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147B1 - 전동 삼륜차 - Google Patents

전동 삼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147B1
KR101353147B1 KR1020120026076A KR20120026076A KR101353147B1 KR 101353147 B1 KR101353147 B1 KR 101353147B1 KR 1020120026076 A KR1020120026076 A KR 1020120026076A KR 20120026076 A KR20120026076 A KR 20120026076A KR 101353147 B1 KR101353147 B1 KR 10135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body
motor
frame
electric tr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026A (ko
Inventor
야스오 신데
고이치로 혼다
가즈노리 구로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6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8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hidden within the cy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22Arrangement under the fron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2Tri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배터리나 각종 전장 부품의 배치 레이아웃을 고안함으로써 차량이 중량화되지 않고, 조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삼륜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배터리(2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모터(M)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륜(WR)을 구동하여 주행하고, 모터(M) 및 후륜(WR)을 포함하는 후부 차체(30)를 차체 프레임(2)의 후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 가능하게 부착한 전동 삼륜차(1)에 있어서, 적어도 배터리(25)를 수납하는 배터리 박스(25a)를, 전동 삼륜차(1)의 시트(21) 하부의 위치에서 차체 프레임(2)에 연결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지지한다. 배터리(25)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54)을 배터리(25)의 상부에 배치하고, 감시 기판(54)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BMU(24)와, 배터리(25)와 모터(M)의 구동 회로 사이의 접속을 개폐하는 콘택터(23)를, 배터리(25)의 전방 위치에서 배터리 박스(25a)에 수납한다.

Description

전동 삼륜차 {ELECTRIC THREE-WHEELER}
본 발명은, 전동 삼륜차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터의 구동력으로 좌우 한 쌍의 후륜을 구동하여 주행하는 전동 삼륜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부착된 프런트 포크로 전륜을 지지함과 더불어, 차체 프레임의 후방측에 상기 차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傾動) 가능하게 구성된 후부 차체를 부착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후륜을 이 후부 차체에 지지하도록 한 안승형(鞍乘型) 전동 삼륜차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차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한 또한 좌우 경동 가능한 후부 차체에, 모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구동계 외에, 배터리, PDU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을 부착하도록 한 전동 삼륜차가 개시되어 있다(도 13 참조).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 공개 평 5-16122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배터리, 모터, 구동계, 각종 전장 부품 등의 전부가 후부 차체에 부착되고, 상하, 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후부 차체 전체의 중량, 바꿔 말하면, 후륜 서스펜션의 스프링하 중량이 커지기 쉬워, 후륜의 노면 추종성 등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었다. 또, 후부 차체 전체의 중량이 증가하여, 삼륜차의 롤 모멘트가 커져 버리면,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요동 기구 등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 이외에도, 전후 중량 배분이 차체 후방측으로 치우쳐 차량의 조종성에 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여, 전동 파워 유닛이 상하, 좌우로 요동하는 전동 삼륜차에 있어서의 배터리나 각종 전장 부품의 배치 레이아웃을 고안함으로써 차량이 중량화되지 않고, 조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삼륜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터리(2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모터(M)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륜(WR)을 구동하여 주행하고, 상기 모터(M) 및 상기 후륜(WR)을 포함하는 후부 차체(30)를, 차체 프레임(2)의 후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 가능하게 부착한 전동 삼륜차(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배터리(25)를 수납하는 배터리 박스(25a)가, 상기 전동 삼륜차(1)의 시트(21)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2)에 연결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25)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54)이 상기 배터리(2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시 기판(54)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BMU(24)와, 상기 배터리(25)와 상기 모터(M)의 구동 회로 사이의 접속을 개폐하는 콘택터(23)가, 상기 배터리(25)의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박스(25a)에 수납되어 있는 점에 제1의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차체 프레임(2)은, 스티어링 스템(6)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헤드 파이프(5)에 접속되어 차체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3)과, 이 메이 프레임(3)에 접속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8)과, 이 사이드 프레임(8)에 연결되어 차체 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승 프레임(10)과, 이 상승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11)을 갖고, 상기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상기 좌우의 상승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는 차폭 방향의 크로스 파이프(55)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점에 제2의 특징이 있다.
또, 상기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상기 크로스 파이프(55)로부터 차체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배터리 박스(25a)는, 상기 크로스 파이프(55)의 상부, 또한 상기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3의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콘택터(23)의 상부에,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2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58)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4의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시트(21)의 후방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2)으로부터 차체 상방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2)을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22)에, 상기 배터리(25)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의 전압을 강압하는 다운 레귤레이터(47)가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 제5의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차체 중앙측의 위치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구(6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6의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시트(21)의 하부의 위치에 저전압 배터리(5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택터(23)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57) 사이에 충전구(45a)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7의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모터(M)의 전방에, 모터 제어 장치로서의 PDU(33)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8의 특징이 있다.
