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218B1 - 밀봉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캡 - Google Patents

밀봉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218B1
KR101351218B1 KR1020087000751A KR20087000751A KR101351218B1 KR 101351218 B1 KR101351218 B1 KR 101351218B1 KR 1020087000751 A KR1020087000751 A KR 1020087000751A KR 20087000751 A KR20087000751 A KR 20087000751A KR 101351218 B1 KR101351218 B1 KR 10135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aling member
container
inle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255A (ko
Inventor
아키히토 미야자키
야스유키 타케우치
켄지 요시히로
토시키 사카구치
나오토 마쓰다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Abstract

용기 입구부(12)의 상단면(上端面)에 밀봉부재(13)를 히트 실(heat seal)함과 동시에 용기 입구부(12)를 덮는 상판(15a)을 구비하고, 용기 입구부(12)의 내주(內周) 에지보다도 안쪽 근방에 위치하는 내주 돌기(15e)를 상판(15a)의 내면에 가진 캡(15)을, 용기 입구부(12)에 장착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도 개봉시의 밀봉부재(13)의 박리(개봉박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용기 내의 압력상승에 의한 용기 입구부(12)의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밀봉부재(13)의 박리를 방지한다.
Figure R1020087000751
용기, 밀봉부재, 밀봉성, 박리(개봉박리)

Description

밀봉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캡{SEALING CONTAINER AND CAP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 입구부를 밀봉부재로 밀봉하고, 또한 캡을 장착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도 밀봉부재의 개봉박리를 용이하게 한 용기의 밀봉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캡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219464호 공보에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開口部)를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안쪽 캡에 의하여 박리가능한 접착강도로 접착밀봉하여, 안쪽 캡 위에 바깥 캡을 씌워서 용기 본체에 나사고정시켜 이루어지는 증류기용 플라스틱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6-219464호 공보에 개시된 증류기용 플라스틱 용기에 의하면 증류기로 살균처리시에는 용기를 밀봉하는 안쪽 캡이 박리되는 일 없이 개봉할 때에는 이 안쪽 캡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2-104453호 공보에는 주출통(注出筒)의 천장면에 밀봉부재를 열용착(熱溶着)하고, 주출통 천장면에 접촉하는 콘택트링을 내면에 구비한 캡을, 주출통에 나사고정시켜 이루어지는 파우치용 스파우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2-104453호 공보에 개시된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의하면 밀봉부재는 콘택트링에 의하여 눌려져 밀봉부재의 밀봉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밀봉부재의 접착력을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할 필요가 없으며, 부을 때에는 밀봉부재를 용이하게 개봉박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4-224355호 공보에는 입구부의 개구 끝 겉면에 밀봉재의 외주 에지를 용착(溶着)함과 동시에 캡의 뒷면에 형성한 반구형 돌기에 의하여 이 입구부의 개구 끝을 밀봉처리하는 밀봉재를 압압(押壓)하도록 한 입구부가 달린 포장봉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4-224355호 공보에 개시된 입구부가 달린 포장봉지에 의하면 반구형 돌기가 밀봉재를 파손하지 않고 밀봉재에 밀착하며, 가열처리시에 입구부를 밀봉처리한 밀봉재의 윗면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6-219464호 공보의 용기에 있어서는 바깥 캡의 내면에 구비된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패킹에 의하여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안쪽 캡을 용기 개구부의 윗면에 압압하고 있으나, 고온살균시나 낙하충격시 등에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패킹의 탄성력에 맞서서 바깥 캡의 내면을 향하여 안쪽 캡이 들어 올려지면 개구부 윗면의 내주측에 있어서 개구부 윗면으로부터 안쪽 캡이 박리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안쪽 캡의 내주측의 일부에라도 박리가 발생해 버리면 그 부분에 내용물이 들어가 버리는 등 개봉시에 구입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스파우트가 달린 파우치나 스퀴즈병과 같이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는 유통과정에서 낙하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취급자가 용기를 세게 잡거나 할 때에 용기가 크게 변형되며, 이때의 내압상승 정도도 커진다. 