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21B1 -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21B1
KR102002321B1 KR1020180055799A KR20180055799A KR102002321B1 KR 102002321 B1 KR102002321 B1 KR 102002321B1 KR 1020180055799 A KR1020180055799 A KR 1020180055799A KR 20180055799 A KR20180055799 A KR 20180055799A KR 102002321 B1 KR102002321 B1 KR 10200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eed
sensing unit
driv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8005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08B21/0283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via a telephone network, e.g. cellular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전동차가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전동차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김지부로부터 이탈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동차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전동력을 구비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거리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는 엔진의 구동으로 얻어지는 전동력으로 움직이는 모든 차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휠체어나 ATV(All Terrain Vehicle)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제어를 하거나 또는 전동 유모차와 같이 보호자가 제어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ATV 같은 경우는 일반 도로에서도 노약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어 주차나 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운전자가 운전석을 잠깐 비운 사이에 차량이 움직여 사고를 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동 유모차와 같은 경우에는 영유아를 탑승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써, 부모 또는 보호자가 영유아를 간소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장치이나 최근에 만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8307호(2017.05.15)에 전동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로 전동보드를 구비하여 전동으로 유모차를 주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를 접어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유모차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전동차이다.
그러나 전동유모차는 상기 이점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전동차 대비 유아가 탑승하고 있으므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 운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부모와 같은 보호자가 깜박하는 사이에 전동유모차는 보호자의 손을 떠나 임의대로 운행되어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항시 보호자가 주의를 기울여 조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38307호(2017.05.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력을 구비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력을 구비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이격되면 경고음을 발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전동차를 보관 및 이동 시 부피를 줄여 이동할 수 있으며 전력을 모두 소모한 경우 인력으로 대체하여 구동될 수 있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전동차가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전동차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김지부로부터 이탈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동차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상기 전동차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감지부와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파지감지부에서 파지를 해제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상기 전동차로부터 운전자가 이석한 것을 감지하는 이석감지부와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석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는 상기 전동차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거감지부와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탈거감지부에서 탈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는 상기 전동차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무선/통신감지부와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감지부에서 일정 거리 이탈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감지부가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전동차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감지부와, 상기 전동차로부터 운전자가 이석한 것을 감지하는 이석감지부, 상기 전동차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거감지부 그리고 상기 전동차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무선/통신감지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다음, 상기 제어부가 어느 하나의 감지부가 작동하였으나, 상기 속도감지부를 통하여 속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주의를 환기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자가 휴대하며 상기 무선통신감지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장치를 더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가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전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장치에 전동차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메세지가 표시되도록 하여 주의를 환기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전동력을 구비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전동력을 구비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이격되면 경고음을 발하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전동차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유모차를 자동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전동보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자동(전동)으로 유모차를 주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시 간소하게 접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게 만들어 전동차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이탈방지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거 감지 장치를 일례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회전 부재와 고정부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 및 탄성부를 구비하는 거치부의 가압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 이탈방지장치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차 이탈방지장치는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전동차는 엔진 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동력으로 움직이는 모든 차량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특히 휠체어나 ATV(All Terrain Vehicle), 어린이용 전기 자동차, 전동 유모차를 포함하여 승차할 수 있는 전동차량은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전동차 이탈방지장치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전동차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50) 및 김지부(50)로부터 이탈 신호를 수신하면 전동차(100)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감지부(50)는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전동차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감지부(130),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무선통신감지부(140)와 전동차로부터 운전자가 이석한 것을 감지하는 이석감지부(150)와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거감지부(16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파지감지부(130)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의 전동차 파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전동차의 손잡이에 구비된다. 