제1의 특징에 의하면, 적어도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박스가, 전동 삼륜차의 시트 하부의 위치에서 차체 프레임에 연결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이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감시 기판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BMU와, 배터리와 모터의 구동 회로 사이의 접속을 개폐하는 콘택터가, 배터리의 전방의 위치에서 배터리 박스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시트 아래의 차량의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는 데다가, 다른 전장품도 수납하게 되어, 이에 의해, 차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부 차체에 배터리를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후부 서스펜션의 스프링하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어, 후부 차체의 노면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중량물인 배터리가 시트 아래에 설치됨으로써, 전후 중량 배분을 차체 중앙쪽으로 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차량의 조종성 및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부 차체에 배터리가 포함되지 않게 되어, 후부 차체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과, 이 감시 기판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BMU와, 배터리와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의 접속을 개폐하는 콘택터가 배터리 박스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감시 기판, BMU, 콘택터를 후부 차체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전장품의 피수 등으로부터의 보호도 일괄하여 하기 쉬워지는데다가, 한층 더 질량의 집중이 도모되게 되어,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배터리가 시트 아래에 설치되는 것과 더불어, 양호한 전후 중량 배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BMU와 콘택터가, 배터리의 차체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를 펴는 것으로, 배터리, BMU 및 콘택터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또, 시트 아래와 같은 방수성이 높은 위치에 방수 환경이 요구되는 전장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제2의 특징에 의하면, 차체 프레임은, 스티어링 스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파이프에 접속되어 차체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과, 이 메인 프레임에 접속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이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차체 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승 프레임과, 이 상승 프레임에 연결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을 갖고,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은, 상기 좌우의 상승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차폭 방향의 크로스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프레임 부재에 의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배터리의 차폭 방향 좌우에 상승 프레임이 설치됨으로써 배터리에 외력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의 특징에 의하면,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은, 크로스 파이프로부터 차체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배터리 박스는, 크로스 파이프의 상부, 또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체 측방 뿐만 아니라 차체 하방으로부터 배터리를 지지함으로써, 한층 더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제4의 특징에 의하면, 콘택터의 상부에,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를 펴는 것으로 충전구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져, 충전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충전구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의 특징에 의하면, 시트의 후방에서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차체 상방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을 갖고, 지지 프레임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의 전압을 강압하는 다운 레귤레이터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승차자의 의자 등받이를 구성하거나 리프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방열성이 높은 위치에 다운 레귤레이터를 부착할 수 있다.
제6의 특징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의 차체 중앙측의 위치에 배터리의 충전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량의 높은 위치에 충전구를 설치하여,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7의 특징에 의하면, 시트 하방의 위치에 저전압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고, 콘택터와 저전압 배터리 사이에 충전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 아래의 외장 부품에 개폐 뚜껑이 있는 외장 부품을 설치한 경우에, 뚜껑을 여는 것으로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작업과 저전압 배터리의 점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8의 특징에 의하면, 모터의 전방에, 모터 제어 장치로서의 PDU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PDU로부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삼상 배선의 거리를 짧게 하여, 전달 로스나 노이즈의 혼입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삼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주요 외장 부품을 떼어낸 상태의 전동 삼륜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보다 차체 전방쪽의 위치에서 본 전동 삼륜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배터리 주위의 차체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차체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파워 유닛 내의 주요 축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배터리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배터리 박스를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배터리 박스를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박스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삼륜차(1)의 측면도이다. 전동 삼륜차(1)는, 모터(M)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륜(WR)을 구동하여 주행하는 안승형 차량이다. 차체 프레임(2)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3)의 전단부에는, 스티어링 스템(6)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파이프(5)가 부착되어 있다. 스티어링 스템(6)의 상부에는, 조향 핸들(7)이 부착되고, 한쪽 하부에는, 전륜(WF)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보텀 링크식 서스펜션(프런트 포크)(4)가 부착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3)의 하부에는, 차폭 방향 중앙의 언더 프레임(9)이 연결됨과 더불어, 차체 좌우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프레임(8)이 부착되어 있다. 언더 프레임(9)의 후단부는, 차폭 방향을 지향하는 연결 파이프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8)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8)의 후부는,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프레임(11)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상승 프레임(10)에 각각 연결되어있다.
언더 프레임(9)의 후단부의 후방에서 사이드 프레임(8)의 하부에는, 피벗축(27)에 의해 상하 요동 유닛(28)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하 요동 유닛(28) 상부는, 차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리어 쇼크 유닛(26)에 의해 상승 프레임(10)에 매달려 있다. 상하 요동 유닛(28)의 후단부에는, 앞쪽이 올라간 차체 전후 방향을 지향하는 회전축(28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경동 부재(34)가 축지지되어 있다.
상하 요동 유닛(28)의 내부에는, 상대 회전부(29)에 있어서의 경동 부재(34)의 회전 동작에 댐퍼 효과를 주는 나이트하르트(Neithard)식 댐퍼(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경동 부재(34)는, 좌우 한 쌍의 후륜(WR)이나 모터(M)를 포함하는 후부 차체(3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전동 삼륜차(1)는, 후부 차체(30) 전체를 상하로 요동시키는 후륜 서스펜션을 구비함과 더불어, 후부 차체(30)에 대해 상대 회전부(29)에서 차체 프레임(2)을 경동 동작(뱅크 동작)을 하게 하여, 좌우의 후륜(WR)을 노면(G)에 접지시킨 채로 선회 주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후부 차체(30)에는, 모터(M)를 포함하는 파워 유닛(P)이 포함되어 있고, 파워 유닛(P)에는, 좌우 한 쌍의 후륜(WR)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36)을 갖는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은, 카운터축(38)에 고정되는 카운터 톱니바퀴(37) 및 차축(40)과 동축 배치되는 출력 톱니바퀴(39)를 통해, 차축(40)에서 후륜(WR)으로 전달된다.
모터(M)의 차체 전방에는, 모터 제어 장치(모터 드라이버)로서의 PDU(3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PDU(33)와 모터(M)를 근접 배치시킴으로써, PDU(33)로부터 모터(M)에 전력을 공급하는 삼상 배선의 길이를 짧게 하여, 전력의 전달 로스나 노이즈의 혼입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후부 차체(30)의 전부에 설치됨으로써, PDU(33)의 방열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워 유닛(P)의 상부는, 후륜(WR)의 흙받이를 겸하는 차체 커버(31)로 덮여 있다.
