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454B1 -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454B1
KR101922454B1 KR1020170040814A KR20170040814A KR101922454B1 KR 101922454 B1 KR101922454 B1 KR 101922454B1 KR 1020170040814 A KR1020170040814 A KR 1020170040814A KR 20170040814 A KR20170040814 A KR 20170040814A KR 101922454 B1 KR101922454 B1 KR 10192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sensing unit
change
unit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902A (ko
Inventor
박남숙
황준구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03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 B60S1/0807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using electronic control means, e.g. tubes, semi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60K2350/1024
    • B60K2350/1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선 분산 없이 다양한 장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USING TRANSITION OF QUANTITY OF ELECTRIC CHARGE}
본 발명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선 분산 없이 다양한 장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근래 들어 스티어링 휠은 진행 방향 설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에는 오디오 볼륨스위치, 오디오 콘텐츠 변경 스위치, 온도 조절 스위치, 시트 위치 변경스위치, 와이퍼 작동 스위치,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system) 스위치, 윈도우 개폐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스티어링 휠은 그 크기가 제한적이고,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기능만을 할당하도록 제공되므로, 각종 편의장체와 관련된 모든 버튼을 스티어링 휠에 배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은 그 자체만으로도 사람이 가진 주의력을 소진할 만큼 복합적인 작업이며 운전과 동시에 다른 일을 하는 것은 운전 수행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데, 자동차 주행 중 스티어링 휠에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한 버튼들을 직접 조작하는 작업들은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운전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제스처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10)에 설치되어 제스처(gesture)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20) 및 상기 제스처 인식부(20)에서 인식된 제스처에 따라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스처 인식부(20)에서 인식된 제스처에 설정된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특정 제어항목에 설정된 제스쳐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전자기기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제스처 인식부(20)는 스티어링 휠(10)의 지지프레임(12)에 장착되므로, 그 크기가 작을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제스처를 용이하게 표현할 수 없어,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개수가 소수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28441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1010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 휠에 다양한 제스처 명령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스처인식부를 구비하여, 운전자의 시선 분산 없이 다양한 장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감지하는 제스처감지부; 및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사용자의 비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전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림과, 상기 림의 중앙에 배치되는 보스와, 상기 림과 상기 보스를 연결시키는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상기 림과 상기 보스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위치한 클러스터에 기능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전하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기능버튼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스처감지부에서 제스처를 취한 손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 추출 시 상기 이동속도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해당 제어기기는 와이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에서 제스처를 취한 손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와이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림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정위치부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하량 변화가 입력되면,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림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위치가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하량 변화가 입력되면,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림은 아날로그 시계의 9시 또는 10시에 해당하는 위치에 정위치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정위치부는 상기 정위치안내부와 대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각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조향각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 전달과정;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가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기능버튼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추출과정; 및 추출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 전달과정;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인식과정;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스처감지부에서 제스처를 취한 손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과정; 상기 제스처감지부에서 제스처를 취한 손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해당 제어기기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추출과정; 및 추출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스티어링 휠의 림과 마주보는 정위치부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확인과정;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 전달과정; 상기 확인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인식과정; 인식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추출과정; 및 추출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달 과정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식 과정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달 과정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비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전기장 변화를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식 과정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스처감지부가 스티어링 휠의 림과 스포크 사이를 커버하도록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운전자는 다양한 제스처를 제스처감지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스처감지부가 투명하도록 구성되므로, 스티어링 휠의 후방에 위치되는 클러스터를 커버한다 하더라도, 운전자는 제스처감지부를 통하여 클러스터에 구비된 각종 계기판, 안내판, 안내메시지 등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는 제스처감지부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를 간접적으로 터치하므로, 운전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로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취하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해당 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가 제스처를 취하는 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해당 제어기기를 다양한 옵션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바른 자세로 잡도록 유도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스티어링 휠을 민첩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너링 등을 위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기 설정된 설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운전자가 부주의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를 터치 또는 드래그한다 하더라도, 해당 제어기기를 제어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가 부주의로 해당 제어기기를 제어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제스처감지부가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제스처감지부가 감지하는 제스처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이 와이퍼를 제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기능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제어부가 운전저의 운전자세를 바른 자세로 유도하도록 제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조향각감지부가 감지한 조향각에 따라 제어기기를 제어 또는 제어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제스처감지부가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시선 분산 없이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50)에 구비되는 제스처감지부(110), 제어부(140) 및 기기구동부(150)를 포함하며, 기능버튼부(120) 및 조향각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50)은 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조향하기 위해 조작하는 장치이다. 스티어링 휠(50)은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링(ring) 모양으로 형성된 림(rim)(52)과, 상기 림(52)의 중앙에 위치되되 스티어링 칼럼과 연결되는 보스(54)와, 상기 보스(54)에서 림(52)의 내주연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보스(54)와 림(52)을 연결시키는 스포크(spoke)(56)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스(54)에는 일반적으로 경적을 울리기 위한 경적부가 설치된다.
