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192B1 - 내시경용 압배체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압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192B1
KR101353192B1 KR1020117004683A KR20117004683A KR101353192B1 KR 101353192 B1 KR101353192 B1 KR 101353192B1 KR 1020117004683 A KR1020117004683 A KR 1020117004683A KR 20117004683 A KR20117004683 A KR 20117004683A KR 101353192 B1 KR101353192 B1 KR 10135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direction
main body
frame
endoscope
tro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229A (ko
Inventor
시노부 쯔찌다
다께유끼 하마구찌
가즈히또 기따노
Original Assignee
가와모또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또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또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3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sealing trocar wounds through abdominal 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8Material properties expandable upon contact with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42Material properties hydrophi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44Blunt diss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44Blunt dissectors
    • A61B2017/320048Balloon diss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머리를 낮은 위치로 하는 수술 방법을 채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압배체 지지를 위한 사람의 손이 필요 없으며, 환자의 신체에 압배체용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 체강 내의 장기를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는 내시경용 압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시경용 압배체 본체(45)와, 이것을 수용해서 취출 가능한 장척의 프레임(40)을 구비한다. 압배체 본체(45)는, 건조 압축 성형된 흡수 팽창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막대 형상이며 그 횡단면이 트로카(trocar)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 작은 것이다. 프레임(40)은 압배체 본체(45)의 압축 방향으로 지지벽(42a, 42c, 43a, 43c)을 구비한다. 프레임(40)에 의해 압배체 본체(45)의 팽창을 억제한다. 압배체 본체(45)를 트로카로부터 체내에 삽입하고, 그 후 생리식염수를 부여해서 팽창시켜, 압배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압배체{ENDOSCOPE EXCLUDER}
본 발명은, 수술에 있어서 표적 장기(수술 대상의 장기) 이외의 장기를 압배(壓排)할 때에 사용하는 압배체이며, 특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한 내시경용 압배체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외과 수술에서는 복부나 흉부 등을 크게 절개해서 행하는 것이 통상이었지만, 의료 기술이나 의료기기의 진보에 따라,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이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란, 복부 등에 작은 구멍을 몇 군데 뚫고, 이 구멍에 트로카(트롯카라고도 함)를 삽입 장착하고, 이 트로카를 통해 가늘고 긴 카메라나 수술용 기구(예를 들어 내시경용 겸자나 내시경용 메스)를 넣어서 행하는 수술이다. 이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은, 저침습성으로, 환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적은 방법이다.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에 있어서도, 개복 수술(혹은 개흉 수술 등)과 마찬가지로, 장기의 절제·적출 등이 행하여진다. 이 조작 시, 표적 장기 이외의 장기(표적 외 장기)가 방해가 되어, 조작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시야 확보의 장해가 되는 다른 장기를 압배해서 표적 장기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요망된다.
예를 들어, 복강경을 이용한 직장 수술의 경우, 소장이 골반강 내로 파고들어, 표적 장기인 직장의 시야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현상에서는, 환자 체위를 머리를 낮게 한 위치(頭低位)로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소장을 복강 내 머리측으로 비켜서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극단적인 머리를 낮게 한 위치는 혈행 동태에 악영향을 주거나, 팔 신경 주머니가 압배되는 것에 의한 흉곽 출구 증후군의 발생이 염려된다.
그래서, 환자 체위를 가능한 한 평탄하게 하기 위해서 압배체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상기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용 압배구(압배체)로서는, 트로카를 통해서 체강 내에 삽입하고, 체강 내에서 넓혀서 표적 외 장기를 압배할 수 있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고무제의 시트 주위에 초탄성 합금제의 환상 프레임을 부착한 내시경용 압배구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법은, 상기 내시경용 압배구를 압착해서 가는 직선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트로카를 통해 삽입하고, 계속해서 체강 내에 있어서 상기 환상 프레임의 복원력에 의해 폭을 넓혀 장기를 압배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선단에 벌룬을 구비한 압배구(지지 겸자)가 도시되어 있다. 이 압배구에서는, 벌룬을 절첩해서 통 형상의 자루 부분에 수납하고, 이 상태로 트로카를 통해 체강 내에 삽입하고, 계속해서 자루를 어긋나게 해서 벌룬을 노출시키고, 가스를 주입해서 부풀어 오르게 해서 장기의 압배나 지지를 행한다. 사용 후에는, 벌룬의 공기를 빼내고, 절첩하도록 해서 통 형상의 자루에 수납하고, 트로카를 통해 제거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6445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5391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압배구의 경우에는, 수술중, 시술자 혹은 조수가 상기 압배구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압배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되어, 사람의 손이 필요로 된다. 게다가 이 압배구의 지지를 위한 구멍을, 환자의 신체에 별도로 뚫을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압배구는, 비교적 부드러운 고무제 시트나 벌룬에 의해 장기를 압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나 자루 부분은 경질하다. 이 때문에, 체강 내의 장기에 대해서 보다 용이한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배체 지지를 위한 사람의 손이 필요 없고, 환자의 신체에 압배체 지지용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또한 체강 내의 장기를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는 내시경용 압배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용 압배체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에서 사용되는 압배체이며, 건조와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흡수 팽창성 재료로 구성된 압배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압배체 본체가, 막대 형상이며 그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와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어진」이라는 말은, 건조시키면서 압축 성형한다는 식으로 압축과 건조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나, 일단 압축하고, 다음에 이 압축 상태 그대로 건조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이하, 건조와 압축 성형하는 것을, 「건조 압축 성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란, 흡수함으로써 팽창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재료를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용 압배체는, 그 압배체 본체의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으므로, 트로카의 통을 통과시켜 체강 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배체 본체는, 건조 압축 성형에 의해 얻어진 흡수 팽창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분이 부여되면 팽윤해서 커진다.
압배체 본체가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 작은 사이즈 그대로이면, 지나치게 작아서 장기를 압배할 수 없지만, 내시경용 압배체를 체강 내에 삽입한 후, 압배체 본체에 생리식염수 등을 넣어서 팽창시키면, 장기를 압배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된다. 게다가 팽윤한 흡수 팽창성 재료는 적당한 반발력을 가지므로, 팽윤한 흡수 팽창성 재료제의 압배체 본체에 의해, 표적 외 장기를 압배할 수 있다. 게다가 팽윤한 흡수 팽창성 재료는 유연하므로, 팽윤한 흡수 팽창성 재료제의 압배체 본체는, 자유롭게 절곡할 수 있어 취급하기 쉽고, 또한 표적 외 장기에 대하여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시경용 압배체에 따르면, 상기 특허 문헌 1, 2의 내시경용 압배구와 같이, 압배구를 지지해서 압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사람의 손이 필요 없고, 또한 환자의 신체에 압배구용의 다른 구멍을 뚫을 필요도 없다. 게다가 본 발명의 내시경용 압배체는 경질인 프레임 부분을 갖지 않고, 본 발명에서의 팽윤한 압배체 본체에 의해, 표적 외 장기를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단면」과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다.