모터(M)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의 배터리(25)는, 차체 프레임(2)측에 설치되어 있다. 대략 직방체로 되는 배터리(25)는, 좌우 한 쌍의 상승 프레임(10) 사이에, 그 길이 방향을 차체 전후 방향을 지향하게 하여 설치된다. 배터리(25)의 차체 전방에는, 배터리 제어 장치로서의 BMU(24) 및 콘택터(23)가 설치된다. BMU(24)는, 배터리(25)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54)(도 4 참조)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갖고, 또, 콘택터(23)는, 배터리(25)와 모터(M)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의 접속을 개폐하는 기능을 갖는 전장 부품이다.
상승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11) 사이에서 굴곡하는 부분의 상부에는, 차체 방향을 볼록하게 만곡하는 아치형상의 지지 프레임(22)이 부착되어 있다. 배터리(25)의 후단부는, 지지 프레임(22)의 접속부보다 차체 후방측에 위치한다.
헤드 파이프(5)의 차체 전방측에는, 헤드 라이트(16)를 구비하는 프런트 카울(17)이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카울(17)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백미러(32), 윈드 실드(14), 윈드 실드(14)의 전동 와이퍼(15)가 부착되어 있다. 전륜(WF)의 상부에는, 프런트 펜더(18)가 부착되어 있다. 윈드 실드(14)의 상단부는, 승차자의 비막이로서 기능하는 루프 부재(13)와 연결되어 있고, 루프 부재(13)의 후부는, 지지 프레임(22)에 지지되는 지주(19)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2)과 리어 프레임(11) 사이에는, 대형 트렁크(20)가 설치되어 있고, 리어 프레임(11)의 후단부에는 미등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2)의 차체 전방에는 시트(21)가 설치되어 있고, 콘택터(23), BMU(24), 배터리(25)는, 각각 시트(21)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량물인 배터리(25), 콘택터(23) 및 BMU(24)와 같은 각종 전장 부품을 차체의 중앙쪽에 설치할 수 있어, 질량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배터리 등을 후부 차체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차체 프레임(2)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 가능하게 되는 후부 차체(30)의 경량화가 가능해져, 후륜 서스펜션의 스프링하 중량을 저감하여 후륜(WR)의 노면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부 차체(30)가 경량화됨으로써, 요동 기구나 후부 차체(30)의 뼈대 등에 너무 높은 강성이 요구되지 않게 되므로, 구성의 간략화나 설계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주요 외장 부품을 떼어낸 상태의 전동 삼륜차(1)의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도 2보다 차체 전방쪽의 위치에서 본 전동 삼륜차(1)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메인 프레임(3)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에는, 발판 플로어(42)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부재(41)가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어있다. 발판 플로어(42)의 후부에는, 시트(21)의 저판(21a)을 지지하는 시트 카울(43)이 부착되어 있다.
시트 카울(43)의 차체 전방측에는, 개폐식의 뚜껑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덮여지는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5)에 내부에는, 등화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저전압 배터리(57)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개구부(45)의 내부에서, 저전압 배터리(57)의 상부에는, 고전압의 배터리(25)를 외부 전원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45a)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배치에 따르면, 개구부(45)에 설치되는 뚜껑 부재를 여는 것만으로, 충전구(45a) 및 저전압 배터리(57) 양방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저전압 배터리(57)는, 상승 프레임(10)에 연결되는 배터리 스테이(57a)에 유지되어 있다. 시트 카울(43)의 내부에는, 배터리(25)의 차체 전방 및 차체 하방을 둘러싸는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이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25)는, 바닥이 있는 상자형상의 용기인 배터리 박스(25a)에 수납되어 있고, 이 배터리 박스(25a)가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고정되어 있다.
상승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11) 사이에 접속되는 지지 프레임(22)에는, 차폭 방향을 지향하는 상부 파이프 부분에 다운 레귤레이터(47)가 매달아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승차자의 의자 등받이나 루프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방열성이 높은 위치에 다운 레귤레이터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지지 프레임(22)에는, 차체 전후 방향을 지향하는 판형상의 보강판(46)이 복수 부착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22)의 차체 전방측에 의자 등받이의 외장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 경우에도, 외력에 의해 외장판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 다운 레귤레이터(47)의 방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1)의 상부에는, 트렁크(20)의 보강 프레임(48) 및 개폐 뚜껑(50)을 갖는 배터리 충전구(49)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배터리(25) 주위의 차체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좌우 한 쌍의 상승 프레임(10)은, 차폭 방향을 지향하는 상부 크로스 파이프(55) 및 하부 크로스 파이프(56)에 의해 좌우로 연결되어 있다. 리어 쇼크 유닛(26)의 상단부는, 상부 크로스 파이프(5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배터리 스테이(57a)는, 하부 크로스 파이프(56)에 고정되어 있다.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상부 크로스 파이프(55)의 차체 전방면 및 하부 크로스 파이프(56)의 비스듬한 상방면에 결합되어 있다.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배터리 박스(25a)의 차체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차체 상방으로 굴곡하는 형상으로 되고, 배터리박스(25a)는, 상부 크로스 파이프(55)의 상부의 위치에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그 전방측을 덮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다.