이에 따라 내압상승시에 안쪽 캡에 가해지는 충격도 커지므로 상기의 문제가 현저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는 일본국 특개2002-104453호 공보의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4-224355호 공보의 입구부가 달린 포장봉지에 의하면 캡의 뒷면에 형성한 반구형 돌기가 개구 끝의 내주 에지측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는 적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2004-224355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반구형 돌기가 밀봉재를 압압한 때의 밀봉재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재의 외주 에지를 개구 끝 겉면에 용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박리용 탭부를 남겼다 하더라도 밀봉재를 개봉박리할 때에 밀봉재를 입구부로부터 깨끗하게 떼어내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밀봉재가 반구형 돌기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고온살균시나 낙하충격시 등 용기 내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의 도피처가 없어서 내압상승을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용기 입구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며, 또한 캡을 장착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도 개봉시의 밀봉재의 박리(개봉박리)를 용이하게 한 용기의 밀봉구조에 있어서 낙하시의 충격을 받거나,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도 용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밀봉재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밀봉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캡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는 용기 입구부의 상단면(上端面)에 밀봉부재를 히트 실(heat seal)함과 동시에 상기 입구부에 캡을 장착함으로써 용기 내부를 밀봉하는 용기의 밀봉구조로, 상기 캡의 상판 내면에 상기 입구부의 내주(內周) 에지보다도 안쪽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밀봉부재에 접촉하는 내주 돌기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도 밀봉부재의 개봉박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낙하시의 충격이나 용기 내의 내압상승으로 인한 용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밀봉재의 박리를 방지하며, 입구부 상단면과 밀봉부재와의 사이에 내용물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는 상기 캡의 상판 내면에 상기 밀봉부재를 통하여 상기 입구부 상단면에 접촉하는 고리형상 돌기를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용기 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밀봉부재의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고온살균시에 사용되는 살균수 등이 캡과 밀봉부재와의 사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는 상기 캡과 상기 밀봉부재와의 사이에 공극(空隙)이 형성되도록 상기 캡을 상기 입구부에 장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에 밀봉부재가 캡 안에서 위쪽으로 만곡하여 내압상승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는 상기 캡이 재밀봉 가능하도록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용기를 개봉한 후에도 캡에 의한 재밀봉처리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캡은 상기와 같은 용기의 밀봉구조에 사용되며, 밀봉부재로 밀봉된 용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를 덮는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보다도 안쪽 근방에 위치하여 상기 밀봉부재에 접촉하는 내주 돌기를 상기 상판 내면에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캡은 상기 상판 내면에 상기 밀봉부재를 통하여 상기 입구부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고리형상 돌기를 가진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입구부를 밀봉부재로 밀봉하고, 또한 캡을 장착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도 밀봉부재의 개봉박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캡 천장면의 내면에 형성한 내주 돌기에 의하여 용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밀봉재의 박리를 방지하고, 입구부 상단면과 필름재와의 사이에 내용물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를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해당 스파우트의 일부절결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서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스파우트(1)는 주형부(舟形部,11)와, 주형부(11)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주출통(12)을 구비한 스파우트 본체(10)를 가지며,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는 밀봉부재(13)가 히트 실되어 있다. 