그리고 상기 「압배체 본체의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다」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이 진원이고, 압배체 본체의 단면이 장방형이나 정방형인 막대 형상(사각기둥의 압배체 본체)의 경우에, 압배체 본체의 횡단면의 대각선의 길이가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 직경보다도 작은 것이다. 또한 이 「작다」라는 것은 실질적으로 작은 것을 말한다. 건조 압축 상태의 압배체 본체를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게 설정해도, 상기 압배체 본체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서 다소 팽창하고, 압배체 본체의 횡단면의 대각선의 길이가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 직경과 동일하게 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라도, 압배체 본체가, 건조 압축 상태에 있어서 다소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압배체 본체의 표면을 트로카 내벽면에 접촉시키면서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작다」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소의 팽창에 의해 압배체 본체가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게다가 상기 「압배체 본체의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다」라는 것은, 압배체 본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어떠한 개소의 횡단면에 있어서도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다는 것을 말한다. 즉 가로로 돌출된 부분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 가로로 돌출된 부분이 있으면, 그곳이 걸려서 트로카에 삽입 관통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복 수술에 있어서는, 두꺼운 평판 형상의 스펀지를 사용해서 표적 외 장기를 멀리하도록 해서 압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스펀지제 압배체는 경질인 프레임 부분을 갖지 않지만, 스펀지 자신이 적당한 반발력을 발휘하므로, 표적 외 장기를 압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부드러우므로, 표적 외 장기에 대하여 보다 부드럽게 압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압배 상태 유지를 위해 압배체를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지를 위한 사람의 손도 필요 없다. 또한 이러한 개복 수술용 스펀지제 압배체로서는, 재고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미리 건조 압축한 것으로 해 두고, 이것에 생리식염수 등을 부여해서 팽윤시켜 사용한다고 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개복 수술용 스펀지제 압배체는 크기 때문에(예를 들어 사이즈 260㎜×90㎜×35㎜나 120㎜×90㎜×35㎜), 이것을 가는 트로카의 통에 통과시켜 넣을 수 없다. 한편, 압배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필요하며, 트로카의 통을 통과할 정도의 가는 사이즈의 스펀지제 압배체로는, 장기를 압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점, 본 발명의 내시경용 압배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늘기 때문에 트로카의 통을 통해 삽입 관통할 수 있고, 충분히 건조 압축한 것이기 때문에 체내에서 팽윤시켜 크게 할 수 있어, 이 크게 팽윤한 압배체로 장기를 압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는 건조 압축 성형된 것인 바, 이 압축 방향은 적어도 막대 측면측(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대향 양측면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의 장축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의 압축 방향이 상기 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a)의 화살표 A 참조). 이러한 것이면, 수분의 부여로 팽윤했을 때 막대 측면 방향(막대가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게 된다. 따라서 건조 압축된 상태에서는 트로카의 원통 내강보다도 횡단면이 작은 사이즈라도, 체강 내 삽입 후에 팽윤시킨 상태에서는, 판 형상체와 같이 되어, 장기를 압배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에 있어서는, 상기 압배체 본체를 취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척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상기 Z축 방향을 따라서 쌍으로 되어 대치하는 지지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을 구비한 내시경용 압배체이고, 이 프레임이 상기 압배체 본체의 압축측의 면에 지지벽을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프레임을 구비한 내시경용 압배체에 대해서는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라고 칭하고, 프레임을 갖지 않는 상태의 것을 간단히 「내시경용 압배체」 혹은 「압배체」라고 칭해서 구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배체 본체에 수분을 부여하면 팽윤해서 커지지만, 이 성질 때문에, 사용 전의, 예를 들어 멸균 처리 단계나 보관 단계에서, 주위의 습기를 흡수하고, 다소 팽창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 팽창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트로카 원통 내강보다도 압배체 본체가 커져서 트로카에 삽입 관통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프레임에 압배체 본체를 수용한 것으로 하면,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트로카 원통 내강을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압배체 본체의 팽창 방향은, 오로지 압배체 본체 제조시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지지벽은 적어도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의 면 측에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반드시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의 면 전체에 프레임의 지지벽이 존재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팽창을 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구비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면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면의 중앙에 홈을 형성해서, 이 홈의 상하 영역에서 압배체 본체를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프레임(40)의 좌우 측벽(42, 4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 이외의 면에 개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를 가스 멸균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멸균용 가스(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가스)에 내시경용 압배체가 충분히 노출되게 되어, 멸균 처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개구부를 설치하면, 그 개구부의 개소에 있어서 압배체 본체가 팽창할 우려가 있어, 상기와 같이,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 이외의 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있어서, 상기 Z축 방향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이 상기 X축 방향이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Y축 방향(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을 개방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에 있어서 그 Y축 방향의 일방측이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스 멸균 시에, 멸균용 가스(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가스)에 내시경용 압배체를 충분히 노출시킬 수 있어, 멸균 처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방하는 측으로서는, 압배체 본체의 팽창의 저지라고 하는 본래의 목적을 감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때, Y축 방향의 일방측만을 개방해도 되고, 혹은 Y축 방향의 양측을 개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Y축 방향의 타방측에 저벽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저벽의 내벽면 상의 적어도 일부에 이 내벽면을 따른 설부(舌部)를 구비하고, 상기 설부가, 상기 저벽으로부터 Z축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Y축 방향의 개방측에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있어서, 압배체 본체는 상기 저벽 및 상기 설부와 상기 지지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이 압배체 본체는, 상기 설부의 기립 조작에 따라서 기립된다. 그 다음에 이 기립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파지해서 압배체 본체 전체를 프레임으로부터 취출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따르면, 프레임 내에 수용한 압배체 본체의 취출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에 있어서는, 상기 압배체 본체의 흡수에 의한 팽창 배율이, 상기 압축 방향에 대하여 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이다. 이러한 팽창 배율이면, 충분히 크게 팽창해서 장기를 양호하게 압배할 수 있다.
