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34Y1 -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 Google Patents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34Y1
KR200480534Y1 KR2020140000255U KR20140000255U KR200480534Y1 KR 200480534 Y1 KR200480534 Y1 KR 200480534Y1 KR 2020140000255 U KR2020140000255 U KR 2020140000255U KR 20140000255 U KR20140000255 U KR 20140000255U KR 200480534 Y1 KR200480534 Y1 KR 200480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driving
unit
fixed shaf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850U (ko
Inventor
박무웅
Original Assignee
박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웅 filed Critical 박무웅
Priority to KR2020140000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3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9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62J6/015Electric circuits using electrical power not supplied by the cycle motor generator, e.g. using batteries or piezo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6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the front wheel, e.g. on the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후방에 휠이 구비된 전륜과 후륜이 설치되고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륜 상측에 결합된 핸들부; 상기 바디부의 후륜 상측에 결합된 안장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된 발판부;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후륜에 구비된 구동휠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구동휠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며 복수 개의 코일이 슬롯 내부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마그네트가 장착되어 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가 구비된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전동부; 상기 안장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부; 상기 발판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전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부; 및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동부의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화면과, 상기 액정화면 옆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전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패널을 포함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발로 땅을 차면서 주행할 수도 있고 후륜에 내장된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바퀴를 강제 회전시켜 발굴림을 서포트하여 자동으로도 주행할 수 있어 평지에서 오래 타거나 오르막길에서도 피로하지 않고, 자동과 수동을 겸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KICK BOARD HAVING MOTOR PACKED IN INNER WHEEL}
본 고안은 발로 지면을 차면서 주행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모터로 구동되는 구동휠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여 발을 구르지 않고도 주행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한 발은 발판 위에 올려 놓고, 나머지 한 발은 지면을 차면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해 주행하는 이동 기구로서, 주로 어린이의 놀이 기구로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성인도 이동이나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한 발로 지면을 찰 때에만 추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래 타면 쉽게 피로해 져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어렵고, 한 발로 지면을 차는 과정에서 탑승상태가 불안하며, 추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최근에는 모터를 설치하여 바퀴가 자동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 퀵보드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퀵보드를 도시한 사시도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4555(2011. 3. 9. 공개)에 게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전동 퀵보드(100)는 발판(200)의 전·후방에 각각 조향바퀴(300)와 구름바퀴(400)를 구비하고, 조향바퀴(300)의 좌·우 회동을 위해 지지프레임(610)을 통하여 핸들(600)이 결합되며, 발판(200)의 상부에는 시동이나 제동을 위한 페달(500)이 설치되고, 구름바퀴(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부(700)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모터 구동부(700)는 발판(2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모터(미도시), 모터와 함께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710), 구름바퀴(400)와 함께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종동 스프라켓(720),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30), 구동 스프라켓(710)과 종동 스프라켓(720)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구름바퀴(400)로 전달하는 연결체인(7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퀵보드(100)는 모터의 구동력을 구름바퀴(400)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 스프라켓(710), 종동 스프라켓(720), 및 연결체인(740) 등의 동력전달부재가 외부에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외관도 보기에 좋지 않으며, 이러한 동력전달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주행 중 발굴림이 간섭을 받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며, 일부 동력의 손실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많고,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며, 유지를 위한 오일이나 부품 교환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페달을 밟아서 모터가 수동 제어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고, 주행 중 주행 속도나 거리 등 주행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없어 여전히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로 땅을 차면서 주행할 수도 있고 후륜에 내장된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바퀴를 강제 회전시켜 발굴림을 서포트하여 자동으로도 주행할 수 있어 평지에서 오래 타거나 오르막길에서도 피로하지 않고, 자동과 수동을 겸할 수 있어 편리한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동모터와 바퀴를 연결하는 스프라켓, 체인, 기어 등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되고, 단순한 외관이 구현되며, 동력전달부재의 간섭을 받지 않아 주행 중 발굴림이 편하고, 동력 손실이 제거되며, 소음이 감소되고, 오일이나 부품 교환이 필요없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조작패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전동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액정화면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며,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전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켜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크루즈 기능을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장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충전단자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후방에 휠이 구비된 전륜과 후륜이 설치되고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륜 상측에 결합된 핸들부; 상기 바디부의 후륜 상측에 결합된 안장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된 발판부;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후륜에 구비된 구동휠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축과, 상기 구동휠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며 복수 개의 코일이 슬롯 내부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마그네트가 장착되어 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가 구비된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전동부; 상기 안장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구비된 전원부; 상기 발판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전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부; 및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동부의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화면과, 상기 액정화면 옆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전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패널을 포함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액정화면은 배터리 잔량, 주행속도, 주행거리, 고장상태가 표시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조작패널은 전원버튼, 스피드업 버튼, 스피드다운 버튼, 및 크루즈 버튼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를 구비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핸들부는 브레이크 작동시 연동되어 상기 전동부로의 전원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발로 땅을 차면서 주행할 수도 있고 후륜에 내장된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바퀴를 강제 회전시켜 발굴림을 서포트하여 자동으로도 주행할 수 있어 평지에서 오래 타거나 오르막길에서도 피로하지 않고, 자동과 수동을 겸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모터와 바퀴를 연결하는 스프라켓, 체인, 기어 등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되고, 단순한 외관이 구현되며, 동력전달부재의 간섭을 받지 않아 주행 중 발굴림이 편하고, 동력 손실이 제거되며, 소음이 감소되고, 오일이나 부품 교환이 필요없다.