배터리(25)의 차체 전방측에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 사이의 위치에는, BMU(24) 및 콘택터(23)가 설치되어 있다. BMU(24)는, 배터리(25)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54)(도 4 참조)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갖고, 콘택터(23)는, 모터(M)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배터리(25)의 접속을 개폐하는 기능을 갖는 전장 부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BMU(24) 및 콘택터(23)도 배터리(25)의 전방에서 배터리 박스(25a)에 수납되어 있다.
또, 콘택터(23)의 차체 상부에는, 개폐 뚜껑(59)을 갖는 충전구(49)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식의 시트(21)를 여는 것만으로 충전구(49)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배터리(25)의 상면에는, 배터리(25)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2개의 감시 기판(54)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2)은, 상승 프레임(10)의 상방에 세워져 설치되어 용착되는 거싯(53)을 통해 고정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22)의 좌우 파이프 사이에는, 시트 캐치(62)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63)가 부착되어 있다. 시트 캐치(62)는, 개폐식 시트(21)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트 캐치(62)의 차폭 방향 우측에서, 지지 프레임(22)의 내측의 위치에는, 개폐 뚜껑(61)을 갖는 충전구(6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프레임(22)을 이용하여 차량의 높은 위치에 충전구를 설치하여, 충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삼륜차(1)에는 적어도 1개의 충전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트렁크(20)의 보강 프레임(48)은, 차폭 방향을 지향하는 2개의 크로스 프레임(52)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 부재(51)로 지지됨과 더불어, 개폐 뚜껑(50)을 갖는 배터리 충전구(49)의 스테이로서 기능하고 있는데, 전동 삼륜차(1)는, 이 보강 프레임(48), 크로스 프레임(52) 및 충전구(49)를 설치하지 않고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배터리 박스(25a)의 지지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의 사시도이다.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상부 크로스 파이프(55)에 접속되어 배터리 박스(25a)의 차체 전방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되는 본체 파이프(44a)와, 본체 파이프(44a)의 하부로부터 차체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측 크로스 파이프(56)에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보강 파이프(44b)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의 보강 파이프(44b)의 상부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44c)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배터리 박스(25a)의 사시도이다. 배터리 박스(25a)에는, 차체 프레임(2) 및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 스테이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박스(25a)의 전측 하부에는, 상기 크로스 멤버(44c)의 상면에 고정되는 전측 부착 스테이(25d)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배터리박스(25a)의 중앙 하부에는, 상측 크로스 파이프(55)의 상면에 고정되는 중앙 부착 스테이(25c)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박스(25a)의 후측 상부에는, 리어 프레임(11)의 하면에 고정되는 후측 부착 스테이(25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배터리 박스(25a)를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3은, 동 정면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박스(25a)는, 합계 6개의 부착 스테이에 의해 차체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박스(25a)는, 전측 부착 스테이(25d) 및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의 크로스 멤버(44c)에 고정되고, 또한 중앙 부착 스테이(25c)를 이용하여 상측 크로스 파이프(55)에 고정되고, 또한, 후측 부착 스테이(25b)를 이용하여 리어 프레임(11)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박스(25c)를 상승 프레임(10)보다 차체 후방측으로 크게 돌출시켜 설치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박스(25c)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배터리 박스(25e)의 측면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는, 배터리 박스(25e)는 대략 직방체로 형성되어 배터리(25)를 수납하고 있고, 한편, 콘택터(23) 및 BMU(24)는, 배터리 박스(25e)의 전방에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의 본체 파이프(44a)에 둘러싸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콘택터(23) 및 BMU(24)는, 본체 파이프(44a)에 고정할 수 있다. 배터리 박스(25e)는, 전측 부착 스테이(25d) 및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크로스 멤버(44c)에 고정되고, 또한 중앙 부착 스테이(25c)를 이용하여 상측 크로스 파이프(55)에 고정되고, 또한, 후측 부착 스테이(25b)를 이용하여 리어 프레임(11)에 고정된다. 배터리 박스나 부착 스테이의 형상, 부착 스테이의 설치 위치 등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차체 측면에서 봤을 때의 파워 유닛(P) 내의 주요 축의 배치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P)은,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을, 카운터축(38)을 통해 차축(40)(40L, 40R)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모터(M)의 모터 출력(36)의 축중심을 축심(36a), 카운터축(38)의 축중심을 축심(38a), 차축(40)의 축중심을 축심(40a)으로 하면, 차체 전후 방향에서는, 차체 전방으로부터, 축심(36a)→축심(38a)→축심(40a)의 순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상하 방향에서는, 축심(36a, 38a, 40a)을 통과하는 수평선(36h, 38h, 40h)이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상방으로부터, 축심(36a→40a→38a)의 순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차체 상하 방향에서, 카운터축(38)의 축심(38a)은, 모터 출력축(36)의 축심(36a)과 차축(40)의 축심(40a)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또, 카운터축(38)의 축심(38a)은, 차체 측면에서 봤을 때, 모터 출력축(36)의 축심(36a)과 차축(40)의 축심(40a)을 연결한 선(L)보다 하방에 설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모터 출력축(36)과 차축(40)의 차체 전후 방향의 거리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하여, 파워 유닛(P)의 차체 전후 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모터 출력축, 카운터축 및 차축을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한 구성에 비해, 차체 전후 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모터(M)의 차체 후방측에는 차축(40) 이외의 부품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어, 차축(40)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터 외경의 확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모터(M)의 외경을 차축(40)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접 배치함으로써, 모터 외경의 확대에 수반하여 모터 출력을 높일 수 있는 만큼, 모터의 두께 방향의 치수법을 저감하여, 파워 유닛의 차폭 방향 치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모터와 동축에 원심 클러치(80)를 설치했으므로, 저회전으로부터 모터(M)의 토크를 효율적으로 후륜(WR)에 전달할 수 있다.
