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971A - 이동식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2971A KR20150142971A KR1020140071778A KR20140071778A KR20150142971A KR 20150142971 A KR20150142971 A KR 20150142971A KR 1020140071778 A KR1020140071778 A KR 1020140071778A KR 20140071778 A KR20140071778 A KR 20140071778A KR 20150142971 A KR20150142971 A KR 201501429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ousing
- filter
- air purifier
- portable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52 ionis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97 Sick building syndrom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SFSSNUMVMOOMR-NJFSPNSNSA-N methanone Chemical compound O=[14CH2] WSFSSNUMVMOOMR-NJFSPNSN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4 rad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YUHGPGVQRZVTB-UHFFFAOYSA-N radon atom Chemical compound [Rn] SYUHGPGVQRZV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2 sneez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공기청정기는 운반장치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유동형성부,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disclosure)는 이동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와 같이 탑승자를 태우고 이동되는 운반차량에 설치하여 공기를 여과시킬 수 있는 이동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공기질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급격한 중국 산업화의 결과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 황사에 실려 우리 나라로 상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기 중 유해 중금속 농도는 우려의 수준을 넘고 있다. 또한, 건물 내부에 거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미세 먼지, 포름알데이드, 부유 세균 등의 오염 물질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코, 눈, 목의 건조와 통증, 재채기, 코막힘, 피로 등과 같은 건물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 장치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일 종류의 공기 정화 장치는, 내부에 각종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염된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필터를 통해 오염 입자를 물리적으로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걸러냄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킨다. 또는, 다른 종류의 공기 정화 장치는, 방전에 의한 이온화 방식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때 전극에서 생성되는 전자를 공기 중의 오염 입자에 부착시킨다. 전자가 부착된 입자는 전하를 띠게 됨으로써,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반대 전하가 걸려있는 집진판으로 이동함으로써, 오염 입자가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필터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공기 정화 작용을 필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데 비해, 필터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단점이 있다. 즉, 필터의 주기적인 교체와 관리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세균, 박테리아, 미생물을 제거하는 경우, 적용할 수 있는 필터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방전에 의한 이온화 방식의 경우, 공기 정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오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살균 및 탈취 효율이 향상된 공기 정화 기술에 대한 요청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부유물질 등에 취약한 유아를 보호하기에 적합한 공기청정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공기 살균 및 탈취 작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유아의 건강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는 운반장치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유동형성부;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와 광촉매 필터부, 포집 필터부, 탈취 필터부를 이용해 공기에 대한 살균, 탈취, 여과 작용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야외물품, 특히 유모차와 같은 운반장치에 설치함으로써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부유물질 등에 취약한 유아를 야외의 오염 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 및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안착부 및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및 안전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설치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덮개에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 및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안착부 및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및 안전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설치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덮개에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의 살균, 탈취, 여과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 및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하우징부(210), 유동형성부(220), 필터부(230), 운반장치(25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10)는 내부에 유동형성부(220)와 필터부(230)를 수용하여 운반장치(250)와 연결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210)는 필터케이싱부(211)와 배터리케이싱부(도 9, 도 12, 도 13의 배터리케이싱부(216) 참조)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싱부(211)는 내부에 유동형성부(220)와 필터부(2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12)를 형성한다. 필터케이싱부(211)의 일측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212)로 유입되는 유입홀부(213)가 형성된다. 유동형성부(220)의 작동 시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에는 유입홀부(213)에서 손잡이부(254)와의 연결부에 이르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면부상에는 필터부(230)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지지부(215)가 형성된다. 필터부(230)는 지지부(215)에 의해 가장자리부가 걸려 구속된 상태로 필터케이싱부(211)상에 고정된다. 필터케이싱부(211) 중 손잡이부(254)와의 연결부는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터케이싱부(211) 내부의 공기가 손잡이부(254)로 유동될 수 있다.
배터리케이싱부(216)는 휴대용 배터리(224)가 수납되는 부분으로, 필터케이싱부(211)와 일체로 연결된다. 배터리케이싱부(216)의 내부에 탑재된 배터리(224)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는 전선 등의 통전 부재를 통해 유동형성부(220)와 필터부(230)로 공급된다. 배터리케이싱부(216)상에는 개폐부(217)가 형성된다. 개폐부(217)를 배터리케이싱부(216)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배터리(224)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개폐부(217)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배터리케이싱부(216)상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배터리(224)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217)를 착탈조립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224)를 교체할 수 있다.
유동형성부(220)는 하우징부(210)에 설치되며,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유동형성부(220)는 팬(221), 회전구동장치(222), 전원공급장치(223)를 포함한다.
