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5330A -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5330A
KR20130135330A KR1020137026004A KR20137026004A KR20130135330A KR 20130135330 A KR20130135330 A KR 20130135330A KR 1020137026004 A KR1020137026004 A KR 1020137026004A KR 20137026004 A KR20137026004 A KR 20137026004A KR 20130135330 A KR20130135330 A KR 20130135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portion
resin molded
molding
colla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29C45/842Detection of insert defects, e.g. inaccurate position, break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22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fixed mould wall projections for centering the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인서트 성형에 의해, 금속으로 형성된 둥근 형상 칼라(33) 또는 장방형 칼라를, 상자체의 복수의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 구멍의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성형 금형(51)에 캐비티(54,55)가 제공된다. 둥근 형상 칼라(33)가 탑재되는 통형 보스부(61)가 제공되는 캐비티(54) 각각에서, 둥근 형상 칼라(33)가 통형 보스부(61)위로 삽입될 때 간섭하지 않고, 장방형 칼라가 통형 보스부(61)위로 삽입되면 간섭하는 복수의 돌기(63)가 제공되어, 장방형 칼라가 통형 보스부 위로 잘못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Molding Die and Molding Method for Resin Molded Product}
본 발명은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접속 상자가 차체 패널과 같은 조립될 대상에 장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삽입 구멍을 구비하는 복수의 고정부가 전기 접속 상자의 상자 본체에 제공되고, 전기 접속 상자는 삽입 구멍에 삽입된 조임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대상에 고정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하면 된다)
도 9는 고정부 측에서 바라볼 때 이와 같은 타입의 전기 접속 상자의 일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 전기 접속 상자(101)는 수지 성형 제품인 상자 본체(101), 및 상기 상자 본체(110)로부터 돌출한 복수의 고정부(103, 10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3,104)들은, 삽입되는 조임 볼트(미도시)에 의해 전기 접속 상자(101)를 조립되는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입 구멍(131,141)이 제공된다.
또한, 삽입 구멍(131,141)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금속으로 형성된 관형 본체(133,143, 이하 "칼라"로 명명됨)가 삽입 구멍(131,141) 각 내면에 배치되어 상자 본체(110)에 일체로 성형된다.
그런데, 상자 본체(110)의 고정부(103,104)에 적절히 형성된 두 가지 타입의 삽입 구멍(131,141)이 있다. 하나는, 조립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경우 상자 본체(110)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둥근 형상의 위치 설정 구멍이고, 다른 하나는 상자 본체(110)와 조립되는 대상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한 장방형 유격 흡수 구멍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 구멍(131,141)의 내면에 배치되는 두 가지 타입의 칼라가 있다. 즉, 통형 칼라와 장방형의 통형 칼라이다. 상자 본체(110)를 성형하는 경우, 인서트 성형은 둥근형상의 칼라(133) 또는 장방형 칼라(143)를 성형 금형에서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10과 도 11은 기언급된 상자 본체(11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151)의 일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의 라인 X-X를 따라 절단된 단면에 대응한다.
