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272B1 - Yaw & g 센서 - Google Patents

Yaw & g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272B1
KR101350272B1 KR1020120063994A KR20120063994A KR101350272B1 KR 101350272 B1 KR101350272 B1 KR 101350272B1 KR 1020120063994 A KR1020120063994 A KR 1020120063994A KR 20120063994 A KR20120063994 A KR 20120063994A KR 101350272 B1 KR101350272 B1 KR 10135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ush
sensor
yaw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978A (ko
Inventor
안희열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2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14Yaw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시 흔들림 및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Yaw & G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싱소자와 PCB회로가 장착되고, 차체로의 장착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브래킷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각 브래킷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다수의 체결용 부쉬(Bush); 및 각 체결용 부쉬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각 브래킷의 내주면 사이에 마크로멜트(Macro melt)를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함으로써 내외측으로 상기 체결용 부쉬와 상기 브래킷에 일체로 부착되는 다수의 방진 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체의 충격이 내부의 센서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구조로서 부품의 탈거현상을 방지하고 작업공수 또한 줄일 수 있는 방진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YAW & G 센서{YAW & G SENSOR}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주행시 흔들림 및 가속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Yaw & G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충격이 내부에 장착된 센싱소자와 PCB 회로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한 방진 구조를 갖는 Yaw & G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Yaw & G 센서는 차량의 흔들림 및 가속도를 감지하여 이 정보를 ECU 및 바디 컨트롤 유닛(Body control unit)에 전송하여 전체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종래의 Yaw & G 센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G 소자, Yaw 소자, PCB 등이 장착되는 사출물인 하우징(11)을 가지며, 이 하우징(11)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브래킷(12)이 돌출 형성되어 이들을 통해 차체 측에 장착된다.
각 브래킷(12)에는 관통홀(12h)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12h)로는 금속 재질, 통상적으로는 SUS 재질인 체결용 부쉬(13)가 삽입 구비된다.
하우징(11)은 상기 체결용 부쉬(13)를 통해 볼트 체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 판넬(1)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Yaw & G 센서(10)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차체 측의 충격이 체결용 부쉬(13)를 통해 그대로 하우징(11) 측으로 전달되므로, 결국 내부의 G 소자 및 Yaw 소자에 손상을 가하거나 및 오작동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종의 러버(Rubber, 14, 15)와 이에 삽입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용 부쉬(13')를 제안한 바 있다.
즉, 하우징 브래킷(12) 측에 원형의 관통공(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러버(14, 15)를 상기 관통공의 상하에서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체결용 부쉬(13')를 삽입 구비함으로써, 차체로부터 상기 체결용 부쉬(13')로 전달되는 충격이 러버(14, 15)에 의해 완화되도록 하여 내부의 센서를 보호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해결 방법은 다수 및 다종의 부품(13', 14, 15)을 요하고 작업공수 또한 증가할 뿐 아니라 조립방식을 취함에 따라 상기 부품들의 탈거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구조로서 부품의 탈거현상을 방지하고 작업공수 또한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Yaw & G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행시 흔들림 및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Yaw & G 센서에 있어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싱소자와 PCB회로가 장착되고, 차체로의 장착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브래킷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각 브래킷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다수의 체결용 부쉬(Bush); 및 각 체결용 부쉬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각 브래킷의 내주면 사이에 마크로멜트(Macro melt)를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함으로써 내외측으로 상기 체결용 부쉬와 상기 브래킷에 일체로 부착되는 다수의 방진 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aw & G 센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다수의 브래킷이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이고, 상기 마크로멜트는 상기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보다 융점(Melting point)이 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이고, 이때 상기 마크로멜트는 경도 90인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진 부쉬는 상기 체결용 부쉬에 비하여 상기 브래킷이 차량에 장착되는 표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성형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Yaw & G 센서에 의하면, 센서 하우징의 체결용 브래킷에 형성된 관통홀과 이에 삽입되는 체결용 부쉬 사이에 마크로멜트를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내외 일체로 부착되는 방진 부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체결용 부쉬를 통해 전달되는 차체측 충격이 상기 방진 부쉬에 의해 완화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방진 부쉬가 마크로멜트의 인서트 몰딩을 통해 내외로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그 탈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1회의 인서트 몰딩만으로 방진 구조를 달성할 수 있어 이를 위한 작업공수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Yaw & G 센서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Yaw & G 센서의 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Yaw & G 센서의 방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품의 분해 사시도 및 그 체결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Yaw & G 센서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Yaw & G 센서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Yaw & G 센서의 변형례에 따른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4의 Yaw & G 센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Yaw & G 센서(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싱소자와 PCB회로가 장착되는 하우징(2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21)의 외측으로는 차체로의 장착을 위해 관통홀(22h)이 형성된 다수의 브래킷(22)이 돌출 형성된다.
하우징(21)과 브래킷(22)은 모두 동일한 사출용 플라스틱 소재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적용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성능향상을 위해 GF(유리섬유 강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22h)의 내측으로는 체결용 부쉬(23)가 삽입되는 바, 이때 체결용 부쉬(23)는 그 삽입되는 관통홀(22h) 측 브래킷(22)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G)이 유지된다. 체결용 부쉬(23)는 통상적으로 금속, 그 중에서도 SUS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간격(G), 즉 체결용 부쉬(23)의 외주면과 관통홀(22h)을 이루는 브래킷(22) 내주면 사이에는 마크로멜트(Macro melt)를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함으로써 방진 부쉬(24)를 성형한다.
이에 따라, 방진 부쉬(24)는 내측으로는 상기 체결용 부쉬(23)의 외주면에 외측으로는 상기 브래킷(22)의 내주면에 일체로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방진 부쉬(24)의 소재로서 마크로멜트를 이용한 것은 브래킷(22)을 포함한 하우징(21)이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인 것을 고려하여 그보다 융점이 더 낮은 소재로서 방진 용도로 적합하기 때문이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1)이 PBT GF 재질인 것을 고려하여 그보다 융점이 낮은 경도 90의 마크로멜트를 상기 방진 부쉬(24)의 소재로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 판넬(1)로부터 체결용 부쉬(23)로 전달되는 충격은 그 좌우 외측의 방진 부쉬(24)에 의해 크게 완화 내지 차단되어 하우징(21)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마크로멜트의 인서트 몰딩에 의해 성형되는 방진 부쉬(24)가 브래킷(22)의 장착면(도면에서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체결용 부쉬(23)가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용 부쉬(23)에 비하여 방진 부쉬(24')가 브래킷(22)의 저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차체측 충격이 체결용 부쉬(2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크기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Yaw & G 센서(2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20: Yaw & G 센서 21: 하우징
22: 브래킷 22h: 관통홀
23: 체결용 부쉬 24: 방진 부쉬