또한, 주출통(12)의 외주면에는 캡(15)을 나사고정하기 위한 나사산(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14)에는 배수용 슬릿(14a)이 둘레방향으로 여러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출통(12)의 개구부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부재(13)에 의하여 밀봉되며, 또한 주출통(12)에는 밀봉부재(13)를 덮도록 하여 캡(15)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15)을 나사고정함으로써 주출통(12)에 장착하기로 하면 개봉 후에도 캡(15)에 의한 재밀봉처리가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지만, 캡(15)의 장착수단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 스파우트 본체(10)가 구비하는 주형부(11)는 주출통(12)에 연속된 원통부(11a)를 가지며, 이 원통부(11a)로부터 도면 중 거의 좌우대칭이 되도록 삼각형상으로 수평으로 튀어나온 3개의 용착기판(11b)과, 주출통(12)과 원통부(11a)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11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용착기판(11b)은 원통부(11a)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측에 위치하는 기둥부(11d)에 의하여 각각 상하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용착기판(11d)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측면 전체둘레가 파우치 본체(3)의 스파우트 밀봉부(35)에 히트 실되며, 이 때 플랜지부(11c)가 스파우트 밀봉부(35)의 근처에 접촉하여, 파우치 본체(3)를 형성하는 연포재(軟包材)에 대한 위치를 정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스파우트 본체(10), 및 캡(15)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성형수단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파우트(1)를 예로 들고 있으나, 그 밖에 병(bottle)형 용기 등의 각종 용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병형 용기에 적용할 경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파우트 본체(10)에 대응하는 병형 용기의 입구부는 용기 본체와 하나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비롯한 각종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병형 용기는 다이렉트 블로 성형이나, 연신 블로 성형 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연신 블로 성형의 경우에는 용기 입구부는 블로 성형에 앞선 사출성형 등에 의한 프리폼 성형시에 부형(賦形)할 수 있다.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캡이나 용기 입구부는 상기의 수지끼리, 또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블렌드하여 제조하거나, 산소 베리어성 수지 등의 기능성 수지와 다층구조로 하거나 하는 등 공지의 구성으로 적절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히트 실되는 밀봉부재(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원형의 필름재로 이루어지며,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2개의 돌출조각(13a)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조각(13a)은 밀봉부재(13)를 개봉박리할 때에 그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조각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주출통(12)에 캡(15)을 장착하면 캡(15)의 내면 형상을 따라 절곡(折曲)되어, 주출통(12)으로부터 캡(15)을 떼어내면 그 탄력성에 의하여 일어서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은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밀봉부재(13)를 히트 실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와 같은 밀봉부재(13)에 사용하는 필름재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층, 중간층(베리어층), 실런트층이 접착제층을 통하여 차례대로 적층된 다층구성의 필름재를 들 수 있으나, 그 구체적인 구성은 요구되는 인장강도, 내(耐)낙하충격성, 내핀홀성, 내내용품성(耐內容品性), 가스베리어성 등이나 탕(湯)살균이나 증류기 살균 등의 고온가열살균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내열성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밀봉부재(13)에 사용하는 필름재로서, 상기 다층구성의 필름재를 사용하는 경우, 기재층에는 인장강도, 내충격강도, 내핀홀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뛰어난 기재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2축연신 필름을, 단독 또는 복수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 필름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알루미나(산화 알루미늄)나 실리카(산화 규소) 등의 무기산화물 등을 증착하거나,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산 등의 베리어성 유기재료를 코팅하거나 함으로써, 또한 기재필름 중에 산화성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산소흡수성 수지, 환원성 금속화합물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산소흡수제 등을 블렌드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기재필름 자체에 베리어성을 부여하여도 된다.