또, 파워 유닛(P)에는, 비탈길 정차 등을 할 때에 후륜(WR)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파킹 로크 기구(65)가 구비되어 있다. 파킹 로크의 작동은, 모터 출력축(36)에 고정된 로크 톱니바퀴(70)에, 수동 조작으로 요동하는 로크암(71)의 돌기부(72)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행해진다.
지지축(7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로크암(71)은, 파킹 로크의 해제시에는, 돌기부(72)가 로크 톱니바퀴(70)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승차자가 조향 핸들(4)의 근방 등에 설치되는 파킹 로크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요동축(74)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암(7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링크 부재(76)가 로크암(7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크암(71)의 돌기부(72)가 로크 톱니바퀴(70)에 걸어맞춰지게 된다(도시 파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P)은, 카운터축(38)을, 모터 출력축(36) 및 차축(40)보다도 차체 하방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차체 상방에 확보한 빈 스페이스에 파킹 로크 기구(65)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파킹 로크 기구(65)를 포함하는 파워 유닛(P)의 전체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킹 로크 기구(65)는, 도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출력축(36) 및 카운터축(38)의 차체 하방측의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P)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도이다. 파워 유닛(P)은,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을, 원심 클러치(80) 및 카운터축(38)을 통해, 후륜(WR)의 디퍼렌셜 기어(101)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된다. 파워 유닛(P)은 변속기를 가지지 않고, 모터(M)의 회전 속도(회전수)가 소정치를 넘으면 후륜(WR)으로의 출력 전달이 개시되고, 모터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차속이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너 로터식의 모터(M)는, 우측 케이스(91)에 고정되는 스테이터(78)와, 모터 출력축(36)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모터 출력축(84)에 고정된 로터(79)로 이루어진다. 모터(M)는, 그 차체 전후 방향에 다른 톱니바퀴 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차축(40)과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큰 외경을 확보할 수 있다. 외측 모터 출력축(84)은, 모터 출력축(36)에 대해, 베어링(85, 10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36)의 도시된 좌단부에는, 원심 클러치(80)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모터 출력축(84)의 도시된 좌단부에는, 원반형상의 클러치 이너(81)가 고정되어 있고, 한편, 모터 출력축(36)의 도시된 좌단부에는, 고정 부재(106)를 통해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클러치 아우터(83)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M)가 소정 회전수를 넘으면, 즉, 클러치 이너(81)가 소정 회전수를 넘으면, 복수의 웨이트 롤러(108)가 원심력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마찰재(82)를 갖는 클러치슈(107)가 클러치 아우터(83)에 접촉되어, 클러치 이너(81)의 회전 구동력이 클러치 아우터(83)에 전달된다. 외측 모터 출력축(84)의 도시된 우단부에는, 모터 회전수 센서(79)에 의해 모터 회전수를 검지하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센서체(99)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36)은, 그 도시된 우방측에서, 우측 케이스(91)의 베어링(98, 93)에 축지지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36)의 회전 구동력은, 모터 출력축(36)에 형성된 기어(92)에 맞물리는 카운터 톱니바퀴(37)에 의해 카운터축(38)에 전달된다. 베어링(95, 96)으로 축지지되는 카운터축(38)의 회전 구동력은, 카운터축(38)에 형성된 기어(94)에 맞물리는 출력 톱니바퀴(39)를 통해 디퍼렌셜 기어(101)의 디퍼렌셜 케이스(102)에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터 출력축(36)으로부터 후축(40)으로의 출력 전달을, 적은 부품 점수 및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카운터축(38)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모터 출력축(36)의 도시된 우단부에는, 파킹 로크 기구(65)의 로크 톱니바퀴(70)가 고정되어 있다. 로크암(71)은 지지축(73)에 용착되어 있고, 지지축(73)이 케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로크암(71)에 대해 링크 부재(76)를 통해 걸어맞춰지는 요동암(75)은, 베어링(104)으로 축지지된 요동축(74)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74)의 도시된 좌단부에는, 조작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는 작동암(77)이 고정되어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02)는, 우측 케이스(91)의 베어링(97, 100)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디퍼렌셜 기어(101)는, 핀(110)으로 축지지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09)와, 차폭 방향으로 한 쌍의 사이드 기어(111)를 갖고, 각각의 사이드 기어(111)에, 좌측 차축(40L) 및 우측 차축(40R)이 각각 스플라인 끼워맞춰져 있다.