성형 금형(151)은 사출 성형용 금형이며, 하부 주형(152) 및 상부 주형(153)을 포함한다. 인서트 성형에 의해 둥근 형상 칼라(133)를 고정부(103)에 고정시키기 위해,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의 개방 상태에서 둥근 형상 칼라(133)가 둥근 형상 삽입 구멍(131) 성형을 위해 하부 주형(152)의 보스부(161)에 피팅된다. 보스부(161)는 둥근 형상 칼라(133)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을 구비하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수지가, 도시되지 않은 게이트로부터, 폐쇄된 하부 주형(152)의 캐비티(154)와 상부 주형(153)의 캐비티(155)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 공간(156)으로 주입된다. 상기 방식으로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상자 본체(11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때 둥근 형상의 칼라(133)는 인서트 성형에 이해 고정부(103)로 고정된다. 장방형 칼라(143)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부(104)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JP-A-2010-233357
그러나, 상기 성형 금형(151)에서, 잘못된 칼라 배치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스부(161)에 대응하는 둥근 형상의 칼라(133) 또는 장방형 칼라(143)가, 하부 주형(152)에서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보스부(161)등 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칼라(143)는 보스부(161)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장방형 칼라 (43)가 보스부(161)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 주형(152) 및 상부 주형(153)은 폐쇄되면, 도 12의 상부 주형(153)의 부분 A는 장방형 칼라(143)의 상단에 대항하여 충돌과 함께 부서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칼라의 잘못된 배치를 방지하기 위해, 최종적으로는 생산공정에서 가시적 관찰을 통해 배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방지책이 있었으며, 또는 상기 칼라들을 제품 내에서 동일 평면에 배치하지 않고, 가능한 최대한 서로 멀도록 둥근 형상 칼라(133)와 장방형 칼라(143)를 배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완벽한 방지책은 아니다.
따라서, 칼라의 잘못된 배치를 방지하기 위해, 둥근 형상 칼라(133)의 내경(inner diameter)을 장방향 칼라(143)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하여, 장방형 칼라(143)가 원주 형상으로 보스부(161)위에 장착될 수 없도록 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나, 둥근 형상 칼라(133)와 장방형 칼라(143)가 상이한 내경을 가질 때, 상이한 직경을 구비한 삽입 구멍으로 삽입되는 조임 볼트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착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으로 형성된 통형 본체 또는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정확하게 복수의 고정부에 배치되는, 수지 성형 제품을 위한 바람직한 성형 주형 및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성형 제품의 성형 금형은 이하의 (1) 내지 (4)의 특성을 구비한다.
(1)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으로서, 삽입 구멍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를 구비하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 금형에는 금속으로 형성된 통형 본체 또는 장방형의 통형 본체를 삽입 구멍의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캐비티가 제공되고, 통형 본체가 탑재되는 통형 보스부가 제공되는 각각의 캐비티에,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삽입될 때 간섭하지 않고,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위로 삽입되면 간섭하여,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삽입방지부가 제공된다.
(2) 상기 (1)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에서, 오삽입 방지부는 통형 보스부 주위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3) 상기 (1)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에서, 오삽입 방지부는 통형 보스부에 동심으로(concentrically) 제공되는 환상 돌기를 포함하고, 통형 보스부보다 낮은 높이를 구비한다.
(4) 수지 성형 제품이 성형되는 수지 성형 제품 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을 이용한다.
상기 (1)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에 따르면,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실수로 통형 보스부 위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캐비티에 제공되는 오삽입 방지부가 장방형의 통형 본체와 간섭하고,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잘못 배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을 따르면, 오삽입방지부가 통형 보스부 주위에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므로, 수지 성형 제품위에 남는 오삽입 방지부의 흔적(개구들)을 작게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구멍 근처 제품의 기계적 강도와 외관이 현저히 악화되지 않는다.
상기 (3)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의 성형 금형에 따르면, 오삽입 방지부가 통형 보스부에 동심으로 제공되는 환형 돌기를 포함하고, 통형 보스부보다 높이가 낮기 때문에, 캐비티에 제공되는 오삽입 방지부의 기계적 강도는 손쉽게 확보되며, 캐비티용 주형은 쉽게 형성된다.
