멸하던가 아니면, 계속해서 발광하던가 하여, 보호자가 현상황이 위험상황인지, 아니면 배터리 교체상황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유모차의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경우, 유모차의 이동을 강제로 구속하면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유아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나,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와 프레임 장착부(220)는 각기 별도의 전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장착부(210)와 프레임 장착부(220)는 제1, 제2 및 제3 무선통신부(214, 221, 231)를 통해 상호 신호를 전달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전선을 이용하여 유선에 의해 상호 간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장착부(220)의 제어부(222)와 상기 경보장치부(230)는 전선을 이용하여 유선에 의해 상호 간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 가지 색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상황에 따라, 각기 상이한 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모차 102: 프레임
104: 수용부 106: 손잡이
108: 바퀴 200: 안전장치
210: 손잡이 장착부 211: 터치 센서부
212: 적외선 센서부 213: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
214: 제1 무선통신부 220: 프레임 장착부
221: 제2 무선통신부 222: 제어부
223: 기울기 센서부 224: 제동부
225: 전원부 226: 배터리 잔량 체크부
230: 경보장치부 231: 제3 무선통신부
232: 발광부 233: 경적부
310: 장착홀 410: 탈착부
420: 하우징 430: 마찰부
610: 구동모터 612: 감속기어
614: 리드스크류 616: 이동부

Claims (12)

  1.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는 유모차 및;
    상기 손잡이에 결합된 손잡이 장착부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 장착부 및,
    상기 유모차에 부착된 경보장치부로 구성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는,
    상기 손잡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와;
    보호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와;
    상기 유모차의 제동부를 동작시키는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 및;
    상기 터치 센서부와 적외선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와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의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장착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와 통신하는 제2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통신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기울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 잔량 체크부 및;
    상기 제어부, 기울기 센서부, 제동부 및 배터리 잔량 체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부는,
    상기 제2 무선통신부와 통신하는 제3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3 무선통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제3 무선통신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경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마찰부 및;
    상기 마찰부를 상기 바퀴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 프레임 장착부 및, 경보장치부는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의 손잡이 터치가 인식되면,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동부의 동작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의 손잡이 터치가 인식되지 않으나, 보호자가 적외선 센서 감지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기울기 센서부로부터 신호에 의해 유모차의 기울어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동부의 동작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보호자의 손잡이 터치가 인식되지 않으며, 보호자가 적외선 센서 감지범위 내에 있지 않으며, 상기 기울기 센서부로부터 신호에 의해 유모차의 기울어졌다고 판단한 경우, 제동부를 동작시켜 유모차를 강제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부를 작동시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체크부를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이 한계전압 이하인지를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량전압이 한계전압 이하라면, 제동부를 동작시켜 유모차를 강제 정지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부를 작동시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부는,
    보호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발광부와, 상기 사용자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경적부를 작동시켜 보호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 동작 스위치부는 보호자가 첫 번째 터치하는 경우 동작되며, 두 번째 터치하는 경우 동작을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유모차의 상태와 무관하게 보호자가 임의로 상기 제동부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1020100123856A 2010-12-06 2010-12-06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120062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856A KR20120062554A (ko) 2010-12-06 2010-12-06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856A KR20120062554A (ko) 2010-12-06 2010-12-06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554A true KR20120062554A (ko) 2012-06-14

Family

ID=4668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856A KR20120062554A (ko) 2010-12-06 2010-12-06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55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79B1 (ko) * 2013-05-03 2014-11-27 주식회사 엔솔브 외부 시스템에 연동되는 베이비시터 시스템
CN105235734A (zh) * 2015-10-28 2016-01-13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的外接式辅助动力机构
KR20160065623A (ko) 2014-12-01 2016-06-09 (주)케이피엠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US9892609B2 (en) 2015-05-11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the wearable device
KR102193735B1 (ko) *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보강형 스마트 유모차
KR102281570B1 (ko) * 2020-01-31 2021-07-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CN113442986A (zh) * 2020-03-25 2021-09-28 Lg电子株式会社 推车单元及其控制方法
EP3889003A1 (en) * 2020-04-01 2021-10-06 LG Electronics Inc.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79B1 (ko) * 2013-05-03 2014-11-27 주식회사 엔솔브 외부 시스템에 연동되는 베이비시터 시스템
KR20160065623A (ko) 2014-12-01 2016-06-09 (주)케이피엠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US9892609B2 (en) 2015-05-11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the wearable device
CN105235734A (zh) * 2015-10-28 2016-01-13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的外接式辅助动力机构
KR102193735B1 (ko) *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보강형 스마트 유모차
KR102281570B1 (ko) * 2020-01-31 2021-07-23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CN113442986A (zh) * 2020-03-25 2021-09-28 Lg电子株式会社 推车单元及其控制方法
EP3885235A1 (en) 2020-03-25 2021-09-29 LG Electronics Inc. Car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00451A1 (en) * 2020-03-25 2021-09-30 Lg Electronics Inc. Car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19742A (ko) 2020-03-25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그 제어 방법
EP3889003A1 (en) * 2020-04-01 2021-10-06 LG Electronics Inc.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492901A (zh) * 2020-04-01 2021-10-12 Lg电子株式会社 智能手推童车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2554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US7339463B2 (en) Infant alert system and methods thereof
EP3128985B1 (en) Seat assembly for a patient transport device
KR101796265B1 (ko) 스마트 유모차
EP3135262A1 (en) Status light assembly for patient equipment
WO2004047034A3 (en) Infant safety device
KR102278027B1 (ko) 전동 휠체어 및 그 제어방법
WO2016082359A1 (zh) 汽车方向盘
JPH0231988A (ja) ヘルメット着用なしではオートバイ,モペットの運転ができないようにした安全装置
US20200237587A1 (en) Motorized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18898A1 (en) Rehabilitation Device
US20190329808A1 (en) Stroller comfort device, stroller underframe and stroller
KR20210121114A (ko) 바닥 클리닝 장치용 통신 조명 시스템
KR20110105450A (ko) 인력거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력거
KR101807299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20210117050A (ko) 유아용 시트부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6089B1 (ko) 안전 주행을 위한 안전 휠체어 및 운전 방법
KR20210083456A (ko) 스마트 안전 노인 보행기
KR102002321B1 (ko)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KR20170097870A (ko)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KR101169202B1 (ko)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TW201609075A (zh) 偵測腳掌滑落之輪椅的安全裝置
KR20190060395A (ko) 유모차의 자동 제동 장치
RU2691850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коляс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