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299B1 -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299B1
KR101807299B1 KR1020150165923A KR20150165923A KR101807299B1 KR 101807299 B1 KR101807299 B1 KR 101807299B1 KR 1020150165923 A KR1020150165923 A KR 1020150165923A KR 20150165923 A KR20150165923 A KR 20150165923A KR 101807299 B1 KR101807299 B1 KR 10180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interface board
unit
informat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029A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102015016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2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8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brakes or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브레이크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방향지시등과 전후방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의 제어신호와,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로틀의 제어신호를 수집하고, 그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전송하는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향지시등과 후방램프 및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되, 속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의 RPM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수집되는 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는 인디케이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 감지부와 작동부 및 스로틀의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통합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컨트롤러로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함으로, 종래에 컨트롤러와 복잡하게 연결되는 각종 배선들을 제거하여 제어모듈을 매우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수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모듈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제품의 용이한 생산성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키를 통해 모빌리티의 작동(시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맞게 모빌리티 운행에 대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모빌리티의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가 미작동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강제적으로 모빌리티의 운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이상감지부를 통해 모빌리티가 기울어지거나 진동이 감지되면 곧바로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An integrated control module for a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감지부와 작동부 및 스로틀의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통합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컨트롤러로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함으로, 종래에 컨트롤러와 복잡하게 연결되는 각종 배선들을 제거하여 제어모듈을 매우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수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모듈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제품의 용이한 생산성을 유도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이용한 모빌리티는 친환경적이고 사용이 편리하여 점차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소형으로 소지가 용이한 1인용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요가 대폭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공급되는 퍼스널 모빌리티는 속도를 제어하는 스로틀, 지시등 및 램프를 제어하는 기기 등의 장치와 컨트롤러가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장치의 구성과 배선이 너무 복잡하게 형성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크기가 커지고 미관상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는 단순히 운행 속도를 제어하고, 램프 및 지시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도의 기능을 갖는 제어모듈을 제공함으로,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적합하게 모빌리티 기능을 설정할 수 없어 제품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모듈은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한 별도의 안전수단이 없어 장치의 오작동이나 사고에 사용자가 쉽게 다칠 수 있어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는 1인용으로 설계되는 특성상 누구나 쉽게 들고 이동할 수 있어 빈번한 도난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별도의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90984호 (2013.07.23) [문헌 000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660312호 (2006.12.1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브레이크 감지부와 작동부 및 스로틀의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통합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컨트롤러로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함으로, 종래에 컨트롤러와 복잡하게 연결되는 각종 배선들을 제거하여 제어모듈을 매우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수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모듈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제품의 용이한 생산성을 유도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스마트키를 통해 모빌리티의 작동(시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맞게 모빌리티 운행에 대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모빌리티의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가 미작동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강제적으로 모빌리티의 운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이상감지부를 통해 모빌리티가 기울어지거나 진동이 감지되면 곧바로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은 브레이크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의 감지신호와, 방향지시등과 전후방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의 제어신호와,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로틀의 제어신호를 수집하고, 그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전송하는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향지시등과 후방램프 및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되, 속도감지부를 통해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의 RPM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수집되는 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수집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방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키와, 상기 스마트키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스마트키 모듈과,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타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키가 모빌리티에 근접하면 상기 스마트키 모듈에 감지되고, 그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스타트부를 활성화시켜 모빌리티의 작동을 준비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모빌리티에서 이탈되면 상기 스마트키 모듈에 상기 스마트키가 감지되지 않고, 그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스타트부를 비활성하여 모빌리티의 작동을 컨트롤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빌리티의 기울기나 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이상감지부를 통해 상기 스타트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가 모빌리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림을 인지하면 소리나 빛으로 경보하는 경보부를 통해 외부로 경보하여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와 주행모드 및 크루즈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설정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정보가 저장되어 모빌리티 재사용시 상기 설정부를 통해 저장된 설정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되게 하는 설정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정부를 통해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와 주행모드 및 크루즈 모드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내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설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빌리티의 