상기 (4)에 기재된 구조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방법을 따르면, 통형 본체 또는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복수의 고정부에 정확하게 배치되는 바람직한 수지 성형 제품을 손쉽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따르면, 금속으로 형성되는 통형 본체 혹은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복수의 고정부에 정확하게 배치되는 수지 성형 제품을 위한 바람직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간략히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들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기재되는 "발명을 실시하게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하, "실시예"로 언급된다)을 정독함으로써,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에서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전기 접속 상자의 일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며, 고정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에서 통형 본체를 인서트 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성형 금형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에서 IV-IV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 대응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캐비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통형 보스부 위로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성형 금형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캐비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a), 8(b), 8(c), 8(d)는 도 4에 도시된 오삽입 방지부에 대한 변경을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전기 접속 상자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이며, 고정부측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고정부에 통형 본체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성형 금형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의 X-X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 대응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성형 금형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폐쇄된 상태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통형 보스부 위로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성형 금형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따르는 실시예에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수지 성형 제품을 위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전기 접속 상자(1)는 수지 성형 제품인 상자체(10)를 포함하고, 상자체(10)로부터 돌출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제 1, 제 2, 제 3 고정부(2,3,4)를 포함한다.
상자체(10)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11), 하부 케이스(11)와 결합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미도시) 및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1)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포함된 전기 기능부(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로기판, 전자 부품등을 포함하는 컴포지트)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박스 본체(10)는 종래의 박스 본체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며,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제 1 내지 제 3 고정부(2,3,4)들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하부 케이스(1)의 외측 에지의 기설정된 위치에 제공된다. 제 1 내지 제 3 고정부들(2,3,4)은 각각 차체 패널과 같이 조립되는 대상의 고정면에 대응하는 각자의 면들을 구비하고, 삽입 구멍(21,31,41)으로 삽입되는 조임 볼트(미도시)에 의해 전기 접속 상자(1)를 차체 패널에 고정시키도록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2)는 도시되지 않은 너트용 착좌부가 제공되는 평평한 벽부(26), 벽부(26)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 구멍(21), 금속으로 형성되고 삽입 구멍을 규정하는 환형 리브(27)의 내면상에 배치되는 통형 본체인 둥근형상 칼라(23), 환형 리브(27)의 외측 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 리브(28) 및 방사 리브(28)의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에지 리브(29)를 구비한다.
제 1 고정부(2)에 형성된 삽입 구멍(21)은 상자 본체(10)가 차체 패널에 장착될 때 위치 설정을 위한 둥근 형상의 위치 설정 구멍이다. 삽입 구멍(21)은 도시되지 않은 조임 볼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실질적으로, 둥근 형상 칼라(23)의 내경)을 구비하면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부(3)는 도시되지 않은 너트용 착좌부가 제공되는 평평한 벽부(36), 벽부(36)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 구멍(31), 금속으로 형성된 통형 본체이고 삽입구멍(31)을 규정하는 환형 리브(37)의 내면에 베치되는 둥근형상 칼라(33), 환형 리브(37)의 외측면으로부터 방사상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 리브(38) 및 방사 리브(38)의 외측에 위치 설정된 외측 에지 리브(39)를 구비한다.
제 2 고정부(3)에 형성된 삽입 구멍(31)은, 상자체(10)가 차체 패널에 장착될 때 위치설정을 위한 둥근 형상의 위치설정 구멍이다. 삽입 구멍(31)은 도시 되지 않은 조임 볼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실질적으로, 둥근 형상 칼라(33)의 내경)을 구비하여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 제 3 고정부(4)는 제 1 및 제 2 고정부(2,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그러나, 제 3 고정부에 형성된 삽입 구멍(41)은 상자체(10)와 차체 패널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한 장방형의 유격 흡수 구멍이고, 금속으로 형성된 장방형의 통형 본체인 장방형 칼라(43)는 삽입 구멍(41)의 내면에 배치된다. 더 짧은 측에서 장방형 칼라(43)의 개구 폭은 도시되지 않은 조임 볼트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복수의 개구(25,35)는 각각 삽입 구멍 (21,31) 주위의 제 1 및 제 2 고정부(2,3)의 환형 리브(27,37)에서, 삽입 구멍(21,3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개구(25,35)들은 본 실시예에서 성형 금형(51)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상자체(10)에 남아 있는 오삽입 방지부의 흔적들이며, 이하 기술될 것이다.. 개구(25,35)들은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관통홀들이다. 개구(25,35)로서 관통홀들은 제 3 고정부(4)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실시예의 상자체(1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금형(51)과 성형 방법이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성형 금형(51)은 하부 주형(52)과 상부 주형(53)이 제공되는사출 성형 금형이다. 도시되지 않은 게이트로부터, 폐쇄된 상부 주형(53) 및 하부 주형(52)의 캐비티(54,55)사이의 상대 면에 형성된 캐비티 공간으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둥근 형상 칼라(23,33)와 장방형 칼라(43)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된, 합성 수지로 형성된 상자체(1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형상 칼라(33)가 장착된 통형 보스부(61)가 제공되는 하부 주형(52)의 캐비티에서, 통형 보스부(61) 주위에서 서로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오삽입 방지부가 제공된다.