또한, 중간층에는 각종 가스나 수증기에 대한 베리어성을 구비한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필름;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필름;메타크실렌디아민(MXDA)와 아디핀산과의 중축합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결정성 폴리아미드 필름(나일론 MXD6);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필름;폴리글리콜산 및 그 공중합체 필름;폴리글리콜산계 필름;클레이계 나노콤퍼지트 합성수지 필름;무기막 증착 필름;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산 등의 베리어성 유기재료 코팅필름; 페놀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베이스로 한 클레이계 나노콤퍼지트 재료 코팅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 중에는 산화성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산소흡수성 수지, 환원성 금속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산소흡수제 등을 적절히 블렌드하여도 된다. 또한, 투시성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는 베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른 재료로서 알루미늄박이나 스틸박 등의 금속박(합금박 포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런트층에는 히트 실성(적어도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융점보다도 저온이며, 용융·확산·재고화(再固化)가 가능한 것을 말한다), 히트 실 강도, 내열성(고온에서의 히트 실 강도), 내내용품성, 위생성 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실런트층에 적용가능한 히트 실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료로서는 스파우트(1)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지글러계(멀티사이트 촉매), 메타로센계(싱글사이트 촉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로 그래프트 변성된 올레핀 공중합체,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부텐-1, 폴리메틸펜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티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일부에 금속이온기를 도입한 이온가교 올레핀 공중합체(아이오노머), 에틸렌-테트라시클로도데센 공중합체(환상(環狀)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틸렌,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 등의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젖산계 수지(폴리메소락티드 배합계 포함);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비교적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며,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스파우트(1)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실런트층에 사용하는 합성수지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이소프탈산이나 아디핀산 등의 다가(多價) 카르복시산 성분 및 1,4-부탄디올이나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다가 알콜성분으로 변성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비상용(非相溶) 합성수지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실런트층에 박리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층을 접착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극성기를 도입한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밀봉부재(13)로서 이와 같은 다층구성의 필름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 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필름은 캐스트법, T다이법, 캘린더법 또는 인플레이션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층구조의 필름재는 미리 성형된 필름의 드라이 라미네이션법이나, 용융수지에 의한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 적층 코팅법, 용융공압출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기재층, 중간층, 실런트층의 각 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층의 접착제층에 접하는 면에는 코로나 방전처리, 플레임 처리(화염처리), 자외선 처리, 오존 처리, 프라이머 코팅처리(알킬티탄산염, 폴리에틸렌이민, 실란컵링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폴리우레탄계 화합물 등을 코팅) 등을 이용하여 표면개질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 캡(15)은 주출통(12)의 개구부를 덮는 상판(15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상판(15a)의 주위 에지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원통벽(15c)의 내주면에는 주출통(12)의 나사산(14)에 대응하는 나사 홈(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15a)의 내면에는 밀봉부재(13)를 통하여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접촉하는 고리형상 돌기(15d)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돌기(15d)는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리형상 돌기(15d)에 의하여 밀봉부재(13)가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고온살균시나 낙하충격시 등에 있어서의 내압의 상승을 수반하여 밀봉부재(13)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져도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으로부터 밀봉부재(13)가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며, 용기(파우치)의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출통(12)에 장착된 캡(15)에 의하여 밀봉부재(13)의 박리가 방지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밀봉부재(13)의 