또한 압배체 본체의 압축률은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러한 압축률의 것이라면, 수분의 부여로 우수한 팽창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률(%)은, 「건조 압축 성형 후의 압축 방향 사이즈」÷「압축하지 않고 제조한 경우의 동일 방향의 사이즈」×100으로 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가 셀룰로오스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생체에 대한 안전성의 점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건조 압축 성형 가능한 소재이며, 이 건조 압축된 셀룰로오스 스펀지에 수분을 부여하면 흡수해서 팽창하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바람직한 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는, 그 길이 방향(Z축 방향)이,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이 되도록 해서 잘라내진 것이며, 상기 압출 방향을 Z축 방향, 이것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가, 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압축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일반적으로, 노즐로부터 원료를 압출해서 틀에 넣고, 이것을 응고시킴으로써 제조되지만, 이러한 제조 방법이기 때문에, 원료 중의 섬유 성분이 상기 압출 방향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상기 압출 방향 쪽이 다른 방향과 비교해서 터지기 쉽다. 따라서 상기 압출 방향을,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의 길이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되도록 잘라내면,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가 꺾이도록 분단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상기 압출 방향이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의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되도록 잘라낸 것으로 하면, 터져서 분단되게 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스펀지 중의 섬유 성분은 제조 공정에서의 압출 방향을 따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압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압축한 쪽이 압축하기 쉽다. 또한 압축률로서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러한 압축률의 것이라면, 수분의 부여로 우수한 팽창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에 있어서는, 상기 압배체 본체에 조영사(造影絲)가 삽입 관통 결삭(結索)되어 있고, 상기 압배체 본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측면(막대 형상의 측면)에 평탄부 또는 오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합계 2개소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 또는 오목부로부터 상기 조영사가 삽입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배체 본체에 조영사가 삽입 관통 결삭되어」라는 것은, 압배체 본체에 대하여 조영사를 삽입 관통하고, 결삭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내시경용 압배체에서는, 지지할 사람의 손이 필요 없다는 이점을 갖지만, 이것은 체강 내에 있어서 압배체를 놓칠 위험이 있다는 것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삽입한 압배체가 체강 내에 남으면, 아픔이나 위화감, 혹은 발열 등, 여러 가지 신체의 부조를 초래한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수술 종료 시에는 압배체를 체내에서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혈액 등이 부착된 압배체 본체는 육안으로는 찾기 어렵다.
이 과제에 관해서 거즈 등의 위생 재료에서는, 조영사를 부착해 두고, 수술 종반에 있어서 X선 조영(렌트겐 촬영)을 행하여, 상기 조영사를 단서로 상기 거즈의 유무를 확인하고, 남아 있으면 제거한다고 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또한 조영사로서는, X선 비투과성의 수지제 실가닥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개복 수술용 스펀지제 압배체에서는, 이것에 형성한 구멍에, 조영사를 구비한 스트립 형상의 거즈를 통과시키도록 해서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상기 거즈에 의한 방법을 내시경용 압배체에 적용해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건조 압축 성형된 흡수 팽창성 재료로 구성된 압배체 본체에 대해서는, 조영사를 삽입 관통해서 결삭하는 방법으로 부착하면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배체 본체(65)가 원기둥 형상인 것에서는(도 5(a): 원기둥 형상의 압배체 본체(65)에 조영사(66)를 삽입 관통 결삭한 내시경용 압배체(60)를 도시하는 사시도), 조영사(66)의 삽입 관통의 출입구 부분(66a, 66b)에 있어서, 조영사(66)가 트로카 통 내벽(71a)에 끼워지도록 해서 미끄럼 마찰되어, 절단되게 될 우려가 있다(도 5(b): 내시경용 압배체(60)가 트로카(71)의 원통을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또한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66a, 66b)으로부터 이격된 조영사 부분(66c)에 있어서는, 트로카 통 내벽(71a)과 조영사(66)가 마찰되지 않도록 피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와 관련하여, 내시경용 압배체(60)가 트로카(71)의 원통 내강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조심스럽게 삽입하면,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66a, 66b)이 트로카 통 내벽(71)에 끼워지지 않아, 조영사(66)의 절단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러한 삽입 관통의 방법은 시술자의 고도의 기량을 요구하게 되어, 현실적이지 않다.
이 점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의 측면에 평탄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여기로부터 조영사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즉, 트로카의 원통 내강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진원이나 타원형이며, 직사각형의 것은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호 형상의 트로카 내벽면에 대하여, 압배부 본체의 평탄부 또는 오목부의 개소는 접촉하지 않고,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여기를 조영사의 삽입 관통의 출입구로 하고 있으므로, 조영사가 트로카 통 내벽과 미끄럼 마찰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절단의 우려가 거의 없어진다.
또한 조영사의 삽입 관통의 출입구는, 상기 평탄부 또는 오목부의 개소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정도의 위치 쪽이 간극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평탄부 또는 오목부는, 압배체 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의 한쪽 단부측에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영사가 절단되지 않고 압배체 본체에 부수되어 체강 내에 삽입되므로, X선 조영에 의해 조영사를 단서로 내시경용 압배체의 체내 잔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가 셀룰로오스 스펀지이며, 이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을 Z축 방향, 이것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조영사가,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상기 X축 방향 또는 상기 Y축 방향(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그 제조 공정에서의 압출 방향 쪽이 터지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령 이 압출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조영사를 삽입 관통하면, 셀룰로오스 스펀지가 터지기 쉬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압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조영사를 삽입 관통하면, 이러한 일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이 셀룰로오스 스펀지가 상기 X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조영사가, 상기 X축 방향(압축 방향)을 따라 삽입 관통 결삭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영사의 삽입 관통 방향을,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상기 압축 방향(X축 방향)으로 하면, 수분이 부여되어 팽윤했을 때, 셀룰로오스 스펀지 내에서의 조영사의 삽입 관통 길이가 길어지므로, 조영사가 보다 이탈하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지지벽을 따른 홈 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의 사용 수순의 하나로서,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의 선단을 트로카의 삽입구에 가져다 대고, 프레임 내의 내시경용 압배체(조영사를 부착한 압배체 본체)를 후방측으로부터 찔러 프레임으로부터 뽑아내면서, 트로카에 끼워 넣는 것이 생각된다(이 작업 중에는, 프레임과 트로카의 위치 관계는 바뀌지 않음). 