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616B1 - 선박용 핸드카 - Google Patents

선박용 핸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616B1
KR101348616B1 KR1020110139913A KR20110139913A KR101348616B1 KR 101348616 B1 KR101348616 B1 KR 101348616B1 KR 1020110139913 A KR1020110139913 A KR 1020110139913A KR 20110139913 A KR20110139913 A KR 20110139913A KR 101348616 B1 KR101348616 B1 KR 10134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vertical frame
ship
hand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476A (ko
Inventor
배희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2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1/26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plates, doors, pan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선박용 핸드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는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선박 내에서 선체 바닥 또는 핸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하이동수단 및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 크기를 가지는 화물을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핸드카{Hand Car for Ship}
본 출원은 선박용 핸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선박 등 해상구조물 내에 협소한 구역에서 이동성과 편의성을 갖춘 반자동으로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선박용 핸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 해상구조물 내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장치 또는 계기장치 등을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전기장치 등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100Kg 이상의 무게를 가지는 패널(Panel)을 설치장소까지 운반시켜야 한다.
이러한 패널을 운반하는 방법은 운반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자동식 운반장치는 이동 및 리프팅 기능을 갖추기 위해서 선박 내에 이동통로를 이동하기 곤란할 정도로 크기를 가졌다.
선박 내부의 이동통로는 자동식 운반장치가 이동하기에 협소하므로, 작업자들이 상기 패널을 직접 들고 운반하였다.
한편, 선박 내부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상기 패널을 들고 계단을 통하여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들이 직접 운반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 패널을 벽면에 볼트 작업을 통하여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들이 직접 들고 있거나 상기 패널을 소정높이까지 들어올리며 지지할 수 있는 체인블록을 별도로 운반하여 볼트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작업자가 직접 선박 내에서 상기 패널을 운반해야 하므로, 작업자들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카는 몸체(10), 받침대(20), 바퀴(30), 짐받이(40) 및 레치기어로 이루어진 윈치(50)를 포함하여 상기 짐받이(40)에 안착된 화물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카는 선박 내부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계단을 이용할 경우 상기 바퀴(30) 부분으로 이동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안착된 화물이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패널일 경우 벽면에 볼트 작업을 하기 위하여 위치조정을 위해 안착된 화물을 소정 간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안착된 화물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상기 짐받이(40) 부분에 안착된 화물을 전, 후, 좌, 우로 이동되도록 작업자의 인력으로 안착된 화물을 이동시키거나, 핸드카 자체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171714 호 한국등록특허 제 10-0352178 호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등 해상구조물 내에 협소한 구역에서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계단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며, 전기장치 또는 계기장치 등의 패널을 벽면에 설치하기 편리한 선박용 핸드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선박 내에서 선체 바닥 또는 핸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하이동수단 및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 크기를 가지는 화물을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핸드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이동지지부,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지지부,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바퀴 및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롤러회전축, 상기 롤러회전축의 외측에 연결되는 핸드레일 롤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2 이동지지부 사이의 상기 롤러회전축을 감싸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이 이격된 간격만큼 폭을 가지는 상하이동프레임,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하이동회전축 및 상기 상하이동회전축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상하이동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이 대향하는 측에 상기 상하이동바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하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제 3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는 양단에 걸쳐 스틱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스틱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치는 기어 형태를 갖고, 상기 기어에 대응되어 회전력을 상기 윈치에 전달하는 회전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전달부는 전동공구 또는 에어공구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체 바닥 또는 핸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포함함으로써, 협소한 선박 내에서 작업자 1인이 패널 등을 설치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안착될 수 있는 화물이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함으로써, 핸드카 자체를 움직일 필요 없이 전기장치 또는 계기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을 벽면에 설치 작업 중에 패널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는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선박의 계단에 설치되며 다양한 폭을 가지는 핸드레일에 핸드레일 롤러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하이동수단의 바퀴는 한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접촉하여 움직이게 됨으로써, 상하이동수단과 결합된 지지부에 안착될 수 있는 화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윈치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동공구와 결합되는 회전전달부를 포함함으로써, 핸드카 자체에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용 전동공구 또는 에어공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의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의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부에 안착된 화물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지지부에 안착된 화물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의 상하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에 전동공구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핸드카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의 후면이 보이도록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의 전면이 보이도록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는 수직프레임(100), 수평프레임(200), 이동수단(300), 윈치(400), 와이어(410), 상하이동수단(500), 지지부(600) 및 회전전달부(700)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100)은 한 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부에 손잡이(120)를 가질 수 있다.
