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11A -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11A
KR20210089011A KR1020200002189A KR20200002189A KR20210089011A KR 20210089011 A KR20210089011 A KR 20210089011A KR 1020200002189 A KR1020200002189 A KR 1020200002189A KR 20200002189 A KR20200002189 A KR 20200002189A KR 20210089011 A KR20210089011 A KR 20210089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air
cleaning module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원효진
서경혜
최한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011A/ko
Publication of KR2021008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시트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를 포함한다. 바디부의 내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청정 모듈을 향해 유동되는 흡기 유로 및 공기 청정 모듈에서 외부로 유동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에 안착된 유아는 정화된 공기를 실시간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Infant seat part capable of clean air}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유아용 시트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의 변화 및 산업화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문제가 되고 있다. 사람이 호흡함에 따라 인체 내부에 유입된 미세먼지는 폐 등에 잔류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가 발생한 상황에서 야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마스크 등의 방진 제품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마스크 등의 방진 제품은 모든 연령대에서 활용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마스크 착용시 답답함을 느낄 수 있음에 기인한다.
즉,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는 청소년 또는 성인의 경우, 답답하더라도 마스크를 착용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위험성을 인지하기 어려운 유아의 경우, 마스크 착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더욱이, 자가 보행이 어려운 유아의 경우, 유모차 등에 탑승되어 이동됨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보호자는 유아가 탑승한 유모차 등을 주행시킴과 동시에, 유아의 마스크 착용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더욱이, 미세먼지의 농도는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한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반대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지 않아 유아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채로 외출에 나섰으나, 미세먼지의 농도가 급증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유아의 마스크 착용 상태를 변경해야 한다.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는 별론, 미세먼지의 농도가 급증하는 경우, 적절한 시점에 마스크 착용이 수행되지 않으면 유아가 호흡기 질환을 겪게 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46253호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에 설치된 캐노피에 구비되어, 캐노피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는 유모차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공기청정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청정기가 장착된 유모차 전체를 구입해야만 하는 난점이 존재한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이 제시하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는 유모차와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만을 유지 보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유모차 전체를 유지 보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5-0142971호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에 연결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이동식 공기청정기는 덮개부와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필터부가 일체로 구비됨을 전제한다. 즉, 공기청정기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가 결합된 덮개부가 함께 구비되어야만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특정 방향에서 유입되는 공기만을 정화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즉,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위치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46253호 (2019.12.02.)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5-0142971호 (2015.12.2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아가 탑승한 공간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탑승한 공간의 공기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화된 공기를 유아가 탑승한 공간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탑승한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탑승한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구성 요소의 유지 보수가 간편한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탑승한 공간의 공기 상태를 보호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탑승한 공간의 공기 상태를 보호자가 다양한 형태로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둘러싸며, 내부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외측 커버부;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부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는 내측 커버부; 상기 외측 커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공간부 및 상기 공기 청정 모듈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을 향해 유동되는 흡기 유로; 및 상기 공간부 및 상기 공기 청정 모듈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간부를 향해 유동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흡기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상기 공간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 및 상기 배기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아가 안착되며, 상기 외측 커버부에 둘러싸이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외측 커버부의 타측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흡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안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다른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기 유로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안착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아가 안착되며, 상기 외측 커버부에 둘러싸이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외측 커버부의 타측 및 다른 타측과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흡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타측 및 상기 다른 타측에 각각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각각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흡기 유로는,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안착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내측 커버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내측 커버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 흡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내측 커버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3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흡기 유로는, 상기 제3 경사부와 상기 내측 커버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경사부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공기 청정 모듈까지 연장되는 제1 배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내측 커버부를 감싸는 제3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로는, 상기 제3 경사부의 일 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공기 청정 모듈까지 연장되는 제2 배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공간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감지된 상기 먼지 농도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의 상기 출력부는, 감지된 상기 먼지 농도를 시각화 정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는, 외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간인 모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의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은 개방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모듈 수용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외부의 크래들부 또는 외부의 카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크래들부에 구비되는 크래들 통전 단자 또는 카트부에 구비되는 카트 통전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통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유아용 시트부는 흡기 유로 및 배기 유로를 포함한다. 흡기 유로 및 배기 유로는 유아용 시트부에 결합되는 공기 청정 모듈과 각각 연통된다. 공간부로부터 흡기 유로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 청정 모듈을 통해 정화된 후, 배기 유로를 통해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로 유동된다.
