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701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701B1
KR102301701B1 KR1020190171083A KR20190171083A KR102301701B1 KR 102301701 B1 KR102301701 B1 KR 102301701B1 KR 1020190171083 A KR1020190171083 A KR 1020190171083A KR 20190171083 A KR20190171083 A KR 20190171083A KR 102301701 B1 KR102301701 B1 KR 10230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ing bar
rear wheel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9031A (ko
Inventor
고창빈
김천수
고창오
서정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정밀
Priority to KR102019017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7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39Sing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4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axle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유아가 착석하는 탑승부; 사용자가 유모차를 주행하기 위한 손잡이; 한 쌍의 전·후방 바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 작동을 통해 후방 바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발 작동을 통해 한 쌍의 후방 바퀴를 동시에 제동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손잡이에 장착되는 컨트롤러와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를 통해 후방바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러와 제동장치를 통해 이중으로 후방바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가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유모차는 유아가 있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아용품이다.
이와 같은 상기 유모차는 유아가 착석하는 탑승부와 사용자가 유모차를 주행하기 위한 손잡이 및 전, 후방 바퀴로 구성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유모차를 주행하기 위하여 바퀴에 전동모터가 설치된 전동식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식 유모차는 주행의 편리성이 있으나 경사진 곳(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을 지나게 될 때 사용자가 손잡이를 놓치게 될 경우 탑승한 유아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힐 수가 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유모차는 바퀴를 제어하는 제동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의 손상시 교체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70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손잡이에 장착되는 컨트롤러와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를 통해 후방바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모차는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유아가 착석하는 탑승부; 사용자가 유모차를 주행하기 위한 손잡이; 한 쌍의 전·후방 바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 작동을 통해 후방 바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발 작동을 통해 한 쌍의 후방 바퀴를 동시에 제동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바퀴는 외면에 타이어가 일체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중앙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스티어링; 상기 스티어링 내부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장착되는 자석부; 상기 스티어링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외면에 코일이 감기며, 중앙으로 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스티어링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커버 결합홈이 형성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관통공과 축 결합공 및 커버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후방 바퀴의 내면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 바퀴의 회전작동시 함께 작동하는 바퀴 연결구; 상기 축의 중앙에 배치되고 외력 전달시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회전 작동판; 상기 회전 작동판과 간격을 두고 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동 고정바를 지지 또는 원상복귀시키는 고정바 지지구; 및 상기 고정바 지지구를 중심으로 수평 장착되고, 상기 회전 작동판의 상하 작동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퀴 연결구를 제동하며, 상기 회전 작동판의 중앙에 배치시 상기 바퀴 연결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동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 연결구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강도 지지부가 형성된 축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 관통공과 고정바 장착홈의 사이에는 방사형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작동판은 평면상 "
Figure 112019131741810-pat00001
"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사용자의 발 작동을 위한 발 지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제동 고정바의 일 단을 수용하면서 회전작동시 상기 제동 고정바를 바퀴 연결구로 이동시키는 고정바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 지지구는 전방에 축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고정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장착홈에는 일 단이 제동 고정바의 단턱부에 지지되고 타 단이 스프링 장착홈에 지지되는 원상복귀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손잡이에 장착되는 컨트롤러와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를 통해 후방바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유모차를 이동시키는 후방바퀴의 구조의 종래의 유모차의 후방바퀴의 구조보다 간단할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후방바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동장치의 바퀴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회전 작동판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 고정바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후방바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구성하는 제동장치의 바퀴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유모차(1)는 프레임(10), 탑승부(20), 손잡이(30), 컨트롤러(40), 전·후방 바퀴(50, 60), 제동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 탑승부(20), 손잡이(30)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되, 상기 프레임(10), 탑승부(20), 손잡이(30)는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공지된 프레임, 탑승부, 손잡이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유모차(1)에 장착되는 바퀴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서로 다른 지름과 구동작동하는 전방 바퀴(50)와 후방 바퀴(60)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 바퀴(60)만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모차(1)에 장착되는 바퀴는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바퀴(60)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다수개의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제작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다수개의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탑승부(20)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에는 유아가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 부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0)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후방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러(40)는 손잡이(3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40)는 사용자의 손 작동을 통해 후방 바퀴(6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4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제거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전방 바퀴(50)는 유모차(1)의 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30)를 통한 힘의 전달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바퀴(50)와 전방 바퀴(50)의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한 축이 연결된다.