카운터 톱니바퀴(37)와 디퍼렌셜 케이스(102)는, 카운터축(38)과 디퍼렌셜 케이스(102)를 가능한 한 가깝게 하여 파워 유닛(P)의 차체 전후 방향의 치수를 저감하기 위해, 차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오버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측 차축(40L)은, 좌측 케이스(90)의 베어링(86)에 축지지되어 휠(87)에 고정되고, 한편, 우측 차축(40R)은, 우측 케이스(91)의 베어링(103)에 축지지되어 휠(87)에 고정된다. 양 휠(87)에는, 와이어 등으로 요동 조작되는 브레이크암(89)에 따라 작동하는 브레이크슈(88)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P)에서는, 차체 평면에서 봤을 때, 차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원심 클러치(80), 모터(M), 카운터축(38), 디퍼렌셜 기어(101)의 순으로 설치함으로써, 외경이 큰 모터(M) 및 디퍼렌셜 기어(101)를, 카운터축(38)의 좌우에 분산 배치하여, 모터 출력축(36)과 차축(40)의 거리를 한층 더 가깝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파워 유닛(P1)을 평면에서 봤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도이다. 파워 유닛(P1)은, 모터(M)의 회전 구동력을, 원심 클러치(151), 벨트 컨버터식 무단 변속기, 카운터축(163)을 통해, 후륜(WR)의 디퍼렌셜 기구(159)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너 로터식의 모터(M)는, 케이스(150)에 고정된 스테이터(170)와, 외측 모터 출력축(152)에 고정된 로터(171)로 이루어진다. 외측 모터 출력축(152)은, 모터 출력축(154)에 대해, 베어링(154a, 17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외측 모터 출력축(152)의 도시된 우단부에는, 원반형상의 클러치 이너(177)가 고정되어 있고, 한편, 모터 출력축(154)의 도시된 우단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클러치 아우터(176)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M)가 소정 회전수를 넘으면, 즉, 클러치 이너(177)가 소정 회전수를 넘으면, 복수의 웨이트 롤러(180)가 원심력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마찰재를 갖는 클러치슈(181)가 클러치 아우터(176)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클러치 이너(177)의 회전 구동력이 클러치 아우터(176)에 전달된다. 외측 모터 출력축(152)의 도시된 좌단부에는, 모터 회전수 센서(172)에 의해 모터 회전수를 검지하기 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센서체(172a)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154)은, 그 도시된 좌방측에서 하우징(150)의 베어링(173)에 축지지됨과 더불어, 도시된 우단부에서 클러치 케이스(153)의 베어링(178)에 축지지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154)의 도시된 좌단부에는, 고정 풀리 반체(182) 및 가동 풀리 반체(175)로 이루어지는 구동측 변속 풀리(155)가 부착되어 있다. 구동측 변속 풀리(155)는, 모터 출력축(154)의 회전 속도에 따라 웨이트 롤러(174)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함에 수반하여, 종동측 풀리(157) 사이에 감겨진 무단형상의 V벨트(156)의 감음 직경을 바꾼다.
V벨트(156)가 감겨지는 종동측 풀리(157)는, 종동축(192)에 부착되어 있다. 종동측 풀리(157)는, 고정 풀리 반체(204) 및 가동 풀리 반체(205)로 이루어지고, 구동측 변속 풀리(155)의 감음 직경에 따라 감음 직경을 바꾸고, 모터 출력축(154)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변속비로 변속하여 종동축(192)에 전달한다. 종동축(192)은, 케이스(150)의 베어링(194, 198)에 축지지되어 있다.
종동축(192)의 회전 구동력은, 종동축(192)에 형성된 기어(196)에 맞물리는 카운터 톱니바퀴(193)에 의해 카운터축(191)에 전달된다. 카운터축(191)의 회전 구동력은, 카운터축(191)에 형성된 기어(191a)에 맞물리는 출력 톱니바퀴(162)를 통해, 디퍼렌셜 기어(159)의 디퍼렌셜 케이스(183)에 전달된다.
종동축(192)에는, 파킹 로크 기구(166)의 로크 톱니바퀴(167)가 고정되어 있다. 로크암(196)은 지지축(199)에 용착되고 있고, 케이스부에 대해 지지축(199)이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링크 부재(201)를 통해 로크암(196)과 걸어맞춰지는 요동암(202)은, 요동축(203)에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203)의 도시된 우단부에는, 조작 와이어의 단부와 접속되는 작동암(197)이 고정되어 있다.
디퍼렌셜 케이스(183)는, 케이스부의 베어링(189, 190)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디퍼렌셜 기어(159)는, 핀(185)으로 축지지된 한 쌍의 피니언 기어(186, 188)와, 차폭 방향으로 한 쌍의 사이드 기어(184, 187)를 갖고, 각각의 사이드 기어(184, 187)에, 좌측 차축(158L) 및 우측 차축(158R)이 스플라인 끼워맞춰져 있다. 좌측 차축(158L)은 좌측의 휠(160)에 고정되고, 우측 차축(158R)은 우측의 휠(160)에 고정된다. 양 휠(160)에는, 와이어 등으로 요동 조작되는 브레이크암(165)에 따라 작동하는 브레이크슈(161)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전동 삼륜차의 구조, 후부 차체의 파워 유닛에 있어서의 주요축의 축 배치, 배터리 및 PDU 등의 전장 부품의 배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전동 삼륜차
2:차체 프레임
3:메인 프레임
8:사이드 프레임
10:상승 프레임
11:리어 프레임
21:시트
22:지지 프레임
23:콘택터
24:BMU
25:배터리
26:리어 쇼크 유닛
27:피벗축
28:상하 요동 유닛
33:PDU
34:경동 부재
36:모터 출력축
38:카운터축
40(40L, 40R):차축
44: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
45a, 49, 58, 60:충전구
47:다운 레귤레이터
55:상부 크로스 파이프
56:하부 크로스 파이프
57:저전압 배터리
65:파킹 로크 기구
70:로크 톱니바퀴
80:원심 클러치
101:디퍼렌셜 기어
102:디퍼렌셜 케이스
M:모터
P:파워 유닛
WR:후륜

Claims (12)

  1. 배터리(25)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모터(M)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륜(WR)을 구동하여 주행하고, 상기 모터(M) 및 상기 후륜(WR)을 포함하는 후부 차체(30)를, 차체 프레임(2)의 후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傾動) 가능하게 부착한 전동 삼륜차(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배터리(25)를 수납하는 배터리 박스(25a)가, 상기 전동 삼륜차(1)의 시트(21)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2)에 연결된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25)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기판(54)이 상기 배터리(25)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시 기판(54)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BMU(24)와, 상기 배터리(25)와 상기 모터(M)의 구동 회로 사이의 접속을 개폐하는 콘택터(23)가, 상기 배터리(25)의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배터리 박스(25a)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2)은, 스티어링 스템(6)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헤드 파이프(5)에 접속되어 차체 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3)과, 이 메인 프레임(3)에 접속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8)과, 이 사이드 프레임(8)에 연결되어 차체 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승 프레임(10)과, 이 상승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11)을 갖고,
    상기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상기 좌우의 상승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는 차폭 방향의 크로스 파이프(5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은, 상기 크로스 파이프(55)로부터 차체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배터리 박스(25a)는, 상기 크로스 파이프(55)의 상부, 또한 상기 배터리 박스 지지 프레임(4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터(23)의 상부에,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25)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구(5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21)의 후방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2)으로부터 차체 상방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2)을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22)에, 상기 배터리(25)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의 전압을 강압하는 다운 레귤레이터(47)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22)의 차체 중앙측의 위치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구(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7. 청구항 1 내지 3,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의 하방의 위치에 저전압 배터리(5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택터(23)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57) 사이에 충전구(45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21)의 하방의 위치에 저전압 배터리(5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택터(23)와 상기 저전압 배터리(57) 사이에 충전구(45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9. 청구항 1 내지 3, 5,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M)의 전방에, 모터 제어 장치로서의 PDU(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M)의 전방에, 모터 제어 장치로서의 PDU(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M)의 전방에, 모터 제어 장치로서의 PDU(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터(M)의 전방에, 모터 제어 장치로서의 PDU(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삼륜차.