따라서,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 외부의 공기뿐만 아니라,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 내부의 공기 또한 공기 청정 모듈을 통해 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흡기 유로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흡기 유로는 유아용 시트부의 전방 측, 중앙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 흡기 유로는 배치된 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흡입된 공기는 각각 공기 청정 모듈로 전달되어 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의 다양한 위치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 청정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의 공기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기 청정 모듈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배기 유로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기 유로는 유아용 시트부의 중앙 측 및 전방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로는, 정화된 공기가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를 향해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정화된 공기가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의 다양한 위치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의 공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된 공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모듈은 유아용 시트부의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기 청정 모듈은 그 자체로 공기 정화에 요구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듈이 바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 공기 청정 모듈은 유아용 시트부와 통전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 모듈이 바디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공기 청정 모듈만을 분리하여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모듈은 출력부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부는 상기 정보를 시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가 크래들부에 결합되는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 모듈은 바디부의 전방 측, 즉 차량의 앞좌석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보호자는 고개를 뒤로 돌리는 것만으로도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가 카트부에 결합되는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 모듈은 카트부의 전방 측, 즉 카트부의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카트부 주변의 보행자들이 공기 청정 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에 따라, 인지된 정보를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탑승한 공간부의 공기 상태를 보호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청정 모듈의 출력부는 발광 유닛 뿐만 아니라 음성 출력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 유닛은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를 음성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또한, 통신 유닛은 상기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유모차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아용 시트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유아용 시트부의 통전을 위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5의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공기 청정 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유아용 시트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유아용 시트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공기 청정 모듈이 다양한 형태로 발광되어 공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도 5의 공기 청정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카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5의 공기 청정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크래들부 또는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은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는 유아용 시트부(10) 및 크래들(cradle)부(2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내부에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안착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는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1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에어 커버(11)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상기 공간을 덮도록 유아용 시트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 외부와 상기 공간은 에어 커버(11)를 통과해서만 연통될 수 있다.
에어 커버(11)는 패브릭(fabric)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 커버(11)는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는 메시(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커버(11)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필터링(filtering)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인 바, 본 항에서는 크래들부(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크래들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카시트(1)가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부(20)는 고정 부재에 의해 차량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아이소픽스(ISOFix)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에 비해 고중량일 수 있다. 크래들부(20)에는 스마트 카시트(1)가 작동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실장됨에 기인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작동되는데 필요한 전력은 크래들부(2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차량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부(20)는 도선 부재(미도시)를 통해 차량의 시거 잭(cigar jack)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리클라이닝(reclining)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래들부(20)는 모터 등의 다양한 구동부 및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 등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크래들 몸체부(21), 시트 결합부(22) 및 결합 부재(23)를 포함한다.
크래들 몸체부(21)는 크래들부(20)의 몸체를 형성한다. 크래들 몸체부(21)는 차량의 주행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크래들 몸체부(21)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무게 중심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크래들 몸체부(21)는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 몸체부(21)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 몸체부(2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크래들부(2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필요한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시트 결합부(22)는 유아용 시트부(10)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되는 바, 시트 결합부(22)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시트 결합부(22)의 상측은 개방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은 시트 결합부(22)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시트 결합부(22)의 내부에는 결합 부재(23)가 구비된다.
결합 부재(23)는 시트 결합부(22)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부재(23)는 시트 결합부(22)의 내부에서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 부재(23)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삽입 공간부(25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2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삽입 공간부(25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결합 부재(23)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두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에는 결합 홈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결합 핀부(23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결합 부재(2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크래들 통전 단자(23a)가 구비된다.
크래들 통전 단자(23a)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통전부(2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크래들 통전 단자(23a)는 결합 부재(23)의 상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 통전 단자(23a)가 노출된 면은 결합 부재(23)의 상측 면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크래들 통전 단자(23a)는 결합 부재(23)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크래들 통전 단자(23a)는 접촉에 의해 다른 부재와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 통전 단자(23a)는 포고 핀(pogo pin)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2)의 설명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2)는 유아용 시트부(10) 및 카트(cart)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게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30)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3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30)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는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카트부(3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2)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부(3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카트부(30)의 핸들부(34)를 파지하여 카트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카트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에 비해 고중량일 수 있다. 카트부(30)에는 스마트 유모차(2)가 작동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실장됨에 기인한다.
카트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작동되는데 필요한 전력은 카트부(3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부(3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유모차(2)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카트부(3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부(30)는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카트부(30)는 모터 등의 다양한 구동부 및 랙 앤 피니언 등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트부(3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카트부(30)는 휠(wheel)부(31), 지지부(32), 삽입 부재(33) 및 핸들부(34)를 포함한다.
휠부(31)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따라 구름 동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카트부(30)가 이동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된다. 휠부(31)는 카트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휠부(31)는 구름 동작되어 카트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31)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31)는 전방 휠(31a) 및 후방 휠(31b)을 포함한다.
전방 휠(31a)은 카트부(3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전방 휠(31a)은 카트부(30)에 수직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방 휠(31a)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하여, 카트부(30)가 진행할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전방 휠(31a)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방 휠(31a)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휠(31a)은 두 개 구비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후방 휠(31b)은 카트부(3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후방 휠(31b)은 모터 등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미도시)가 회전되면, 후방 휠(31b) 또한 회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후방 휠(31b)은 카트부(30)가 진행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후방 휠(31b)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30)는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후방 휠(31b)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후방 휠(31b)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휠(31b)은 두 개 구비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지지부(32)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지지부(32)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바, 지지부(32) 또한 하측으로 볼록한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32)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안정적으로 안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32)의 내부에는 삽입 부재(33)가 구비된다.
삽입 부재(33)는 지지부(32)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삽입 부재(33)는 지지부(32)의 내부에서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삽입 부재(33)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삽입 공간부(25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3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삽입 공간부(25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부재(33)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두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에는 결합 홈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결합 핀부(2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3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삽입 부재(3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카트 통전 단자(33a)가 구비된다.