밀봉강도는 내용물을 충전밀봉한 후의 고온살균이나 유통과정 등에 있어서의 박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박리용이성을 우선하여 예를 들면 5 내지 25N/1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15N/15㎜ 이하로 함으로써 밀봉부재(13)의 박리용이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온살균으로서 증류기로 살균할 경우, 관련법규 등에 의하여 밀봉강도는 23N/15㎜ 이상으로 정해져 있으나, 밀봉부재(13)의 밀봉강도는 이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고온살균시에 사용되는 살균수가 캡(15)과 밀봉부재(13)와의 사이에 침입하여 이것이 잔류한 채 제품이 유통과정에 놓이면 내용물이 새어나온 것과 같은 불량으로 오해받을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리형상 돌기(15d)가 밀봉부재(13)를 통하여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살균수가 밀봉부재(13)의 상면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 캡(15)의 상판(15a)의 내면에는 상기한 고리형상 돌기(15d)와 함께 고리형상 돌기(15d)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고리형상 내주 돌기(15e)가 고리형상 돌기(15d)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 돌기(15e)는 캡(15)을 주출통(12)에 장착하였을 때에 내주 돌기(15e)의 선단측이 밀봉부재(13)에 접촉하도록 주출통(12)에 캡(15)을 장착한 상태에서 그 선단이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면 이하의 위치에 있는 것과 같은 돌출길이로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내주 돌기(15e)의 선단(先端)이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을 포함하는 수평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내주 돌기(15e)의 선단은 적어도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을 포함하는 수평면상에 위치하며, 밀봉부재(13)에 접촉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내주 돌기(15e)를 형성함으로써 내압상승에 따라 밀봉부재(13)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였을 때에 이것에 저항하여 내주 돌기(15e)가 주출통(12)의 개구부 내주 에지의 근방에 위치하는 밀봉부재(13)를 누르고, 주출통(12)의 개구부 내주 에지에 있어서 밀봉부재(13)가 개구부 상단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고리형상 돌기(15d)가 밀봉부재(13)의 개구부 상단면으로부터의 전체적인 박리를 방지하고 있는 데 대하여 내주 돌기(15e)는 개구부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밀봉부재(13)의 부분적인 박리를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주 돌기(15e)의 형성위치가 개구부 내주 에지로부터 너무 떨어져 버리면 내압상승시에 주출통(12)의 개구부 내주 에지의 근방에 위치하는 밀봉부재(13)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없게 되며, 주출통(12)의 개구부 내주 에지에 있어서의 밀봉부재(13)의 박리방지라는 기능이 손상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내주 돌기(15e)의 형성위치는 개구부 내주 에지로부터 주출통(12)의 개구 반경의 절반 정도까지의 사이의 위치로 하고, 개구부의 내주 에지로부터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주출통(12)의 개구부 내주 에지보다도 안쪽 근방의 위치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주출통(12)의 개구부 내주 에지에 있어서 일부에라도 밀봉부재(13)의 박리가 발생하여 버리거나, 밀봉부재(13)와의 미(未)밀봉부가 있거나 하면 그 부분에 내용물이 들어가 버려서 밀봉부재(13)를 개봉박리할 때에 구입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밀봉부재(13)에 접촉하는 내주 돌기(15e)를 캡(15)이 구비된 상판(15a)의 내면에 형성함으로써 내주 돌기(15e)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는 밀봉부재(13)가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을 넘어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하고, 이것에 의하여 밀봉부재(13)가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과, 밀봉부재(13)와의 사이에 내용물이 들어가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주 돌기(15e)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한하지 않고 상기 기능이 얻어진다면 복수의 소돌기를 고리형상으로 정렬하여 배설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라도 되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캡(15)을 주출통(12)에 장착함에 있어서 캡(15)과 밀봉부재(13)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극(2)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 2에 2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압이 상승하였을 때에는 밀봉부재(13)가 캡(15) 내에서 위쪽으로 만곡하여 고온살균시나 낙하충격시 등의 내압상승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내압상승시에 밀봉부재(13)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스파우트(1)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파우치 본체(3)에 내용물의 주출구로서 장착하여 사용된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파우치 본체(3)는 수지필름 등의 연포재로 형성된, 몸통부(31)와 바닥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31)의 측부 주위 에지에는 바닥부(32)를 꺾은 선(32a)으로 접은 상태에서 사이드 밀봉(33)처리가 되어 있는 동시에 몸통부(31)와 바닥부(32)와의 사이에는 기부(基部) 밀봉(34)처리가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왼쪽 위에 있어서의 코너부에는 비스듬하게 커트된 경사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부(4)의 스파우트 밀봉부(35)에 있어서 스파우트(1)의 용착기판(11b)의 측면 전체 주위가 파우치 본체(3)를 형성하는 연포재에 히트 실된다.