제스처감지부(110)는 스티어링 휠(50)의 림(52)과 스포크(56)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스처감지부(110)는 차량의 대시보드와 대향되는 림(52)의 내주연 전방과 스포크(56)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면상으로 넓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스처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스처감지부(110)는 사용자의 비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전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기장 변화는 인체의 피부를 매질로 이용하여 통신하는 전기장 통신 기술(E-Field Communication, EFC)을 이용한 것으로, 입력되는 에너지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스처감지부(11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감지부(110)는 운전자의 손가락의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의하여 정전 용량 또는 전기장이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제스처를 취하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제스처감지부(110)의 어느 한 제 1 위치를 접촉하거나 제 1 위치와 근접하게 위치시키면, 제스처감지부(110)의 제 1 위치에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운전자가 손가락을 제스처감지부(110)의 어느 한 제 1 위치에서 다른 한 제 2 위치로 이동 즉, 드래그(Drag)하면, 제스처감지부(110)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방향으로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취하는 제스처에 의한 제스처감지부(110)의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값은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터치라 함은 제스처감지부(110)에 손가락이 접촉 또는 비접촉된 상태에서 제스처감지부(110)의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이 변화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그리고 드래그라 함은 제스처감지부(110)에 손가락이 접촉 또는 비접촉된 상태에서 제스처감지부(110)의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를 일으키면서 이동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여기서 제스처감지부(110)는 스티어링 휠(50)에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자는 다양한 제스처를 제스처감지부(110)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값을 이용하여, 각종 제스처(Gesture)를 인식한다. 제어부(140)가 인식하는 제스처의 종류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기 등록된 제스처 중 제스처감지부(110)를 통하여 인식한 제스처와 일치하는 제스처가 있으면, 해당 제스처와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추출한 제어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해당 제어기기의 해당 기기구동부(15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기기는 운전자의 안전 또는 편의를 위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기기 또는 각종 기기와 연결된 스위치로, 예를 들면, 터치인식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물리적인 압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오디오 볼륨스위치, 오디오 콘텐츠 변경 스위치, 온도 조절 스위치, 시트 위치 변경스위치, 와이퍼 작동 스위치,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system) 스위치 및 윈도우 개폐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스위치는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50) 또는 센터페시아에 구비될 수도 있다.