카트 통전 단자(33a)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통전부(22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3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트 통전 단자(33a)는 삽입 부재(33)의 상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 통전 단자(33a)가 노출된 면은 삽입 부재(33)의 상측 면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카트 통전 단자(33a)는 삽입 부재(33)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카트 통전 단자(33a)는 접촉에 의해 다른 부재와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 통전 단자(33a)는 포고 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부(30)의 삽입 부재(33)는 크래들부(20)의 결합 부재(23)와 형상 및 기능이 대응됨이 이해될 것이다.
핸들부(34)는 사용자가 카트부(30)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34)를 파지하고, 핸들부(34)를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가압하여 카트부(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부(34)는 유아용 시트부(10)에 비해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통상 보호자의 신장 및 시선이 유아용 시트부(10)보다 상측에 위치됨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34)는 카트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핸들부(34)는 카트부(30)에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상이한 파지 형태 및 카트부(30)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핸들부(34)에는 사용자가 인가한 힘의 방향 및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예를 들면, 로드 셀(load cell))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사용자가 핸들부(34)에 인가한 힘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휠부(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30)를 용이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의 설명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 또는 스마트 유모차(2)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 카시트(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3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 유모차(2)를 형성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와의 결합 관계는 상술한 바 있다. 이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바디부(100)의 하측, 전방 및 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바디부(10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바디부(100) 및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8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는 공기 청정 모듈(300) 및 공기 유로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공기 청정 모듈(300) 및 공기 유로부(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바디부(100)의 설명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내부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reclining)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게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외측 커버부(110), 내측 커버부(120), 안착부(130), 공간부(140), 손잡이부(150) 및 모듈 수용부(160)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즉,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는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내측 커버부(120) 및 안착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간에는 유아를 안착부(1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노출되는 부분은 경량이면서도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충격 등에 의해 부상당하지 않게 된다.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제3 흡기 유로(413)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흡기 유로(413)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공기가 후술될 공기 유로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외측 커버부(110)는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경사부(111)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연속된다.
제1 경사부(111)는 안착부(1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부(111)는 안착부(130)의 후방 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경사부(111)와 안착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경사부(111)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제1 흡기 유로(41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흡기 유로(411)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공기가 후술될 공기 유로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부(112)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2 경사부(112)의 후방 측 각 단부는 제1 경사부(111)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의 전방 측 각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는 안착부(1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2 경사부(112)는 안착부(130)의 좌측과 우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2 경사부(112)와 안착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경사부(112)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제2 흡기 유로(412)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흡기 유로(412)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공기가 후술될 공기 유로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경사부(112)의 내측에는 제1 배기 유로(421)가 형성된다. 제1 배기 유로(421)를 통해,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정화된 공기가 공간부(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3 경사부(113)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는 제2 경사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부분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각각 연속된다.
제3 경사부(113)는 내측 커버부(120)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 경사부(113)와 내측 커버부(12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제3 흡기 유로(413)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흡기 유로(413)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공기가 후술될 공기 유로부(4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각 경사부(111, 112, 113)는 제1 경사부(111)에서 제3 경사부(113)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경사부(111)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제3 경사부(113)가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 및 제3 경사부(113) 사이의 높이에 위치된다.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공간부(140)로 정의된다.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내측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된다.
유아가 공간부(140)에 수용되면, 유아의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등에서 머리에 이르는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기 공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공간부(140)의 전방 측은 내측 커버부(1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안착부(130)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부(12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제3 경사부(113)의 내측에서, 제3 경사부(113)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 커버부(120)의 상측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가 외측 커버부(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커버부(120)와 외측 커버부(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제3 흡기 유로(413)로 정의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내측 커버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제2 배기 유로(422)가 형성된다. 공기 청정 모듈(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제2 배기 유로(422)를 통해 공간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안착부(130)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안착부(130)는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안착부(130)는 상기 공간의 하측을 형성한다.
안착부(13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0)는 내측 커버부(120)와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30)에 안착된 유아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안착부(130)의 후방 측은 제1 경사부(11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안착부(130)의 좌측 및 우측은 제2 경사부(112)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제1 흡기 유로(411) 및 제2 흡기 유로(412)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0)의 전방 측에는 내측 커버부(120)가 위치된다. 안착부(130)와 내측 커버부(120)는 서로 연속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30)에 안착된 유아는 서로 다른 부재가 결합됨에 따른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공간부(140)는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40)는 외측 커버부(110) 및 내측 커버부(12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하측에는 안착부(13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신체 부위 중 하체는 안착부(13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전방 측에는 내측 커버부(12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상체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연통된다. 유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간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는 상기 후방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구비되는 차량 또는 카트부(30)가 급정지하더라도, 유아는 신체의 후측으로 쏠리게 되어, 상해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손잡이부(15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손잡이부(150)는 내측, 즉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아용 시트부(10)를 옮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택-스프링(tact-spr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50)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복수 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두 손으로 잡고 옮기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상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와 동일한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어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그에 따라 결합부(200)의 결합 핀부(230)가 크래들부(20)의 결합 부재(23) 또는 카트부(30)의 삽입 부재(33)에 형성된 결합 홈에서 배출될 수 있다.