일례로 손잡이를 파지하였을 때 운전자 또는 보호자의 손이 맞닿는 부위에 배치되어 빛에 의해 손잡이 파지를 감지하는 빛감지센서를 사용하거나 또는 정전기에 의해 손잡이 파지를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빛감지센서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의 손에 의해 빛이 차단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손잡이를 파지하는 것으로 인지하며, 센서에 의해 빛을 감지할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센서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손잡이를 파지하는 것으로 인지하며, 정전기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빛감지센서와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파지여부의 검출은 어느 하나만 적용할 수도 있으나, 빛 감지센서와 정전용량센서를 동시에 사용하면 피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무선통신감지부(140)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인 휴대장치(200)와 통상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격된 거리를 표시하거나 일정거리 이격 시 경고메세지를 발생시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상호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힌다.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은 제어부(110)가 감지부(50)에서 감지한 신호를 근거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전동차를 정지할려고 할 때, 미도시된 메모리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휴대장치(200)로 전동차가 분리되어 이동되고 있다는 메세지를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통신감지부(140)는 휴대장치(200)와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격된 거리를 표시하거나 일정거리 이격 시 경고메세지를 발생시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이석감지부(150)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경우 운전자의 이석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 운전이 가능한 전동차일 경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석감지부(150)는 운전석 시트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운전석 시트로부터 이석되는 경우, 온(On) 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석 시트로부터 운전자의 이석을 감지하고, 운전석 시트로 착석되는 경우, 오프(Off) 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자의 착석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탈거감지부(160)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전동차가 일정거리 이격되면 탈거감지포트가 동작하여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탈거된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탈거 감지 장치를 일례로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거감지부(160)는 잭형상으로 구성하여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포트(10a)에 삽설되어 있다가, 탈거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탈거감지부(160)의 포트(10a)와 운전자 또는 보호자의 걸이구(164)는 일정 길이(X)의 끈 또는 로프(161)로 구성하여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길이(X) 이상 이격되면 포트(10a)에 삽입된 잭(163)이 탈거되면서 스위치(10b)를 동작시켜 해당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잭(163)의 일단부와 결합된 파지부(162)를 구성하면 잭(163)을 포트(10a)에 삽입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10b)는 확대도면에서와 같이, 접점스위치로 구성하여 잭(163)이 삽입될 때는 접점(p1,p2)이 접촉되게 하고, 탈거될 때는 접점(p1,p2)이 분리되게 하면 잭의 삽입여부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10b)는 오류를 막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스위치(도면에는 3개 구성함)를 잭이 삽입 또는 탈거되는 경로상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면, 스위치(10b)의 순차적인 동작여부에 따라 미리 감지하거나 또는 정확한 삽입/탈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잭(163)은 이어폰 잭 형태의 부도체로서 포트(10a)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이므로 잭이 포트에 삽입되었을 때 포트 내부의 저면에 배치된 스위치(10b)와 접촉되게 하고,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트(10a) 내부의 일측에 삽입방지턱(10a)을 설치하여 잭의 일측이 걸리게 하여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여 고장을 예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50)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170)와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80), 그리고 전동차의 구동, 감속, 정지와 같이 전동차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감속정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70)는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고 있을 때, 경고음을 발생시켜 관리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또는 휴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동작된다.
속도감지부(180)는 감지한 전동차의 속도를 제어부(110)로 전송하며, 구동/감속정지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전동차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감속시키거나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차 이탈방지장치는 전동차(100)와 통신하는 휴대장치(200)를 포함한다.