이와 같은 스파우트가 달린 파우치는 통상 그 정점부가 미(未)밀봉부로 된 채 내용물의 충전공정까지 반송되어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정점부에 상부 밀봉(36)처리가 된다. 이때 주출구로서 장착된 스파우트(1)는 주출통(12)의 개구부가 밀봉부재(13)에 의하여 밀봉되고, 또한 캡(15)이 밀봉부재(13)를 덮도록 하여 주출통(12)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밀봉부재(13)의 밀봉강도를 박리용이성을 가지며, 높은 밀봉성을 갖는 내용물을 충전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부을 때에는 캡(15)을 벗기고 나서 밀봉부재(13)를 개봉박리하지만, 밀봉부재(13)는 박리용이 강도에서의 히트 실이 가능하며, 밀봉부재(13)가 용이하게 박리개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캡(15)의 상판(15a) 내면에 밀봉부재(13)를 통하여 주출통(12)의 개구부 상단면에 접촉하는 고리형상 돌기(15d)와 함께 그 내주측에 내주 돌기(15e)를 형성하고 있으나, 내주 돌기(15e)만으로도 밀봉부재(13)의 개구부 상단면으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하여 밀봉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상기 고리형상 돌기(15d)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파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요네즈 등을 내용물로 하는 스퀴즈병, 잼 등을 내용물로 하는 광구(廣口)용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파우치나 스퀴즈병 등과 같이 유통과정에서 낙하로 인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취급자가 용기를 강하게 잡거나 하였을 때에 용기가 크게 변형하여 내압상승의 정도도 큰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용기에 특히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를 파우치용 스파우트에 적용한 실시형태의 개략을 도시하는 일부절결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주출통의 개구부 상단면에 밀봉부재를 히트 실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스파우트가 달린 파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스파우트 10 스파우트 본체
12 주출통(용기 입구부) 13 밀봉부재
15 캡 15a 상판
15d 고리형상 돌기 15e 내주 돌기
2 공극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입구부를 밀봉부재로 밀봉하고, 또한 캡을 장착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확보하면서도 밀봉부재의 개봉박리를 용이하게 한 용기의 밀봉구조로서 다양한 종류의 용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용기 입구부의 상단면(上端面)에 밀봉부재를 히트 실(heat seal)함과 동시에 상기 입구부에 캡을 장착함으로써 용기 내부를 밀봉하는 구조의 밀봉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이 재밀봉 가능하도록 상기 입구부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입구부에 상기 캡을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입구부의 내주(內周) 에지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보다도 안쪽 근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캡의 천장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선단측이 상기 밀봉부재에 접촉하는 내주 돌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판 내면에 상기 밀봉부재를 통하여 상기 입구부 상단면에 접촉하는 고리형상 돌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밀봉부재와의 사이에 공극(空隙)이 형성되도록 상기 캡을 상기 입구부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용기.
  4. 밀봉부재로 밀봉된 용기 입구부에 재밀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를 덮는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에 장착하였을 때에 상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입구부의 내주 에지보다도 안쪽 근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캡의 천장면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선단측이 상기 밀봉부재에 접촉하는 내주 돌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내면에 상기 밀봉부재를 통하여 상기 입구부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고리형상 돌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6. 삭제
KR1020087000751A 2005-08-09 2006-08-02 밀봉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캡 KR10135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0687A JP5002924B2 (ja) 2005-08-09 2005-08-09 容器の密封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蓋体
JPJP-P-2005-00230687 2005-08-09
PCT/JP2006/315326 WO2007018101A1 (ja) 2005-08-09 2006-08-02 容器の密封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55A KR20080033255A (ko) 2008-04-16
KR101351218B1 true KR101351218B1 (ko) 2014-01-13

Family

ID=3772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751A KR101351218B1 (ko) 2005-08-09 2006-08-02 밀봉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20935A1 (ko)
EP (1) EP1914175A4 (ko)
JP (1) JP5002924B2 (ko)
KR (1) KR101351218B1 (ko)
CN (1) CN101184675B (ko)
WO (1) WO2007018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10516B1 (pl) 2007-02-18 2012-01-31 Przedsiębiorstwo Prod Handlowe Prymat Spo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 Opakowanie do sypkich artykułów spożywczych
NL1037405C2 (en) * 2009-10-16 2011-04-19 Ppg Industries Inc Pouch for paint colourant.