팬(221)은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필터케이싱부(211)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강제 형성한다. 팬(221)의 회전 구동 시 필터케이싱부(211)에 형성된 유입홀부(213)를 통해 필터케이싱부(211) 외부의 공기가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로 강제 유입되고,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230)를 거쳐 여과된 후 손잡이부(254)를 통해 덮개(256)의 내부로 배출된다.
회전구동장치(222)는 팬(221)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생성한다. 회전구동장치(222)는 전원공급장치(223)를 통해 전달받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에너지로 전환하여 팬(221)으로 전달한다. 회전구동장치(222)로는 모터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팬(221)의 회전축을 모터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함으로써 회전구동장치(222)의 구동 시 팬(2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223)는 배터리(도 9, 도 12, 도 13의 배터리(224) 참조)와, 스위치(도 9, 도 10, 도 12, 도 13의 스위치(225) 참조), 제어부(226), 배터리(224)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회전구동장치(222)와 필터부(230)로 전달하는 전선 등의 통전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배터리(224)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배터리케이싱부(216)에 수용된다. 개폐부(도 9, 도 13의 개폐부(217) 참조)를 배터리케이싱부(216)로부터 분리시켜 배터리케이싱부(216)의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배터리(224)의 하우징부(210) 내 삽입 및 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배터리(224)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소모한 후에는 다른 배터리(224)로 교체함으로써 회전구동장치(222)와 필터부(230)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225)는 회전구동장치(222)와 필터부(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자가 하우징부(210)의 외부에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210)의 외면부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제어부(226)는 스위치(225)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224)에서 회전구동장치(222)와 필터부(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 시 스위치(225)를 온(on) 조작하면 회전구동장치(222)와 필터부(230)가 구동되면서 공기 청정이 개시되고, 운반장치(250)의 미사용 시 등 공기 청정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스위치(225)를 오프(off) 조작하면 회전구동장치(222)와 필터부(230)의 구동이 정지된다.
필터부(230)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를 구비하여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부(210)를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 탈취, 여과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230)는 자외선 발광부(231), 광촉매 필터부(237), 포집 필터부(238), 탈취 필터부(239)를 포함한다.
자외선 발광부(231)는 광촉매 필터부(237)측으로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를 구비하여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자외선 발광부(231)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광촉매 필터부(237)에 포함된 광촉매 소재에 작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산화, 분해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자외선 발광부(231)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와 기판부(235)를 포함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는 광촉매용 다이오드(233)와 살균용 다이오드(234)를 포함한다. 광촉매용 다이오드(233)는 광촉매 필터부(237)에 작용하여 활성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300 내지 4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광촉매용 다이오드(233)는 광촉매를 이용해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살균, 탈취하게 된다. 살균용 다이오드(234)는 기판부(235)상에 광촉매용 다이오드(233)와 함께 실장되며,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하는 200 내지 30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살균용 다이오드(234)는 자외선을 공기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에 직접 조사하는 것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하게 된다. 이때, 광촉매용 다이오드(233)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중 일부는 광촉매 필터부(237)와의 작용이 아니라 유기물질에 직접 조사되는 것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할 수 있으며, 살균용 다이오드(234) 또한 일부가 광촉매 필터부(237)와의 작용에 의해 살균, 탈취를 구현할 수 있다.