그때, 조영사가 압배체 본체와 프레임의 내벽면 사이에 끼이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생각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서 길이 방향의 홈(또는 간극)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내시경용 압배체를 프레임에 수용했을 때, 조영사의 삽입 관통 출입구에 상기 프레임의 홈(또는 공간)이 위치하도록 하면(바꿔 말하면, 홈(또는 간극)의 위치에 맞추어 조영사를 압배체 본체에 삽입 관통하도록 하면), 내시경용 압배체의 빼냄 조작에 있어서, 상기 홈의 개소를 따라 조영사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영사가 끼이거나 미끄럼 마찰될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에 있어서는, 상기 압배체 본체에, X선 비 투과성의 수지를 융착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영사 대신에, 압배체 본체에 X선 비 투과성의 수지를 융착하도록 해도 되고(이하, 이 융착 개소를 조영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이 조영부를 단서로, X선 조영(렌트겐 촬영)에 의해 압배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는, 압배체 본체가 건조 압축 성형된 상태로써 그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은 막대 형상이기 때문에, 트로카를 통해서 체강 내에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압배체 본체를 체강 내에서 팽창시킴으로써, 장기를 용이하게 압배할 수 있어, 표적 장기의 시야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압배체 지지를 위한 사람의 손이 필요 없어, 환자의 신체에 압배체 지지용의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따르면, 멸균 처리나 보관시 등에 있어서 습기에 노출되어도, 압배체 본체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어, 트로카 통 내를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용 압배체에 있어서, 압배체 본체에 조영사를 삽입 관통한 것에 대해서는, 조영사를 압배체 본체의 측면의 평탄부 또는 오목부의 개소로부터 삽입 관통하고 있으므로, 트로카를 통해서 이 내시경용 압배체를 체강 내에 삽입할 때에, 조영사가 절단될 우려가 작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실시 형태 1의 내시경용 압배체가 트로카의 원통을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내시경용 압배체의 압배체 본체가 팽윤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원기둥 형상의 압배체 본체에 조영사를 삽입 관통 결삭한 내시경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내시경용 압배체가 트로카의 원통을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그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그 내시경용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를 트로카에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b)는 그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그 내시경용 압배체(압배체 본체 및 조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6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있어서, 프레임으로부터 내시경용 압배체를 취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실시 형태 1의 내시경용 압배체(10)가 트로카(71)의 원통 내를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이 실시 형태 1의 내시경용 압배체(10)의 압배체 본체(15)가 팽윤한 모습(압배체 본체(15'))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압배체(10)는 압배체 본체(15)와 조영사(16)로 이루어진다. 압배체 본체(15)는 셀룰로오스 스펀지제이며, 셀룰로오스 스펀지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화살표B)을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한 단면 정방형의 막대 형상체(200㎜×8㎜×8㎜)이다(또한 도면에서는 편의상, 길이 방향을 짧게 그리고 있음). 압배체 본체(15)는 그 막대 측면측, 즉 길이 방향(화살표 B, 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화살표 A, X축 방향)으로부터, 압축률 10%로 압축된 것이다. 압배체 본체(15)는 상기한 사이즈이기 때문에, 원통 내강 단면의 사이즈가 직경 12㎜인 트로카(내강이 진원임)를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스펀지는, 재생 셀룰로오스법이나 셀룰로오스 용제 용액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제3520511호 공보에 개시된 셀룰로오스 스펀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배체 본체(15)의 제조법을 예시한다. 우선 목재 칩 등의 셀룰로오스 원료로부터 비스코스를 얻는다. 이 비스코스에 천연 섬유를 가하고, 또한 결정 망소와 폴리올 화합물, 및 적절하게 계면 활성재를 혼합한다. 얻어진 스펀지 원액을 성형틀 내에 압출해서 충전하고, 가열 응고시킨다. 이것을 상기 압출 방향이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되도록 해서 두꺼운 스트립 형상(200㎜×8㎜×80㎜)으로 잘라낸다(또한, 상기 압출 방향이 도 1(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됨). 이것을 상기 길이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압축하면서(또한 이 압축 방향이 도 1(a)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됨) 건조하고, 상기와 같이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15)(200㎜×8㎜×8㎜)로 한다.
조영사(16)는 X선 비 투과성의 수지제 실가닥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멀티 필라멘트나,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염화비닐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의 실 형상체 등을 들 수 있다.
조영사(16)는,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15)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측 근방에서, 상기 압축 방향(화살표 A, X축 방향)을 따라 삽입 관통되고, 그리고 결삭되어(결삭부(16e))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조영사(16)의 삽입 관통의 출입구는, 압배체 본체(15)의 측면의 평탄부(15e, 15f)에 있어서의 각각 두께 방향(Y축 방향) 중앙의 위치이다. 조영사(16)의 길이로서는, 압배체 본체(15)가 팽윤한 상태(압배체 본체(15'))를 감안하여(도 2 참조), 약간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 1의 압배체(1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복강경을 이용한 직장 수술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환자 체위를 일시적으로 머리를 낮게 한 위치로 하고, 중력에 의해 소장을 상방으로 피하게 한다. 복부에 삽입 장착된 트로카의 통보다, 압배체(10)를, 조영사(16)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측을 선두로 해서 복강 내에 삽입한다. 이때,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로카의 통 내벽(71a)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은 압배체 본체(15)의 코너부(15a, 15b, 15c, 15d)로 되고, 평탄부(15e, 15f)에 있어서의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에서는 간극을 발생한다. 따라서 트로카 통 내벽(71a)과 조영사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이 미끄럼 마찰되지 않는다. 또한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으로부터 연장한 부분(16c, 16d)에 있어서는, 이것을 평탄부(15e, 15f)를 따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트로카 통 내벽(71a)에 끼이지 않는다. 따라서 조영사(16)의 절단의 우려가 작다.
계속해서 상방으로 피하게 한 소장의 간막 근부 부근에 압배체 본체(15)를 배치하고, 이것에 생리식염수를 부여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이 복원하도록 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팽윤해서 커진다(압배체 본체(15'), 팽창 배율:10배). 이와 같이 팽윤한 압배체(10)(대강(200㎜×8㎜×80㎜)에 의해 소장이 압배되므로, 환자 체위를 평탄하게 복귀시켜도 표적 장기의 시야가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압배체(10)에 따르면, 환자 체위를 머리를 낮게 한 위치로 하는 것은 수술 시작의 단계뿐이며, 종래와 같이 수술 중의 전체 시간에 걸쳐 머리를 낮게 한 위치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머리를 낮게 한 위치에 수반하는 혈행 동태에의 악영향을 피할 수 있어, 흉곽 출구 증후군 등의 합병증의 예방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에서는, 소장 등의 장기를 골반으로부터 배제하기 위한 유효한 압배체가 없기 때문에, 극단적인 머리를 낮게 한 위치(트란덴베르그 체위)로 수술이 행하여지는 것이 통상이다. 또한 수술 3~4일 전부터 경비적으로 선단에 벌룬이 부착된 카테터를 삽입해 두고, 이것의 조작에 의해 소장을 골반 내로부터 배제하거나 함으로써, 표적 장기의 시야 확보를 도모하는 등의 학회 보고도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의 방법도 환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큰 것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압배체(10)에 따르면, 이들 방법을 채용하지 않더라도, 장기를 적절하게 압배해서 시야의 확보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적 장기에의 조치가 끝나서 압배가 불필요하게 되면, 복부에 뚫은 절제 장기 취출용 소절개부(절제된 표적 장기를 취출하기 위한 소절개부(소절개창))로부터 본 발명의 압배체(10)를 체외로 취출한다. 또한 육안으로 압배체(10)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X선 조영을 행하여, 비추어지는 조영사(16)를 단서로 압배체(10)의 체내 잔류의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남아 있으면 체외로 취출한다.
