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20B1 -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 Google Patents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20B1
KR101347020B1 KR1020087022012A KR20087022012A KR101347020B1 KR 101347020 B1 KR101347020 B1 KR 101347020B1 KR 1020087022012 A KR1020087022012 A KR 1020087022012A KR 20087022012 A KR20087022012 A KR 20087022012A KR 101347020 B1 KR101347020 B1 KR 10134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control circuit
heat generating
sens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450A (ko
Inventor
다다히코 오하시
야스히로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60N2/5685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Abstract

기동시에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그 후에는 온도의 안정성을 충족시켜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발열기구와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하여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발열물과,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발열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소자와, 상기 온도감지 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발열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온도 제어회로가 병렬로 접속된다.

Description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WARMER EQUIPMENT, AND WARMER DEVICE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난방을 하기 위한 발열기구와, 이 발열기구가 적용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동시(起動時)에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그 후에는 온도의 안정성을 충족시켜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발열기구와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로서는, 코드 모양 히터 등으로 구성된 발열물을 써모스탯(thermostat)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의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써모스탯에 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하고 있는 써모스탯의 동작 온도에 의하여 발열물의 온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자유롭게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온도를 설정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키려는 요구에 대해서는, 동작 온도가 다른 복수의 써모스탯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써모스탯을 동작시키는 보조 히터의 발열량 을 변경하는 방법을 취하는 등 부품수의 증가나 복잡한 회로구성이 필요하여, 현실적으로는 실현이 곤란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것 같은 차량좌석용 발열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7 및 도8에 있어서, 코드 모양 히터(103)가 기재(基材)(102)에 구불구불하게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발열물(104)에, 온도 제어회로(101)가 기재(102)의 외부에서 직렬로 접속되고, 코드 모양 히터(103)의 근방에는 써미스터 등의 온도감지 소자(10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감지 소자(105)로부터의 온도신호에 의하여 온도 제어회로(101)에 내장된 파워 MOSFET 등의 전류제어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발열물(104)의 온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종래의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또, 써미스터(thermistor) 등에 의한 온도감지 소자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기술을 개시한 문헌으로서, 상기 특허문헌1 이외에 다수의 문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2 등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96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특표2004-504082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써미스터 등에 의한 온도감지 소자(105)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온도 제어회로(101)의 경우,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온도감지 소자(105)가 설치된 발열물(104)이 차량용 좌석의 표피의 내측에 조립되어 온도가 낮은 상태로부터 통전을 시작하면, 코드 모양 히터(103)의 온도와 온도감지 소자(105)의 온도신호는 대략 같은 속도로 상승하고, 그 후에 온도감지 소자(105)의 온도신호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코드 모양 히터(103)의 통전이 정지되게 된다. 그러나 코드 모양 히터(l03)의 온도가 표피 표면에 열전도 되기 위해서는 상당히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103)의 통전이 정지된 시점에서는, 아직 표피 표면의 온도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여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코드 모양 히터(103)의 통전이 정지되어 코드 모양 히터(103)의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표피 표면의 온도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코드 모양 히터(103)에 통전될 때까지 저하되게 된다. 여기에서 차량용 좌석 자체의 열용량은 크기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103)의 온도의 저하에 비해서 표피 표면의 온도의 저하는 느리다. 그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103)에 대한 통전과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표피 표면의 온도는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 동작에 의하여 결과적으로는 코드 모양 히터(103)의 설정 온도에 가까운 온도에 도달하여 안정하게 되지만, 그때까지 코드 모양 히터(103)의 통전과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무용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차량 좌석 등의 발열의 경우에는, 표피표면의 온도가 단시간 내에 설정 온도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쾌적성을 크게 손상시키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무용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은, 써미스터 등에 의한 온도감지 소자(105)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온도 제어회로(101)를 사용하는 경우에 큰 문제가 되어 있었다.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온도 제어회로(101)에 타이머를 내장시켜, 전원을 투입한 후에 일정시간 강제적으로 코드 모양 히터(103)에 통전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타이머의 ON-OFF를 반복하면 연속하여 통전이 됨으로써 이상온도(異常溫度)가 되어버리고, 또한 이 현상을 억제하려고 하면 회로가 복잡하게 되어버리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동시에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그 후에는 온도의 안정성을 충족시켜 쾌적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해결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의한 발열기구는,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발열물과,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발열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소자와, 상기 온도감지 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발열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온도 제어회로가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2에 의한 발열기구는, 청구항1에 기재된 발열기구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소자의 온/오프 동작영역은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의 온/오프 동작영역의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3에 의한 발열기구는, 청구항1에 기재된 발열기구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은, 기재와, 상기 기재에 배치된 코드 모양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온도감지 소자와 상기 온도 제어회로는 함께 상기 기재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4에 의한 발열기구는, 청구항3에 기재된 발열기구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회로는 상기 온도 제어회로에 접속된 리드선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5에 의한 발열기구는, 청구항3에 기재된 발열기구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소자의 리드선은 상기 기재 상에서 상기 온도 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6에 의한 발열기구는,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기재된 발열기구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회로는 두께가 9mm이하가 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7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열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동시에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그 후에는 온도의 안정성을 충족시켜 쾌적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3은,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설치에 있어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일부인 열수축 튜브 등으로 절연피복 된 온도 제어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실시예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동작 및 비교예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온도 제어회로
2 기재
3 코드 모양 히터
4 발열물
5 온도감지 소자
7 절연 피복
8 리드선
9 회로기판
10 보강판
11 써모스탯
12 파워 MOSFET
20 발열기구
E 전원
SW 스위치
VR 온도설정 볼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열기구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발열기구를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에 적용한 예이다.