기판부(235)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를 설정 위치에 탑재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전원공급장치(223)에서 전달받은 전원을 복수개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회로 등이 구비된다. 기판부(235)는 하우징부(210)의 내면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부(215)에 걸려 정위치 고정된다. 이하 설명되는 광촉매 필터부(237), 포집 필터부(238), 탈취 필터부(239) 또한 지지부(215)에 의해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정위치 고정된다. 기판부(235)상에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공부(236)가 형성된다.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기판부(235)에 형성된 통공부(236)를 통해 광촉매 필터부(237) 및 배출홀부(214)측으로 유동된다. 기판부(235)를 열전도성 물질로 제조하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가 구동될 때 발생되는 열을 전도시킬 수 있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의 동작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개시를 보다 안정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부(237)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외선 발광부(231)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망이나 스펀지 형상을 가지는 필터체의 표면에 광촉매 소재를 도포하여 제작할 수 있다. 광촉매는 빛을 활용하여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이다. 본 개시에 따르는 광촉매 소재로는 탄소를 포함하는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 이산화티타늄(TiO2)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부(237)에 포함된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자외선에 의해 일명 라디칼(radical)로 칭하는 활성 산소를 생성하게 되며, 이 라디칼이 유기물질을 산화해서 탄산가스(CO2)와 수증기(H20) 등으로 분해시키게 된다. 화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이산화티타늄을 적용하면 상기와 같은 거동을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부수적으로 발생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 발광부(231)와 광촉매 필터부(237)는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항균살균, 탈취, 공기 정화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포집 필터부(238)는 공기 중의 미세 입자와 세균을 포집할 수 있는 메쉬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포집 필터부(238)는 공기 중 부유 입자를 거를 수 있는 망 구조 또는 스펀지 구조를 가진다. 인치(inch) 사이에 들어 있는 체의 눈 수를 메쉬라 하는데, 메쉬의 수에 따라 포집 필터부(238)에 포집되는 입자 및 세균의 크기가 결정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광촉매 필터부(237)를 통과하여 포집 필터부(238)까지 도달되며 포집 필터부(238)에 포집된 세균을 살균한다. 포집 필터부(238)에서는 자외선 발광부(231) 및 광촉매 필터부(237)를 통과하며 1차로 살균 및 탈취된 상태의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입자의 여과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3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2차 살균 및 탈취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탈취 필터부(239)는 공기 중의 유기 화학물질이 흡착되는 탄소 소재를 포함하여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탈취 필터부(239)로는 다양한 종류의 화학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탄소 필터(carbon filters)를 적용할 수 있다. 탄소 필터는 살충제, 제초제, 산업폐기물과 같은 유기 화학물질을 포함하여 라돈, 염소, 악취 제거 기능을 구현한다. 포집 필터부(238)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유기 화학물질은 탈취 필터부(239)를 통과하면서 포집 필터부(238)에 흡착되며 그 제거 및 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자외선 발광부(231), 광촉매 필터부(237), 포집 필터부(238), 탈취 필터부(239)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유입홀부(213)를 통해 하우징부(210)의 내부로 진입된 공기는 자외선 발광부(231), 광촉매 필터부(237), 포집 필터부(238), 탈취 필터부(239)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와 같은 살균 및 탈취, 여과를 단계적으로 거쳐 그 정화가 이루어진 후 배출홀부(214)를 통해 하우징부(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운반장치(250)는 물건이나 사람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251)와, 유모차(251)에 씌워져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는 막을 형성하는 덮개(256)를 포함한다.
유모차(251)는 안착부(252), 프레임부(253), 바퀴부(253a), 손잡이부(254)를 포함한다. 안착부(252)는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안착부(252)의 상부에는 유아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부가 형성된다. 프레임부(253)는 안착부(252)와 안착부(252)에 안착된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룬다. 바퀴부(253a)는 프레임부(253)의 하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밀려 회전되면서 안착부(252), 프레임부(253)와 함께 이동된다. 손잡이부(254)는 사용자가 인력에 의해 안착부(252), 프레임부(253), 바퀴부(253a)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안착부(252) 또는 프레임부(253)와 연결된다. 손잡이부(254)는 본체부(254a)와 청정공기배출부(254d)를 포함한다. 본체부(254a)는 안착부(252) 또는 프레임부(253)측으로 외력을 전달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루며, 하우징부(210)의 내부와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본체부(254a)의 일단부는 하우징부(210)와 연결되며, 본체부(254a)의 타단부는 덮개(256)의 내부로 연장되고 청정공기배출부(254d)와 연결된다. 하우징부(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부(254a)측으로 유동되면서 필터부(230)를 통과하며 정화되고, 본체부(254a)의 내부를 통과한 후 청정공기배출부(254d)를 통해 덮개(256)의 내부로 배출된다. 손잡이부(254)는 안착부(252)의 좌측부에서 우측부에 이르는 하나의 연속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부(252)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본체부(254a)는 제1본체부(254b)와 제2본체부(254c)를 포함한다. 제1본체부(254b)는 손잡이부(254)의 좌측부를 이루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부(210)의 일측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제2본체부(254c)는 손잡이부(254)의 우측부를 이루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부(210)의 타측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즉, 제2본체부(254c)는 제1본체부(254b), 하우징부(210)와 함께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본체부(254b), 하우징부(210), 제2본체부(254c)는 연속된 바 형상을 이루며 유모차(251)의 후방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210)는 유모차(251)에 구비되는 손잡이부(254)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즉,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210)는 손잡이부(254)의 골조 중 일부를 이루게 된다. 