배터리 전원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잔량검출부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배터리의 잔량이 설정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모터의 토크를 절감하여 남은 배터리 전원을 통한 주행거리를 연장하는 연장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모드는 상기 설정부를 통해 모터의 토크가 절감되도록 하는 배터리의 잔량 정도를 수치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모드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빌리티에 탈·부착되는 의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의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를 통해 의자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의 모빌리티 최고 속도와, 의자가 탈착되어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모빌리티 최고 속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의자 탈·부착 여부에 따른 각각의 최고 속도 내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설정된 최고 속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최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빌리티의 후방에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고, 그 사물과 모빌리티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거리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리감지부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모빌리티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물의 정보를 인식하게 유도하여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을 인지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속도감지부에서 측정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의 RPM 정보를 수집하여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의 RPM이 감소하지 않으면 모터의 다이나믹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모빌리티의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키도록 하여 모빌리티의 안정적인 운행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에 의하면, 브레이크 감지부와 작동부 및 스로틀의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통합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에서 컨트롤러로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함으로, 종래에 컨트롤러와 복잡하게 연결되는 각종 배선들을 제거하여 제어모듈을 매우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수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모듈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제품의 용이한 생산성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키를 통해 모빌리티의 작동(시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맞게 모빌리티 운행에 대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모빌리티의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가 미작동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강제적으로 모빌리티의 운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이상감지부를 통해 모빌리티가 기울어지거나 진동이 감지되면 곧바로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100)은 인터페이스 보드(40)와, 컨트롤러(60)와, 인디케이터(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브레이크(1)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10)의 감지신호와, 방향지시등(2)과 전후방램프(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20)의 제어신호와, 모터(5)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로틀(30)의 제어신호를 수집하고, 그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후설될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감지부(10)와 작동부(20) 및 스로틀(3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통합적으로 수집되고, 그 수집된 신호를 유선의 경우에는 하나의 배선으로, 무선의 경우에는 지그비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임으로, 종래의 모빌리티에서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복잡한 배선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감지부(10)와 작동부(20)와 스로틀(30)와 인터페이스 보드(40) 및 후설될 상기 인디케이터(70)를 하나의 일체형 기기(모듈)로 조립 설계하여 더욱 간단하고 생산이 용이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를 통해 제품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감지부(10)는 사용자가 모빌리티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기계적인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압력센서, 근거리센서 및 마이크로센서(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20)는 사용자가 직접 누를 수 있는 버튼 방식으로 구체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전송하는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향지시등(2)과 후방램프(4) 및 모터(5)의 작동을 제어하되, 속도감지부(50)를 통해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5)의 RPM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60)는 모빌리티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와 양방향으로 통신을 송·수신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모터(5), 지시등(2), 램프(3,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킥보드나 자전거와 같이 손잡이가 형성되는 모빌리티의 경우에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가 손잡이 부근에 설치되므로, 모빌리티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램프(3)는 인접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를 통해 작동이 제어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도감지부(50)에서 측정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의 RPM 정보는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수집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고, 그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를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70)를 통해서 영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속도감지부(50)의 측정정보가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된 후에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속도감지부(50)가 설치되는 위치나 모빌리티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속도감지부(50)에서 측정되는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곧바로 전송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70)는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수집되는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LCD 디스플레이로 구체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70)의 화면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를 인지하는 디스플레이나, 외부 스위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후설될 설정부(111)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키(81)와, 상기 스마트키(81)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스마트키 모듈(82)과,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타트부(83)를 더 포함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키(81)가 모빌리티에 근접하면 상기 스마트키 모듈(82)에 감지되고, 그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스타트부(83)를 활성화시켜 모빌리티의 작동을 준비하고,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키(81)가 모빌리티에서 이탈되면 상기 스마트키 모듈(82)에 상기 스마트키(81)가 감지되지 않고, 그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스타트부(83)를 비활성하여 모빌리티의 작동을 컨트롤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키(81)와 스마트키 모듈(82)은 서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키(81)의 접근을 인지하며, 상기 스타트부(83)는 누르는 버튼이나 상기 인디케이터(70) 상에 출력되는 영상으로 구체화(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키(81)를 소지한 상태에서 모빌리티에 근접하면 상기 스타트부(83)가 활성화되어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나, 상기 스마트키(81)가 없는 경우에는 모빌리티의 작동을 전혀 제어할 수 없으므로 도난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의 기울기나 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이상감지부(91)를 통해 상기 스타트부(83)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가 