또한 수술의 시작 단계에서 소절개부를 형성해서 내시경용 압배체를 체강 내에 넣도록 하면, 내시경용 압배체가 트로카의 통을 삽입 관통 가능한 사이즈일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소절개부는 통상, 수술의 종반에 형성되기 때문에, 내시경용 압배체만을 넣기 위해서, 수술의 시작 단계에서 소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은 피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 소절개부를 내시경용 압배체의 취출에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체강 내에의 삽입은 트로카로부터로 한 것이다.
<실시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압배체(20)의 압배체 본체(25)는, 전체적인 대략 형상이 원기둥이며, 그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은 것이다. 그리고 압배체 본체(25)의 한쪽단부로부터 그 근방에 걸쳐 절결되고, 평탄부(26, 27)가 형성되고 있다. 이 평탄부(26, 27)는, 압배체 본체(25)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화살표 A, X축 방향) 측에 있어서, 대향해서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즉 압배체 본체에 형성되는 2개소의 평탄부(26, 27)는,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점대칭의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탄부(26, 27)의 중간 정도가 조영사(16)의 삽입 관통의 출입구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 2의 압배체(20)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트로카를 통해서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하다. 그리고 체강 내에서 생리식염수 등을 부음으로써, 팽윤해서 커져, 장기를 압배할 수 있다.
또한 트로카로부터 삽입할 때,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은 트로카 통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마찰되어 절단되는 등의 일이 거의 없다. 또한 평탄부(26, 27)는 압배체 본체(25)의 한쪽 단부까지 이르러 있으므로,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으로부터 연장한 부분(16c, 16d)을 이 평탄부(26, 27)를 따르게 하면, 트로카 통 내벽에 끼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조영사(16)의 절단의 우려가 작다.
<실시 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내시경용 압배체(3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압배체(30)의 압배체 본체(35)는, 전체적인 대략 형상이 사각기둥이며, 그 횡단면이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은 것이다. 그리고 압배체 본체(35)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화살표 A, X축 방향) 측의 면에, 각각 오목부(36, 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배체 본체(35)의 한쪽 단부측 근방에 있어서의 오목부(36, 37)의 개소를 출입구로 해서, 조영사(1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 3의 압배체(30)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트로카를 통해서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하며, 체강 내에서 생리식염수 등을 부음으로써, 팽윤해서 커져, 장기를 압배할 수 있다.
또한 트로카로부터 삽입할 때,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은 트로카 통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마찰되어 절단되는 일이 거의 없다. 또한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으로부터 연장한 부분(16c, 16d)도, 압배체 본체(35)의 사각기둥의 코너부를 피해서 뻗어가도록 하면, 트로카 통 내벽에 끼이는 일이 없다. 따라서 조영사(16)의 절단의 우려가 작다.
<실시 형태 4>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의 (c)는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 중 압배체(5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 중 프레임(4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상기 프레임(4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번호를 붙인 개소는, 도 1의 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이다.
내시경용 압배체(50)는, 압배체 본체(45)와 조영사(16)로 이루어진다.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배체(50)의 압배체 본체(45)는 횡단면이 정방형인 막대 형상체(200㎜×6㎜×6㎜)이다. 이 압배체 본체(45)는, 4개의 측면 중 대치하는 2개의 측면(52, 53)으로부터 압축되어 이루어진다(화살표 A, X축 방향). 또한 압배체(50)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압배체(10)와 동일하다.
프레임(40)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척의 것이며,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곧장 연장한 좌우 측벽(42, 43)과 저벽(41)을 구비한다. 프레임(40)은, 그 내공으로서 정사각 기둥 형상의 주내공(44)과, 이것에 연속하는 2개의 부내공(47, 48)을 구비한다(아울러 도 7 참조). 부내공(47, 48)은 프레임(40)의 측벽(42, 43)에 형성된 홈의 공간이다. 즉 좌우 측벽(42, 43)에는 길이 방향 전체에 걸친 오목부(홈)(42b, 43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42b, 43b) 내가 상기 부내공(47, 48)으로 된다. 상기 주내공(44)은, 좌우 측벽(42, 43)에 있어서의 지지벽(42a, 42c, 43a, 43c)(오목부(42b, 43b)를 제외한 좌우 측벽 부분)과 저벽(41)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주내공(44)의 사이즈는 200㎜×6㎜×6㎜이며,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배체 본체(45)가 정확히 끼워지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는 상기 프레임(40)의 주공부(44)에 압배체 본체(45)를 수용한 것이다. 프레임(40)에 있어서의 좌우 측벽(42, 43)의 지지벽(42a, 42c, 43a, 43c)에 의해, 압배체 본체(45)의 압축 방향(화살표 A, X축 방향)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압배체 본체(45)의 압축 방향(화살표 A)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의 측면 중 한쪽에는 저벽(41)이 존재하고, 다른 쪽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배체 본체(45)의 하나의 측면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은, 좌우 측벽(43, 42)의 오목부(43b, 42b)가 형성하는 부내공(48, 47)에 위치하고, 또한 이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으로부터 연장한 부분(16c, 16d)에 대해서도 부내공(48, 47)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멸균했을 때, 그 처리 과정에 있어서의 수분에 의해 압배체 본체(45)가 압축 방향의 역방향(화살표 A', X축 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지만, 상기와 같이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에 따르면, 대치한 지지벽(42a, 42c, 43a, 43c)에 의해 팽창이 억제되고, 소정의 사이즈(도시한 한 예에서는 폭 6㎜)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시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압배체 본체(45)가 팽창하려고 해도, 마찬가지로 팽창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40)은, 압배체 본체(45)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의 2개의 측면 중 한쪽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 있어서 압배체 본체(45)가 멸균 가스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가스 멸균 효과도 확실하게 얻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배체 본체(45)는 셀룰로오스 스펀지제이므로, 가스 멸균 처리에 있어서는, 멸균 가스(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가스)가 압배체 본체(45)에 침투하도록 해서 멸균해 간다. 가령 프레임이 압배체 본체(45)의 사방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이면, 멸균 가스의 통과 길로서는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45)의 상하 단부면(6㎜×6㎜)만으로 된다. 이 때문에, 도시한 예와 같이 길이가 200㎜인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45)의 모두를 멸균하기 위해서는, 멸균 가스가 도달하는 최대 깊이가 200㎜÷2=100㎜으로 된다. 따라서 매우 장시간 멸균 가스에 계속해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점, 상기 실시 형태 4의 프레임(40)과 같이, 1개의 측면이 개방된 것이면, 이 개방 측면(6㎜×200㎜)으로부터도 멸균 가스가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멸균 가스가 도달하는 최대 깊은 개소라도 6㎜의 깊이이기 때문에, 멸균 처리를 단시간에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멸균 처리에 있어서는, 당연히, 조영사(16)나 프레임(40)도 포함시켜서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 전체가 멸균된다.