상기 후방 바퀴(60)는 유모차(1)의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30)를 통한 힘의 전달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바퀴(60)와 후방 바퀴(60)의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한 축(67)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 바퀴(60)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전동모터(7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 바퀴(60)에는 제동장치(100) 이외에도 공지된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손잡이(30)에 장착되는 컨트롤러(40)을 통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바퀴(60)는 타이어(61)가 일체로 장착되는 스티어링(62), 자석부(63), 코일(65)이 감기는 코어(64), 외부 커버(66), 축(67)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62)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된다.
즉, 상기 스티어링(62)은 전방 바퀴(50)의 지름과 동일 또는 크게 형성되어 유모차(1)의 작동시 회전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62)은 외면에 타이어(61)가 일체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62a)이 형성되며, 중앙에 베어링(63c)이 장착되는 관통공(62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티어링(62)은 후방 바퀴(60)의 뼈대로 외면에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타이어(61)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에 자석부(63)와 코어(64) 및 축(67)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62a)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베어링(63c)의 장착 및 축(67)의 관통을 위해 관통공(62b)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62)은 바퀴 연결구(200)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면(62d)이 수직 형성된다.
상기 자석부(63)은 스티어링(6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63)는 스티어링(62)의 내면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자석부(63)는 스티어링(62)의 회전작동시 연동작동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65)이 감긴 코어(64)와 자성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코어(64)는 스티어링(62)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어(64)는 스티어링(62)의 수용공간(62a)에 배치되고, 외면에 코일(65)이 감기며, 중앙으로 축 결합공(6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코어(64)는 스티어링(62)의 수용공간(62a)에 배치되는 축(67)에 축 결합공(64a)이 끼움 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자석부(63)의 회전작동시 자석을 통해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코일(65)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축 결합공(64a)에 끼움 결합되는 축(67)에는 고정을 위하여 키(K)가 장착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외부 커버(66)는 스티어링(62)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외부 커버(66)는 스티어링(62)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62)의 수용공간(62a)에 장착되는 자석부(63)와 코어(64) 및 축(67)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커버(66)는 중앙에 베어링(66b)이 장착되는 커버 결합홈(66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 커버(66)는 자석부(63)와 코어(64) 및 축(67)을 보호하면서도 상기 커버 결합홈(66a)에 장착되는 베어링(66b)을 통해 스티어링(62)의 회전력이 축(67)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축(67)은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67)은 후방 바퀴(60)와 후방 바퀴(6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관통공(62b)과 축 결합공(64a) 및 커버 결합홈(66a)에 끼움 결합된다.
즉, 상기 축(67)은 후방 바퀴(60)와 후방 바퀴(60)에 배치되면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 바퀴(60)와 근접하는 축(67)에는 코어(64)에 장착되는 코일(65)과 연결되어 컨트롤러(40)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전선 관통공(67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선 관통공(67a)을 통해 컨트롤러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동장치(100)는 바퀴 연결구(200), 회전 작동판(300), 고정바 지지구(400), 제동 고정바(500)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 연결구(200)는 후방 바퀴(60)에 각각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퀴 연결구(200)는 후방 바퀴(60)의 내면 중앙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후방 바퀴(60)의 회전작동시 함께 회전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퀴 연결구(200)는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강도 지지부(250)가 형성된 축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내면(240)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바 장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축 관통공(210)과 고정바 장착홈(230)의 사이에는 방사형으로 공간(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바퀴 연결구(200)는 중앙에 축(67)을 관통하는 축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내면(240)의 둘레에는 제동 고정바(500)의 끼움 결합을 위한 고정바 장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축 관통공(210)과 고정바 장착홈(230)의 사이에는 무게 경감을 위한 공간(220)이 형성되어 상기 후방 바퀴(60)의 내면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퀴 연결구(200)와 후방 바퀴(60)는 공지된 용접, 볼팅 결합, 리벳 등의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된다.