청정공기배출부(254d)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홀부를 구비하여 본체부(254a)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254a) 내부의 공기는 청정공기배출부(254d)를 통해 덮개부(257)의 내부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청정공기배출부(254d)는 안착부(252)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안착부(252)에 안착된 유아의 좌측과 우측에서 유아에게 청정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덮개(256)는 덮개부(257)와 공기배출부(258b)를 포함한다. 덮개부(257)는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252)를 커버한다. 덮개부(257)는 햇빛이나 눈비, 바람 등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비닐재, 섬유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는 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내기는 유아가 안착되고 덮개부(257)에 의해 커버되는 안착공간부상의 공기가 되고, 외기는 덮개부(257) 외부의 공기가 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 하우징부(210)는 덮개부(257)의 외부에서 손잡이부(254)와 연결되며, 청정공기배출부(254d)는 덮개부(257)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덮개부(257)의 외부에서 하우징부(210)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부(210)의 내부를 거치면서 필터부(23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정화되고 본체부(254a)를 통과한 후 청정공기배출부(254d)를 통해 덮개부(257) 내부의 유아에게 청정한 품질로 제공된다. 공기배출부(258b)는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가 덮개부(257)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서 공기배출부(258b)는 공기배출홀부(258c)와 배기유동형성부(258d)를 포함한다. 공기배출홀부(258c)는 덮개부(257)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청정공기배출부(254d)와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다. 배기유동형성부(258d)는 배기팬, 배기팬구동장치, 배기팬전원장치를 포함한다. 배기팬, 배기팬구동장치, 배기팬전원장치는 각각 팬(221), 회전구동장치(221), 전원공급장치(223)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기유동형성부(258d)를 이용해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를 덮개부(257)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안착부 및 손잡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해, 청정공기배출부(254d)가 안착부(252)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개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청정공기배출부(254d)는 유실방지부(254e)와 배출통로부(254f)를 포함한다. 유실방지부(254e)는 안착부(252) 중 배출통로부(254f)를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 전반에 걸쳐 청정 공기를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본체부(254a) 내부의 공기를 안착부(252)측으로 유도하는 밀폐공간부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 유실방지부(254e)는 안착부(252)의 등받이부에 대응되는 면적 또는 체적을 가지는 박스 형상을 가지고, 안착부(252)의 후방부 또는 안착부(252)의 등받이부 내부에 설치된다. 배출통로부(254f)는 유실방지부(254e)로 유입된 공기가 안착부(252)를 통해 덮개부(257)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서 배출통로부(254f)는 유실방지부(254e)의 전면부와, 유실방지부(252e)의 전방에 위치되는 안착부(252)의 등받이부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254a) 내부의 청정 공기는 유실방지부(254e)로 유입되어 안착부(252)의 등받이부에 대응되는 체적에 걸쳐 확산된 후, 유실방지부(254e)의 전면부와 안착부(252)에 형성된 배출통로부(254f)를 통해 덮개부(257)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청정공기배출부(254d)를 안착부(252)와 연결함으로써, 안착부(252)에 안착된 상태의 유아에게 청정 공기를 보다 직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청정 공기가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와 희석된 상태로 유아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및 안전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해, 하우징부(210)가 유모차(251)의 전방부에 마련된 안전바부(255)와 연통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개시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모차(251)는 안착부(252), 프레임부(253), 바퀴부(253a), 안전바부(255)를 포함한다. 안착부(252), 프레임부(253), 바퀴부(253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안전바부(255)는 안착부(252)에 안착된 유아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도록 안착부(252)의 전방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안전바부(255)는 연장부(255a)와 청정공기배출홀부(255d)를 포함한다. 연장부(255a)는 유아의 전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골조를 이루며, 하우징부(210)의 내부와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청정공기배출홀부(255d)는 연장부(255a)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우징부(210)로부터 연장부(255a)로 유입된 청정 공기는 연장부(255a)를 따라 측방향으로 유동됨과 동시에 청정공기배출홀부(255d)를 통해 연장부(255a)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연장부(255a)는 제1연장부(255b)와 제2연장부(255c)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255b)는 안전바부(255)의 좌측부를 이루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부(210)의 일측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제2연장부(255c)는 안전바부(255)의 우측부를 이루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고 하우징부(210)의 타측부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즉, 제2연장부(255c)는 제1연장부(255b), 하우징부(210)와 함께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부(255b), 하우징부(210), 제2연장부(255c)는 연속된 바 형상을 이루며 유모차(251)의 전방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210)는 유모차(251)에 구비되는 안전바부(255)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즉,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210)는 안전바부(255)의 골조 중 일부를 이루게 된다.