기기구동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제어기기를 직접 구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거나, 오디오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온도를 조절하거나, 시트 위치를 변경하거나, 와이퍼(60)를 작동시키거나,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system)을 조작하거나,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기능버튼부(120) 및 조향각감지부(130)는 후술하는 제 3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제스처감지부가 감지하는 제스처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제스처감지부(110)의 제 1 위치(P1)를 터치한 후 제 2 (P2)위치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드래그하여 제 1 제스처를 취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제스처감지부(110)의 제 3 위치(P3)를 터치한 후 제 3 위치의 아래 방향인 제 4 위치(P4)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제 2 제스처를 취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운전자는 제스처감지부(110)의 제 5 위치(P5)를 터치한 후 제 5 위치의 상부 방향인 제 6 위치(P6)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제 3 제스처를 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가 다양한 형상으로 드래그하여 다양한 제스처, 예를 들면 제 1 제스처 내지 제 3 제스처를 취할 수 이 있으며, 제스처감지부(110)는 이를 제어부(140)로 전달하여, 제어부(140)가 다양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제스처 내지 제 3 제스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외에도 다른 형상의 제스처가 인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이 와이퍼를 제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제 1 실시예에서 제어부(140)가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와이퍼(60)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퍼(60)는 비 등에 의하여 윈드실드(Windshield)(W)에 맺힌 물방울을 닦아내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강수량 등의 외부 상황에 따라 와이퍼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와이퍼(60)의 속도가 제어되어, 선택된 시간 지연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와이퍼(60)가 윈드실드의 물방울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와이퍼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제스처를 이용하여 와이퍼(60)를 작동시키되, 운전자가 제스처를 취하는 속도를 이용하여 와이퍼(60)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스처감지부(110)가 운전자의 드래그에 따른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부(140)가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제스처감지부(110)를 드래그한 손(F)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이를 통하여 와이퍼(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스처를 인식한다. 그 후, 제스처의 길이 및 운전자가 손으로 제스처감지부(110)를 드래그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이용하여 손의 이동 속도를 검출한다. 그 후, 제어부(140)는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 즉 와이퍼(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추출할 때 상기 이동 속도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할 때 상기 이동 속도를 반영하여, 손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면 와이퍼(60)의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손의 이동 속도가 느리다면 와이퍼(60)의 움직이는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신호를 추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스처감지부(110)가 감지하는 제스처는 와이퍼(60) 이외에 예를 들면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손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손이 이동속도가 느리면 스피커의 볼륨을 작게 조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제스처에 매칭되는 해당 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여기에 더하여 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해당 제어기기를 다양한 옵션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클러스터에 구비되는 기능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클러스터(70)에 기능버튼부(120)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클러스터(Cluster)(70)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차량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의 속도, RPM,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 등을 운전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판으로 구성된다. 최근 들어 클러스터(70)에는 공기압 상태, 각종 오일의 상태, 연비 등 차량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어 운전자는 클러스터(70)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스처감지부(110)는 스티어링 휠(50)의 일부를 커버하므로, 스티어링 휠(50)의 후방에 위치되는 클러스터(70)를 가릴 수 있는데, 제스처감지부(110)가 투명으로 구성되므로, 스티어링 휠(50)의 후방에 위치된 클러스터(70)를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클러스터(70)는 스티어링 휠(50)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 사이 공간을 통하여 클러스터(70)를 볼 수는 있으나, 손으로 클러스터(70)를 직접 터치하기는 어려운 구조이다. 만일 클러스터(70)에 기능버튼부(120)가 있다면, 기능버튼부(1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다양한 조작버튼 중 운전자의 손과 가장 가까이 있는 조작버튼일 것이므로, 센터패시아 등에 위치한 조작버튼보다 활용도가 뛰어날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70)에 위치한 기능버튼부(120)를 운전자가 운전 도중 직접 터치하기는 어려우므로, 본 발명은 제스처감지부(110)의 하방으로 이격 위치된 클러스터(70)에 기능버튼부(120)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제스처감지부(110)의 기능버튼부(120)와 대향되는 위치를 터치하면 기능버튼부(120)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운전자는 기능버튼부(120)를 직접 터치할 필요 없이, 제스처감지부(110)의 기능버튼부(120)와 대향되는 위치를 터치하면, 기능버튼부(120)가 간접적으로 터치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운전자의 손과 가까이 위치한 클러스터(70)에 기능버튼부(120)를 구비하고, 제스처감지부(110)의 기능버튼부(120)와 대향되는 위치를 터치하면, 제어부(140)가 해당 기능버튼부(120)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해당 기능버튼부(120)와 연결된 제어기기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제스처감지부(110)를 이용하여 클러스터(70)의 기능버튼부(120)를 간접적으로 터치하므로, 운전에 방해되지 않는 상태로 클러스터(70)의 기능버튼부(120)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버튼부(120)의 표면에 안내그림(52) 또는 안내메시지가 인쇄되어 있다면, 운전자는 기능버튼부(120)이 인쇄된 내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기능버튼부(120)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제어부가 운전저의 운전자세를 바른 자세로 유도하도록 제어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제 1 실시예에서 정위치안내부(52a)와 정위치부(110a)를 더 포함한다. 