Claims (4)

  1. 주행시 흔들림 및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Yaw & G 센서에 있어서,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센싱소자와 PCB회로가 장착되고, 차체로의 장착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브래킷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각 브래킷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다수의 체결용 부쉬(Bush); 및 각 체결용 부쉬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각 브래킷의 내주면 사이에 마크로멜트(Macro melt)를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함으로써 내외측으로 상기 체결용 부쉬와 상기 브래킷에 일체로 부착되는 다수의 방진 부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용 부쉬는 상기 브래킷이 차량에 장착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진 부쉬는 적어도 상기 체결용 부쉬 만큼 상기 브래킷이 차량에 장착되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다수의 브래킷이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이고, 상기 마크로멜트는 상기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보다 융점(Melting point)이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Yaw & G 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용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이고, 이때 상기 마크로멜트는 경도 90인 것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aw & G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쉬는 상기 체결용 부쉬에 비하여 상기 브래킷이 차량에 장착되는 표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aw & G 센서.
KR1020120063994A 2012-06-15 2012-06-15 Yaw & g 센서 KR10135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994A KR101350272B1 (ko) 2012-06-15 2012-06-15 Yaw & g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994A KR101350272B1 (ko) 2012-06-15 2012-06-15 Yaw & g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978A KR20130140978A (ko) 2013-12-26
KR101350272B1 true KR101350272B1 (ko) 2014-01-15

Family

ID=4998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994A KR101350272B1 (ko) 2012-06-15 2012-06-15 Yaw & g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859B1 (ko) * 2016-06-24 2023-07-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용 장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876A (ja) 2003-12-01 2005-06-23 Denso Corp 電気回路機器の破壊防止構造
KR20080008105A (ko) * 2006-07-19 2008-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하중 감지장치
JP2010132202A (ja) * 2008-12-05 2010-06-17 Fujitsu Ten Ltd セン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2010215127A (ja) 2009-03-17 2010-09-30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876A (ja) 2003-12-01 2005-06-23 Denso Corp 電気回路機器の破壊防止構造
KR20080008105A (ko) * 2006-07-19 2008-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하중 감지장치
JP2010132202A (ja) * 2008-12-05 2010-06-17 Fujitsu Ten Ltd セン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2010215127A (ja) 2009-03-17 2010-09-30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978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6786B2 (ja) マウント装置
US9313932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overmo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31481B2 (ja) 車両用電子装置
KR100788128B1 (ko) 자동차용 스피드 센서 및 그 조립방법
KR20130135330A (ko)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KR101350272B1 (ko) Yaw & g 센서
JPWO2015174329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KR20170038948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US10285284B2 (en) Method for molding outer case of electronic-circuit unit
JP2008081032A (ja) 車両のエンジン搭載装置
KR101514410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ITPN20130021U1 (it) Distanziale perfezionato per stampi
US9831651B2 (en) Cable fastening device
JP7064331B2 (ja) 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101181114B1 (ko) 차량용 스피드 센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2215711B1 (ko) 차량용 오버슬램 범퍼
KR20160124332A (ko) 자성코어 및 홀 센서 집적회로가 일체로 모듈화된 전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KR20090124577A (ko) 차량용 펜더 및 그 제조방법
JP7031607B2 (ja) 移動体検出装置
JP5924837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CN108351228B (zh) 旋转检测装置
JP6166655B2 (ja) 電子回路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26612A (ja) 電子回路ユニット
KR100641785B1 (ko) 내장 플레이트 위치 고정 기능을 갖춘 컨테이너
KR200458114Y1 (ko) 범퍼 고정용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