또한 가스 멸균 처리 시에는,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를 가스 투과성의 포장체에 수납하고, 가스 멸균을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 포장체에 수납한 상태에서 수요자에게 제공하고, 사용 직전에 포장체를 개방해서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를 취출하면 된다.
다음에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에 있어서의 상기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도 8은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를 트로카(70)에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100)의, 조영사(1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 F를, 트로카의 삽입구 부분(71b)과 서로 맞댄다. 그 다음에 조영사(16)가 설치되어 있는 측 E로부터 청결한 압출 막대(도시하지 않음)로 압배체(50)를 그 장척 방향(Z축 방향)으로 압출한다(화살표C). 그렇게 하면 프레임(40)으로부터 압배체(50)가 빼내져(화살표 D), 트로카(70)의 통내(71c)에 삽입된다.
이때, 압배체(50)의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16a, 16b)이나 거기에서 연장한 부분(16c, 16d)(도 6(c) 참조)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부내공(48, 47)(오목부(43b, 42b) 내)을 이동하게 된다(도 6(a) 참조). 따라서, 출입구 부분(16a, 16b)이나 부분(16c, 16d)은, 압배체 본체(45)와 프레임(40)의 내벽면 사이에 끼이거나 마찰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조영사(16)의 그 밖의 부분(상기 연장한 부분(16c, 16d)으로부터 결삭부(16e)에 이르는 부분)은, 압배체 본체(45)의 후단부면(조영사(16)가 설치되어 있는 측 E의 단부면)보다도 뒤에 위치하게 되므로, 압배체 본체(45)와 프레임(40)의 내벽면에 끼이는 일은 없다(도 6(a), 도 8 참조).
또한, 프레임(40)은 트로카의 통내(71c)의 사이즈보다 크므로, 트로카 통내(71c)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트로카(70)의 통내(71c)에 삽입한 압배체(50)를,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상기 트로카(70)로부터 체강 내에 삽입하고, 생리식염수를 부여해서 팽윤시켜, 장기의 압배에 사용한다.
<실시 형태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8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번호를 붙인 개소는, 도 1의 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이다.
실시 형태 5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800)는, 조영사(16)가 부착된 압배체 본체(15)를 프레임(80)에 수용한 것이다. 프레임(80)은 상부 부재(82)와 하부 부재(81)로 이루어지고, 상부 부재(82)와 하부 부재(81)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프레임(8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2분할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부재(82) 및 하부 부재(81)는, 모두 단면 ㄷ자 형상이다. 즉 상부 부재(82)에 있어서, 상면부(82b)로부터 지지벽(82a, 82c)이 세워 설치되고, 하부 부재(81)에 있어서, 저면부(81b)로부터 지지벽(81a, 81c)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부재(82)의 지지벽(82a, 82c) 및 하부 부재(81)의 지지벽(81a, 81c)이, 압배체 본체(15)의 압축 방향(화살표 A, X축 방향)을 지지한다.
또한 압배체 본체(15)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부 부재(82)와 하부 부재(81) 사이에는 간극(83, 8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83, 84)의 개소에,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압배체 본체(15)에의 조영사(16)의 삽입 관통 출입구 부분)이 위치하고, 조영사(16)가 끼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압배체 본체(15)의 팽창 방향은 오로지 압배체 본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압축 방향(화살표 A)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도, 프레임(80)이, 압배체 본체(15)의 압축 방향에 지지벽(82a, 82c, 81a, 81c)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압배체 본체(15)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트로카 원통 내강을 삽입 관통 가능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간극(개구부)(83, 84)이 프레임(8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스 멸균 처리 시에 멸균 가스가 상기 간극(83, 84)으로부터 압배체 본체(15)에 침투하게 되어, 멸균 처리의 시간이 짧아도 된다.
실시 형태 5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800)의 사용 시에는, 상부 부재(82)와 하부 부재(81)를 이격시키는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고, 가운데의 압배체(조영사(16)가 부착된 압배체 본체(15))를 취출한다. 그렇게 해서 상기 압배체를 트로카의 통을 통과시켜 체내에 삽입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생리식염수를 부여해서 팽윤시켜, 압배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도,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800)의, 조영사(16)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측 F를 트로카의 삽입구 부분과 서로 맞대어, 압배체(압배체 본체(15) 및 조영사(16))를 그 장척 방향(Z축 방향)으로 압출하면서, 트로카의 통 내에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조영사(16)는 길이 방향의 간극(83, 84)을 따라 이동하므로, 끼이거나 마찰되는 일이 없다.
<실시 형태 6>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9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b)는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900) 중 프레임(9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c)는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900) 중 내시경용 압배체(90)(압배체 본체(91) 및 조영부(9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배체(90)에 있어서의 압배체 본체(91)는, 횡단면이 정방형인 막대 형상체(240㎜×8㎜×8㎜)이다. 이 압배체 본체(91)는, 4개의 측면(91a, 91b, 91c, 91d) 중 대치하는 2개의 측면(91b, 91d)으로부터 압축되어 이루어진다(화살표 A, X축 방향).
압배체 본체(91)의 측면(91b, 91d)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조영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조영부(92)는, X선 비 투과성의 열융착성 수지제 실가닥을 상기 측면(91b, 91d)에 열 융착한 것이다. 상기 X선 비 투과성의 열융착성 수지제 실가닥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멀티 필라멘트나, 황산바륨을 이겨 넣은 염화비닐 수지의 실 형상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압축측의 측면(91b, 91d)에 한하지 않고,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의 측면(91a, 91c)에 조영부(92)를 형성해도 된다.