모듈 수용부(160)는 공기 청정 모듈(300)이 바디부(100)에 삽입 결합되는 공간이다(도 10 참조). 모듈 수용부(160)는 외측 커버부(110)에서 함몰 형성된다. 모듈 수용부(160)의 형상은 공기 청정 모듈(30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듈 수용부(160)는 외측 커버부(110)의 제3 경사부(113)의 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보호자가 공기 청정 모듈(300)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어 스마트 카시트(1)를 형성하는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그 전방 측이 보호자가 안착한 차량의 앞좌석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의 뒷자석을 향해 시선을 돌림으로써, 스마트 카시트(1)에 구비된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30)에 결합되어 스마트 유모차(2)를 형성하는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그 후방 측이 카트부(30)를 파지하는 보호자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사용자는 유아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으므로, 유아가 호흡 곤란을 겪거나, 공기 질이 저하되고 있음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청정 모듈(300)은 스마트 유모차(2)의 전방 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보행자들이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출력된 정보를 인지하고 보호자에게 알릴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모듈 수용부(1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듈(300)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유지 보수 또는 충전 등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는 공기 청정 모듈(300)을 탈거할 수 있다.
모듈 수용부(160)에 수용된 공기 청정 모듈(300)은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전은,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2) 결합부(200)의 설명
결합부(2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부(200)는 크래들부(20)의 결합 부재(23) 또는 카트부(30)의 삽입 부재(3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 의해 지지됨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중심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의 질량중심이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100)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200)는 결합 함몰부(210),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및 가이드부(240)를 포함한다.
결합 함몰부(21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와 결합되는 공간이다. 결합 함몰부(210)는 바디부(100)의 하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결합 함몰부(210)의 크기는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함몰부(21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차량 또는 카트부(30)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결합 함몰부(21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는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가이드부(240) 및 삽입 공간부(250)가 위치된다.
통전부(22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통전부(220)는 크래들부(20)의 크래들 통전 단자(23a) 또는 카트부(30)의 카트 통전 단자(33a)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전부(220)는 크래들 통전 단자(23a) 또는 카트 통전 단자(33a)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부(220)는 포고 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20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의 결합이 완료되면, 통전부(220)는 크래들 통전 단자(23a) 또는 카트 통전 단자(33a)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 상태는 결합부(20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가 분리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 중 바디부(1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면에 위치된다.
통전부(22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300)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결합 함몰부(210)의 내측에 노출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통전부(2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바디부(100)의 내측에 함몰된다.
통전부(220)의 상기 타측은 도선 등의 부재(미도시)에 의해 공기 청정 모듈(30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 핀부(230)는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의 결합 홈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결합부(20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미도시)에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가 분리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핀부(23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결합 핀부(230b)를 포함한다.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삽입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이격 거리는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면,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의 두께에 의해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소정의 거리만큼 삽입되면, 결합 홈이 결합 핀부(230)와 인접한 높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의 형상으로 인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62)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의 결합이 완료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는 서로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231)는 삽입 부재(46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된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탄성 부재(231)는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탄성 부재(231)는 결합 핀부(230)와 가이드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각 결합 홈에 삽입되면, 탄성 부재(231)는 저장된 탄성력을 각 결합 핀부(230a, 230b)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결합 홈에 삽입된 결합 핀부(23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탄성 부재(231)는 압축 또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1)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1)는 두 개 구비된다. 두 개의 탄성 부재(231)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와 각각 연결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함몰부(210)는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0)는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 및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두 쌍의 옆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24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부(220)와 통전 단자부(464)를 통한 통전 이외의 다른 통전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24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부(250)에는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삽입 결합된다. 삽입 공간부(250)는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250)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250)는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250)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일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판형의 기둥 형상이다.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는 삽입 공간부(250) 내부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 또는 서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의 상기 이동은 손잡이부(150)가 가압되거나, 탄성 부재(231)의 형상 변형에 의해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삽입 공간부(250)에는 통전부(22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된다.
삽입 공간부(250)에 결합 부재(23) 또는 삽입 부재(33)가 삽입되면, 통전부(220)와 크래들 통전 단자(23a) 또는 카트 통전 단자(33a)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 통전되는 전류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되어, 다양한 구성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모듈(300)의 설명
도 8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는 공기 청정 모듈(300)을 포함한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공간부(140)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정화하거나,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청정 모듈(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공기 유로부(400)를 통해 공간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140)에는 청정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바디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 모듈(300)은 외측 커버부(110)의 전방 측에 형성된 모듈 수용부(1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바디부(100) 및 결합부(2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서 전달된 전력은 공기 청정 모듈(300)에 전달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소형화된 모듈(modul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공기 청정 모듈(30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 정화한 후 다시 배출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공기 유로부(400)와 연통된다. 흡기 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공기 청정 모듈(3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모듈(300)에 의해 정화되어 배출된 공기는 배기 유로(420)를 통해 공간부(140)로 유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 모듈(300)은 흡기부(310), 필터부(320), 가습부(330), 송풍부(340), 동력부(350), 배기부(360), 출력부(370), 센서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흡기부(310)에는 바디부(100) 외부의 공기 또는 공간부(140)의 공기가 유입된다. 흡기부(310)는 흡기 유로(410)와 연통된다. 흡기 유로(410)를 따라 유동된 유입된 공기는 흡기부(310)를 통해 공기 청정 모듈(300)에 유입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흡기 유로(410)는 제1 흡기 유로(411), 제2 흡기 유로(412) 및 제3 흡기 유로(413)를 포함한다. 흡기부(310)는 제1 내지 제3 흡기 유로(411, 412, 413)와 각각 연통된다.
흡기부(3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320)로 유동될 수 있다. 흡기부(310)와 필터부(320)는 서로 연통된다.