모빌리티의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을 인지하면 소리나 빛으로 경보하는 경보부(92)를 통해 외부로 경보하여 모빌리티의 도난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상감지부(91)의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곧바로 전송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이상감지부(91)가 설치되는 위치나 모빌리티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전송된 감지정보가 다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이상감지부(91)로 자이로센서나 진동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와 주행모드 및 크루즈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설정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설정부(111)와, 상기 설정부(111)에 설정된 정보가 저장되어 모빌리티 재사용시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저장된 설정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게 하는 설정저장부(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정부(111)의 조작은 상기 인디케이터 화면을 통해 수행한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따라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와 주행모드 및 크루즈 모드의 내용을 상세히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상기 설정부(111)의 내용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설정된 내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설정부(111)에서 설정된 설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60)에서 설정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111)는 상기 인디케이터(70)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설정부(111)를 터치하면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를 설정하는 최고속도, 주행모드, 크루즈 모드에 대해 설정할 수 있는 창이 출력되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속도를 터치하면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활성화되어 간편히 최고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모드를 터치하면 속도의 증감 또는 감속에 대한 반응속도를 조절하는 창이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설정된 내용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저장부(112)에 저장되므로 모빌리티를 재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저장부(112)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므로 다시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설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설정저장부(112)로 EEPROM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의 배터리(6) 전원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잔량검출부(12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배터리(6)의 잔량이 설정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로 모터(5)의 사용 전류를 절감하여 결국, 모터(5)의 토크를 절감시켜 남은 배터리(6) 전원을 통한 주행거리를 연장하는 연장모드를 더 포함하되,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모드는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모터(5)의 토크가 절감되도록 하는 배터리(6)의 잔량 정도를 수치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모드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 2b와 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모드는 상기 설정부(111)와 함께 상기 인디케이터(70)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사용자는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다양한 내용(최고속도, 주행모드, 크루즈모드)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모드를 함께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모드를 통해 설정된 수치 이하로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잔량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모터(5)의 토크를 절감하여 적은 잔량의 배터리 용량으로 운행할 수 있는 거리를 연장하여 운행되게 한다.
따라서, 적은 용량의 배터리 잔량으로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최대한 근접 또는 도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사용자에게 모빌리티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에 탈·부착되는 의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의자감지부(130)를 더 포함하되.
이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의자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의 모빌리티 최고 속도와, 의자가 탈착되어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모빌리티 최고 속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설정된 의자 탈·부착 여부에 따른 각각의 최고 속도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내용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설정된 최고 속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60)에서 의자가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는 상황에 따라 각각 설정된 최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한다.
통상 모빌리티를 서서 운행하는 것보다 의자에 앉아서 운행하는 것이 안전함으로, 의자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의자가 탈착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최고 속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의 후방에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고, 그 사물과 모빌리티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거리감지부(140)를 더 포함하되,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감지부(14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상기 인디케이터(7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모빌리티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물의 정보를 인식하게 유도하여 안전한 주행을 유도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감지부(1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브레이크(1)의 작동을 인지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속도감지부(50)에서 측정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5)의 RPM 정보를 수집하여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5)의 RPM이 감소하지 않으면 모터(5)의 다이나믹 브레이크(5a)를 작동시켜 모빌리티의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키도록 하여 모빌리티의 안정적인 운행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5)의 다이나믹 브레이크는 통상적으로 모터에 설치되는 기기(회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100)은 브레이크 감지부(10)와 작동부(20) 및 스로틀(30)의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통합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제어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컨트롤러(60)로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함으로, 종래에 컨트롤러와 복잡하게 연결되는 각종 배선들을 제거하여 제어모듈을 매우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수려한 미관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모듈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제품의 용이한 생산성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81)를 통해 모빌리티의 작동(시동)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취향에 맞게 모빌리티 운행에 대한 각종 기능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모빌리티의 편리한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가 미작동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강제적으로 모빌리티의 운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장치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상감지부(91)를 통해 모빌리티가 기울어지거나 진동이 감지되면 곧바로 상기 경보부(92)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켜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100)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고 작동하여 모빌리티를 제어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를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키(81)를 소지한 사용자가 모빌리티로 근접하면 스마트키 모듈(82)에서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스타트부(83)를 활성화하여 모빌리티의 작동을 준비하며, 이렇게 준비된 상태에서 버튼 또는 인디케이터(70) 화면으로 활성화되는 스타트부(83)를 사용자가 누르면 모빌리티의 시동이 걸리게 된다.