프레임(93)은,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척의 것이고,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곧장 연장한 좌우 측벽(94, 95)과 저벽(96)을 구비한다. 좌우의 측벽(94, 95)은 각각 지지벽(94a, 95a)과, 이들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각각 연장된 윙(94b, 9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벽(94a, 95a)과 저벽(9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상기 압배체 본체(91)가 정확히 들어가는 크기이다.
프레임(93)의 길이 방향의 일방측에는 설부(97)가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설부(97)는 저벽(96)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핀(98)을 회전축으로 해서 저벽(96)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화살표 G).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900)는, 프레임(93)의 내공에 압배체(90)를 수용한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93)의 지지벽(94a, 95a)에 의해, 압배체(90)를 압축 방향(화살표 A)으로부터 지지하여, 압배체(90)가 팽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시 형태 6의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90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프레임(93)으로부터 압배체(90)를 취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우선 프레임(93)의 설부(97)를 들어올리고(화살표 G), 이것에 따라 압배체(90)의 한쪽의 단부 부분을 들어올려, 프레임(93)으로부터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노출된 끝 부분을 손에 들고, 프레임(93)으로부터 압배체(90)를 취출한다(화살표 H).
이 취출한 압배체(90)(도 10(c) 참조)를, 트로카의 통을 통해 체강(복강이나 흉강)에 삽입한다. 이때, 조영부(92)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압배체 본체(91)의 측면(91b, 91d)의 중앙 부분에 융착되어 있으므로, 조영부(92)의 개소가 트로카의 통 내벽에 대하여 미끄럼 마찰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조영부(92)가 미끄럼 마찰에 의해 벗겨질 우려가 거의 없다.
계속해서 체강 내의 압배체(90)에 생리식염수를 부여해서 팽윤시키고, 이 커진 압배체(90)에 의해 장기를 압배한다.
<실험>
본 발명의 압배체 본체에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을 실시한 경우의 사이즈 변화에 대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압배체 본체로서, 압축률 10%에서 건조 압축 성형된 셀룰로오스 스펀지(시료 No.1:200㎜×8㎜×8㎜, 시료 No.2:200㎜×8㎜×6㎜)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시료의 압축 전의 사이즈는, 시료 No.1이(200㎜×8㎜×80㎜, 시료 No.2가 200㎜×8㎜×60㎜이며, 시료 No.1, 2는 이들을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도 1(a), 도 6(c), 도 10(c)에 도시하는 화살표 A 참조), 상기한 사이즈로 한 것이다.
상기 시료 No.1, 2를 각각 3개씩 멸균 백에 넣어서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을 실시하였다. 멸균 시간 4시간, 6시간의 것에 대해서, 각각 멸균 처리 후의 두께 방향의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사이즈 측정 시에, 두께 방향 중 가장 부풀어 오른 개소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시료
두께(㎜) 멸균 시간(시간)
멸균 후의 두께(㎜)[가장 두꺼운 부분을 측정] 증가율(%)
압축전 압축후 각 샘플 값 평균값 각 샘플 값 평균값


No.1




80




8



4
14.0
14.83
175.00
185.42
15.0 187.50
15.5 193.75

6
15.5
14.67
193.75
183.33
14.5 181.25
14.0 175.00


No.2




60




6



4
18.0
18.17
300.00
302.78
18.5 308.33
18.0 300.00

6
18.0
18.00
300.00
300.00
18.0 300.00
18.0 300.00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쪽의 시료에 있어서도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 처리에 의해 팽창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팽창하면 트로카의 통에 삽입 관통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프레임에 압배체 본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멸균 처리를 행하면, 팽창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압배체 및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에 관해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물론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한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로 적당히 변경을 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는, 압배체 본체(45)의 압축 방향 폭(6㎜)과 동일한 사이즈의 주내공(44)을 구비한 프레임(40)을 설명했지만, 압배체 본체(45)보다도 프레임(40)의 주내공(44)이 큰 것이어도 된다. 단, 프레임(40)의 주내공(44)의 크기로서는, 트로카의 통내(71c)의 크기 이하인 것을 필요로 한다. 압배체 본체(45)가 프레임(40)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정도로 팽윤해도, 트로카의 통 내에 삽입 관통 가능한 사이즈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4에서는 프레임(40)의 측벽(42, 43)의 홈으로서, 직사각형의 오목부(42b, 43b)의 것을 설명하였지만, 반원형이나 삼각형 등의 홈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4의 프레임(40)에 있어서, 저벽(41)이 없는 것(단, 좌우 측벽(42, 43)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을 구비함)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4에서는 프레임(40)의 측벽(42, 43)에 홈(오목부(42b, 43b))을 갖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압배체로서, 조영사가 압배체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것이 아닌 것(예를 들어 조영사가 막대 형상 압배체 본체의 축을 따라 삽입 관통된 것이나, 조영사를 압배체 본체의 측면에 열 융착한 것, 조영사 대신에 RFID 태그를 압배체 본체에 부착해서 잔류 방지를 도모한 것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으로서는 상기 홈이 없는 것이어도 된다(예를 들어 실시 형태 6).
게다가 프레임의 측벽으로서는, 압배체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멍이 없는 판 형상물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구멍을 복수 설치한 판이나 메쉬 형상의 판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6에서는 압축 방향이 화살표 A 방향(X축 방향)만의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하 좌우(X축 방향 및 Y축 방향)로부터 압축한 것이어도 된다. 그때, 프레임으로서는 이들의 압축 방향에 대응한 측벽을 구비한 것으로 하면 된다.