도1∼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열물(4)로서, 기재(基材)(2) 상에 히터 소자로서의 코드 모양 히터(3)가 고정된 것을 사용한다. 이 발열물(4)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3 등을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74952호 공보
기재(2) 상에는, 온도 제어회로(1)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온도 제어회로(1)에는, 리드선(8)이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선(8)의 타방은, 전원(E), 온도설정 볼륨(VR), 스위치(SW), 온도감지 소자(5)및 코드 모양 히터(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온도감지 소자(5)는, 발열물(4)의 온도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기재(2)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온도감지 소자(5)의 리드선(8)은 기재(2) 상에서 온도 제어회로(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기재(2)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써모스탯(11)은, 온도 제어회로(1)와 코드 모양 히터(3)가 접속하는 배선과 전원의 마이너스 선의 배선 사이에 접속함으로써 온도 제어회로(1)와 병렬로 접속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기재(2) 밖으로 나오는 리드선(8)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 써모스탯(11)과 온도 제어회로(1)에 내장된 파워 MOSFET(12)을 병렬로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발열기구(20)를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로서 좌석(30)에 조립한다. 차량좌석용 발열장치로서 실제로 사용했을 때의 동작기구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다. 좌석(30)의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전원이 들어 가면, 써모스탯(11)의 접점은 닫혀 있고 또한 온도 제어회로(1)는 ON상태이기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3)에 통전되어 코드 모양 히터(3)의 온도가 상승한다. 시간에 따라 코드 모양 히터(3)의 근방에 배치한 온도감지 소자(5)의 온도신호의 전압이 상승하고, 기준전압을 넘으면 온도 제어회로(1)는 OFF된다. 그러나 써모스탯(11)은 열용량이 커서 온도감지 소자(5)보다 온도의 상승이 느리기 때문에, 써모스탯(11)의 접점은 닫혀 있다. 이 때, 써모스탯(11)과 온도 제어회로(1)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3)에는 계속해서 전류가 통하여, 코드 모양 히터(3)의 온도가 더 상승한다. 써모스탯(11)의 온도가 OFF온도까지 상승하면, 써모스탯(11)의 접점은 열리고, 이미 온도 제어회로(1)는 OFF이기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3)의 통전이 정지된다.