상기 회전 작동판(300)은 축(67)의 중앙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작동판(300)은 후방 바퀴(60)와 후방 바퀴(60)의 사이에 배치되는 축(67)의 중앙에 배치되어, 외력 전달시 상기 축(67)과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작동판(300)은 평면상 "
Figure 112019131741810-pat00002
"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축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사용자의 발 작동을 위한 발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제동 고정바(500)의 일 단을 수용하면서 회전작동시 상기 제동 고정바(500)를 바퀴 연결구(200)로 이동시키는 고정바 작동홈(3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작동판(300)은 발 지지부(320)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에서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축 관통공(310)을 통해 회전작동하고, 상기 고정바 작동홈(330)은 단면 변화를 통해 제동 고정바(500)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축 관통공(310)의 내면에는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해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발 지지부(320)의 형상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고정바 작동홈(330)은 중앙에 중앙 홈(331)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중앙 홈(331)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지지면(332)과 하부 지지면(333)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 작동판(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동 고정바(5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고정바 지지구(400)는 회전 작동판(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바 지지구(400)는 회전 작동판(30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축(67)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동 고정바(500)를 지지 또는 원상복귀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바 지지구(400)는 전방에 축 관통공(41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고정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장착홈(420)에는 일 단이 제동 고정바(500)의 단턱부(510)에 지지되고 타 단이 스프링 장착홈(420)에 지지되는 원상복귀 스프링(430)이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바 지지구(400)는 축 관통공(410)에 지지되고, 스프링 장착홈(420)에는 제동 고정바(500)의 단턱부(510)와 원상복귀 스프링(430)을 장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바 지지구(400)는 평상시 원상복귀 스프링(430)을 통해 제동 고정바(500)의 일단(530)을 상기 회전 작동판(300)의 고정바 작동홈(330)에 삽입 및 밀착시키고, 상기 회전 작동판(300)의 작동시 원상복귀 스프링(430)은 제동 고정바(500)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회전 작동판(300)이 처음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원상복귀 스프링(430)은 탄성을 통해 제동 고정바(500)를 처음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 지지구(400)는 제동 고정바(500)의 지지를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동 고정바(50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원활한 이동을 위해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제동 고정바(500)는 고정바 지지구(400)를 중심으로 수평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동 고정바(500)는 고정바 지지구(400)를 중심으로 일단이 상기 회전 작동판(300)에 삽입되고 타단은 바퀴 연결구(200)에 인입 또는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 고정바(500)는 원형 막대기 형상으로 중앙 또는 일 측으로 단턱부(510)가 형성되고, 일단(530)은 상기 회전 작동판(300)의 고정바 작동홈(330)에 지지되며, 타단(520)은 바퀴 연결구(200)와 이웃 또는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제동 고정바(500)는 고정바 지지구(4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작동판(300)의 작동에 따라 타단(520)이 바퀴 연결구(200)의 고정바 장착홈(230)에 삽입되어, 상기 바퀴 연결구(200)에 제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모차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10),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후방에는 유아가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 부분이 형성되는 탑승부(20), 사용자가 유모차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후방 상부에 장착되는 손잡이(30), 상기 손잡이(30)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 작동을 통해 후방 바퀴(6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양측에 상기 손잡이(30)를 통한 힘의 전달시 진행하게 되는 전방 바퀴(5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양측에 타이어(61)가 일체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62a)이 형성되며, 중앙에 베어링(63c)이 장착되는 관통공(62b)이 형성되는 스티어링(62), 스티어링(62)의 내면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자석부(63), 스티어링(62)의 수용공간(62a)에 배치되고, 외면에 코일(65)이 감기며, 중앙으로 축 결합공(64a)이 형성되는 코어(64), 상기 스티어링(62)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티어링(62)의 