그리고, 조작패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전동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액정화면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며,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전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켜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크루즈 기능을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장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충전단자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퀵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퀵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퀵보드의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퀵보드의 전동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퀵보드의 전원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퀵보드의 콘트롤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1)는 크게 바디부(10), 핸들부(20), 안장부(30), 발판부(40), 전동부(50), 전원부(60), 제어회로부(70), 및 콘트롤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는, 내부가 중공된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1)의 내부에는 전선(L)이 통과되며, 전·후방에 각각 전륜휠(12a)과 구동휠(13a)이 구비된 전륜(12)과 후륜(13)이 설치되며, 이때 상기 전륜휠(12a)과 구동휠(13a)은 광폭으로 이루어져 광폭 타이어가 장착되므로 주행 안정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11)은 대략 "∪"자 형태로 절곡되게 이루어지되, 중간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메인 프레임(11a)과, 상기 메인 프레임(11a)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부에 핸들부(20)가 장착 결합되고 하측에 전륜(12)이 설치되는 핸들 프레임(11b)과, 상기 메인 프레임(11a)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부에 안장부(30)가 결합되고 하부에 후륜(13)이 결합되는 안장 프레임(11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1a)과 안장 프레임(11c)은 양측 2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20)는 상기 바디부(10)의 전륜(12) 상측에 결합되고, 중공 형성된 상기 핸들 프레임(11b)의 내측에 핸들 지지대(21)가 삽입 장착되며, 상기 핸들 프레임(11b)의 상부엔 핸들(22)이 결합되고, 상기 핸들 프레임(11b)의 하부엔 전륜(12)이 결합되며 이로써 상기 핸들(22)을 좌·우측으로 조향하여 상기 핸들 지지대(21)와 결합된 전륜(12)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22)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되고, 브레이크의 작동시 이와 연동되어 상기 전동부(50)로의 전원의 흐름이 차단되어 배터리(61)의 소모를 감소시켜 상기 배터리(61)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안장부(30)는 상기 안장 프레임(11c)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전동부(50)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주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안장부(30)에 착석한 채 핸들(22)을 조향하여 편리하게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40)는 상기 메인 프레임(11a)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부(50)는 상기 바디부(10)의 후방에 구비된 안장 프레임(11c)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편(51a)에 고정축(51)이 고정너트(51b)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51)은 후륜(13)에 구비된 구동휠(13a)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의 내부에는 전선(L)이 통과된다.
또한, 상기 구동휠(13a)의 내측에는 전동모터(52)가 설치되는데, 상기 전동모터(52)는 상기 고정축(51)의 외주면에 고정체(53)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체(53)는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의 슬롯(53a)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53a)의 내부에는 각각 코일(53b)이 장착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체(53)의 외주면에는 회전체(54)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54)에는 영구자석인 복수 개의 마그네트(54a)가 장착되며, 상기 전원부(60)의 배터리(61)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고정축(51) 내부에 배선되어 인출된 전선(L)을 통하여 상기 코일(53b)에 공급되어 자기 유도에 의해 상기 회전체(54)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체(54)는 상기 구동휠(13a)에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53b)과 마그네트(54a)의 사이에는 에어갭(55)이 형성되어 간섭을 제거하고 회전체(54)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공지의 BLDC 모터의 내측에 배치된 회전자(rotor)가 고정자가 되고, BLDC 모터의 외측에 배치된 고정자(stator)가 회전자가 되도록 코일과 마그네트의 설치 위치를 변형시켜 구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전동모터(52)에는 상기 마그네트(54a)의 위치를 알려주는 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60)는 상기 안장부(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60)의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61)가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배터리(61)에 충전시키는 충전단자(6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70)는 상기 발판부(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부(50), 전원부(60), 및 콘트롤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부(80)의 신호를 상기 전원부(60)에 전달하여 상기 전원부(60) 배터리(61)의 전원을 상기 콘트롤부(80)와 상기 전동부(5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며, 상기 콘트롤부(80)의 신호를 상기 전동부(50)에 전달하여 상기 전동부(50)의 구동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고, 상기 전동부(50)의 구동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부(80)는 상기 핸들부(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액정화면(81)과 조작패널(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화면(81)은 LC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부(50)와 전원부(60)의 정보를 외부로 표시되며, 이때 상기 액정화면(81)은 상기 제어회로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잔량(81a), 주행속도(81b), 주행거리(81c), 고장상태(81d)를 표시하여 준다.