필터부(320)는 흡기부(3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필터부(320)는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320)는 카본 필터(carbon filter), 헤파 필터(HEPA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320)를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는 가습부(330)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부(320)와 가습부(330)는 서로 연통된다.
가습부(330)는 정화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한다. 가습부(330)는 정화된 공기의 습도를 높이기 위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습부(330)는 수분을 함유한 패브릭(fabric)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터부(320)를 통과한 공기는 가습부(330)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기가 충분한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필터부(320)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부(36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부(320)는 가습부(330) 및 배기부(360)와 바이패스(bypass) 형태의 유로로 연통될 수 있다.
가습부(330)를 통과하며 가습된 공기는 배기부(360)를 향해 유동된다. 공기의 유동을 위한 이송력은 송풍부(340)에 의해 제공된다.
송풍부(340)는 흡기 유로(410)를 유동한 공기가 흡기부(310)로 유입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한다. 또한, 송풍부(340)는 정화 및 가습된 공기가 배기부(360)를 향해 유동되기 위한 이송력을 제공한다.
송풍부(340)는 유체가 유동되기 위한 이송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풍부(340)는 팬(fan)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340)가 작동되기 위한 동력은 동력부(350)에 의해 전달된다.
동력부(350)는 송풍부(340)와 연결되어, 송풍부(3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동력부(35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서 전달된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동력부(35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력부(350)는 송풍부(34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부(350)는 모터(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배기부(360)는 정화 또는 가습된 공기가 배기 유로(420)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배기부(360)는 배기 유로(420)와 연통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배기 유로(420)는 제1 배기 유로(421) 및 제2 배기 유로(422)를 포함한다. 배기부(360)는 제1 및 제2 배기 유로(421, 422)와 각각 연통된다.
배기부(360)는 흡기부(310)와 별도의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 모듈(300)에 유입되는 공기 및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게 된다.
출력부(370)는 감지된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 및 공기 청정 모듈(300)의 작동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출력부(370)에 의해 출력된 정보를 통해, 공간부(140)의 공기의 질 또는 공기 청정 모듈(300)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출력부(370)는 센서부(38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380)에서 감지된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는 출력부(370)에 전달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센서부(380)는 공간부(140)의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 즉 온도, 습도 또는 먼지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370) 또한 센서부(380)가 감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70)는 동력부(3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력부(350)의 작동 여부, 작동 속도 등과 관련된 정보는 출력부(370)에 전달될 수 있다.
출력부(370)는 전달받은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70)는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인지할 수 있다.
출력부(370)는 전달받은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연산된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는 출력되어, 사용자가 상기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출력부(370)는 발광 유닛(371), 음성 출력 유닛(372) 및 통신 유닛(373)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371)은 연산된 시각화 정보를 출력한다. 발광 유닛(371)은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유닛(371)은 LED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유닛(371)은 발광되는 빛의 색상 또는 조도 등을 변경하여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질이 "매우 나쁨"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적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나쁨"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황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질이 "보통"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녹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좋음"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청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발광 유닛(371)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 또는 조도를 통해, 공간부(140)의 공기의 질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광 유닛(371)은 동력부(350)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동력부(350)의 작동 정도가 공기의 질에 의존하여 변경됨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동력부(350)가 모터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공기의 질이 나쁜 경우 동력부(350)가 빠른 속도로 회전될 것이다. 반대로, 공기의 질이 좋은 경우, 동력부(350)가 느린 속도로 회전되거나 정지될 것이다.
따라서, 발광 유닛(371)이 동력부(350)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발광 유닛(371)의 발광 상태에 의해 공기의 질이 파악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음성 출력 유닛(372)은 연산된 청각화 정보를 출력한다. 음성 출력 유닛(372)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출력 유닛(372)은 스피커(speaker)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출력 유닛(372)은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변경하여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의 질이 "매우 나쁨"인 경우, 음성 출력 유닛(372)은 "먼지가 너무 많습니다."와 같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나쁨"인 경우, 음성 출력 유닛(372)은 "먼지가 좀 있습니다."와 같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질이 "보통"인 경우, 음성 출력 유닛(372)은 "먼지 농도가 크게 높지 않습니다."와 같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나쁨"인 경우, 음성 출력 유닛(372)은 "공기가 매우 좋습니다."와 같은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 출력 유닛(372)에서 출력되는 청각화 정보를 통해, 공간부(140)의 공기의 질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성 출력 유닛(372)은 동력부(350)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의 질이 파악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발광 유닛(371)의 예와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통신 유닛(373)은 전달된 상기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한다. 통신 유닛(373)은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유닛(370)은 외부의 단말기(E.D)와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 유닛(373)을 통해 전달된 상기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인지할 수 있다.
센서부(380)는 공간부(140)의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380)는 공간부(140)의 온도, 습도 또는 먼지의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80)가 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실시 예에서, 센서부(380)는 먼지의 크기에 따라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센서부(380)는 감지되는 먼지의 농도를 일반 먼지, 미세 먼지 및 초 미세 먼지 등으로 분류하여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80)는 공간부(140)의 온도, 습도 또는 먼지의 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380)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외측 커버부(110)의 일측 또는 내측 커버부(12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부(380)는 출력부(37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380)가 감지한 온도, 습도 또는 먼지의 농도 등은 출력부(370)에 전달될 수 있다.