휴대장치(200)는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휴대하며 무선통신감지부(14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전동차(100)를 제어하거나 전동차(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전동차(100)의 제어부(110)에서 알람부(17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구동/감속정지부(190)를 통하여 전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무선통신감지부(140)를 통하여 휴대장치(200)에 전동차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메세지가 표시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장치(200)는 통신이 가능한 장치 및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하여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 도 4의 휴대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휴대장치(200)는 전동차(100)의 무선/통신감지부(140) 또는 통상의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인터페이스(210),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키입력부(230)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표시부로 동작하는 단말기표시부(220), 무선/통신감지부(14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전동차와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장치(200)는 근거리무선통신부(250)를 구비하고, 전동차(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앱부(260)와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거나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무선통신부(250)는 NFC, 블루투스(Bluetooth), WiFi, 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전동차(100)와 통신인터페이스(210)를 통한 통신뿐만이 아니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필요한 경우 전동차(100)와의 태깅(Tagging)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경우 단말기제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전동차(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앱부(260)는 앱스토어 등을 통하여 관련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가이드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회원가입을 통하여 서버의 인증과정을 거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E-mail 또는 비밀번호와 같이 회원 고유 ID와 함께 간단하게 회원가입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앱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서버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설치할 수도 있으나,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는 단말기표시부(220)에 "전동차와의 거리 표시부" 항목과 "전동차 제어화면 표시부"항목, "마이크" 항목, "근거리통신표시부"항목과 "네트워크통신부" 항목, 그리고 "기준값 설정부"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전동차와의 거리 표시부" 항목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무선/통신감지부(140)와의 GPS와 같은 위치추적 통신을 통하여 전동차(100)와 휴대장치(200)와의 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전동차 제어화면 표시부"항목은 무선/통신감지부(140)와의 통신을 통하여 전동차(100)의 구동과 관련된 제어화면을 표시하여 전동차의 구동, 정지, 방향 전환 등을 입력하여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마이크'항목은 필요한 경우 클릭으로 활성화시킨 다음, 음성을 입력하면 전동차(100)로 전달되어 알람부(170)를 통하여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근거리통신표시부"항목은 근거리통신을 활성화하거나 전동차(100)와의 근거리통신 가능유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표시부"항목은 본 발명에서 전동차(100)와의 근거리통신에 주목적이 있지만 필요한 경우 기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매체와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를 활성화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트워크통신부" 항목은 이동 통신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항목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동차(1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나, 휴대장치(200)가 이동통신단말기로 사용될 때는 통상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근거리통신표시부"항목과 "네트워크통신부" 항목으로 이원화하는 것은, 이탈감지 등은 근거리무선통신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는 "네트워크통신부"를 통하여 원거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준값 설정부"항목은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와 관련하여 감지부의 동작 기준과 거리, 속도 등 필요한 항목을 설정하여 입력하게 하고 설정값에 따라 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항목으로는 '제한속도', '감속', '경고음 메세지 종류', '제한 거리', '각 감지부의 동작 온오프제어', 등을 표시하고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제한속도'의 경우 속도감지부(180)에서 감지한 속도가 입력한 제한속도 수치 이하일때는 전동차를 급정지시키고, 이상일 때는 '감속'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속정지 제어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고음 메세지 종류'는 필요한 메세지를 입력한 다음, 사용할 메세지를 클릭하여 해당 메세지가 전동차(100)의 알람부(170)를 통하여 출력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한 거리'는 무선/통신감지부(140)가 휴대장치(20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입력하면 거리감지부(120)로부터 감지한 거리가 입력한 거리 이상 이격될 때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각 감지부의 동작 온오프제어'는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제어를 위하여 감지부(50)는 둘 이상의 감지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각 감지부의 동작을 동시 조건으로 결합하여 감지할 것인지 또는 개별적으로 감지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한다.
예를 들어 파지감지부(130)와 탈거감지부(160) 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10)는 파지감지부(130)에서 파지된 것이 해제되고 탈거감지부(160)에서 탈거되었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감지하는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파지감지부(130)와 탈거감지부(160) 중 어느 하나를 '온'으로 설정하고 나머지를 '오프'로 한 경우에는 파지감지부(130)가 '온'으로 설정되었다면 제어부(110)는 파지한 것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만 되면 탈거감지부(160)의 감지신호와 관계없이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감지하는 것이다.
역으로 탈거감지부(160)가 '온'으로 설정되었다면 제어부(110)는 탈거된것으로 판단되면 파지감지부(130)의 감지신호와 관계없이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제어부(240)는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되고 있을 때, 마이크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를 입력하면 전동차(100)의 알람부(170)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 또는 도움의 메세지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차(100)가 상당거리 이격되어 "근거리통신표시부" 항목에 통신불가가 표시된 경우, "네트워크통신부" 항목을 선택하여 통상의 네트워크 통신으로 경고 메세지 또는 도움의 메세지가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통신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동시에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움의 메세지로는 "누가 저 전동차를 좀 세워주세요" 또는 "위험하니 비키세요" 등과 같은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고하면, 먼저 휴대장치(100)의 저장부(27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기준값을 입력하도록 한다(S110).
기준값의 입력은 상술한 "기준값 설정부"항목과 같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된다.
단계 S110에서 입력한 기준값은 초기 설정값으로 한번 입력하면 다시 설정할 때까지 저장부(270)에 저장되고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저장된 값을 판독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단계 S110에서 기준값을 포함하는 필요한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단말기제어부(240)는 설정된 기준값을 통신인터페이스(210) 또는 근거리무선통신부(250)를 통하여 전동차(100)의 무선/통신감지부(140)로 전송하면, 전동차(100)의 제어부(110)는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감지부의 기준값으로 설정한다(S120).
전동차 제어부(110)는 단계 S120에서와 같이 기준값이 휴대장치(200)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제어부(110)는 각 감지부를 통한 감지신호를 수신한다(S130).