KR1020120026076A 2011-03-31 2012-03-14 전동 삼륜차 KR101353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80330 2011-03-31
JP2011080330A JP2012214109A (ja) 2011-03-31 2011-03-31 電動三輪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026A KR20120112026A (ko) 2012-10-11
KR101353147B1 true KR101353147B1 (ko) 2014-01-22

Family

ID=4565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076A KR101353147B1 (ko) 2011-03-31 2012-03-14 전동 삼륜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20461B2 (ko)
EP (1) EP2505406B1 (ko)
JP (1) JP2012214109A (ko)
KR (1) KR101353147B1 (ko)
CN (1) CN102729837B (ko)
ES (1) ES2574181T3 (ko)
TW (1) TWI5118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99A (ko) 2020-11-11 2022-05-18 진호(주) 소형 자동차용 저전력 공조시스템
KR20230174940A (ko) 2022-06-22 2023-12-29 한국광기술원 소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공조 방법 및 이에 대한 공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1547A (ja) * 2011-09-27 2013-04-22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US8936120B2 (en) * 2011-12-29 2015-01-2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Utility vehicle having a front electric motor
DE112013005203T5 (de) * 2012-10-31 2015-08-27 Honda Motor Co., Ltd. Elektrisches Fahrzeug
CN103241133B (zh) * 2013-05-18 2015-09-02 淄博国利新电源科技有限公司 增程式小型电动汽车用非对称混合电源装置的充电方法
NL2012245C2 (en) 2014-02-12 2015-08-17 Royalty Bugaboo Gmbh A foldable vehicle.
USD739304S1 (en) 2014-05-20 2015-09-22 Stephen Brown Off-road vehicle
CN104442438B (zh) * 2014-11-16 2018-03-27 贾立进 一种电引擎式里程预警新能源汽车
US9738343B2 (en) * 2015-02-03 2017-08-22 Michael Trifaro Adult tricycles having pivoting frames, suspension systems and enhanced stability
USD813102S1 (en) 2015-08-13 2018-03-20 Dynacraft Bsc, Inc. Electric drifting tricycle
US9925999B2 (en) 2015-09-29 2018-03-27 Radio Flyer Inc. Power assist wagon
JP2017081330A (ja) * 2015-10-27 2017-05-18 スズキ株式会社 電動二輪車用の外装構造
USD782942S1 (en) 2016-02-08 2017-04-04 Michael Trifaro Adult tricycle
CN105947097B (zh) * 2016-06-06 2021-12-10 宁德市犇田动力有限公司 一种电动三轮车外置充电机的固定装置
US10632857B2 (en) 2016-08-17 2020-04-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US10384558B2 (en) 2016-09-27 2019-08-20 STG Consulting Co., Ltd. Cruis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mobility scooter and electrical mobility scooter therewith
US10583852B2 (en) 2016-11-02 2020-03-10 Radio Flyer Inc. Foldable wagon
EP3566253B1 (en) 2017-01-04 2022-12-28 Shape Corp. Battery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KR101885811B1 (ko) * 2017-01-26 2018-08-06 김경호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USD828787S1 (en) 2017-04-07 2018-09-18 Dynacraft Bsc, Inc. Electric drifter axle
USD827503S1 (en) 2017-04-07 2018-09-04 Dynacraft Bsc, Inc. Electric drifter fender
WO2018213475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FR3069838B1 (fr) 2017-08-03 2019-09-1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ricycle electrique avec roulis
CN111051190B (zh) * 2017-08-31 2021-04-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
WO2019055658A2 (en) 2017-09-13 2019-03-21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CN111148689B (zh) * 2017-09-29 2021-08-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跨骑型电动车辆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D866676S1 (en) 2017-11-02 2019-11-12 Radio Flyer Inc. Foldable wagon
TWI655119B (zh) * 2018-01-31 2019-04-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電動車構造
CN112055898A (zh) 2018-03-01 2020-12-08 形状集团 与车辆电池托盘集成的冷却系统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CN111971226A (zh) * 2018-04-26 2020-11-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
CN111971225A (zh) * 2018-04-26 2020-11-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车辆
JP7156878B2 (ja) * 2018-09-20 2022-10-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電動式建設機械
JP7107565B2 (ja) * 2018-10-22 2022-07-27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移動体駆動ユニット及び移動体
EP3919360A4 (en) * 2019-07-10 2022-04-06 Honda Motor Co., Ltd. STRAIGHT SEAT ELECTRIC VEHICLE
JP6979435B2 (ja) * 2019-10-17 2021-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三輪車