WO2013125941A1 (en) * 2012-02-21 2013-08-29 N.V. Nutricia Container with sealing lid construction
ITUA20162106A1 (it) * 2016-03-30 2017-09-30 Guala Pack Spa Sistema di gestione della sterilizzazione di imballi flessibili a corpo sottile (pouch)
JP7340909B2 (ja) * 2018-05-30 2023-09-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JP2020026302A (ja) * 2018-08-16 2020-02-20 カゴメ株式会社 シール蓋、容器、及び容器詰め飲食品の製造方法
CH715533A1 (de) * 2018-11-09 2020-05-15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Kunststoffbehälter mit einem Behälterhals mit einer Ausgiessöff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s einem Preform gefertigten Kunststoffbehält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1371A (en) * 1983-12-05 1985-02-26 Owens-Illinois, Inc. Tamper indicating, non-resealable closure
WO2000006454A1 (en) * 1998-07-30 2000-02-10 Kerr Group, Inc. Closure and container system for hot filled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09Y2 (ko) * 1976-04-28 1982-02-13
JPS5821411Y2 (ja) * 1980-10-18 1983-05-06 株式会社 シンワ機械 シ−ル容器保護装置
GB2123392B (en) * 1982-07-10 1985-11-06 Mardon Illingworth Container sealing devices and method of sealing containers
US4637519A (en) * 1985-09-03 1987-01-20 Sun Coast Plastics, Inc. Two part closure
US4767016A (en) * 1987-08-18 1988-08-30 Adolph Coors Company Liquor bottle capping assembly
IL89091A (en) * 1988-02-16 1994-06-24 Aichinger Dietmar F Closure of containers and device for its production
JP2505053Y2 (ja) * 1990-06-12 1996-07-24 東洋製罐株式会社 包装容器
JPH06219464A (ja) 1993-01-19 1994-08-0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レトルト用プラスチック容器
US5503282A (en) * 1995-04-10 1996-04-02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for pressurized container
GB9907338D0 (en) * 1999-03-31 1999-05-26 Rexam Containers Ltd Container and closure cap
JP2001122315A (ja) * 1999-10-21 2001-05-08 Athena Kogyo Co Ltd 中蓋付き食品容器
JP4549489B2 (ja) * 2000-05-19 2010-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口組合体
JP2002104453A (ja) * 2001-08-01 2002-04-10 Toyo Seikan Kaisha Ltd パウチ用スパウト
JP4326808B2 (ja) * 2003-01-20 2009-09-09 株式会社細川洋行 口部付包装袋
FR2863589B1 (fr) * 2003-12-12 2006-01-13 Bericap Bouchon comportant une levre interieure et une levre exterieure d'etanchei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1371A (en) * 1983-12-05 1985-02-26 Owens-Illinois, Inc. Tamper indicating, non-resealable closure
WO2000006454A1 (en) * 1998-07-30 2000-02-10 Kerr Group, Inc. Closure and container system for hot filled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55A (ko) 2008-04-16
EP1914175A1 (en) 2008-04-23
CN101184675A (zh) 2008-05-21
CN101184675B (zh) 2011-05-25
JP2007045443A (ja) 2007-02-22
WO2007018101A1 (ja) 2007-02-15
JP5002924B2 (ja) 2012-08-15
US20090120935A1 (en) 2009-05-14
EP1914175A4 (en)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218B1 (ko) 밀봉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캡
JPH068950A (ja) 誘導シール蓋つきのキャップ
KR20040083439A (ko) 용기 마개
CA2803302C (en) Oxygen scavenging system for a container
US20050242097A1 (en) Container closure with dual heat seal and magnetic seal
US6106757A (en) Beverage can lid and method of making
EP4059867B1 (en) Recyclable container and lidding construction
JP4270621B2 (ja) レトルト用射出成形容器
JP2004034302A (ja) 多層材、容器及び包装体
JP3688776B2 (ja) 飲料用容器の蓋体
JPH11152166A (ja) 包装用容器
WO2021050185A1 (en) Resealable film
JP2012062113A (ja) 複合容器
EP2202174B1 (en) Container lid
JP2007030895A (ja) 注出口の密封機構
JPH11124156A (ja) 注出口組合体
JP2012206734A (ja) 包装容器
JPH0217429B2 (ko)
KR100430806B1 (ko) 음료 용기 뚜껑
JP2003054580A (ja) 易開封性袋
JP2004276964A (ja) 包装容器
JP2015093688A (ja) 容器本体、容器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JPH11171250A (ja) 繰り返し開閉可能な密封プラスチック容器
JP2021054514A (ja) スパウトとキャップとの組み合わせ
JPH11227733A (ja) 射出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