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202B1 -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202B1
KR101169202B1 KR1020100073285A KR20100073285A KR101169202B1 KR 101169202 B1 KR101169202 B1 KR 101169202B1 KR 1020100073285 A KR1020100073285 A KR 1020100073285A KR 20100073285 A KR20100073285 A KR 20100073285A KR 101169202 B1 KR101169202 B1 KR 10116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alarm device
alarm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477A (ko
Inventor
박영준
김연미
Original Assignee
김연미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미, 박영준 filed Critical 김연미
Priority to KR102010007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2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컨을 이용해서 안경을 찾을 수 있으며,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미리 예방해 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테 스스로 일정 경우에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며, 자체적으로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또는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에 무선 신호를 보내주는 리모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Glasses assembly for comfortable tracking of location}
본 발명은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학창 시절에 안경을 처음 쓰게 되면, 하루 종일 안경을 쓰는 것이 쉽게 생활화되지만, 나이들어 안경을 사용하게 되면, 늘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하게 되는데, 안경을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이 안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조그마한 리모컨을 주머니에 넣고 있다가 리모컨을 이용해서 안경을 쉽게 찾을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되겠다.
또, 나이 들어 사용하게 되는 누진 다초점 안경은 상당히 고가품이다. 방바닥에 벗어 두었다가 누군가라도 밟고 지나가게 되면, 심하게 파손되려 손해가 크다. 게다가 사람도 다칠 수 있다. 이런 경우, 즉, 안경이 충격을 받게 될 때, 경고를 발해준다면,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과 사람이 다치는 것을 미리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리모컨을 이용해서 안경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미리 예방해 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려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경테 스스로 일정 경우에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자체적으로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또는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에 무선 신호를 보내주어 경보 장치가 작동되도록 해주는 리모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리모컨을 이용해서 안경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미리 예방해 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 리모컨부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안경테 스스로 일정 경우에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자체적으로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또는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에 무선 신호를 보내주어 경보 장치가 작동되도록 해주는 리모컨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모컨부는 버튼 한 개가 있는 리모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을 눌러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고, 다시 버튼을 눌러 경고를 위해 발생되는 모든 빛이나 소리를 동시에 꺼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리모컨을 이용해서 직접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을 이용해서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컨을 이용해서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와 결합된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을 이용해서 안경을 찾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는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로 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전극 부위인 연결 전극부(11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전극부(110)를 통해 공급 받은 전력을 저장해 주는 부위인 테 축전지부(170),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아 들이는 테 리모컨 센서부(19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빛을 발하는 테 발광부(16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소리를 발하는 테 부저부(150), 테 발광부(160)에서 발광되는 빛과, 테 부저부(150)에서 나는 소리를 동시에 꺼주는 스위치 부재인 테 스위치부(180),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 상기 테 발광부(160), 상기 테 부저부(150), 상기 테 스위치부(180)를 제어해 주는 테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경우는 다른 물건에 의해 안경이 충격을 받게 될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테 발광부(160), 테 부저부(150)가 작동되어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경고를 주어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해 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 전극부(110), 상기 테 축전지부(170),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 상기 테 발광부(160), 상기 테 부저부(150), 상기 테 스위치부(180), 상기 테 제어부(120)는 한쪽편의 안경 다리 부분에만 형성될 수 도 있고, 좌우 양편의 다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테 스위치부(180)가 테 발광부(160)에서 발광되는 빛과, 테 부저부(150)에서 나는 소리를 동시에 꺼주는 스위치이긴 하지만, 안경 주위에 사람이 없어서 상기 테 스위치부(180)를 조절해 주지 못하는 경우에는 3분 또는 5분 후에 자동으로 테 발광부(160)에서 발광되는 빛과, 테 부저부(150)에서 나는 소리가 동시에 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는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의 바깥쪽면을 감싸주는 부분인 장치부 긴 다리부(210),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의 안쪽면을 감싸주는 부분인 장치부 짧은 다리부(220),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와 장치부 짧은 다리부(220)를 연결시켜 주는 부분인 연결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는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안쪽 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의 전극 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에 전력을 공급 해주는 전극 부위인 장치부 연결 전극부,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안쪽면과 바깥쪽면, 양면에 위치하며,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아 들이는 리모컨 센서부(219),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부(211),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리모컨 센서부(219)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또는 상기 충격 센서부(211)가 충격을 감지하였을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216),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리모컨 센서부(219)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또는 상기 충격 센서부(211)가 충격을 감지하였을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소리를 발하는 부저부(215),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발광부(26)에서 발광되는 빛과, 부저부(215)에서 나는 소리를 동시에 꺼주는 스위치 부재인 스위치부(218), 상기 리모컨 센서부(219), 발광부(216), 부저부(215), 스위치부(218)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2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충격 센서부(211)가 충격을 감지하였을 경우는 다른 물건에 의해 안경이 충격을 받게 될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발광부(216), 부저부(215)가 작동되어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 경고를 주어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 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해 줄 수 있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는 한쪽편의 안경 다리 부분에만 결합될 수 도 있고, 좌우 양편의 다리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부 짧은 다리부(220)는 상기 장치부 짧은 다리부의 내부에 전지가 보관되는 부위인 전지부(227), 상기 장치부 짧은 다리부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탄력 부재이며,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분과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잘 밀착되도록 해주는 밀착 탄력부(229)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218)가 발광부(26)에서 발광되는 빛과, 부저부(215)에서 나는 소리를 동시에 꺼주는 스위치이긴 하지만, 안경 주위에 사람이 없어서 상기 테 스위치부(180)를 조절해 주지 못하는 경우에는 3분 또는 5분 후에 자동으로 발광부(26)에서 발광되는 빛과, 부저부(215)에서 나는 소리가 동시에 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경 자체도 경고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는 안경 위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리모컨으로 부터 오는 신호를 더 쉽게 받게 해주며, 또한, 안경보다 먼저 다른 물건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므로, 안경이 다른 물건에 의해 충격을 받기 전에 미리 주위 사람에게 경고를 주어 안경이 심하게 파손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 110 : 연결 전극부
120 : 테 제어부 150 : 테 부저부
160 : 테 발광부 170 : 테 축전지부
180 : 테 스위치부 190 : 테 리모컨 센서부
200 : 탈착식 경고 장치부
210 : 장치부 긴 다리부 211 : 충격 센서부
212 : 제어부
215 : 부저부 216 : 발광부
218 : 스위치부 219 : 리모컨 센서부
220 : 장치부 짧은 다리부 227 : 전지부
229 : 밀착 탄력부 230 : 연결부

