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870A -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870A
KR20170097870A KR1020160019500A KR20160019500A KR20170097870A KR 20170097870 A KR20170097870 A KR 20170097870A KR 1020160019500 A KR1020160019500 A KR 1020160019500A KR 20160019500 A KR20160019500 A KR 20160019500A KR 20170097870 A KR20170097870 A KR 2017009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baby carriage
braking
bab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영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종영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7870A/ko
Publication of KR2017009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유모차의 후면에 있는 보호자를 인식하고 유모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유모차의 바퀴 상부에 형성되어 센서부에 보호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바퀴와 밀착되어 유모차를 자동제동 시키고 기울기에 따라 바퀴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을 방지하는 구동부와, 유모차의 하부에 형성되어 센서부와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baby carriage with auto braking device reducing the risk of rollover when braking}
본 발명은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호자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제동되고 경사진 도로에서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아나 유아가 탑승하는 좌석과, 영아나 유아의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거나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와 손잡이가 구비된 이동수단으로서, 주로 영아나 유아를 데리고 보호자가 외출할 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는 외출 시 사용되는 것임에 따라, 아직까지 신체와 정신의 발달이 미숙한 영아나 유아의 보호를 위하여 안전의 확보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그런데, 유모차 이동시 충돌이나 보호자의 부주위로 손잡이를 놓치게 되면, 유모차가 보호자로부터 이탈하여 통제 없이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유모차가 넘어지거나, 유모차가 차량을 포함하는 각종 물체와 충돌하면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특히, 경사진 길에서는 보호자가 조심스럽게 운행하지 않으면 중력의 영향으로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칠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경사진 길에서 유모차가 보호자로부터 이탈되면, 유모차가 미끄러지면서 곧바로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모차에 브레이크와 같은 구동부를 설치하여 유모차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1995-0014630호 "유모차의 구동부"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모차의 구동부"는 단순히 유모차의 바퀴에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보호자가 직접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한 기술로서,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을 때에는 브레이크 상태가 되고, 손잡이 잡을 때에만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되어 운행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9384호 "유모차"로 안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른 유모차는 손잡이가 마련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는 탑승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전,후방 바퀴로 구성된 유모차에 있어서, 손잡이에 설치되어 손으로 손잡이를 잡을 때 압입되어 온(on)되는 압력감지스위치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압력감지스위치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될 때 바퀴의 스포크로부터 벗어나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바퀴의 스포크로 진입되어 바퀴가 회전될 수 없도록 하는 걸림쇠를 가지는 전기식 브레이크를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를 잡을 때에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유모차"는 손잡이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압력감지스위치를 지속적으로 일정압으로 누르고 있어야만 유모차가 운행되는 구성이어서 유모차의 운행을 위해서 보호자는 1)압력감지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 부위를 반드시 잡아야 했고, 2)압력감지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 부위를 힘을 주어서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보호자가 유모차의 운행과정에서 손잡이의 타부위를 잡게 되거나, 압력감지스위치를 잡은 손의 힘을 빼게 되면 곧바로 유모차가 급제동되면서 이동하는 보호자와 급제동한 유모차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고번호 제10-1995-0014630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8938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유모차가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기 위해 유모차의 후방에 위치한 후 유모차를 밀기 위해 손잡이를 잡으면 유모차의 브레이크가 풀려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가 경사로에서 자동 제동되는 경우 전륜과 후륜에 각각 형성된 브레이크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이 되지 않도록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유모차의 후면에 있는 보호자를 인식하고 유모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유모차의 바퀴 상부에 형성되어 센서부에 보호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바퀴와 밀착되어 유모차를 자동제동 시키고 기울기에 따라 바퀴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을 방지하는 구동부와, 유모차의 하부에 형성되어 센서부와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센서부는 초음파를 발산하여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초음파센서와, 유모차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기 위해 손잡이를 붙잡고 있는지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유모차의 손잡이 내부에 형성되어 유모차가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구동부는 유모차의 앞바퀴와 뒷바퀴에 각각 형성되며 유모차가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 유모차가 주행되는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바퀴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하여 전복위험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센서부는 보호자가 인식되고 난 후 보호자가 손잡이에 형성된 압력센서를 잡게 되면 유모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로 신호를 전송하여 제동이 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의하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유모차가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의하면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기 위해 유모차의 후방에 위치하면 유모차의 브레이크가 풀려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의하면 유모차가 경사로에서 자동 제동되는 경우 전륜과 후륜에 각각 형성된 브레이크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이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센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호자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제동되고 경사진 도로에서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10) 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1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10)는 유모차(10)의 손잡이(20)에 형성되어 유모차(10)의 후면에 있는 보호자를 인식하고 유모차(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유모차(10)의 바퀴(30) 상부에 형성되어 센서부(100)에 보호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바퀴(30)와 밀착되어 유모차(10)를 자동제동 시키고 기울기에 따라 바퀴(30)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을 방지하는 구동부(200)와, 유모차(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센서부(100)와 구동부(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100)는 보호자를 감지하거나 보호자가 유모차(10)로부터 위치한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와, 보호자가 유모차(10)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경우 유모차(10)를 붙잡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압력센서(120)와, 유모차(10)가 경사진 도로에 있는 경우 유모차(10)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130)로 이루어진다.