10, 20, 30, 50, 90 : 내시경용 압배체
15, 25, 35, 45, 91 : 압배체 본체
15e, 15f, 26, 27 : 평탄부
16 : 조영사
16a, 16b : 조영사 삽통 출입구 부분
36, 37 : 오목부
40, 80, 93 프레임
41, 42, 43, 94, 95 : 측벽
42a, 42c, 43a, 43c, 81a, 81c, 82a, 82c, 94a, 95a :지지벽
42b, 43b : 오목부(홈)
44 : 주내공
47, 48 : 부내공
70 : 트로카
71a : 트로카 통 내벽
92 : 조영부
97 : 설부
98 : 핀
100, 800, 900 : 프레임이 부착된 압배체

Claims (14)

  1.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에서 사용되고, 트로카를 통해 체강 내에 삽입되는 압배체이며,
    건조와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흡수 팽창성 재료로 구성된 압배체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압배체 본체는, 체외로부터의 조작용 지지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막대 형상이며 그 횡단면이 상기 트로카의 원통 내강 단면보다도 작고, 흡액에 의해 체강 내에서 팽창하여 커지는 것에 의해 표적 근방의 장기를 압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압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의 장축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의 압축 방향이 상기 Z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내시경용 압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를 취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척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 상기 Z축 방향을 따라서 쌍으로 되어 대치하는 지지벽을 갖는, 내시경용 압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압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 이외의 면에 개구부를 갖는, 내시경용 압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Z축 방향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압배체 본체의 압축 방향이 상기 X축 방향이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Y축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을 개방한 것인, 내시경용 압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Y축 방향의 타방측에 저벽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저벽의 내벽면 상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내벽면을 따른 설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부가, 상기 저벽으로부터 Z축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Y축 방향의 개방측에 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압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의 흡수에 의한 팽창 배율이 상기 압축 방향에 대하여 5배 이상인, 내시경용 압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가 셀룰로오스 스펀지인, 내시경용 압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의 압배체 본체는,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으로 되도록 해서 잘라낸 것이며,
    상기 압출 방향을 Z축 방향, 이것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가, X축 방향과 Y축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압축된 것인, 내시경용 압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에 X선 비 투과성의 수지를 융착한 것인, 내시경용 압배체.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배체 본체에 조영사가 삽입 관통 결삭되어 있고,
    상기 압배체 본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측면에 평탄부 또는 오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합계 2개소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 또는 오목부를 통해서 상기 조영사가 삽입 관통되어 있는, 내시경용 압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팽창성 재료가 셀룰로오스 스펀지이며,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을 Z축 방향, 이것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조영사가,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상기 X축 방향 또는 상기 Y축 방향에 삽입 관통된, 내시경용 압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스펀지가 상기 X축 방향으로 압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조영사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 결삭된, 내시경용 압배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지지벽을 따른 홈 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압배체.
KR1020117004683A 2008-09-01 2009-08-25 내시경용 압배체 KR101353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3986 2008-09-01
JPJP-P-2008-223986 2008-09-01
PCT/JP2009/064777 WO2010024244A1 (ja) 2008-09-01 2009-08-25 内視鏡用圧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229A KR20110053229A (ko) 2011-05-19
KR101353192B1 true KR101353192B1 (ko) 2014-01-17

Family

ID=4172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683A KR101353192B1 (ko) 2008-09-01 2009-08-25 내시경용 압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32469B1 (ko)
JP (1) JP5128672B2 (ko)
KR (1) KR101353192B1 (ko)
ES (1) ES2544825T3 (ko)
WO (1) WO2010024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1202B (zh) * 2010-03-08 2015-05-27 川本产业株式会社 手术用压排体
JP5739660B2 (ja) * 2010-12-27 2015-06-24 オオサキメディカル株式会社 内視鏡下手術用の圧排体
JP2012152236A (ja) * 2011-01-21 2012-08-16 Kawamoto Sangyo Kk スペーサ
JP5674545B2 (ja) * 2011-04-22 2015-02-25 オオサキメディカル株式会社 肝臓吊上げ圧排具
KR20170007725A (ko) 2014-05-19 2017-01-20 도오레 화인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압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69B1 (ko) * 1990-07-24 1996-04-18 윤인배 내시경 검사의 수술 과정용 다기능 장치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629A (en) * 1968-06-11 1976-06-08 American Cyanamid Company Using hydrophilic polyurethane laparotomy sponges
US5074840A (en) * 1990-07-24 1991-12-24 Inbae Yoon Packing device and method of packing for endoscopic procedures
US6120437A (en) * 1988-07-22 2000-09-19 Inbae Yoon Methods for creating spaces at obstructed sites endoscopically and methods therefor
JPH07116262A (ja) * 1993-10-22 1995-05-09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用膨張体
US5466231A (en) * 1993-11-04 1995-11-14 Merocel Corporation Laminated sponge device
JP3520511B2 (ja) 2000-09-04 2004-04-19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セルローススポンジを用いた創部吸収性被覆保護材の製造方法
JP4033327B2 (ja) 2001-11-30 2008-01-16 株式会社八光 レトラクター
JP2005253916A (ja) 2004-03-10 2005-09-22 Shigehisa Yanagimoto 腹腔鏡手術および体外法などの小視野の開腹手術における二酸化炭素注入よるバルーン型支持鉗子
WO2006119256A2 (en) * 2005-04-29 2006-11-09 Cook Biotech Incorporated Volumetric grafts for treatment of fistulae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2009089900A (ja) * 2007-10-09 2009-04-30 Toray Fine Chemicals Co Ltd 手術用圧排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69B1 (ko) * 1990-07-24 1996-04-18 윤인배 내시경 검사의 수술 과정용 다기능 장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24244A1 (ja) 2012-01-26
EP2332469B1 (en) 2015-05-27
EP2332469A4 (en) 2011-09-28
JP5128672B2 (ja) 2013-01-23
ES2544825T3 (es) 2015-09-04
WO2010024244A1 (ja) 2010-03-04
EP2332469A1 (en) 2011-06-15
KR20110053229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0594T3 (es) Dispositivo para facilitar la hemostasis de un tramo de biopsia.
KR101353192B1 (ko) 내시경용 압배체
JP4391699B2 (ja) 止血剤挿入装置
JP4728547B2 (ja) 生検路の止血を促進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137322B2 (en) Stabilization assist device for trocar
EP2578167A1 (en) Surgical retractor
JP6012428B2 (ja) 止血用バルーンユニット
US10945747B2 (en) System for treating an epistaxis
JP2012512112A (ja) 内視鏡用シートのローリング装置
KR20100110844A (ko) 경시하 수술용의 장기 사이 스페이서
KR101392766B1 (ko) 의료용 관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관 삽입 시술 키트
US20090270911A1 (en) Vessel Sea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4706015B2 (ja) 使い捨て布帛挿入器
US20130226029A1 (en) Two-part access port
KR20170007725A (ko) 압배체
JP3737540B2 (ja) トロカール外套管およびトロカール
US20120232581A1 (en) Tamponade for Biopsy Surgery and Method of Operation
JP5313394B2 (ja) 手術用圧排体
JP5418883B2 (ja) 内視鏡下手術用デバイス
CN219183941U (zh) 宫颈活检止血装置
KR20220091006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KR20220091007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JP2008029675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