덮개(256)는 덮개부(257), 공기유입부(258a), 공기배출부(258b)를 포함한다. 덮개부(257)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유입부(258a)는 하우징부(210)와 접하거나 근접한 덮개부(257)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덮개부(257) 외부의 공기가 덮개부(25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기유입부(258a)를 통해 덮개(256)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부(210)의 내부를 거치면서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정화되어 연장부(255a)와 청정공기배출홀부(255d)를 통해 유아에게 청정한 품질로 제공된다. 공기배출부(258b)는 하우징부(210)와 이격된 덮개부(257)의 타측에 형성되며,덮개부(257) 내부의 공기가 덮개부(257)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서 공기배출부(258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배출홀부(258c)와 배기유동형성부(258d)를 포함하며,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기유동형성부(258d)를 이용해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를 덮개부(257)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도 6,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와 비교해, 하우징부(210), 유동형성부(220), 필터부(230)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가 유모차(251)의 전방부에 마련된 안전바부(255)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개시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하우징부(210), 유동형성부(220), 필터부(23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10)는 내부에 유동형성부(220)와 필터부(230)를 수용하여 운반장치(250)와 연결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하우징부(210)는 필터케이싱부(211), 배터리케이싱부(216), 결합부(218)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싱부(211)는 내부에 유동형성부(220)와 필터부(2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12)를 형성한다. 필터케이싱부(211)의 일측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212)로 유입되는 유입홀부(213)가 형성된다. 필터케이싱부(211)의 타측부에는 수용공간부(21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부(214)가 형성된다. 유동형성부(220)의 작동 시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에는 유입홀부(213)에서 배출홀부(214)에 이르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면부상에는 필터부(230)를 지지하는 걸림턱을 이루는 지지부(215)가 형성된다. 필터부(230)는 지지부(215)에 의해 가장자리부가 걸려 구속된 상태로 필터케이싱부(211)상에 고정된다.
배터리케이싱부(216)는 휴대용 배터리(224)가 수납되는 부분으로, 필터케이싱부(211)와 일체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배터리케이싱부(216)는 필터케이싱부(211)와 함께 이루는 종단면 면적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필터케이싱부(211)의 측면부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필터케이싱부(211)와 배터리케이싱부(2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결합부(218)는 하우징부(210)와 운반장치(250)를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필터케이싱부(211) 또는 배터리케이싱부(216)와 일체로 연결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서 결합부(218)는 필터케이싱부(211)와 배터리케이싱부(216)가 연속하여 이루는 하우징부(210)의 외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하우징부(21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18)는 유모차(251)의 전방부에 설치된 안전바부(255)의 제1연장부(255b)와 제2연장부(255c)와 연결된다. 제1연장부(255b)는 안전바부(255)의 좌측부를 이루며, 제2연장부(255c)는 안전바부(255)의 우측부를 이룬다. 이에 따라, 제1연장부(255b), 하우징부(210), 제2연장부(255c)는 함께 연속된 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안전바부(255)를 유모차(251)에 착탈시키는 조립에 의해 본 개시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의 착탈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결합부(218)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하여 제1연장부(255b) 및 제2연장부(255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8)는 접착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해 제1연장부(255b) 및 제2연장부(255c)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8)는 제1연장부(255b) 및 제2연장부(255c)를 이루는 골조와 하우징부(210)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제1연장부(255b)와 필터케이싱부(211) 또는 제2연장부(255c)와 배터리케이싱부(216)간의 경계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동형성부(220)는 하우징부(210)에 설치되며, 하우징부(21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유동형성부(220)는 팬(221), 회전구동장치(222), 전원공급장치(223)를 포함하며,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유동형성부(220)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팬(221)의 회전 구동 시 필터케이싱부(211)에 형성된 유입홀부(213)를 통해 필터케이싱부(211) 외부의 공기가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로 강제 유입되고, 필터케이싱부(211)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부(230)를 거쳐 여과된 후 배출홀부(214)를 통해 필터케이싱부(2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유모차(251)는 안착부(252), 프레임부(253), 바퀴부(253a), 안전바부(255)를 포함한다. 안착부(252), 프레임부(253), 바퀴부(253a)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안전바부(255)는 제1연장부(255b)와 제2연장부(255c)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255b)는 안전바부(255)의 좌측부를 이루며, 양단부가 프레임부(253)와 하우징부(210)의 일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제2연장부(255c)는 안전바부(255)의 우측부를 이루며, 양단부가 프레임부(253)와 하우징부(210)의 타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부(255b), 하우징부(210), 제2연장부(255c)는 연속된 바 형상을 이루며 유모차(251)의 전방부에 위치된다. 즉,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유모차(251)에 구비되는 안전바부(255)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하우징부(210)가 안전바부(255)의 골조 중 일부를 이루게 된다. 