온도 제어회로(1)의 ON온도와 OFF온도의 차이는 써모스탯(11)에 비하여 좁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 모양 히터(3)의 온도가 써모스탯의 ON온도까지 저하되기 전에 온도 제어회로(1)가 ON되도록 온도 제어회로(1)를 설정하여 두면, 써모스탯(11)의 접점이 OFF여도 코드 모양 히터(3)는 통전된 다. 또한 온도 제어회로(1)의 OFF온도를 써모스탯(11)의 OFF온도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동 이후의 평형시에 있어서의 코드 모양 히터(3)의 온도는, 온도 제어회로(1)가 지배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써모스탯(11)이 OFF될 때까지의 기간은, 온도 제어회로(1)에 의하여 코드 모양 히터(3)의 통전이 정지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발열물(4)의 온도의 상승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써모스탯(11)이 일단 OFF가 된 후의 평형시에는, ON온도와 OFF온도의 차이가 작은 온도 제어회로에 의하여 온도의 리플(ripple)이 적고 안정된 쾌적한 온도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6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발열기구에 있어서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비교예1로서 온도감지 소자만에 의한 온도제어의 예 및 비교예2로서 써모스탯만에 의한 온도제어의 예에 의한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비교예1에 비하여 기동시에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비교예2에 비하여 평형시에는 온도의 리플이 적고 안정한 온도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온도감지 소자(5) 및 온도 제어회로(1)가 모두 함께 기재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으면, 일괄하여 좌석에 부착할 수 있어, 좌석에 대한 부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코드 모양 히터(3)와 온도 제어회로(1)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8)의 개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 소자(5)와 온도 제어회로(1)의 접속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온도제어의 신뢰성이 우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온도 제어회로(1)에 대해서는, 온도 제어회로(1)에 접속된 리드선(8)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 되어 있다. 도면 중 절연피복부를 부호 7로 나타낸다. 절연피복의 방법으로서는, 절연피복부(7)로서 유기재료로 구성된 튜브를 사용하고, 이 튜브의 내부에 회로기판(9)을 배치한 후, 튜브의 한쪽 끝부분으로부터 열가소성 혹은 열경화성 유기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절연피복부(7)로서 내층에 열가소성 접착제가 구비된 열수축 튜브를 사용하고, 이 열수축 튜브의 내부에 회로기판(9)을 배치한 후, 가열에 의하여 열수축 튜브를 수축함으로써 회로기판(9)의 주위를 열가소성 접착제로 충전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리드선(8)이 절연피복 되는 길이는, 내습(耐濕)이 유지되고 또한 리드선(8)의 굴곡에 대하여 내구성(耐久性)이 향상되는 소정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도 제어회로(1)가 리드선(8)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 되어 있으면, 회로기판(9)의 결로(結露)에 의한 발화(發火)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연피복부(7)에 의하여 리드선(8)에 가해지는 굴곡하중(屈曲荷重)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선(8)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대형의 케이스체(case體)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온도 제어회로(1)의 사이즈나 두께를 대폭적으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석시의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고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회로(1)에 있어서의 절연피복부(7)의 피복후의 두께는, 위화감을 느끼지 못하는 두께인 9mm이하가 되어 있고 또한 착석했을 때에 위화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기재(2)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매우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제어회로(1)를 두께 9mm이하로 절연피복 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튜브나 열수축 튜브를 사용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지 몰드 공법(樹脂 mold 工法), 수지 포팅 공법(樹脂 potting 工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도1∼도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계속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이 각 구성부품이 리드선(8)에 의하여 접속된다. 전원(E)의 +측과 회로기판(9)이 스위치(SW)를 통하여 접속되고, 회로기판(9)과 코드 모양 히터(3)의 일단이 접속되고, 전원(E)의 +측과 코드 모양 히터(3)의 다른 일단이 접속되고, 온도감지 소자(5)의 리드선은, +측, -측 모두 회로기판(9)에 직접 접속되고, 회로기판(9)과 온도설정 볼륨(VR)이 접속되고, 또, 회로기판(9)이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또, 회로기판(9)과 코드 모양 히터(3)의 일단이 접속되는 리드선과, 회로기판(9)과 그 라운드를 접속하는 리드선 사이에 써모스탯(11)이 접속된다.
이 회로기판(9)은, 내층에 열용융성 접착제가 구비되고, 바깥층이 전자선 가교(電子線 架橋)의 올레핀 수지제(olefin 樹脂製) 열수축 튜브의 내부에 배치된 후, 가열함으로써 피복된다. 이 때, 온도 제어회로(1)의 두께가 9mm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리드선(8)의 일부는 회로기판(9)과 함께 절연피복 되지만, 리드선(8)이 피복되는 길이는, 절연이 유지되고 또한 굴곡에 대한 내구성도 가지기 위하여, 약 10mm가 적합하다.
온도감지 소자(5)는, 코드 모양 히터(3)의 배선 사이의 간격 중에 시트 히터의 온도를 정밀도 높게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절연피복된 회로기판(9)은, 사이즈가 소형(약 25mm x 40mm)이고 두께도 얇게(9mm이하) 마무리되어 있고, 또한 착석했을 때에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발열물(4)의 주변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써모스탯(11)의 예로서 OFF온도가 40도, ON온도가 30도인 사양의 것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온도나 사용 분위기 온도 등에 의하여 적당하게 설정하면 된다.