단계 S130에서의 감지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설정되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차(100)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감지부(130)와 전동차(10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10)는 파지감지부(130)에서 파지를 해제한 신호를 수신하고 속도감지부(180)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전동차(100)로부터 운전자가 이석한 것을 감지하는 이석감지부(150)와 전동차(10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10)는 이석감지부(150)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한 것을 감지하고 속도감지부(180)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거감지부(160)와 전동차(11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110)는 탈거감지부(160)에서 탈거 신호가 수신되고 속도감지부(180)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무선/통신감지부(140)와 전동차(100)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도, 제어부(1100는 무선/통신감지부(140)에서 일정 거리 이탈된 신호를 수신하고 속도감지부(180)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30에서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음을 감지을 감지한 경우에 즉시 알람부(17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브레이크를 동작하여 감속 운전 또는 전동차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거나 전원을 차단하여 전동차의 이동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내리막을 주행하고 있는 경우, 급정거를 하게 되면 유아와 같은 탑승자의 안전을 배려할 수 있도록 감속운전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40에서 제한속도에 따라 전동차의 제어 방법을 달리하고자 할 경우에 '제한속도'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속도감지부(180)에서 감지된 속도가 단계 S110에서 입력한 '제한속도'항목에 입력된 설정값보다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50), 이상인 경우에는 감속 제어를 진행하고(S160), 단계 S150에서 '제한속도'항목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는 즉시 정지할 수 있돌고 정지제어를 수행한다(S170).
단계 S170에서 정지가 되면 제어부(110)는 구동/감속정지부(19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필요한 경우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S180).
또한 전동차(110)에 속도감지부(180)와, 파지감지부(130)와, 이석감지부(150), 탈거감지부(160) 그리고 무선통신감지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구성한 경우에, 제어부(110)는 어느 하나의 감지부가 작동하였으나, 속도감지부(180)를 통하여 속도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즉 정지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알람부(17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나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게 하여 수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감지부의 구성이 복수로 설정된 경우 파지감지부(130)와 속도감지부(180)가 '온'으로 설정한 경우, 또는 이석감지부(150)와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와, 탈거감지부(160)와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그리고 무선/통신감지부(140)와 속도감지부(18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연히 파지감지부(130)와 거리감지부(120)가 '온'으로 설정한 경우, 또는 이석감지부(150)와 거리감지부(12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와, 탈거감지부(160)와 거리감지부(12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그리고 무선/통신감지부(140)와 거리감지부(12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도 복합적인 기능 수행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즉, 파지감지부(130)와 거리감지부(120)가 '온'으로 설정한 경우를 보면, 제어부(110)는 파지감지부(130)에서 파지를 해제한 신호를 수신하고 거리감지부(120)에서 감지한 거리가 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멀어지면 전동차(100)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석감지부(150)와 거리감지부(12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와, 탈거감지부(160)와 거리감지부(12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 그리고 무선/통신감지부(140)와 거리감지부(120)를 '온'으로 설정한 경우도 동일한 기능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차(100)는 엔진의 구동으로 얻어지는 전동력으로 움직이는 휠체어나 ATV(All Terrain Vehicle)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제어를 하거나 또는 전동 유모차와 같이 보호자가 제어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특히, 전동차가 전동유모차라면 탑승객이 유아이므로 조그만 충격에도 안전을 보장할 수가 없으므로 보호자는 각별한 주의와 함께 전동차(100) 자체에도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장치들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전동차를 전동 유모차로 구성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동 유모차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로 전동보드를 구비하여 전동으로 유모차를 주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를 접어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유모차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전동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차의 