이때, 하우징부(210)를 제외하고 제1연장부(255b)와 제2연장부(255c)만을 상호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도 안착부(252)에 안착된 유아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는 안전바부(25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218)는 하우징부(210)의 양측부에 해당되는 2개소에 형성되고, 결합부(218) 중 우측부에 위치되는 일측은 제1연장부(255b) 중 하우징부(210)와 연결되는 우측단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결합부(218) 중 좌측부에 위치되는 일측은 제2연장부(255c) 중 하우징부(210)와 연결되는 좌측단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덮개(256)는 덮개부(257), 공기유입부(258a), 공기배출부(258b)를 포함한다. 덮개부(257), 공기유입부(258a)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기배출부(258b)는 하우징부(210)와 이격된 덮개부(257)의 타측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덮개부(257) 내부의 공기가 덮개부(257)의 외부로 유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공기배출부(258b)는 공기유입부(258a)와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다. 공기배출부(258b)를 통한 덮개(256) 내부의 공기 배출에 의해 공기유입부(258a)를 통한 덮개(256) 내부로의 공기 유입 및 덮개(256)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유입부(258a) 또는 공기배출부(258b)는 유모차(251)에 덮개(256)를 씌우기 위해 덮개(256)상에 마련된 개방부일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다른 방향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유모차에 설치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2,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와 비교해, 하우징부(210)에 형성되는 결합부(218)가 유모차(251)와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에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개시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도 15를 참조하면, 결합부(218)는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의 일측부에 결합될 수 있는 집게 또는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8)를 집게 형상으로 형성하면, 집게로 집을 수 있는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의 가장자리부 어느 위치에나 자유롭게 하우징부(210)를 결합시키거나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부(218)를 집게 형상으로 형성함에 있어서는, 유모차(251)나 덮개(256)를 집는 파지력을 탄성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부재가 구비된다. 결합부(218)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면 유모차(251)나 덮개(256)상에 고리를 걸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에 결합부(218)를 걸어 하우징부(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서 배터리케이싱부(216)는 결합부(218)상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배터리케이싱부(216)에 삽입되는 배터리(224)는 스프링부재가 삽입되는 자바라 형상의 설치공간부를 통과하는 전선에 의해 필터케이싱부(211)에 설치된 회전구동장치(222) 및 자외선 발광부(2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결합부(218)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 단추를 구비하여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의 일측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결합부(218)에 벨크로 테이프나 스냅 단추의 수결합부를 구비하면,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에 마련된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 단추의 암결합부에 결합부(218)를 접촉시키거나 접촉시킨 상태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하우징부(210)를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에 결합시킬 수 있고, 하우징부(210)를 잡아 당기는 외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부(210)를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8)는 암나사부 또는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에 암수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218)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를 형성하면,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하우징부(210)를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에 마련된 수나사부상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하우징부(210)를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덮개에 설치한 일례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공기청정기(200)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비교해, 하우징부(210)가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부(218) 없이 필터케이싱부(211)와 배터리케이싱부(216)만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251) 또는 덮개(256)상에 하우징부(21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259)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부(218)가 형성되지 않는 하우징부(210)를 수납주머니(259)의 내부에 수납하는 형태로 하우징부(210)와 유모차(251), 하우징부(210)와 덮개(256)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납주머니(259) 중 유입홀부(213) 및 배출홀부(214)와 접하는 부분은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는 망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이동식 공기청정기
210 : 하우징부
211 : 필터케이싱부 212 : 수용공간부
213 : 유입홀부 214 : 배출홀부
215 : 지지부 216 : 배터리케이싱부
217 : 개폐부 218 : 결합부
220 : 유동형성부 221 : 팬
222 : 회전구동장치 223 : 전원공급장치
224 : 배터리 225 : 스위치
226 : 제어부 230 : 필터부
231 : 자외선 발광부 232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233 : 광촉매용 다이오드 234 : 살균용 다이오드
235 : 기판부 236 : 통공부
237 : 광촉매 필터부 238 : 포집 필터부
239 : 탈취 필터부 250 : 운반장치
251 : 유모차 252 : 안착부
253 : 프레임부 253a : 바퀴부
254 : 손잡이부 254a : 본체부
254b : 제1본체부 254c : 제2본체부
254d : 청정공기배출부 254e : 유실방지부
254f : 배출통공부 255 : 안전바부
255a : 연장부 255b : 제1연장부
255c : 제2연장부 255d : 청정공기배출홀부
256 : 덮개 257 : 덮개부
258a : 공기유입부 258b : 공기배출부
258c : 공기배출홀부 258d : 배기유동형성부
259 : 수납주머니
211 : 필터케이싱부 212 : 수용공간부
213 : 유입홀부 214 : 배출홀부
215 : 지지부 216 : 배터리케이싱부
217 : 개폐부 218 : 결합부