상기 돌기(63)들은, 통형 보스부(61)의 외주면(61a)에 대해 둥근 형상 칼라(33)의 벽두께보다 큰 기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면서 통형 보스부(61)의 외주면(61a)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된 돌기의 열을 형성한다. 각 돌기(63)들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통형 보스부(61)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한다.
돌기들(63)은 실질적으로 통형 보스부(61)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므로, 상자체(10)의 제 2 고정부(3)에 형성된 개구(35)들은 관통홀로 형성된다. 그러나, 돌기(63)의 높이를 통형 보스부(61)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바닥이 있는 구멍처럼 개구(3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복수의 돌기(63)들은 반드시 환형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고, 다만, 통형 보스부(61)의 외주면(61a)을 따라 환상으로 돌출된 돌기로 열 지어 있다면, 길게 연장된 환형으로 또는 다각형의 환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의 개방 상태에서, 둥근 형상 칼라(33)는 제 2 고정부(3)에서 둥근 형상 삽입 구멍(31)을 성형하는 하부 주형(52)의 통형 보스부(61)에 피팅된다. 통형 보스부(61)는 둥근 형상 칼라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구비하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둥근 형상 칼라(33)가 통형 보스부(61) 위로 삽입되면, 복수의 돌기(63)가 오삽입 방지부로서, 둥근 형상 칼라(33)와 간섭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둥근 형상 칼라(33)를 통형 보스부(61)에 피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의 개방 상태에서, 실수로 장방형 칼라(63)가 하부 주형(52)의 통형 보스부(61) 위로 삽입되면, 하부 주형(52)의 캐비티(54)에 형성된 오삽입 방지부의 돌기(63)들의 첨단부가 장방형 칼라(43)의 하단과 접촉하게 되고, 장방형 칼라(43)가 통형 보스부(61)위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벽 두께, 외측 형상 및 장방형 칼라(43)의 개구 형상에 따라 외경과 돌기(63)들의 수 및 돌기간 간격을 적절히 설정하여, 돌기(63)들은 삽입 방향에 관계없이 장방형 칼라(43)와 간섭하고, 장방형 칼라(43)가 통형 보스부(61)위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통형 보스부(61) 주위에서 서로 평행하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63)를 포함하는 오삽입 방지부는, 제 1 고정부(2)에서 둥근 형상 삽입 구멍(21)을 성형하기 위해 하부 주형(52)의 캐비티에서 형성되어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구비한다. 그 결과, 장방형 칼라(43)의 잘못된 배치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금형(51) 및 성형 금형(51)을 이용하는 성형 방법을 따르면, 둥근 형상 칼라(33) 및 장방형 칼라(43)를 제 1, 제 2 , 제 3 고정부(2,3,4)에 각각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제 2, 제 3 고정부(2,3,4)에 둥근 형상 칼라(33) 및 장방형 칼라(43)가 각각 제공되는 바람직한 상자체(1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성형 금형(51)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상자체(10)의 제 1 및 제 2 고정부(2,3)에, 상기 돌기(63)의 흔적인 개구들(25,35)이 남아 있다. 그러나, 개구들(25,35)이 관통홀보다 직경이 더 작고 눈에 띄지 않으므로 삽입 구멍(21,31)의 근방에서 상자체(10)의 기계적 강도와 외관은 현저히 열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성형 제품을 위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에 따르는 고정부, 삽입 구멍, 통형 본체, 장방형의 통형 본체, 캐비티, 통형 보스부 및 오삽입 방지부등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은 언급할 필요도 없으며,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요지에 근거하여 시행될 수 있다.