여기서 고장상태(81d)란 브레이크나 전동모터의 작동상태가 불량인 경우를 의미하고, "BRAKE", "MOTOR"와 같은 형식으로 고장 부분에 대한 경고 표시를 한다.
상기 조작패널(82)은 상기 액정화면(81)의 옆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부(7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전동부(50)에 배터리(61)의 전원을 인가하고, 구동 상태를 조작하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작패널(82)은 상기 액정화면(81)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상기 전동부(50)의 구동을 시작하거나 종료시키는 전원버튼(82a)과, 상기 전동부(50)의 구동 속도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는 스피드업 버튼(82b) 및 스피드다운 버튼(82c)과, 정해진 속도를 계속 유지하여 주행하는 기능을 갖는 크루즈 버튼(82d)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고정축(51)은 안장 프레임(11c)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편(51a)에 고정축(51)이 고정너트(51b)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구동휠(13a)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고정축(51)의 내부에는 배터리(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L)이 배선되어 인출되며, 전선(L)을 통하여 전동모터(52)에 전원이 공급되어 권선되어 있는 코일(53b)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코일(53b)로부터 자기장 관계에 의해 마그네트(54a)가 장착된 회전체(54)를 회전시켜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므로 회전체(54)가 회전됨으로써 회전체(54)와 고정 연결된 구동휠(13a)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각 홀센서의 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전압을 인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전류를 흘려주면 마그네트(54a)가 장착된 회전체(54)가 순서대로 전자석에게 밀리고 당겨져 회전체(54)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홀센서가 장착되지 않은 것도 가능하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1)는 의하면, 발로 땅을 차면서 주행할 수도 있고 후륜에 내장된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바퀴를 강제 회전시켜 발굴림을 서포트하여 자동으로도 주행할 수 있어 평지에서 오래 타거나 오르막길에서도 피로하지 않고, 자동과 수동을 겸할 수 있어 편리하며, 또한, 전동모터와 바퀴를 연결하는 스프라켓, 체인, 기어 등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되고, 단순한 외관이 구현되며, 동력전달부재의 간섭을 받지 않아 주행 중 발굴림이 편하고, 동력 손실이 제거되며, 소음이 감소되고, 오일이나 부품 교환이 필요없으며, 더불어, 조작패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전동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액정화면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며,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전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켜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크루즈 기능을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장 내부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충전단자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전동 퀵보드
100. 전동 퀵보드 200. 발판
300. 조향바퀴 400. 구름바퀴
500. 페달 600. 핸들
610. 지지프레임 700. 모터 구동부
710. 구동 스프라켓 720. 종동 스프라켓
730. 전원부 740. 연결체인
*본 고안의 전동 퀵보드
1. 전동 퀵보드 10. 바디부
11. 프레임 11a. 메인 프레임
11b. 핸들 프레임 11c. 안장 프레임
12. 전륜 12a. 전륜휠
13. 후륜 13a. 구동휠
20. 핸들부 21. 핸들 지지대
22. 핸들 30. 안장부
40. 발판부 50. 전동부
51. 고정축 51a. 고정편
51b. 고정너트 52. 전동모터
53. 고정체 53a. 슬롯
53b. 코일 54. 회전체 54a. 마그네트
55. 에어갭 60. 전원부
61. 배터리 62. 충전단자
70. 제어회로부 80. 콘트롤부
81. 액정화면 81a. 배터리 잔량
81b. 주행속도 81c. 주행거리
81d. 고장상태 82. 조작패널
82a. 전원버튼 82b. 스피드업 버튼
82c. 스피드다운 버튼 82d. 크루즈 버튼
L. 전선

Claims (5)

  1. 전·후방에 휠이 구비된 전륜과 후륜이 설치되고, 중공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중공된 내부에는 전선이 통과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전륜 상측에 결합된 핸들부; 상기 바디부의 후륜 상측에 결합된 안장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된 발판부;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구비된 안장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후륜에 구비된 구동휠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안장 프레임의 양측에 돌출된 고정편에 고정축이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전선이 통과되는 고정축과, 상기 구동휠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며 복수 개의 코일이 슬롯 내부에 장착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고정축 내부에 배선되어 인출된 전선을 통하여 상기 코일에 공급됨으로써 복수 개의 마그네트가 장착되어 자기 유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위치를 신호로 알려주는 홀센서가 구비된 전동모터와, 상기 코일과 마그네트의 사이에는 에어갭이 형성되어 간섭을 제거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전동부;