센서부(380)는 제어부(39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380)가 감지한 온도, 습도 또는 먼지의 농도 등은 제어부(39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 모듈(300)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센서부(38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동력부(350)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90)는 센서부(38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흡기부(310)에 유입된 공기가 가습부(330)를 통과할지 여부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정보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39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송풍부(3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390)는 송풍부(340)가 인가하는 이송력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90)에 의해 상기 이송력의 방향이 변경되어, 공기 청정 모듈(300)에 유입된 공기의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동력부(3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390)는 동력부(350)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 모듈(300)에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출력부(37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390)에서 연산된, 송풍부(340)가 인가하는 이송력의 방향과 관련된 정보는 출력부(370)에 전달된다. 또한, 제어부(390)에서 연산된, 동력부(350)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속도 등과 관련된 정보는 출력부(370)에 전달된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유로부(400)의 설명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는 공기 유로부(400)를 포함한다.
공기 유로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공기가 공기 청정 모듈(300)을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또한, 공기 유로부(400)는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정화된 공기가 공간부(140)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따라서,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는 정화 과정을 거친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아의 호흡기 질환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 또는 공간부(140)에서 흡입되어, 흡기 유로(410)를 유동하는 공기는 "흡입 공기"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정화된 후 배기 유로(420)를 유동하는 공기는 "배출 공기"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기 유로부(400)는 흡기 유로(410) 및 배기 유로(420)를 포함한다.
흡기 유로(410)는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흡입 공기가 공기 청정 모듈(300)을 향해 유동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흡기 유로(410)는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와 연통된다.
흡기 유로(410)는 배기 유로(420)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흡기 유로(410)는 공기 청정 모듈(300)을 통해서만 배기 유로(4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흡기 유로(410)를 유동하는 흡입 공기와 배기 유로(420)를 유동하는 배출 공기는 임의로 혼합되지 않는다.
흡기 유로(410)는 공기 청정 모듈(300)과 연통된다. 흡기 유로(410)를 따라 유동된 흡입 공기는 공기 청정 모듈(3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이송력은 송풍부(3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흡기 유로(41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흡기 유로(410)는 유아용 시트부(10)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흡입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흡기 유로(410)는 제1 흡기 유로(411), 제2 흡기 유로(412) 및 제3 흡기 유로(413)를 포함하여 총 세 개 구비된다. 흡기 유로(41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흡기 유로(411)는 외측 커버부(110)와 안착부(130)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흡기 유로(411)는 외측 커버부(110)의 제1 경사부(111)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흡기 유로(411)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흡기 유로(411)는 외측 커버부(110)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는 공간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흡기 유로(411)는 외측 커버부(110)와 안착부(130) 사이의 개구부에서 공기 청정 모듈(3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흡기 유로(411)는 그 단면이, 공간부(140)의 내부에 중심이 위치되는 원호(arc)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제1 경사부(111)와 안착부(13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제1 흡기 유로(411)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 또는 공간부(140)와 공기 청정 모듈(30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기 유로(412)는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흡기 유로(4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제2 경사부(112)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흡기 유로(412)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유아용 시트부(10)의 전후 방향에서, 제2 흡기 유로(412)는 제1 흡기 유로(411) 및 제3 흡기 유로(413) 사이에 위치된다.
제2 흡기 유로(41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흡기 유로(412)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총 두 개로 구비된다. 이는, 제2 경사부(112)의 내측이 안착부(130)의 좌측 및 우측을 감싸도록 배치됨에 기인한다.
제2 흡기 유로(412)는 외측 커버부(110)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는 공간을 따라 연장된다. 제2 흡기 유로(412)는 외측 커버부(110)와 안착부(130) 사이의 개구부에서 공기 청정 모듈(3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흡기 유로(412)는 외측 커버부(110)와 안착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에서,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2 흡기 유로(412)의 하측 단부는, 제1 흡기 유로(411) 또는 제3 흡기 유로(413)와 연통될 수 있다.
제3 흡기 유로(413)는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 흡기 유로(413)는 외측 커버부(110)의 제3 경사부(113)와 내측 커버부(12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흡기 유로(413)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3 흡기 유로(413)는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가 서로 이격되는 공간을 따라 연장된다. 제3 흡기 유로(413)는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 사이의 개구부에서 공기 청정 모듈(30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흡기 유로(413)는 그 단면이, 공간부(140)의 내부에 중심이 위치되는 원호(arc)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외측 커버부(110)와 내측 커버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제3 흡기 유로(413)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 또는 공간부(140)와 공기 청정 모듈(30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흡기 유로(411, 412, 413)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흡기 유로(411, 412, 413)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유동된 흡입 공기는, 제1 내지 제3 흡기 유로(411, 412, 413) 중 다른 하나 이상을 따라 유동된 흡입 공기와 혼합되어 공기 청정 모듈(3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 모듈(300)을 향해 유동되는 흡입 공기의 유로가 복수 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 또는 공간부(140)의 다양한 위치에서 흡입 공기가 공기 청정 모듈(300)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흡입 공기가 효과적으로 공기 청정 모듈(300)에 흡입될 수 있다.
배기 유로(420)는 흡기 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흡입 공기가 공기 청정 모듈(300)을 통과한 후, 다시 공간부(140)로 유동되기 위한 통로로 기능된다. 배기 유로(420)는 공간부(140)와 연통된다.