수용공간(62a)에 장착되는 자석부(63)와 코어(64) 및 축(67)을 보호하는 외부 커버(66), 상기 후방 바퀴(60)와 후방 바퀴(6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관통공(62b)과 축 결합공(64a) 및 커버 결합홈(66a)에 끼움 결합되는 축(67)으로 구성되는 후방 바퀴(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바퀴(60)와 후방 바퀴(60)의 사이에는 장착되는 축(67)으로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강도 지지부(250)가 형성된 축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내면(240)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바 장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축 관통공(210)과 고정바 장착홈(230)의 사이에는 방사형으로 공간(220)이 형성되는 바퀴 연결구(200), 평면상 "
Figure 112019131741810-pat00003
"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축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사용자의 발 작동을 위한 발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제동 고정바(500)의 일 단을 수용하면서 회전작동시 상기 제동 고정바(500)를 바퀴 연결구(200)로 이동시키는 고정바 작동홈(330)이 형성되는 회전 작동판(300), 전방에 축 관통공(41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고정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장착홈(420)에는 일 단이 제동 고정바(500)의 단턱부(510)에 지지되고 타 단이 스프링 장착홈(420)에 지지되는 원상복귀 스프링(430)이 장착되는 고정바 지지구(400), 원형 막대기 형상으로 중앙 또는 일 측으로 단턱부(510)가 형성되고, 일단(530)은 상기 회전 작동판(300)의 고정바 작동홈(330)에 지지되며, 타단(520)은 바퀴 연결구(200)와 이웃 또는 밀착하는 제동 고정바(500)로 구성되는 제동장치(100)를 장착하면, 유모차(1)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유모차(1)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유모차(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유모차(1)의 탑승부(20)에 유아를 탑승시킨 후 손잡이(30)에 힘을 전달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유모차(1)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모차(1)에 제동력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30)에 장착되는 컨트롤러(40)를 통해 후방 바퀴를 회전작동시키는 자성을 제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동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전 작동판(300)을 구성하는 발 지지부(320)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이후, 상기 고정바 작동홈(330)에 삽입된 제동 고정바(500)의 일단(530)은 중앙 홈(331)에서 상부 지지면(332) 또는 하부 지지면(333)에 의하여 바퀴 연결구(20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510)는 원상복귀 스프링(430)을 압축하고, 상기 제동 고정바(500)의 타단(520)은 바퀴 연결구(200)의 고정바 장착홈(230)에 삽입장착됨에 따라 후방 바퀴(60)에 제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모차(10)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40)를 작동시켜서 상기 후방 바퀴(60)가 자성을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작동판(300)을 구성하는 발 지지부(320)를 중앙으로 작동시키면 된다.
이후, 상기 고정바 작동홈(330)에 삽입된 제동 고정바(500)의 일단(530)은 상부 지지면(332) 또는 하부 지지면(333)에서 중앙 홈(331)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510)는 원상복귀 스프링(430)에 의하여 신속하게 원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동 고정바(500)의 타단(520)은 바퀴 연결구(200)의 고정바 장착홈(230)에 배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유모차
10 : 프레임 20 : 탑승부
30 : 손잡이 40 : 컨트롤러
50 : 전방 바퀴 60 : 후방 바퀴
61 : 프레임 62 : 스티어링
63 : 자석부 64 : 코어
65 : 코일 66 : 외부 커버
67 : 축 70 : 전동모터
100 : 제동장치
200 : 바퀴 연결구 210 : 축 관통공
220 : 공간 230 : 고정바 장착홈
240 : 내면 250 : 강도 지지부
300 : 회전 작동판 310 : 축 관통공
320 : 발 지지부 330 : 고정바 작동홈
331 : 중앙 홈 332 : 상부 지지면
333 : 하부 지지면 400 : 고정바 지지구
410 : 축 관통공 420 : 스프링 장착홈
430 : 원상복귀 스프링 500 : 제동 고정바
510 : 단턱부 520 : 타단
530 : 일단

Claims (5)

  1. 삭제
  2.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유아가 착석하는 탑승부; 사용자가 유모차를 주행하기 위한 손잡이; 한 쌍의 전·후방 바퀴;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 작동을 통해 후방 바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를 연결하는 축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발 작동을 통해 한 쌍의 후방 바퀴를 동시에 제동하는 제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후방 바퀴의 회전작동시 함께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바퀴의 내면 중앙에 결합되며, 원판 형상으로 중앙에 강도 지지부가 형성된 축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면의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 관통공과 고정바 장착홈의 사이에는 방사형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바퀴 연결구;
    외력 전달시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중앙에 배치되며, 평면상 "
    Figure 112021086212983-pat00015