그런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60) 화면을 통해 설정부(111)를 활성화하면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 주행모드, 크루즈 모드, 연장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창이 출력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각각 설정하고, 그 설정된 내용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간편히 모빌리티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설정한다.
여기서, 간편히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111)가 인디케이터(70) 화면으로 활성화된 상태에서 최고 속도를 터치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부착 및 탈착에 따른 각각의 최고 속도를 설정하는 화면이 활성화되며 사용자는 간편히 각각의 최고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 2d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주행모드, 크루즈 모드, 연장모드 역시 각각 터치하여 활성화한 상태에서 자신의 취향에 따라 각각 설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면 모빌리티의 운행을 시작하는데,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후방에서 차량과 같은 사물이 근접하면 거리감지부(140)에서 이를 인지하여 인디케이터(70) 화면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한다.
또한,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 운행 중에 브레이크를 작동시 속도감지부(50)를 통해 모빌리티의 속도나 모터의 RPM이 저감되지 않음이 인지되면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컨트롤러(60)를 통해 모터(5)의 다이나믹 브레이크(5a)를 작동시켜 모빌리티를 강제적으로 정지되게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그런 후,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의 사용이 완료되여 상기 스타트부(83)를 다시 누르면 모빌리티의 시동이 정지되고, 상기 스마트키(81)를 소지한 사용자가 멀어져 상기 스마트키 모듈(82)에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스타트부(83)가 비활성화되며,
이때, 모빌리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면 이상감지부(91)에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경보부(92)를 통해 주변으로 경보하여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100)을 통해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브레이크 2. 방향지시등
3. 전방램프 4. 후방램프
5. 모터 5a. 다이나믹 브레이크
6. 배터리
10. 브레이크 감지부 20. 작동부
30. 스로틀 40. 인터페이스 보드
50. 속도감지부 60. 컨트롤러
70. 인디케이터 81. 스마트키
82. 스마트키 모듈 83. 스마트부
91. 이상감지부 92. 경보부
111. 설정부 112. 설정저장부
120. 잔량검출부 130. 의자감지부
140. 거리감지부
100.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Claims (8)

  1. 브레이크(1)의 작동을 감지하는 브레이크 감지부(10)의 감지신호와, 방향지시등(2)과 전후방램프(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20)의 제어신호와, 모터(5)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로틀(30)의 제어신호를 수집하고, 그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60)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보드(40);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전송하는 감지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방향지시등(2)과 후방램프(4) 및 모터(5)의 작동을 제어하되, 속도감지부(50)를 통해 측정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5)의 RPM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컨트롤러(60); 및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수집되는 정보가 영상으로 출력되는 인디케이터(70:indic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수집되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방램프(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스마트키(81)와,
    상기 스마트키(81)의 접근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스마트키 모듈(82)과,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타트부(8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키(81)가 모빌리티에 근접하면 상기 스마트키 모듈(82)에 감지되고, 그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스타트부(83)를 활성화시켜 모빌리티의 작동을 준비하고,
    상기 스마트키(81)가 모빌리티에서 이탈되면 상기 스마트키 모듈(82)에 상기 스마트키(81)가 감지되지 않고, 그 감지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스타트부(83)를 비활성하여 모빌리티의 작동을 컨트롤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모빌리티의 기울기나 진동을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이상감지부(91)를 통해 상기 스타트부(83)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가 모빌리티의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을 인지하면 소리나 빛으로 경보하는 경보부(92)를 통해 외부로 경보하여 모빌리티의 도난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와 주행모드 및 크루즈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설정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로 전송하는 설정부(111)와,
    상기 설정부(111)에 설정된 정보가 저장되어 모빌리티 재사용시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저장된 설정정보가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게 하는 설정저장부(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모빌리티의 최고 속도와 주행모드 및 크루즈 모드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설정된 내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설정부(111)에서 설정된 설정정보를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60)에서 설정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모빌리티의 배터리(6) 전원 잔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잔량검출부(12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에서 배터리(6)의 잔량이 설정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를 통해 모터(5)의 토크를 절감하여 남은 배터리(6) 전원을 통한 주행거리를 연장하는 