초음파센서(110)는 유모차(10)를 밀기 위해 형성된 유모차(10)의 손잡이(20) 부위에 형성되며 보호자가 유모차(10)를 밀기 위해 손잡이(20) 주위에 위치하게 되면 초음파센서(110)에서 발산되는 초음파가 보호자로 인해 다시 반사되어 되돌아가게 되고, 발산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의 시간을 측정하여 보호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보호자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음파센서(110)에서 보호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센서부(100)는 제어부(400)로 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로 신호를 송출하여 구동부(200)가 유모차(10)의 바퀴(30)와 밀착하여 유모차(10)가 움직이지 않도록 제동시키게 된다.
구동부(200)가 동작하여 유모차(10)가 제동된 상태에서는 초음파센서(110)가 보호자를 인식하더라도 구동부(200)는 제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유모차(10)의 손잡이(20)에 형성된 압력센서(120)에서 보호자가 손잡이(20)를 잡았다는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게 되면 구동부(200)가 동작하면서 바퀴(30)와 이격되어 유모차(1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압력센서(120)와 초음파센서(110) 2개의 신호를 모두 받아야 제동이 풀리게 되며, 유모차(10)가 경사진 도로에 있는 경우 보호자가 초음파센서(110)에 감지되더라도 구동부(200)가 동작하지 않아 유모차(10)가 경사로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보호자가 아닌 지나가는 행인으로 인해 초음파센서(110)가 오작동하여 제동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30)는 유모차(10)가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로 유모차(10)가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 자이로센서(130)가 이를 인식하여 구동부(200)가 유모차(10)의 바퀴(30)를 제어할 때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바퀴(30)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하여 관성력에 의해 전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바퀴(3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킬 수 있도록 형성된 마찰재(210)와, 마찰재(210)를 바퀴(3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바퀴(30)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실린더(220)로 이루어진다.
센서부(100)에 의해 보호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부(200)에 형성된 실린더(220)가 전진하여 마찰재(210)가 바퀴(3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마찰재(210)는 합성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퀴(30)의 외주면에 큰 마찰력을 발생시켜 바퀴(3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전원부(300)는 센서부(100), 제어부(400), 구동부(2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제어부(400)는 전원부(300)를 이용하여 구동부(200)가 동작할 때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센서부(1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센서부(100)는 초음파를 발산하여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초음파센서(110)와, 유모차의 손잡이(20)에 형성되어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기 위해 손잡이(20)를 붙잡고 있는지 감지하는 압력센서(120)와, 유모차의 손잡이(20) 내부에 형성되어 유모차가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0)(도1 참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부(100)는 보호자가 인식되고 난 후 보호자가 손잡이(20)에 형성된 압력센서(120)를 잡게 되면 유모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200)로 신호를 전송하여 제동이 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100)는 유모차의 손잡이(20)에 형성되며 손잡이(20)의 중앙에는 초음파센서(110)가 위치하고, 초음파센서(110)의 양측에는 압력센서(120)가 각각 존재하여 보호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있는 상황인지 센서부(100)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부(100)는 유모차의 손잡이(20) 부위에 위치한 보호자가 초음파센서(110)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자이로센서(130)에 의해 유모차가 기울어진 도로에 위치한 상태로 감지되고 보호자가 손잡이(20)를 잡지 않아 압력센서(120)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 도 1의 구동부(200)가 작동되어 유모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유모차가 도 1의 구동부(200)에 의해 제동된 상태를 풀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초음파센서(110)에 인식되고 난 후 손잡이(20)를 손으로 잡아 압력센서(120)가 작동되어야 도 1의 구동부(200)가 동작하여 제동상태가 풀리도록 하여 유모차가 경사진 도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구동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의 구동부(200)는 유모차의 앞바퀴(30)와 뒷바퀴(30)에 각각 형성되며 유모차가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 유모차가 주행되는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바퀴(30)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하여 전복위험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모차가 경사진 도로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동이 되는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향해 이동하려는 관성력으로 인해 유모차가 전복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유모차의 각 바퀴(30)마다 각각 구동부(200)를 형성시켜 경사로에서 유모차를 제동할 때 각각의 바퀴(30)에 마찰재(210)가 밀착되는 힘을 조절하여 유모차가 전복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1의 자이로센서(130)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이용하여 앞바퀴(30)가 아래쪽 방향으로 향해 있는 경우 앞바퀴(30)에 형성된 구동부(200)는 실린더(220)가 전진하는 길이를 뒷바퀴(30)보다 짧게 하여 마찰재(210)와 바퀴(30)가 밀착되는 힘을 줄이고, 뒷바퀴(30)에 