회전 부재와 고정부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100)는 본체부(10), 안장부(20) 및 전동보드(3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유모차의 본체부로서, 유모차의 안장부(2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전동보드(30)를 이용하여 전동차(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좌핸들(11) 및 우핸들(12), 좌핸들(11) 및 우핸들(12)과 연결되는 프레임(17a), 프레임(17a)에 구비되어 전동보드(30)를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부재(14), 회전부재(14)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3), 프레임(17a)에 마련되어 안장부(20)를 고정하는 안장부 거치부(15) 및 프레임(17)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수단(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안장부(20)를 탈착 또는 부착되게 만들고, 좌핸들(11) 및 우핸들(12)로 나누어진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전동보드(30)가 회전이동시 핸들로 인하여 회전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동보드(30)를 이용하지 않을 시 간소하게 접어서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핸들(11)과 우핸들(12)로 나누어진 구성을 이용하여 전동차(100)의 제어(운전)을 보다 간편하게 만들어 여성이나 노약자가 보다 손쉽게 전동차(100)를 제어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레임(17a)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장부(2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부재(14)는 프레임(17)과 연결되어 프레임(17)을 따라 전동보드(30)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회전부재(14)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7a)과 전동보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고정부(13)는 회전부재(14)에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부재(14)를 고정하여 전동보드(3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13)는 걸쇠 형태로 마련되어 걸쇠를 해제하는 경우 회전부재(14)가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부재(14)와 프레임(17)이 연결되는 일단은 “C”자 형태(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공간이 여유가 있어 회전부재가 프레임을 따라 회전이동이 가능하다)로 마련되고, 고정부(13)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경우 “O”자 형태(프레임과 완전히 밀착하여 프레임과 회전부재가 고정된다)로 형성하여 프레임(17)과 회전부재(14)가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순히 걸쇠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부재(14)의 일단을 프레임(17)과 밀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또는 압력)으로 회전부재(14)의 회전이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부재(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거치부(15)는 프레임(17a)에 마련되어 안장부(20)를 거치시킬 수 있게 만들어 전동보드(30)를 회전이동 시 안장부(20)로 인하여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든다.
이동수단(16)은 양 측면(좌, 우)에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같은 경우에는 유모차가 앞으로 쏠리거나 뒤로 쏠려 유모차가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전동보드(30)를 이용하여 이를 방지하고 전동차(100)의 전방으로 전동보드(30)를 회전 이동시켜 부피를 줄였을 경우에도 전동차(100)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간소하게 전동차(100)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장부(20)는 유모차 본체부(10)에 탈착 또는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안장부(20)는 영아 또는 유아가 안장부(20)에 위치(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7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 및 탄성부를 구비하는 거치부의 가압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를 참고하면, 안장부(20)는 양 측면에 3개로 마련되는 돌기부(21)를 구비하고, 안장부 거치부(15)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서로 길이가 다른 전방홈(17) 및 후방홈(18)을 구비하며, 돌기부(21)는 전방홈(17) 및 후방홈(18)에 위치되어 안장부(20)를 거치부(15)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가압부재(19)는 전방홈(17)에 마련되어 돌기부(2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가압부재(19) 일단에 마련되는 탄성부(19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부재(19)의 타단을 가압하는 경우 가압부재(19)가 이동되어 돌기부(210)를 전방홈(17) 외부(상측 방향으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는 보다 효과적으로 안장부(20)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안정적으로 전동차(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전동보드(30)는 본체부(10)와 연결된다. 전동보드(30)는 전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동차(100)를 주행할 수 있게 만드는 수단으로 기존의 전동차(100)에 비하여 전력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도 전동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구조를 제공한다. 전동보드(30)는 일단이 본체부(10)와 연결되는 바형태의 보드(스케이트보드)(31), 보드(31) 타단에 구비되는 바퀴(32), 바퀴(32)에 구비되어 바퀴(32)를 회전시키는 모터(33), 보드(31)에 구비되어 모터(3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동보드(30)와 손잡이부(40)에 본 발명의 이탈감지장치들과 제어관련 장치들이 탑재된다.