    상기 안장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설치되며, 외부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충전단자가 구비된 전원부;
    상기 발판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전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회로부; 및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배터리 잔량, 주행속도, 주행거리, 고장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화면과, 상기 액정화면 옆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에 신호를 보내 상기 전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되 전원버튼, 스피드업 버튼, 스피드다운 버튼, 크루즈 버튼이 구비된 조작패널로 구성된 콘트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장상태에 관한 정보는 브레이크나 전동모터의 작동상태가 불량인 경우 상기 액정화면에 고장 부분에 대한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브레이크 작동시 연동되어 상기 전동부로의 전원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KR2020140000255U 2014-01-13 2014-01-13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KR200480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55U KR200480534Y1 (ko) 2014-01-13 2014-01-13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55U KR200480534Y1 (ko) 2014-01-13 2014-01-13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50U KR20150002850U (ko) 2015-07-22
KR200480534Y1 true KR200480534Y1 (ko) 2016-06-03

Family

ID=5387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255U KR200480534Y1 (ko) 2014-01-13 2014-01-13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24B1 (ko) * 2016-12-26 2018-03-19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전동이륜차용 프레임
EP3549431A4 (en) * 2016-11-30 2020-01-15 Honda Motor Co., Ltd. ELECTRIC WORK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8B1 (ko) * 2009-06-08 2009-09-17 주식회사 삼현 하이브리드 자전거 및 그의 고장표시방법
KR101073476B1 (ko) * 2011-07-22 2011-10-14 어울림엘시스 주식회사 가변 매핑을 지원하는 지능형 전기자전거 제어장치
JP2013126859A (ja) * 2011-11-15 2013-06-2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電動車両用の車輪、鞍乗型電動車両用の車輪駆動用電動機、及び鞍乗型電動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8B1 (ko) * 2009-06-08 2009-09-17 주식회사 삼현 하이브리드 자전거 및 그의 고장표시방법
KR101073476B1 (ko) * 2011-07-22 2011-10-14 어울림엘시스 주식회사 가변 매핑을 지원하는 지능형 전기자전거 제어장치
JP2013126859A (ja) * 2011-11-15 2013-06-27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電動車両用の車輪、鞍乗型電動車両用の車輪駆動用電動機、及び鞍乗型電動車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49431A4 (en) * 2016-11-30 2020-01-15 Honda Motor Co., Ltd. ELECTRIC WORKING MACHINE
US11337369B2 (en) 2016-11-30 2022-05-24 Honda Motor Co., Ltd. Electric power equipment
KR101839824B1 (ko) * 2016-12-26 2018-03-19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전동이륜차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50U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927B2 (en) Powered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otating wheels
CN102897276B (zh) 自行车用马达控制装置及自行车
KR101531624B1 (ko)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45885A1 (en) Bicycle generator and/or shifting device
JP6669422B1 (ja) 自己充電で走行可能な電動自転車
KR101465469B1 (ko) 자가발전 전기자전거
KR200480534Y1 (ko) 휠 내장 모터를 갖는 전동 킥보드
EP3863907A1 (en) Wheel assembly for a trolley comprising a mechanical brake allowing for a safe rocking pattern
KR20190085762A (ko) 자가발전 전기 자전거
JP5211788B2 (ja) 電動車椅子
US20040079567A1 (en) Drive assembly
KR101180678B1 (ko) 전동식 이동장치
JP2015204873A (ja) 電動車椅子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267568B1 (ko) 전기 자전거
JP2011143751A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
JPS6344078Y2 (ko)
JPH05105146A (ja) 電動機付き二輪車
JP2012197038A (ja) 二輪電動車
JPH10129467A (ja) モノレールの安全装置
JP7282333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機能を備えた電動車椅子
JP2011110944A (ja) アシストモータユニット
KR101183813B1 (ko) 자전거용 발전기
CN113276992B (zh) 电动车辆及驱动单元
CN209270113U (zh) 一种电动观光轮椅
KR102235347B1 (ko) 이중공간지를 이용한 전동 승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