형성된 구동부(200)는 실린더(220)가 전진하는 길이를 앞바퀴(30)보다 길게 하여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유모차가 측면방향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면 내려가는 방향에 존재하는 바퀴(30)의 구동부(200)와 반대 방향에 존재하는 바퀴(30)의 구동부(200)가 바퀴(30)에 가하는 힘을 달리하여 전복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의하면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유모차가 이동되지 않도록 브레이크가 작동되며,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기 위해 유모차의 후방에 위치하면 유모차의 브레이크가 풀려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모차가 경사로에서 자동 제동되는 경우 전륜과 후륜에 각각 형성된 브레이크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이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유모차
20 : 손잡이
30 : 바퀴
100 : 센서부
110 : 초음파센서
120 : 압력센서
130 : 자이로센서
200 : 구동부
210 : 마찰재
220 : 실린더
300 : 전원부
400 : 제어부

Claims (4)

  1.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모차의 후면에 있는 보호자를 인식하고 상기 유모차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유모차의 바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보호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바퀴와 밀착되어 유모차를 자동제동 시키고 기울기에 따라 바퀴에 가해지는 힘을 다르게 하여 전복을 방지하는 구동부와;
    상기 유모차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와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를 발산하여 보호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자가 유모차를 밀기 위해 상기 손잡이를 붙잡고 있는지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모차가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모차의 앞바퀴와 뒷바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모차가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유모차가 주행되는 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바퀴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 하여 전복위험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호자가 인식되고 난 후 상기 보호자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압력센서를 잡게 되면 유모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로 신호를 전송하여 제동이 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KR1020160019500A 2016-02-19 2016-02-19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KR20170097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00A KR20170097870A (ko) 2016-02-19 2016-02-19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00A KR20170097870A (ko) 2016-02-19 2016-02-19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870A true KR20170097870A (ko) 2017-08-29

Family

ID=5976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00A KR20170097870A (ko) 2016-02-19 2016-02-19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78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52B1 (ko) * 2018-02-13 2019-10-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KR102167076B1 (ko) * 2019-09-25 2020-10-16 이재완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KR102188136B1 (ko) * 2019-10-22 2020-12-07 이재완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52B1 (ko) * 2018-02-13 2019-10-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모차
KR102167076B1 (ko) * 2019-09-25 2020-10-16 이재완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속도 조절 장치
KR102188136B1 (ko) * 2019-10-22 2020-12-07 이재완 IoT 센서를 이용한 유모차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3749A1 (en)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US20170129523A1 (en) Handcart
US20100222976A1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having presence monitoring
KR20170097870A (ko) 제동시 전복위험을 줄인 자동제동이 가능한 유모차
CN109311500B (zh) 婴儿车-舒适装置、婴儿车-底架以及婴儿车
CN103826930B (zh) 车辆安全系统
KR101939093B1 (ko) 전동 킥보드
KR20170097433A (ko) 보호자와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제동되는 유모차
KR101996752B1 (ko) 스마트 유모차
JP2017170971A (ja) 電動式軌道台車
ITVR20110033A1 (it) Apparecchiatura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un veicolo, in particolare per il controllo di veicoli per bambini
JP2015036254A (ja) 乳母車又は介護用車両の安全システム
JP2014021676A (ja) 電子機器
JP7409278B2 (ja) 全方向性ホイール搭載車両
KR102354897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유모차
WO2018212694A1 (en) Baby stroller brake system
KR102002465B1 (ko) 유모차의 자동 제동 장치
JP5759730B2 (ja) ロードローラ用の安全装置
JP4008927B2 (ja) 自転車判別装置
US10414290B2 (en) Occupant support for a vehicle
KR102322300B1 (ko) 차량의 안전장치 지원 장치
EP3971045B1 (en) System of a motor-driven trailer and a towbar
KR20180007741A (ko) 지게차 안전장치
KR102007765B1 (ko)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스마트 유모차
JP3222177U (ja) 車の死角にある物体を感知し車の動きを止める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