수평프레임(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일측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수평프레임(200)이 용접 또는 볼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핸드카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길이는 후술할 선박 내의 계단에 설치된 핸드레일 사이의 이격된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동수단(300)은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일측에 장착되며, 선박 내에서 선체 바닥 또는 핸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300)은 제 1 이동지지부(310), 제 2 이동지지부(320), 바퀴(330) 및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일단에 용접 또는 볼트 방식으로 결합되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는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 사이에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330)는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핸드카를 선체 바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340)는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30)의 타측에 연결되며, 롤러회전축(342), 핸드레일 롤러(344) 및 스프링(346)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회전축(342)은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 롤러(344)는 상기 롤러회전축(342)의 외측에 연결되며, 일반적인 핸드레일에 대응되도록 곡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 롤러(344)의 재질은 고무 등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346)은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롤러회전축(342)를 감싼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는 선체 바닥뿐만 아니라 계단에 설치된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윈치(4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윈치(400)는 기어 형태를 가진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상기 윈치(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윈치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와이어(410)는 상기 윈치(400)에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상기 와이어(410)의 이동방향을 바꿀 수 있는 도르래(420)가 설치된다.
상하이동수단(500)은 상기 와이어(410)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00) 사이에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수단(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600)는 상기 상하이동수단(500)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 크기를 가지는 화물이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될 수 있는 화물이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600)는 제 1 지지부(610), 제 2 지지부(620) 및 제 3 지지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610)는 상기 상하이동수단(500)과 용접 또는 볼트 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600)는 상기 상하이동수단(5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면접촉을 하면서 상, 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620)는 상기 제 1 지지부(610)에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지지부(62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620)의 상단에는 전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는 베어링(6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600)에 패널 등 화물이 안착되는 경우 안착된 화물이 상기 베어링(640)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부(630)는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6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지지부(630) 상단에는 베어링(65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지지부(630)는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620) 사이를 연결하게 되어 상기 2 지지부(620)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650)는 상기 제 3 지지부(630)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술한 베어링(640)과 유사하며, 다만, 상기 베어링(650)는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600)에 패널 등 화물이 안착되는 경우 안착된 화물이 상기 베어링(640)에 의해 전, 후 방향뿐만 아니라 좌, 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회전전달부(700)는 상기 윈치(400)의 기어에 대응되는 기어 형태를 가지고, 후술할 전동공구 등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전달부(7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에 적용되는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340)는 롤러회전축(342),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핸드레일 롤러(344) 및 스프링(34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선박 내 계단에서는 핸드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드레일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핸드레일 롤러(344) 각각은 상기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카는 또 다른 이동수단인 바퀴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에 설치된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계단을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300)는 롤러회전축(342)이 상기 제 1 이동지지부(310)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 사이의 상기 롤러회전축(342)을 감싸는 스프링(344)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레일이 일반적인 핸드레일의 이격된 간격보다 더 큰 경우에도 상기 핸드레일 롤러(344)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상기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346)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346)은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인접할 수 있는 롤러회전축(342)의 끝단과 결합된다.