정위치안내부(52a)는 스티어링 휠(50)에 구비되는 림(52)의 9시 또는 10시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잡는 가장 안정된 손잡이의 위치는 통상의 아날로그 시계를 기준으로 9시 15분이나 10시 10분의 시침과 분침이 가리키는 영역에 각각 위치되므로, 정위치안내부(52a) 또한, 림(52)의 9시 또는 10시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위치안내부(52a)는 가상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특정 패턴으로 림(52)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정위치부(110a)는 제스처감지부(110)의 림(52)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되 정위치안내부(52a)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정위치부(110a) 또한 정위치안내부(52a)와 마찬가지로 가상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특정 패턴으로 제스처감지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전하량 변화가 제스처감지부(110)의 정위치부(110a)에서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바른 자세로 잡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바른 자세로 잡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이어서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다른 정전 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도록 한다. 만일,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바른 자세로 잡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40)는 확인 신호를 생성하지 않아,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다른 정전 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바른 자세로 잡도록 유도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스티어링 휠(50)을 민첩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조향각감지부가 감지한 조향각에 따라 제어기기를 제어 또는 제어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제 1 실시예에서 조향각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향각감지부(130)는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연결된 것으로, 운전자가 회전시키는 스티어링 휠(50)의 조향각을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조향각감지부(130)가 전달하는 스티어링 휠(50)의 조향각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제스처감지부(110)를 이용하여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코너링 등을 위하여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기 설정된 설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운전자가 부주의로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110)를 터치 또는 드래그한다 하더라도, 해당 제어기기를 제어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가 부주의로 해당 제어기기를 제어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은 먼저,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차량의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1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그 후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가 상기 제스처감지부(110)의 클러스터(70)의 기능버튼부(12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의 클러스터(70)의 기능버튼부(12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기능버튼부(120)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고(S120), 추출한 제어신호를 해당 기능버튼부(120)와 연결된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한다(S130).
만일, 상기 S110 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의 클러스터(70)의 기능버튼부(120)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S112),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한다(S122). 그 후, 제어부(140)는 추출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한다(S132).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은 먼저,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차량의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110)가 감지한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그 후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한다(S210). 그 후, 제어부(140)는 제스처의 길이 및 운전자가 손으로 제스처감지부(110)를 드래그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이용하여 손의 이동 속도를 검출한다(S22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정전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와이퍼(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스처를 인식하면, 제스처의 길이 및 운전자가 손으로 제스처감지부(110)를 드래그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이용하여 손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를 드래그한 손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해당 제어기기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추출한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손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면 와이퍼(60)의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손의 이동 속도가 느리다면 와이퍼(60)의 움직이는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신호를 추출한다. 그 후, 제어부(140)는 추출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기기 즉, 와이퍼(60)로 출력하여, 와이퍼(60)의 작동 속도가 제어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은 먼저, 제어부(14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110)의 스티어링 휠(50)의 림(52)과 마주보는 정위치부(110a)에서 제 1 정전 용량 변화 또는 제 1 전기장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신호를 생성한다(S300).
상기 S300단계에서, 확인신호가 생성되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바른 자세로 잡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차량의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1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제 2 정전 용량 변화 또는 제 2 전기장 변화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그 후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S320), 이어서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여(S330),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한다(S340).
만일, 상기 S300단계에서, 확인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바른 자세로 잡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확인신호가 생성될 때까지,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제 2 정전용량 또는 제 2 전기장 변화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은 먼저, 제어부(140)는 조향각감지부(130)로부터 조향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향각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이 아닌 경우, 즉 기 설정된 각도 미만인 경우, 안전신호를 생성한다(S3400).