220 : 유동형성부 221 : 팬
222 : 회전구동장치 223 : 전원공급장치
224 : 배터리 225 : 스위치
226 : 제어부 230 : 필터부
231 : 자외선 발광부 232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233 : 광촉매용 다이오드 234 : 살균용 다이오드
235 : 기판부 236 : 통공부
237 : 광촉매 필터부 238 : 포집 필터부
239 : 탈취 필터부 250 : 운반장치
251 : 유모차 252 : 안착부
253 : 프레임부 253a : 바퀴부
254 : 손잡이부 254a : 본체부
254b : 제1본체부 254c : 제2본체부
254d : 청정공기배출부 254e : 유실방지부
254f : 배출통공부 255 : 안전바부
255a : 연장부 255b : 제1연장부
255c : 제2연장부 255d : 청정공기배출홀부
256 : 덮개 257 : 덮개부
258a : 공기유입부 258b : 공기배출부
258c : 공기배출홀부 258d : 배기유동형성부
259 : 수납주머니
Claims (26)
- 운반장치와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유동형성부; 및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유동형성부와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부로 유입되는 유입홀부가 형성되는 필터케이싱부; 및
상기 필터케이싱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동형성부와 상기 필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케이싱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성부는
회전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강제 형성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회전구동장치; 및
상기 회전구동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 발광부; 및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외선 발광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광촉매 필터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광촉매 필터부에 작용하여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촉매용 다이오드;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상에 상기 광촉매용 다이오드와 병설되며, 공기 중의 세균을 살균하는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용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는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탑재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공부가 형성되는 기판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부는 탄소를 포함하는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는 이산화티타늄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메쉬 구조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 중의 입자와 세균이 포집되는 포집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은 상기 포집 필터부까지 도달되어 상기 포집 필터부에 포집된 세균을 살균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공기 중의 유기 화학물질이 흡착되는 탄소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탈취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 상기 광촉매 필터부, 상기 포집 필터부, 상기 탈취 필터부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장치에 해당되는 유모차; 및
상기 유모차에 씌워지고, 외기와 내기를 구획하는 막을 형성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유아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이동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인력에 의해 상기 안착부, 상기 프레임부, 상기 바퀴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와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덮개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청정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부, 상기 하우징부와 함께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공기배출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부에 위치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안착부측으로 유도하는 밀폐공간부를 형성하는 유실방지부; 및
상기 유실방지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안착부를 통해 상기 덮개의 내부로 배출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통로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덮개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청정공기배출부는 상기 덮개의 내부에 위치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유아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전방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안전바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와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상기 연장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연장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청정공기배출홀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장부, 상기 하우징부와 함께 연통된 공기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안착부를 커버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덮개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덮개부 내부의 공기가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공기배출홀부; 및
상기 덮개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홀부를 통해 상기 덮개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유동형성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동형성부는,
회전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강제 형성하는 배기팬;
상기 배기팬을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배기팬구동장치; 및
상기 배기팬구동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기팬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공기배출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덮개부 외부의 공기가 상기 덮개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778A KR20150142971A (ko) | 2014-06-13 | 2014-06-13 | 이동식 공기청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778A KR20150142971A (ko) | 2014-06-13 | 2014-06-13 | 이동식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2971A true KR20150142971A (ko) | 2015-12-23 |
Family