상기 핸드레일 롤러(344)가 상기 핸드레일에 안착된 경우 상기 스프링(346)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지지부(320)와 상기 롤러회전축(344)의 끝단에 탄성력이 부여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핸드카가 핸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340)는 다양한 폭을 가지는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어 핸드카를 작업자 직접 들어올리거나 다른 이동수단인 바퀴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340)는 롤러회전축(342), 핸드레일 롤러(344) 및 스프링(346)을 포함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핸드레일 롤러(344)가 다양한 폭을 가지는 핸드레일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는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지지부에 안착된 화물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기장치 또는 계기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볼트 결합을 통하여 패널을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부(600)에 안착된 패널의 위치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위치 조정을 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핸드카 자체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에 적용되는 지지부(600)는 제 1 지지부(610), 제 2 지지부(620) 및 제 3 지지부(630)를 포함하며, 수직프레임(200)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620)의 상단에 베어링(640)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600)에 안착될 수 있는 패널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손쉽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600)의 베어링(640)을 통하여 패널의 위치 조정이 손쉽게 할 수 있고, 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도 6는 지지부에 안착된 화물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에 적용되는 지지부(600)는 제 1 지지부(610), 제 2 지지부(620) 및 제 3 지지부(630)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620) 사이에 연결되며 동시에 상기 제 1 지지부(61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3 지지부(630) 상단에 베어링(650)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650)은 상기 베어링(640)과 유사하나, 다만, 상기 베어링(650)이 회전하는 방향은 좌, 우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00)에 안착될 수 있는 패널이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손쉽게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600)의 베어링(650)을 통하여 패널의 위치 조정이 손쉽게 할 수 있고, 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600)에 안착될 수 있는 화물을 소정 간격으로 전, 후,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면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상하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하이동수단(500)은 상하이동프레임(510), 상하이동회전축(520), 상하이동바퀴(530) 및 와이어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상하이동프레임(510)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00)이 이격된 간격만큼 폭을 가지며, 상기 한쌍의 수직 프레임(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하이동회전축(520)은 상기 상하이동프레임(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하이동바퀴(530)는 상기 상하이동회전축(520)의 양 끝단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00)이 대향하는 측에 상기 상하이동바퀴(5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5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50)은 상기 상하이동바퀴(530)가 상기 수직프레임(100)에서 이탈되지 않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하이동바퀴(530)가 상, 하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에 전동공구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패널 등 화물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부가 상, 하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후방에는 상기 윈치(400)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400)의 기어 형태에 대응되는 기어 형태를 가지는 회전전달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전달부(700)는 전동공구(P) 또는 에어공구 등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공구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공구(P)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면, 상기 전동공구(P)에 결합된 회전전달부(700)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전달부(700)와 기어 형태로 맞물린 상기 윈치(400)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윈치(4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윈치(400)에 권취된 와이어(410)가 풀리게 되며, 상기 도르래(420)에 의해 상기 와이어(410)의 이동방향이 바뀌게 되어 상기 와이어(410)에 연결된 상하이동수단(500)이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수단(500)에 결합된 지지부(600)가 하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윈치(4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술한 과정의 반대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지지부(600)가 승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는 이미 설명한 도 2의 선박용 핸드카와 유사하므로, 이에 따른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선박용 핸드카에 적용되는 지지부(560)는 제 1 지지부(561), 제 2 지지부(562) 및 제 3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561)의 양단에 걸쳐 스틱(56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562)는 상기 스틱(56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제 2 지지부(562)의 상단에 베어링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안착될 수 있는 패널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핸드카는 상기 스틱(565)을 통하여 패널의 위치 조정이 손쉽게 할 수 있고, 패널을 벽면에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수직프레임
200: 수평프레임
300: 이동수단
400: 윈치
500: 상하이동수단
600: 지지부
700: 회전전달부

Claims (9)

  1. 한쌍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부에 손잡이를 갖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선박 내에서 선체 바닥 또는 핸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
    상기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윈치와 상기 윈치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서 상, 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하이동수단; 및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 크기를 가지는 화물을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이동지지부;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 2 이동지지부;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바퀴; 및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선박용 핸드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이동지지부와 상기 제 2 이동지지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롤러회전축;
    상기 롤러회전축의 외측에 연결되는 핸드레일 롤러;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2 이동지지부 사이의 상기 롤러회전축을 감싸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선박용 핸드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이 이격된 간격만큼 폭을 가지는 상하이동프레임;
    상기 상하이동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하이동회전축; 및
    상기 상하이동회전축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상하이동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이 대향하는 측에 상기 상하이동바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핸드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하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제 2 지지부
    를 포함하는 선박용 핸드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단에 베어링이 설치되는 제 3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핸드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양단에 걸쳐 스틱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스틱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핸드카.