한편,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10)을 회로기판(9)에 포갠 상태로 절연피복을 실시함으로써, 착석시의 충격 및 하중에 의한 온도 제어회로(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10)을 사용하였을 경우, 보강판(10)이 위치하는 면이 좌면측(座面側)이 되도록 회로기판(9)을 배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회로기판(9)의 파 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제어회로(1)를 기재(2)에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도감지 소자(5)도 회로기판(9)과 일괄하여 절연피복부(7)의 내부에 내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의 온도 제어회로(1)는 코드 모양 히터(3)가 배치된 기재(2)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배치되지만, 신뢰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사이즈의 기재(4)와 같은 재질의 시트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한 것에 의하여 온도 제어회로(1)를 고정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온도감지 소자(5)로서는, 예를 들면 써미스터, 백금 저항 소자, 열전대(熱電對)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은 온도감지 정밀도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절연피복부(7)로서 사용된 열수축 튜브에 대해서, 도전성 부여재(導電性 附與材)가 첨가된 것을 사용하면, 차량내에 발생하는 노이즈로부터 회로기판(9)을 차폐(遮蔽)할 수 있어,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전성부여재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예를 들면 카본블랙 입자, 그래파이트 입자(graphite 粒子), 탄소섬유 분쇄물, 금속분말, 금속산화물분말, 도전성 폴리머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연피복부(7)로서 열수축 튜브를 사용하였지만, 다른 태양이나 방법에 의하여 절연피복부(7)를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소정의 케이스 내에 회로기판(9)을 배치한 후, 이 케이스에 포팅재(potting材)를 주입하는 방법, 핫 멜트재(hot melt材)로 회로기판(9)을 몰드(mold)하는 방법, 사출성형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9)의 주위에 수지성형을 하는 방법, 소정의 케이스 속에 방습처리를 한 회로기판(9)을 배치하는 방법, 용융수지 속에 회로기판(9)을 담가서 회로기판(9)에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 맞물리는 부분 등이 있는 한 쌍의 케이스 내에 회로기판(9)을 배치하고, 케이스 내를 접착충전재에 의하여 충전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열물로서 코드 모양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소자를 기재 상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기재를 사용하지 않는 발열기구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히터 소자를 코드 모양 히터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필름 히터, 유리관 히터, 세라믹 히터 등, 통전에 의하여 가열하는 것 같은 다른 구성의 히터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이면, 히터 소자를 복수 개 배치하더라도 상관없고, 써모스탯을 2개 이상 배치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온도과열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별도 써모스탯이나 PTC(정온도특성) 써미스터 소자를 배치하더라도 상관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동시에 즉시 따뜻해지는 특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그 후에는 온도의 안정성을 충족시켜 쾌적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발열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열기구는, 상기 실시예에 예시한 차량좌석용 발열장치의 이외에도,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나 철도차량 등의 차량좌석, 차일드 시트(child seat), 선박이나 항공기 등의 좌석, 유원지의 관람차의 좌석, 각종 경기장의 관람석, 극장이나 영화관 등의 감상용 좌석, 역이나 테마파크(theme park), 옥외공원 등에 설치된 벤치, 가정 내에서나 오피스에서 사용되는 소파나 의자, 이발소의 의자, 각종 의료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의 의자 등에 대한 적용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좌석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베드, 이부자리, 베개, 베이비 카(stroller), 양변기의 앉는 부분의 커버, 양변기의 앉는 부분의 내부, 피복류, 가열 조리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을 차량용 시트 히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공기조절 장치가 조립된 좌석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공기조절 장치가 조립된 좌석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4를 참조할 수 있다.
특허문헌4 : 국제공개 WO2005/084493호 공보
또한 좌석의 내부에 조립한 형태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좌석의 표면에 부착하여 배치하는 형태로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Claims (8)

  1. 히터 소자를 구비하는 발열물(發熱物)과, 온도제어용 써모스탯(thermostat)과, 상기 발열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소자(溫度感知 素子)와, 상기 온도감지 소자와 접속되어 상기 온도감지 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발열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회로(溫度 制御回路)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물과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이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온도감지 소자가 상기 발열물에 설치되고, 상기 발열물과 상기 온도 제어회로가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온도 제어회로가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영역은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의 온/오프 동작영역의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은, 기재(基材)와, 상기 기재에 배치된 코드 모양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소자(heater 素子)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제어용 써모스탯과 상기 온도감지 소자와 상기 온도 제어회 로는 함께 상기 기재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회로는 상기 온도 제어회로에 접속된 리드선(lead線)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絶緣被覆)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 소자의 리드선은 상기 기재 상에서 상기 온도 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회로는 두께가 9mm이하가 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발열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8. 제6항의 발열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KR1020087022012A 2006-03-07 2007-03-06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KR101347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1616 2006-03-07