ID=5508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1778A KR20150142971A (ko) | 2014-06-13 | 2014-06-13 | 이동식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42971A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4632A1 (en) * | 2017-06-19 | 2018-12-27 | Lifa Air Ltd | ELECTRIC FILTER STRUCTURE |
KR101997631B1 (ko) * | 2018-02-19 | 2019-07-08 | 주식회사 피코피코 | 유모차용 공기 정화 장치 |
KR200490315Y1 (ko) | 2019-01-11 | 2019-10-25 | 오성택 | 이동형 공기청정기 |
KR102099217B1 (ko) * | 2018-11-30 | 2020-04-09 | 김주응 | 내부공간에 쾌적한 환경이 조성된 중증환자 및 유아용 호흡구난장비 |
FR3101843A1 (fr) * | 2019-10-11 | 2021-04-16 | Emmanuel ADDA | Dispositif de transport, tel que poussette, landau |
KR20210089011A (ko) | 2020-01-07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
KR20210146146A (ko) | 2020-05-26 | 2021-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시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
KR102401778B1 (ko) * | 2021-10-14 | 2022-05-25 | (주)오르다 | Uv-c led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
US20220185356A1 (en) * | 2020-12-11 | 2022-06-16 | Gricela Saavedra | Baby Stroller |
KR20220136787A (ko) * | 2021-04-01 | 2022-10-11 | 한기철 | 휴대용 공기 살균기 |
IT202200008384A1 (it) * | 2022-04-27 | 2023-10-27 | Ben Sante Del | Apparecchiatura per la purificazione dell'aria e contenimento del rischio biologico in ambienti confinati |
KR102618616B1 (ko) * | 2023-07-05 | 2023-12-27 |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 냉각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
-
2014
- 2014-06-13 KR KR1020140071778A patent/KR201501429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44681B (zh) * | 2017-06-19 | 2021-05-04 | 丽风有限公司 | 电过滤器装置 |
WO2018234633A1 (en) * | 2017-06-19 | 2018-12-27 | Lifa Air Ltd | ELECTRIC FILTER STRUCTURE |
WO2018234632A1 (en) * | 2017-06-19 | 2018-12-27 | Lifa Air Ltd | ELECTRIC FILTER STRUCTURE |
US11725836B2 (en) | 2017-06-19 | 2023-08-15 | Oy Lifa Air Ltd | Electrical filter structure |
CN110944681A (zh) * | 2017-06-19 | 2020-03-31 | 丽风有限公司 | 电过滤器装置 |
CN110958891A (zh) * | 2017-06-19 | 2020-04-03 | 丽风有限公司 | 电过滤器装置 |
US11555620B2 (en) | 2017-06-19 | 2023-01-17 | Oy Lifa Air Ltd | Electrical filter structure |
KR101997631B1 (ko) * | 2018-02-19 | 2019-07-08 | 주식회사 피코피코 | 유모차용 공기 정화 장치 |
KR102099217B1 (ko) * | 2018-11-30 | 2020-04-09 | 김주응 | 내부공간에 쾌적한 환경이 조성된 중증환자 및 유아용 호흡구난장비 |
KR200490315Y1 (ko) | 2019-01-11 | 2019-10-25 | 오성택 | 이동형 공기청정기 |
FR3101843A1 (fr) * | 2019-10-11 | 2021-04-16 | Emmanuel ADDA | Dispositif de transport, tel que poussette, landau |
KR20210089011A (ko) | 2020-01-07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
KR20210146146A (ko) | 2020-05-26 | 2021-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시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
US20220185356A1 (en) * | 2020-12-11 | 2022-06-16 | Gricela Saavedra | Baby Stroller |
KR20220136787A (ko) * | 2021-04-01 | 2022-10-11 | 한기철 | 휴대용 공기 살균기 |
KR102401778B1 (ko) * | 2021-10-14 | 2022-05-25 | (주)오르다 | Uv-c led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
IT202200008384A1 (it) * | 2022-04-27 | 2023-10-27 | Ben Sante Del | Apparecchiatura per la purificazione dell'aria e contenimento del rischio biologico in ambienti confinati |
KR102618616B1 (ko) * | 2023-07-05 | 2023-12-27 |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 냉각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42971A (ko) | 이동식 공기청정기 | |
KR101773371B1 (ko) |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 |
US9974881B2 (en) |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KR102027031B1 (ko) | 자외선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정화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 |
US9233182B2 (en) | Mobile disinfection unit for disinfecting a given facility or equipment and a method of using said unit | |
CN102961964A (zh) | 具有受照射成角度基板的光催化空气净化器系统 | |
CN102962132A (zh) | 具有划分成电隔离组的收集电荷板的静电除尘器 | |
CN102962131A (zh) | 具有与空气速度相关的电晕接线中的电流的空气清洁器 | |
KR20140003240A (ko) | 유체 정화 장치 | |
KR101305762B1 (ko) |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 |
CN211753935U (zh) | 流体处理模块以及包括流体处理模块的保管装置 | |
CN102962133A (zh) | 具有可去除电晕单元的静电除尘器箱 | |
KR100899785B1 (ko) | 살균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 |
JP3924589B2 (ja) | 空気清浄機 | |
KR20120119475A (ko) | 복합 공기청정장치 | |
KR200494084Y1 (ko) |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 |
CN115297901A (zh) | 空气净化和灭菌单元 | |
KR20160030651A (ko) | 공기 청정기 | |
KR20150123037A (ko) |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해충 트랩 장치 | |
KR20110085060A (ko) |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 |
WO2022102320A1 (ja) | 空気浄化装置 | |
KR102297464B1 (ko) | 가습 살균 공기 정화기 | |
KR100799106B1 (ko) |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 |
KR20200038747A (ko) | 이동식 광플라즈마 공기정화장치 | |
KR20190073624A (ko) | 능동형 개인용 안티바이러스 공기정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