    "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사용자의 발 작동을 위한 발 지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제동 고정바의 일 단을 수용하면서 회전작동시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홈과 상기 중앙 홈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하부 지지면을 통해 상기 제동 고정바를 바퀴 연결구로 이동시키는 고정바 작동홈이 형성되는 회전 작동판;
    상기 제동 고정바를 지지 또는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작동판과 간격을 두고 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전방에 축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고정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장착홈에는 일 단이 제동 고정바의 단턱부에 지지되고 타 단이 스프링 장착홈에 지지되는 원상복귀 스프링이 장착되는 고정바 지지구; 및
    상기 고정바 지지구를 중심으로 수평 장착되고, 상기 회전 작동판의 상하 작동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바퀴 연결구를 제동하며, 상기 회전 작동판의 중앙에 배치시 상기 바퀴 연결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동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바퀴는,
    외면에 타이어가 일체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중앙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스티어링;
    상기 스티어링 내부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석이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장착되는 자석부;
    상기 스티어링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외면에 코일이 감기며, 중앙으로 축 결합공이 형성되는 코어;
    상기 스티어링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커버 결합홈이 형성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후방 바퀴와 후방 바퀴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이 관통공과 축 결합공 및 커버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축;을 포함하는 유모차.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1083A 2019-12-19 2019-12-19 유모차 KR10230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83A KR102301701B1 (ko) 2019-12-19 2019-12-19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83A KR102301701B1 (ko) 2019-12-19 2019-12-19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31A KR20210079031A (ko) 2021-06-29
KR102301701B1 true KR102301701B1 (ko) 2021-09-14

Family

ID=7662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83A KR102301701B1 (ko) 2019-12-19 2019-12-19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7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481B2 (ja) * 1992-07-14 2003-04-14 ハイドロ−ケベック 電気的にモーター駆動されるホイール装置
US20100187786A1 (en) * 2009-01-23 2010-07-29 Nuna International B.V. Buggy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KR101355522B1 (ko) * 2013-08-21 2014-01-27 (주)동인기연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781581B1 (ko) * 2016-08-22 2017-09-26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석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297B1 (ko) 2015-07-10 2017-04-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6481B2 (ja) * 1992-07-14 2003-04-14 ハイドロ−ケベック 電気的にモーター駆動されるホイール装置
US20100187786A1 (en) * 2009-01-23 2010-07-29 Nuna International B.V. Buggy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KR101355522B1 (ko) * 2013-08-21 2014-01-27 (주)동인기연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781581B1 (ko) * 2016-08-22 2017-09-26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석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31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189A (en) Stair vehicle
KR102158013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WO2018169034A1 (ja) コネクタ構造
JP2012030735A (ja) 全方向車輪および移動装置
EP1545956B1 (en) Braking assembly
KR102301701B1 (ko) 유모차
KR20210025623A (ko) 전동 외발자전거
JP2018177139A (ja) 倒立振子型車両
JPH10500049A (ja) モータ式車椅子
JP2008017886A (ja) 乗物遊戯設備
WO2016193684A1 (en) Hub motor design
JPWO2012020535A1 (ja) 飲食設備を備えた施設及び、当該施設における集客方法
KR20210079033A (ko) 이동장치용 바퀴
JP5626105B2 (ja) 車両
KR20170099186A (ko) 전기 자전거용 휠 모터 조립체
CN107444460B (zh) 一种童车安全保护器
JP4098887B2 (ja) 吊下シート開閉装置
CN109469367B (zh) 一种立式转轮自行车停放装置
KR200480534Y1 (ko)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KR102147440B1 (ko) 측면승하차용 휠체어
KR20170106788A (ko) 전기 자전거용 휠 모터 조립체
JP5947166B2 (ja) 台車用の連結装置
EP1726345B1 (en) Carousel
CN213109491U (zh) 一种儿童车安全护栏装置
US5319897A (en) Amusement park 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