상기 S400단계에서, 안전신호가 생성되면,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기 설정된 각도 미만으로 회전시킨 것으로, 판단하고,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차량의 스티어링 휠(50)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110)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그 후 제어부(140)는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S5420), 이어서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여(S430),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한다(S440).
만일, 상기 S400단계에서, 안전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50)을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킨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안전신호가 생성될 때까지, 제스처감지부(110)로부터 정전 용량 또는 전기장 변화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50: 스티어링 휠 52: 림
54: 보스 56: 스포크
60: 와이퍼 70: 클러스터
100: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110: 제스처감지부 120: 기능버튼부
130: 조향각감지부 140: 제어부
150: 기기구동부

Claims (15)

  1.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감지하는 제스처감지부; 및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림과, 상기 림의 중앙에 배치되는 보스와, 상기 림과 상기 보스를 연결시키는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상기 림과 상기 보스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투명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위치한 클러스터에 기능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전하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기능버튼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2.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를 감지하는 제스처감지부; 및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림과, 상기 림의 중앙에 배치되는 보스와, 상기 림과 상기 보스를 연결시키는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상기 림과 상기 보스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림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정위치부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하량 변화가 입력되면,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상기 림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위치가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하량 변화가 입력되면,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림은 아날로그 시계의 9시 또는 10시에 해당하는 위치에 정위치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정위치부는 상기 정위치안내부와 대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사용자의 비접촉에 의한 제스처에 따른 전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장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감지부는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스처감지부에서 제스처를 취한 손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 추출 시 상기 이동속도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해당 제어기기는 와이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감지부에서 제스처를 취한 손의 이동속도에 비례하여 와이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각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조향각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인식한 제스처에 따른 제어신호를 추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11.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제스처감지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전하량 변화가 전달되는 전달과정;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가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하였으면, 상기 기능버튼부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제스처감지부의 클러스터의 기능버튼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전하량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스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하량 변화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한 제스처에 매칭되는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추출과정; 및
    추출된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기기로 출력하는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40814A 2017-03-30 2017-03-30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92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14A KR101922454B1 (ko) 2017-03-30 2017-03-30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14A KR101922454B1 (ko) 2017-03-30 2017-03-30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02A KR20180110902A (ko) 2018-10-11
KR101922454B1 true KR101922454B1 (ko) 2018-11-27

Family

ID=6386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14A KR101922454B1 (ko) 2017-03-30 2017-03-30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27B1 (ko) * 2018-12-19 2020-12-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stm 기반 조향 행동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4735A (ja) * 2013-01-30 2014-08-14 Yazaki Corp 表示制御装置
JP6011579B2 (ja) * 2014-05-21 2016-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ェスチャ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4735A (ja) * 2013-01-30 2014-08-14 Yazaki Corp 表示制御装置
JP6011579B2 (ja) * 2014-05-21 2016-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ェスチャ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02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312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mmand and control
US10474357B2 (en) Touch sens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user input from a driver side or passenger side in a motor vehicle
US9403537B2 (en) User input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US8155837B2 (en) Operating device on vehicle's steering wheel
JP5850229B2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57565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5124397B2 (ja) 自動車用入出力装置
US9701201B2 (en)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77680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5981182B2 (ja) 表示制御装置
JP2007106353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システム
US9540016B2 (en) Vehicle interface input receiving method
KR101974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8698626B (zh) 具有双面透明触摸感应壁的驾驶方向盘
KR101922454B1 (ko) 전하량 변화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KR102684822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31620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6881368B2 (ja) 車両用入力装置
KR20170029207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1897402B2 (en) Control device
JP6390380B2 (ja) 表示操作装置
CN206812888U (zh) 一种汽车方向盘
KR20130071013A (ko) 차량 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13186920A1 (ja) 入力装置、入力方法、入力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