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위로 삽입될 때, 오삽입 방지부가 장방형 통형 본체와 간섭하는 경우, 도 8(a), 8(b), 8(c)에 도시된 바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오삽입 방지부가 채택될 수 있고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잘못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삽입 방지부는 통형 보스부(61)에 동심으로 제공되는 환형 돌기(71)를 포함하고 통형 보스부(61)보다 낮은 높이를 구비한다. 상기 환형 돌기(71)에 따르면, 캐비티(54)로 돌출된 오삽입 방지부의 기계적 강도는 손쉽게 확보될 수 있고, 캐비티(54)의 주형은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오삽입 방지부는 통형 보스부(61) 주위에서 서로 평행하게 제공되는 원주 형상의 4 개의 돌기(7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63)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는 원주 형상의 돌기(72)를 형성하여, 제공되는 돌기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기계적 강도는 손쉽게 확보되고, 캐비티(54)에 대한 주형은 쉽게 형성된다. 돌기(72)의 단면 형상은 둥근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돌기(73)들이 채택될 수 있다. 게다가, 장방형,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단면 형상이 채택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삽입 방지부는 통형 보스부(61)의 외주면(61a)을 따라 제공되는 원호 형상의 두 개의 돌출벽(74)을 포함한다. 돌출 벽(74)을 채택함으로써, 돌기수를 더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기계적 강도는 손쉽게 확보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년 4월 1일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2011-082099에 기초하였으며, 그 내용은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으로 형성된 통형 본체 또는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복수의 고정부에 정확하게 배치되는, 수지 성형 제품을 위한 바람직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 : 전기 접속 상자
2 : 제 1 고정부(고정부)
3 : 제 2 고정부(고정부)
4 : 제 3 고정부(고정부)
10 : 상자체(수지 성형용 제품)
21,31,41 : 삽입 구멍
23 : 둥근 형상 칼라(통형 본체)
25,35 : 개구
33 : 둥근 형상 칼라(통형 본체)
43 : 장방형 칼라(장방형의 통형 본체)
51 : 성형 금형
52 : 하부 주형
53 : 상부 주형
54,55 : 캐비티
61 : 통형 보스부
63 : 돌기(오삽입 방지부)

Claims (4)

  1. 각각 삽입 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으로서, 성형 금형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금속으로 형성된 통형 본체 또는 장방형의 통형 본체를 삽입 구멍의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캐비티가 제공되고,
    통형 본체가 장착되는 통형 보스부가 제공되는 캐비티 각각에,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삽입될 때 간섭하지 않고,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삽입되면 간섭하여, 장방형의 통형 본체가 통형 보스부 위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삽입 방지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통형 보스부 주위에서 서로 평행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부는, 상기 통형 보스부에 동심으로 제공되는 환형 돌기를 포함하고, 통형 보스부보다 낮은 높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
  4. 수지 성형 제품이 성형되는 수지 성형 제품의 성형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성형 제품용 성형 금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제품의 성형 방법.