JP7495228B2 (ja) * 2019-12-26 2024-06-04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リーン型車両
JP7430060B2 (ja) 2019-12-26 2024-02-09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リーン型車両
WO2021205466A1 (en) * 2020-04-08 2021-10-14 Tvs Motor Company Limited Energy storage device
CN111907629B (zh) * 2020-08-14 2021-11-16 芜湖富仕德体育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复杂地形并具有侧翻保护功能的大型沙滩卡丁车
USD953202S1 (en) * 2020-08-30 2022-05-31 Adiva (Shanghai) Trading Co., Ltd. Scooter
WO2022107550A1 (ja) * 2020-11-20 2022-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KR102483730B1 (ko) 2021-05-03 2022-12-30 김용욱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
WO2023157011A1 (en) * 2022-02-17 2023-08-24 Tvs Motor Company Limited A vehicle
KR102599964B1 (ko) * 2022-03-24 2023-11-0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다목적 전동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3478A1 (en) * 1995-02-03 1996-08-0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Transportation vehicules and methods
DE19732430A1 (de) * 1997-07-28 1999-02-11 Harald Kutze Ein- oder mehrspuriges Muskel-Elektro-Hybrid-Fahrzeug
EP1300126A1 (en) * 2001-10-05 2003-04-09 Pihsiang Machinery MFG. Co., Ltd. Battery housing for medical scooter
US20090250289A1 (en) * 2008-04-07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629A (en) * 1965-10-23 1968-02-20 Fore Motor Cart Company Foldable battery powered cart
US4111274A (en) * 1975-08-11 1978-09-05 M. Dale King Electrically-powered tricycle
JP3231067B2 (ja) 1991-03-05 2001-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モータ付き車両
IT1260903B (it) * 1992-03-04 1996-04-29 Honda Motor Co Ltd Motoveicolo a trazione elettrica.
JP3240080B2 (ja) * 1993-04-09 200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US5890545A (en) * 1996-05-06 1999-04-06 Smithco, Inc. Electric drive bunker rake
ITMI961936A1 (it) * 1996-09-20 1998-03-20 Edi Micheletti Mezzo di locomozione motorizzato
ATE236042T1 (de) * 1996-12-06 2003-04-15 Citymobil Ag Motorbetriebenes dreirad-fahrzeug
US5950755A (en) * 1997-04-08 1999-09-14 Kemmerer; Kenneth Personal mobility scooter
US6021862A (en) * 1997-04-24 2000-02-08 Sharan; Anand M. Solar energy powered electric vehicle
US6158542A (en) * 1997-09-25 2000-12-12 Nolet; Leopold L. Motor-assisted vehicle
US6530445B1 (en) * 2000-05-12 2003-03-11 Electric Mobility Corporation Variable wheelbase personal mobility vehicle
US8267210B2 (en) * 2003-10-08 2012-09-18 Pride Mobility Products Corporation Power supply assembly for motorized vehicles
JP4278158B2 (ja) * 2004-05-18 2009-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5046382B2 (ja) * 2007-07-18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三輪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3478A1 (en) * 1995-02-03 1996-08-0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Transportation vehicules and methods
DE19732430A1 (de) * 1997-07-28 1999-02-11 Harald Kutze Ein- oder mehrspuriges Muskel-Elektro-Hybrid-Fahrzeug
EP1300126A1 (en) * 2001-10-05 2003-04-09 Pihsiang Machinery MFG. Co., Ltd. Battery housing for medical scooter
US20090250289A1 (en) * 2008-04-07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99A (ko) 2020-11-11 2022-05-18 진호(주) 소형 자동차용 저전력 공조시스템
KR20230174940A (ko) 2022-06-22 2023-12-29 한국광기술원 소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공조 방법 및 이에 대한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29837A (zh) 2012-10-17
CN102729837B (zh) 2014-11-26
ES2574181T3 (es) 2016-06-15
EP2505406A1 (en) 2012-10-03
TW201242809A (en) 2012-11-01
TWI511892B (zh) 2015-12-11
JP2012214109A (ja) 2012-11-08
KR20120112026A (ko) 2012-10-11
US8820461B2 (en) 2014-09-02
EP2505406B1 (en) 2016-05-18
US20120247856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147B1 (ko) 전동 삼륜차
KR101353796B1 (ko) 전동 삼륜차
TWI507310B (zh) 電動三輪車
JP5627155B2 (ja) 電動二輪車
WO2013098890A1 (ja) 鞍乗型電動車両
KR20130111378A (ko) 전동 삼륜 차량
JP5419513B2 (ja) 電動車両の動力伝達装置
CN113365907B (zh) 跨骑型电动车辆
JP6972323B2 (ja) 電動車両
JP5623659B2 (ja) 鞍乗型電動車両
JPH08142965A (ja) パワーアシスト三輪自転車
JP2012046082A (ja) 三輪車両
JP2003127939A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車両構成部品の収納構造
JP2005132128A (ja) 小型立乗り式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