먼저 파지감지부(130)와 탈거감지부(160)는 좌핸들(11) 및 우핸들(12)을 포함하는 손잡이부(4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선통신감지부(140), 속도감지부(180), 구동/감속정지부(190), 알람부(170) 등은 전동보드(30)의 내부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이석감지부(150)는 본 실시예가 전동 유모차이고 보호자가 제어하는 경우이므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보드(31)의 일단은 상기 기술한 회전부재(14)와 연결되어 회전부재(14)를 따라 보드(31)가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동보드(30)는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어 사용하지 않을 시 접어서 보관하거나 접어서 이동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전동보드(30)는 전동차(100) 주행 시 전동차(100)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전동차(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고, 전동보드(30)를 사용하지 않을 시 간소하게 접어서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들며, 종래의 제품의 경우 전력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제품을 이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전력이 소진된 경우에도 킥보드와 같은 방식으로 전동차(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전동차(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입력부(40)는 좌핸들(11) 또는 우핸들(12)에 구비된다. 입력부(40)는 전동보드(30) 제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입력부(4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전력의 온 또는 오프, 속도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0)는 출력부(미도시)를 같이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입력부(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유모차를 이용한 이탈방지장치의 동작은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한 과정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전동력을 구비한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면 알람 또는 전동차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본체부, 20 : 안장부,
30 : 전동보드, 40 :입력부,
50 : 수납부,
100 : 전동차 110 : 제어부
120 : 거리감지부 130 : 파지감지부
140 : 무선통신감지부 150 : 이석감지부
160 : 탈거감지부 170 : 알람부
180 : 속도감지부 190 : 구동/감속정지부
200 : 휴대장치

Claims (8)

  1.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전동차가 분리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와, 상기 전동차를 파지하고 있는 것을 감지하는 파지감지부, 상기 전동차로부터 운전자가 이석한 것을 감지하는 이석감지부, 상기 전동차가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탈거감지부 및 상기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는 것을 무선으로 감지하는 무선통신감지부를 포함하여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전동차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상기 운전자 또는 보호자가 휴대하며 상기 무선통신감지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장치;및
    상기 파지감지부에서 파지를 해제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알람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통신감지부에서 일정 거리 이탈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전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격된 거리를 표시하거나 전동차가 분리되었음을 알리는 경고메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차는
    유모차 본체부;
    상기 유모차 본체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는 유모차 안장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전동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본체부는
    좌핸들 및 우핸들;
    상기 좌핸들 및 우핸들과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보드를 회전이동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안장부를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좌핸들 및 우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방향 전환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동보드는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는 이석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석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잭형상으로 구성하여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포트에 삽설되어 탈거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동차가 운전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면 탈거를 감지하도록 동작하는 탈거감지부와 상기 전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탈거감지부에서 탈거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전동차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55799A 2018-05-16 2018-05-16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KR10200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99A KR102002321B1 (ko) 2018-05-16 2018-05-16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99A KR102002321B1 (ko) 2018-05-16 2018-05-16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321B1 true KR102002321B1 (ko) 2019-07-22

Family

ID=6746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99A KR102002321B1 (ko) 2018-05-16 2018-05-16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816B1 (ko) * 2020-11-12 2021-10-01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254A (ja) * 2013-08-11 2015-02-23 俊之介 島野 乳母車又は介護用車両の安全システム
KR101738307B1 (ko) 2016-08-09 2017-05-19 이상민 전동 유모차
KR101838157B1 (ko) * 2017-01-20 2018-03-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254A (ja) * 2013-08-11 2015-02-23 俊之介 島野 乳母車又は介護用車両の安全システム
KR101738307B1 (ko) 2016-08-09 2017-05-19 이상민 전동 유모차
KR101838157B1 (ko) * 2017-01-20 2018-03-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816B1 (ko) * 2020-11-12 2021-10-01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WO2022103030A1 (ko) * 2020-11-12 2022-05-19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KR101796265B1 (ko) 스마트 유모차
US8854197B2 (en) Method of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US20180264972A1 (en) Vehicle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and posture
KR101497096B1 (ko) 시각장애인용 쇼핑 도우미 로봇
JP5449952B2 (ja) 自律走行ロボット及び自律走行ロボットの制御システム
JP2007137123A (ja) 車両エントリーシステム及びエントリー制御方法
KR101013299B1 (ko)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
US11580802B2 (en) Scheme for setting/using electronic device as keyless device of vehicle and adjusting devices in the vehicle
EP33309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garage door opener remote control
JP5814102B2 (ja) 移動体の制御装置、移動体の制御方法及び移動体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移動体
JP2008308135A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KR102002321B1 (ko)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KR20120062554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110007069A (ko) 도난방지 기능 전기자전거, 그 도난방지 방법 및 전기자전거의 도난방지 시스템
KR20110105450A (ko) 인력거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력거
JP5117354B2 (ja) 車両の監視システム
KR102142145B1 (ko) 전동 유모차
KR20210073419A (ko) 이동 로봇 운용 서비스 시스템
CN205524106U (zh) 汽车高温生命安全感应器
KR20170061029A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JP2010285792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KR102281570B1 (ko) 스마트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150051709A (ko) 환자용 안전 보행 도움기
KR20170041952A (ko) 스마트 전동형 핸드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