연장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모드는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모터(5)의 토크가 절감되도록 하는 배터리(6)의 잔량 정도를 수치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모드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모빌리티에 탈·부착되는 의자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의자감지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의자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의 모빌리티 최고 속도와, 의자가 탈착되어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모빌리티 최고 속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설정부(111)를 통해 설정된 의자 탈·부착 여부에 따른 각각의 최고 속도 내용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설정된 최고 속도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60)에서 설정된 최고 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모빌리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빌리티의 후방에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고, 그 사물과 모빌리티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하는 거리감지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리감지부(140)를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로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상기 인디케이터(70)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모빌리티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사물의 정보를 인식하게 유도하여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감지부(1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브레이크(1)의 작동을 인지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40)는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속도감지부(50)에서 측정하는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5)의 RPM 정보를 수집하여 모빌리티의 운행속도나 모터(5)의 RPM이 감소하지 않으면 모터(5)의 다이나믹 브레이크(5a)를 작동시켜 모빌리티의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키도록 하여 모빌리티의 안정적인 운행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KR1020150165923A 2015-11-25 2015-11-25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KR10180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923A KR101807299B1 (ko) 2015-11-25 2015-11-25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923A KR101807299B1 (ko) 2015-11-25 2015-11-25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029A KR20170061029A (ko) 2017-06-02
KR101807299B1 true KR101807299B1 (ko) 2017-12-08

Family

ID=5922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923A KR101807299B1 (ko) 2015-11-25 2015-11-25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622B1 (ko) * 2020-04-23 2020-11-04 박구세 밀림 방지 퍼스널 모빌리티 및 밀림 방지 제어방법
KR20210095767A (ko) 2020-01-23 2021-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115B1 (ko) * 2020-08-05 2022-04-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이동수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8921A (ja) 2014-01-06 2015-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小型移動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8921A (ja) 2014-01-06 2015-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小型移動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767A (ko) 2020-01-23 2021-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173622B1 (ko) * 2020-04-23 2020-11-04 박구세 밀림 방지 퍼스널 모빌리티 및 밀림 방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029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9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807299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통합형 제어모듈
JP5905691B2 (ja) 車両用操作入力装置
CN108430819B (zh) 车载装置
JP2016153250A (ja) 情報処理装置
KR101567194B1 (ko) 착탈식 차량 정보 인디케이터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보 인디케이팅 방법
ITUB20160367A1 (it) Dispositivo di sterzata per un veicolo a motore, nonche' procedimento per l'azionamento di un dispositivo di sterzata
KR20140058309A (ko) 차량용 컨트롤 장치
KR20120062554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JP6353632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610409B1 (ko)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
CN105083147A (zh) 车载控制器及具有其的汽车控制系统
KR102425354B1 (ko) 주행 환경과 실시간 인터랙션 가능한 헬멧
KR101648021B1 (ko) 시선 인식 기능을 갖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과 시선 인식 시스템
KR101237035B1 (ko) 방향지시 표시 제어장치
KR101550602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20130105116A (ko) 동체 감지를 이용한 방향정보 지시기
KR101055703B1 (ko) 차량의 정황정보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2321B1 (ko)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KR20170112076A (ko) 자전거 운행상태 표시장치
KR101922454B1 (ko)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1932A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메뉴 아이콘 표시 장치 및 방법
CN206187266U (zh) 一种带有盲点检测功能的助力自行车系统
WO2023276381A1 (ja) 車両
KR20080111781A (ko) 단말 동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