KR1020137026004A 2011-04-01 2012-03-30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KR20130135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2099A JP5679568B2 (ja) 2011-04-01 2011-04-01 樹脂成形品の成形金型及び成形方法
JPJP-P-2011-082099 2011-04-01
PCT/JP2012/059434 WO2012133950A1 (en) 2011-04-01 2012-03-30 Molding Die and Molding Method for Resin Molded Produc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677A Division KR20150061017A (ko) 2011-04-01 2012-03-30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330A true KR20130135330A (ko) 2013-12-10

Family

ID=460462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677A KR20150061017A (ko) 2011-04-01 2012-03-30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KR1020137026004A KR20130135330A (ko) 2011-04-01 2012-03-30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677A KR20150061017A (ko) 2011-04-01 2012-03-30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84510A1 (ko)
JP (1) JP5679568B2 (ko)
KR (2) KR20150061017A (ko)
CN (1) CN103459118B (ko)
DE (1) DE112012001539B4 (ko)
WO (1) WO20121339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796A (ko) 2016-09-23 2018-04-02 동국실업 주식회사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KR101973630B1 (ko) 2017-10-23 2019-09-02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5835A (ja) * 2014-03-26 2015-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R3023795B1 (fr) * 2014-07-15 2017-12-22 Valeo Systemes Dessuyage Platine d'essuie-glac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CN105058687A (zh) * 2015-07-29 2015-11-18 健大电业制品(昆山)有限公司 一种插针五金埋入成型机构
CN110325339B (zh) * 2017-01-04 2022-02-25 莱尔德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螺旋天线的模制设计
JP7229741B2 (ja) * 2018-12-06 2023-02-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複合材構造体の製造装置並びに複合材構造体の製造方法
CN111421763A (zh) * 2020-03-27 2020-07-17 芜湖恒信汽车内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注塑模具的防错结构
CN111825148B (zh) * 2020-08-12 2024-05-03 福州水研环境科技有限公司 黑臭水体的治理装置和治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621B2 (ja) * 1992-11-24 1998-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ねじ締め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046502B2 (ja) * 1994-08-19 2000-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ねじ締め式コネクタ
JP2001079880A (ja) * 1999-09-16 2001-03-27 Tokai Kogyo Co Ltd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される金型
JP2006272622A (ja) * 2005-03-28 2006-10-12 Tdk Corp 樹脂成形品及び成形方法、成形装置
JP4735442B2 (ja) * 2006-06-29 2011-07-27 住友電装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JP5128892B2 (ja) * 2007-10-05 2013-01-23 株式会社山城精機製作所 インサートコアの位置決め機構
JP5422240B2 (ja) * 2009-03-27 2014-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11082099A (ja) 2009-10-09 2011-04-21 Toshiba Corp 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796A (ko) 2016-09-23 2018-04-02 동국실업 주식회사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KR101973630B1 (ko) 2017-10-23 2019-09-02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수지역류 가스 인젝션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1539B4 (de) 2015-12-03
JP5679568B2 (ja) 2015-03-04
CN103459118A (zh) 2013-12-18
CN103459118B (zh) 2017-02-22
DE112012001539T5 (de) 2014-01-02
US20140084510A1 (en) 2014-03-27
WO2012133950A1 (en) 2012-10-04
KR20150061017A (ko) 2015-06-03
JP2012213992A (ja)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330A (ko) 수지 성형 제품에 대한 성형 금형 및 성형 방법
US8333540B2 (en) Clip
US7815443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130025930A1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220032512A1 (en) Vehicle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component of this kind
JP4720648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502361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CN102598451A (zh) 连接器和电接线箱
US20160336819A1 (en) Stator
JP5697908B2 (ja) 燃料噴射弁の燃料供給口用フィルタ
JP2008006722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US20160159539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binding band
JP2014108539A (ja) インサート成形品、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インサート成形装置
JP2013007433A (ja) 締め付け座面ピッチ吸収ブラケット及び補強部材
JP6037789B2 (ja) 電子ユニット取付構造
US11171471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130342088A1 (en) Positioning Element
JP2006352944A (ja) ケーブル支持構造及びケーブル支持方法
JP7476701B2 (ja) 樹脂成形品およ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5767176B2 (ja) 車両用部材の締結構造
JP2013217422A (ja) 樹脂成型品の取付構造
JP4385932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1242406B1 (ko) 인히비터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542B1 (ko)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3516A (ko) 하이브리드 모듈 브라켓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