배기 유로(420)는 흡기 유로(410)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배기 유로(420)는 공기 청정 모듈(300)을 통해서만 흡기 유로(41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배기 유로(420)를 유동하는 배출 공기와 흡기 유로(410)를 유동하는 흡입 공기는 임의로 혼합되지 않는다.
배기 유로(420)는 공기 청정 모듈(300)과 연통된다.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정화된 흡입 공기(즉, 배기 공기)는 배기 유로(42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이송력은 송풍부(3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배기 유로(4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기 유로(420)는 공기 청정 모듈(300)과 공간부(140)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기 유로(420)는 제1 배기 유로(421) 및 제2 배기 유로(422)를 포함하여 총 두 개 구비된다. 배기 유로(42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배기 유로(421)는 외측 커버부(110)의 내면에 각각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배기 유로(421)는 외측 커버부(110)의 제2 경사부(112)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부(112)는 안착부(130) 및 공간부(140)의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안착부(130) 및 공간부(14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배기 유로(421)는 좌측 및 우측의 제2 경사부(112)에 각각 형성되어,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배기 유로(421)는 안착부(130) 또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제2 경사부(112)의 일 면에 개방 형성된다. 즉, 제1 배기 유로(421)는 복수 개의 제2 경사부(112)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배기 유로(421)는 복수 개의 제2 경사부(112)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배기 유로(421)는 제2 경사부(112)의 내면과 내부 공간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2 경사부(112)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 청정 모듈(3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배기 유로(421)는 공간부(140)와 공기 청정 모듈(300) 사이에서 연장되어, 공간부(140)와 공기 청정 모듈(30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기 유로(421)는 배기 공기가 공간부(1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경사부(112)의 상기 일 면과 내부 공간 사이에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기 유로(421)가 완전히 개방 형성된 경우, 유아가 제1 배기 유로(421)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다.
이에, 제1 배기 유로(421)는 메시(mesh) 형태의 패브릭(fabric) 등으로 덮여질 수 있다. 즉, 제1 배기 유로(421)는 배기 공기는 연통되되, 유아의 손가락 등은 삽입될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기 유로(422)는 외측 커버부(1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배기 유로(422)는 외측 커버부(110)의 제3 경사부(113)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배기 유로(422)는 제3 경사부(113)의 면과 내부 공간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어, 제3 경사부(113)의 내부 공간을 따라 공기 청정 모듈(3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기 유로(422)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30)에 반대되는 제3 경사부(1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에어 커버(11)가 유아용 시트부(10)에 결합되면, 제2 배기 유로(422)에서 토출된 배출 공기는 에어 커버(11)의 내측 면을 따라 유동되어 공간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배기 유로(422)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배기 유로(422)에서 토출되는 배출 공기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배기 유로(422)는 공간부(140)와 공기 청정 모듈(300) 사이에서 연장되어, 공간부(140)와 공기 청정 모듈(30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정화된 공기가 공간부(14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는 복수 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40)의 다양한 위치에서 정화된 배기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공기가 공간부(140)에서 효과적으로 유동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의 공기 청정 모듈(300)의 작동 상태의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는 공기 청정 모듈(300)을 포함한다. 공기 청정 모듈(300)은 바디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디부(100)에 형성된 공기 유로부(400)는 결합된 공기 청정 모듈(300)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 또는 공간부(140)에 존재하는 오염된 공기는 흡기 유로(410)를 통해 흡입된 후, 공기 청정 모듈(300)에서 정화되어, 배기 유로(420)를 통해 공간부(140)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모듈(300)이 유아용 시트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작동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 모듈(300)이 발광되는 다양한 형태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청정 모듈(300)은 출력부(370)를 포함한다. 출력부(370)는 LED 램프의 형태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광될 수 있는 발광 유닛(371)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371)은 발광되는 빛의 색상 또는 조도 등을 변경하여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발광 유닛(371)은 공간부(140)의 공기 상황을 "매우 나쁨", "나쁨", "보통", 및 "좋음"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매우 나쁨"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자 또는 보호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유닛(371)은 적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나쁨"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사용자 또는 보호자의 시선을 끌되, 상술한 "매우 나쁨"인 경우보다는 덜 자극적인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유닛(371)은 황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공기의 질이 "보통" 또는 "좋음"인 경우, 발광 유닛(371)은 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기의 질이 "보통"인 경우 발광 유닛(371)이 녹색으로 발광되고, 공기의 질이 "좋음"인 경우 발광 유닛(371)이 청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음성 출력 유닛(372) 또한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를 음성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통신 유닛(373)은 공기의 질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E.D)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 모듈(300)이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된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래들부(20)는 차량에 고정 결합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도시된 실시 예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차량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 모듈(300)은 차량의 앞좌석, 즉 차량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주행 중 잠시 정차하는 경우, 공기 청정 모듈(300)의 발광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유아가 수용된 공간부(140)의 공기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30)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부(30)는 보호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실내 또는 야외를 주행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실시 예는 유아용 시트부(10)가 건물의 내부 또는 야외에 위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 모듈(300)은 카트부(30)가 진행되는 방향, 즉 카트부(30)의 전방 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주변의 행인들이 공기 청정 모듈(300)의 발광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보호자에게 공간부(140)의 공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에어 커버(11)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아가 실외에 체재하는 경우, 유아용 시트부(10) 외부의 공기가 공간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11)가 결합되어, 공간부(140)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차적으로 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카시트
2: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11: 에어 커버
20: 크래들(cradle)부
21: 크래들 몸체부
22: 시트 결합부
23: 결합 부재
23a: 크래들 통전 단자
30: 카트(cart)부
31: 휠(wheel)부
31a: 전방 휠
31b: 후방 휠
32: 지지부