  8.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기어 형태를 갖고,
    상기 기어에 대응되어 회전력을 상기 윈치에 전달하는 회전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핸드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는 전동공구 또는 에어공구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핸드카.
KR1020110139913A 2011-12-22 2011-12-22 선박용 핸드카 KR10134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13A KR101348616B1 (ko) 2011-12-22 2011-12-22 선박용 핸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913A KR101348616B1 (ko) 2011-12-22 2011-12-22 선박용 핸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476A KR20130072476A (ko) 2013-07-02
KR101348616B1 true KR101348616B1 (ko) 2014-01-09

Family

ID=4898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913A KR101348616B1 (ko) 2011-12-22 2011-12-22 선박용 핸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8115B1 (en) * 2014-03-27 2015-06-01 Ravendo As Sack Truck
CN113479243B (zh) * 2021-08-06 2022-05-31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板材调运装置及其调运方法
CN113895842B (zh) * 2021-10-25 2023-11-0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搬运装置
KR102662118B1 (ko) * 2021-12-29 2024-04-29 윤여종 운반 대차 및 이를 이용한 운반시스템
WO2023133307A1 (en) * 2022-01-10 2023-07-13 Zodiac Pool Systems Llc Lift and extraction systems for automatic swimming pool clean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7984A1 (de) * 2008-03-27 2009-10-01 Karl-Rainer Koch He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bienenzargen in der imkereitechnik
JP4388775B2 (ja) * 2003-09-02 2009-12-24 株式会社五十鈴製作所 手押し台車
KR20100095966A (ko) * 2009-02-23 2010-09-0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775B2 (ja) * 2003-09-02 2009-12-24 株式会社五十鈴製作所 手押し台車
WO2009117984A1 (de) * 2008-03-27 2009-10-01 Karl-Rainer Koch He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bienenzargen in der imkereitechnik
KR20100095966A (ko) * 2009-02-23 2010-09-0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476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616B1 (ko) 선박용 핸드카
KR101176491B1 (ko) 모노레일 궤도용 선로 작업차
JP2010163795A (ja) 後方台車、後方台車の移動方法及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構築されたトンネル
CN202080836U (zh) 一种高空作业物料提升设备
KR100810878B1 (ko) 용접비드의 슬래그 제거장치
JP2011246894A (ja) 作業用足場装置
JP6113051B2 (ja) パネル施工装置
CN112937417B (zh) 管道卸运装置、系统及方法
CN103787203A (zh) 用于安装预制梁千斤顶的支撑架
JP5799162B2 (ja) 風力発電装置用のトラックシステム
KR100909879B1 (ko) 높낮이 조절용 안전곤도라
CN21610960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可提升支架
JP2010007228A (ja) 荷吊り装置
CN210317130U (zh) 一种移动式伸缩梯子
KR100912499B1 (ko) 롤 쵸크 선회장치
CN112238886A (zh) 建筑施工用多功能电气设备转运车
JP4971896B2 (ja) トラバーサ装置
CN210915111U (zh) 一种铁路轨道板的吊装工具
CN210557782U (zh) 上料移动装置
CN210341633U (zh) 一种用于桥梁检查车的可伸缩式桁架
JP2007169054A (ja) 昇降装置
CN213569303U (zh) 一种螺杆式压缩机用电机与螺杆主机拆装工具结构
KR101416543B1 (ko) 접이식 대차형 인양장치
CN218365467U (zh) 一种具备多方向调整的用于预制构件的凿毛设备
JP6180248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