JPJP-P-2006-00061616 2006-03-07
PCT/JP2007/054312 WO2007102500A1 (ja) 2006-03-07 2007-03-06 採暖器具及び車両座席用採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450A KR20080100450A (ko) 2008-11-18
KR101347020B1 true KR101347020B1 (ko) 2014-01-03

Family

ID=3847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012A KR101347020B1 (ko) 2006-03-07 2007-03-06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39119B2 (ko)
JP (1) JP4999835B2 (ko)
KR (1) KR101347020B1 (ko)
WO (1) WO2007102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7167B2 (ja) * 2008-04-10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暖房装置付き座席
US20090289045A1 (en) * 2008-05-22 2009-11-26 James Hotary Footwell heating equipment
JP5181830B2 (ja) * 2008-05-23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ヒータ制御装置
CN102450091A (zh) * 2009-05-26 2012-05-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面状采暖器以及具备该面状采暖器的座椅
KR101245533B1 (ko) * 2010-08-11 2013-03-21 한국전기연구원 디지털 얀을 이용하여 직조된 무선 발열 섬유
DE102011121978B4 (de) * 2011-11-17 2023-03-16 Gentherm Gmbh Heiz- oder Temperier-Einrichtung
JP6198934B2 (ja) * 2013-05-02 2017-09-20 ジェンサ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耐液加熱エレメント
KR101381073B1 (ko) * 2013-11-19 2014-04-04 송성진 신체교정과 온열치료를 겸한 기능성 의자
US10279650B2 (en) * 2015-01-27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aptive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7117581B2 (ja) * 2018-03-30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ヒータ及び車両用シート
JP7035947B2 (ja) * 2018-10-09 2022-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ヒー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952A (ja) 2001-09-20 2003-06-24 Kurabe Ind Co Ltd シートヒータとシートヒータの製造方法
JP2003217796A (ja) 2002-01-24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輌用シートヒータ
JP2004504082A (ja) 2000-07-17 2004-02-12 コングスバリ オートモーティブ アーベー 車両シートの加熱構成
WO2005084493A1 (ja) 2004-03-05 2005-09-15 Kurabe Industrial Co., Ltd. 通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6408A (ja) * 1985-03-12 1986-09-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輛用シ−トヒ−タ
SE450072B (sv) * 1985-10-07 1987-06-01 Mekania Verken Ab Anordning for frankoppling av en termostatstyrd vermeavgivande enhet efter ett forutbestemt antal temperaturpendlingar
JPS63203114A (ja) * 1987-02-19 1988-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トヒ−タ装置
DE4116618A1 (de) * 1991-05-22 1992-11-26 Braun Ag Durchlauferhitzer fue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bruehgetraenken
DE19752135A1 (de) * 1997-11-25 1999-06-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izstromregelung und Sitzheizungsregelschaltung
JP2003109721A (ja) * 2001-09-28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ヒ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4082A (ja) 2000-07-17 2004-02-12 コングスバリ オートモーティブ アーベー 車両シートの加熱構成
JP2003174952A (ja) 2001-09-20 2003-06-24 Kurabe Ind Co Ltd シートヒータとシートヒータの製造方法
JP2003217796A (ja) 2002-01-24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輌用シートヒータ
WO2005084493A1 (ja) 2004-03-05 2005-09-15 Kurabe Industrial Co., Ltd. 通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9119B2 (en) 2015-09-22
JP4999835B2 (ja) 2012-08-15
KR20080100450A (ko) 2008-11-18
US20090032518A1 (en) 2009-02-05
WO2007102500A1 (ja) 2007-09-13
JPWO2007102500A1 (ja)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020B1 (ko)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KR101327226B1 (ko) 좌석용 채열장치
KR101768961B1 (ko) 온도 조절 제어 장치
CN107531127B (zh) 加热器装置
JP5072826B2 (ja) 採暖器具及び車両座席用採暖装置
JP5056726B2 (ja) 車両用暖房装置
JP2004055219A (ja) シートヒーター
KR101252283B1 (ko) 온도 자가조절형 발열체를 적용한 차량용 발열 시트
JP3041631B2 (ja) 車両用暖房装置
CN109479342A (zh) 用于机动车的具有辐射加热装置的加热系统和用于运行辐射加热装置的方法
JPH06176857A (ja) カーシートヒータ
JP2012147970A (ja) 座席ヒータ
KR101948562B1 (ko) 다층열선 매트
JP2010089628A (ja) 暖房装置
JP2998283B2 (ja) 座席用ヒータユニット
JPS6146476A (ja) アクチユエ−タ素子
JPS58214289A (ja) 車輛用シ−トヒ−タ−装置
JPS6181274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H11182875A (ja) 床暖房用過昇温防止装置
JPH06342686A (ja) 電気発熱装置
JPS6146478A (ja) アクチユエ−タ
JPH06178715A (ja) ウオーターベッド
JPS64619B2 (ko)
JPS58214292A (ja) 車輛用シ−トヒ−タ−装置
JPH02165590A (ja) コード状発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