33: 삽입 부재
33a: 카트 통전 단자
34: 핸들부
100: 바디부
110: 외측 커버부
111: 제1 경사부
112: 제2 경사부
113: 제3 경사부
120: 내측 커버부
130: 안착부
140: 공간부
150: 손잡이부
160: 모듈 수용부
200: 결합부
210: 결합 함몰부
220: 통전부
230: 결합 핀부
230a: 제1 결합 핀부
230b: 제2 결합 핀부
231: 탄성 부재
240: 가이드부
250: 삽입 공간부
300: 공기 청정 모듈
310: 흡기부
320: 필터부
330: 가습부
340: 송풍부
350: 동력부
360: 배기부
370: 출력부
371: 발광 유닛
372: 음성 출력 유닛
373: 통신 유닛
380: 센서부
390: 제어부
400: 공기 유로부
410: 흡기 유로
411: 제1 흡기 유로
412: 제2 흡기 유로
413: 제3 흡기 유로
420: 배기 유로
421: 제1 배기 유로
422: 제2 배기 유로
E.D: 외부의 단말기(External Device)

Claims (15)

  1.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부를 둘러싸며, 내부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외측 커버부;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부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는 내측 커버부;
    상기 외측 커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 모듈; 및
    상기 공간부 및 상기 공기 청정 모듈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을 향해 유동되는 흡기 유로; 및
    상기 공간부 및 상기 공기 청정 모듈과 각각 연통되어,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공간부를 향해 유동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흡기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공간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상기 공간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 및 상기 배기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아가 안착되며, 상기 외측 커버부에 둘러싸이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외측 커버부의 타측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흡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안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다른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기 유로는,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안착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아용 시트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아가 안착되며, 상기 외측 커버부에 둘러싸이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안착부가 상기 외측 커버부의 타측 및 다른 타측과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흡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타측 및 상기 다른 타측에 각각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각각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흡기 유로는,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안착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아용 시트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내측 커버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흡기 유로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내측 커버부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3 흡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내측 커버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3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흡기 유로는,
    상기 제3 경사부와 상기 내측 커버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공기 청정 모듈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아용 시트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부분적으로 감싸고,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로는,
    상기 제2 경사부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공기 청정 모듈까지 연장되는 제1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내측 커버부를 감싸는 제3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로는,
    상기 제3 경사부의 일 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 경사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기 공기 청정 모듈까지 연장되는 제2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은,
    상기 공간부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감지된 상기 먼지 농도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의 상기 출력부는,
    감지된 상기 먼지 농도를 시각화 정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는,
    외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간인 모듈 수용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의 일측은 개방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모듈 수용부는,
    상기 외측 커버부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되는,
    유아용 시트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외부의 크래들부 또는 외부의 카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크래들부에 구비되는 크래들 통전 단자 또는 카트부에 구비되는 카트 통전 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통전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부.
KR1020200002189A 2020-01-07 2020-01-07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KR20210089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189A KR20210089011A (ko) 2020-01-07 2020-01-07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189A KR20210089011A (ko) 2020-01-07 2020-01-07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11A true KR20210089011A (ko) 2021-07-15

Family

ID=7688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189A KR20210089011A (ko) 2020-01-07 2020-01-07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07A (ko) * 2022-02-10 2023-08-17 울산과학기술원 에어 세척 및 에어 커튼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스마트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71A (ko) 2014-06-13 2015-12-2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청정기
KR102046253B1 (ko) 2018-05-15 2019-12-02 최서연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71A (ko) 2014-06-13 2015-12-2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청정기
KR102046253B1 (ko) 2018-05-15 2019-12-02 최서연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07A (ko) * 2022-02-10 2023-08-17 울산과학기술원 에어 세척 및 에어 커튼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스마트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1822B (zh) 一种风幕呼吸面罩
US5799652A (en) Hypoxic room system and equipment for Hypoxic training and therapy at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
US6435184B1 (en) Gas mask structure
US11099409B2 (en) Glasses having air purification function
CN203852759U (zh) 一种风幕呼吸面罩
WO2015140776A1 (en) Smart, personal air purification device
US20210339061A1 (en) Air mask
CA2259128A1 (en) Personal air filtering and delivery systems
US11511013B2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N106553684B (zh) 用于儿童的便携式可控环境系统
KR102096044B1 (ko) 공기청정기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89011A (ko)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US20050161044A1 (en) Oxygen enrichment apparatus
KR102026048B1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청정영역 형성 방식의 휴대용 선풍기
KR101974459B1 (ko) 분리형 공기청정기
KR20180073759A (ko) 유모차
KR20190014605A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시스템
KR101968511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198803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0988464B1 (ko) 자전거용 호흡 보조장치
KR20210146146A (ko) 시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JP2022027488A (ja) 送風装置
WO2010086595A2 (en) A child's toy including a fan and light device
KR20190074396A (ko) 유모차용 공기정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