Claims (5)

  1. 안경테 스스로 일정 경우에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며, 자체적으로 경보를 주는 장치를 가진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 또는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에 무선 신호를 보내주어 경보 장치가 작동되도록 해주는 리모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는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의 바깥쪽면을 감싸주는 부분인 장치부 긴 다리부(210),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의 안쪽면을 감싸주는 부분인 장치부 짧은 다리부(220),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와 장치부 짧은 다리부(220)를 연결시켜 주는 부분인 연결부(23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탈착식 경고 장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는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로 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전극 부위인 연결 전극부(11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전극부(110)를 통해 공급 받은 전력을 저장해 주는 부위인 테 축전지부(170);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아 들이는 테 리모컨 센서부(19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빛을 발하는 테 발광부(160);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소리를 발하는 테 부저부(150);
    테 발광부(160)에서 발광되는 빛과, 테 부저부(150)에서 나는 소리를 동시에 꺼주는 스위치 부재인 테 스위치부(180);
    상기 테 리모컨 센서부(190), 상기 테 발광부(160), 상기 테 부저부(150), 상기 테 스위치부(180)를 제어해 주는 테 제어부(1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는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안쪽 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위의 전극 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에 전력을 공급 해주는 전극 부위인 장치부 연결 전극부;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안쪽면과 바깥쪽면, 양면에 위치하며,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아 들이는 리모컨 센서부(219);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센서부(211);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리모컨 센서부(219)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또는 상기 충격 센서부(211)가 충격을 감지하였을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빛을 발하는 발광부(216);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와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분리 될 때 또는 상기 리모컨 센서부(219)가 상기 리모컨부로 부터 신호를 받았을 때 또는 상기 충격 센서부(211)가 충격을 감지하였을 때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소리를 발하는 부저부(215);
    상기 장치부 긴 다리부(210)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발광부(26)에서 발광되는 빛과, 부저부(215)에서 나는 소리를 동시에 꺼주는 스위치 부재인 스위치부(218);
    상기 리모컨 센서부(219), 발광부(216), 부저부(215), 스위치부(218)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212);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치부 긴 다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 짧은 다리부(220)는
    상기 장치부 짧은 다리부의 내부에 전지가 보관되는 부위인 전지부(227);
    상기 장치부 짧은 다리부의 안쪽 면에 위치하는 탄력 부재이며, 상기 경보 장치를 가진 안경테(100)의 다리 부분과 상기 탈착식 경고 장치부(200)가 잘 밀착되도록 해주는 밀착 탄력부(229);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치부 짧은 다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KR1020100073285A 2010-07-29 2010-07-29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KR10116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285A KR101169202B1 (ko) 2010-07-29 2010-07-29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285A KR101169202B1 (ko) 2010-07-29 2010-07-29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77A KR20120011477A (ko) 2012-02-08
KR101169202B1 true KR101169202B1 (ko) 2012-07-26

Family

ID=4583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285A KR101169202B1 (ko) 2010-07-29 2010-07-29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68A (ko) 2015-02-26 2016-09-05 (주)태극안경 위치 확인이 용이한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9748B (zh) * 2013-08-27 2015-05-06 温慎洁 一种置于眼镜镜框内的同轴pifa天线
KR102562593B1 (ko) * 2020-12-29 2023-08-01 최아로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안경 및 그의 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468A (ko) 2015-02-26 2016-09-05 (주)태극안경 위치 확인이 용이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77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932B2 (en) Universally attachable light accessory apparatus for use with mobility aids, system, and method of use
AU2012267220B2 (en) Freezing of gait cue apparatus
US9445699B2 (en) Low power toilet light illuminator and night light with photosensor activation
US10286286B1 (en) Treadmill safety device
KR101169202B1 (ko) 위치 추적이 쉬운 안경 조립체
JP2018079080A (ja) 美容器具
CN205658478U (zh) 多功能安全手杖
US9373244B2 (en) Base and display device having a sensing component for detecting a remote controller
KR101503381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지팡이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JP2012125387A (ja) ステッキ
KR200469487Y1 (ko) 아동용 다기능성 우산
US9345944B2 (en) Golf aid for aligning stance
KR20130015563A (ko) 안경 위치 알림이
JP6284146B2 (ja) テンシオメータ及びデータ回収システム
CN204722388U (zh) 智能拐杖
JP6982389B2 (ja) 美容器具
CN103720575A (zh) 一种导盲拐杖
CN204698961U (zh) 多功能拐杖
JP6168440B2 (ja) 人感センサ
JP7473188B2 (ja) 紫外線照射器
KR20020031690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초음파 센서가 장착된 안경
US20090116342A1 (en) Movable clock
KR200447987Y1 (ko) 진동 발광 장식물
KR101021028B1 (ko) 신체 착용식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