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874B1 -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874B1
KR101339874B1 KR1020120066111A KR20120066111A KR101339874B1 KR 101339874 B1 KR101339874 B1 KR 101339874B1 KR 1020120066111 A KR1020120066111 A KR 1020120066111A KR 20120066111 A KR20120066111 A KR 20120066111A KR 101339874 B1 KR101339874 B1 KR 10133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layer
czts
precursor
band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곽지혜
안세진
윤경훈
신기식
안승규
조아라
박상현
조준식
유진수
박주형
어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874B1/ko
Priority to US14/364,879 priority patent/US9780246B2/en
Priority to CN201380004304.9A priority patent/CN103999229B/zh
Priority to PCT/KR2013/005381 priority patent/WO20131914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25Multiple junction or tandem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2Non-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e.g. glass,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69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474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69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477Sel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85Other chalcogenide semiconducting materials not being oxides, e.g. ternary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91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51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557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51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56Sel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68Chalcogenide semiconducting materials not being oxides, e.g. ternary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01L31/0326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comprising AIBIICIVDVI kesterite compounds, e.g. Cu2ZnSnSe4, Cu2ZnSnS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가지는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Cu2ZnSn(S,Se)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후면 전극의 위에 상기한 방법으로 CZTS계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CZTS계 태양전지는, 후면 전극; 및 상기 후면 전극 위에 형성된 CZTS계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CZTS계 박막층은,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되고, Cu2ZnSn(S,Se)4 박막층의 밴드갭 에너지가 Cu2ZnSnS4 박막층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층은 표면측의 밴드갭이 높아서 개방전압이 증가하고 재결합이 감소하며, 후면측의 밴드갭이 높아서 전자이동도는 증가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 GRADING CZTS THIN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 GRADING CZTS SOLAR CELL AND CZTS SOLAR CELL}
본 발명은 CZTS계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되어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와 화석 에너지 고갈로 차세대 청정에너지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공해가 적고, 자원이 무한적이며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고 있어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태양전지는 광흡수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실리콘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이다. 그러나 최근 실리콘의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급등하면서 박막형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박막형 태양전지는 얇은 두께로 제작되므로 재료의 소모량이 적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활용범위가 넓다. 이러한 박막형 태양전지의 재료로는 비정질 실리콘과 CdTe, CIS(CuInSe2) 또는 CIGS(CuIn1-xGaxSe2)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CIS 또는 CIGS 박막은 Ⅰ-Ⅲ-Ⅳ 화합물 반도체 중의 하나이며, 실험실적으로 만든 박막 태양전지 중에서 가장 높은 변환효율(약 19.9%)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10 마이크론 이하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리콘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고효율 태양전지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CIS 박막은 직접 천이형 반도체로서 박막화가 가능하고 밴드갭이 1.04 eV로 비교적 광변환에 적합하며, 광흡수 계수가 알려진 태양전지 재료 중 큰 값을 나타내는 재료이다. CIGS 박막은 CIS 박막의 낮은 개방전압을 개선하기 위하여 In의 일부를 Ga으로 대체하거나 Se를 S로 대체하여 개발된 재료이다. 그러나 CIS 또는 CIGS 박막은 고가인 In, Ga 원소를 사용하므로 생산단가가 비교적 높으며 밴드갭이 다소 낮은 단점이 있다.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밴드갭을 보다 높이며 저가 원소로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 및 재조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In 원소를 저가 원소로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In을 저가의 Zn, Sn으로 대체한 Cu2ZnSn(S,Se)4 박막(이하 CZTS계 박막이라 함)의 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CZTS계 박막은 CIS 또는 CIGS 박막에 비해 효율이 낮기 때문에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CIGS 박막의 경우는 전도대가 Ga과 In의 결합관계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Ga/(In+Ga)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밴드갭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The effect of Ga-grading in CIGS thin film solar cells", Thin Solid Films, Volumes 480-481, 1 June 2005, Pages 520-525), 도 6은 CIGS 박막에서 Ga 비율 변화에 따른 밴드갭의 변화를 나타는 그래프이다.
나아가,Ga의 비율을 조절하여 CIGS의 밴드갭을 조절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여, CIGS 박막의 제조과정에서 Ga와 In의 비율을 변경시킴으로써 CIGS 박막 내에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부여한 더블 그레이딩(double grading) 구조를 이용하여 CIGS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7은 CIGS 박막에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High efficiency graded bandgap thin-film polycrystalline Cu(In,Ga)Se2-based solar cells",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41/42 (1996) 231-246)
이렇게 CIGS 박막의 중심부의 밴드갭보다 표면측의 밴드갭이 높으면 개방전압이 증가하고 재결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CIGS 박막의 중심부의 밴드갭보다 후면측의 밴드갭이 높으면 전자이동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CZTS 박막의 경우는 Zn/Sn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CZTS계 박막의 밴드갭을 변경시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더블 그레이딩 구조를 통한 태양전지 효율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The effect of Ga-grading in CIGS thin film solar cells", Thin Solid Films, Volumes 480-481, 1 June 2005, Pages 520-525 "High efficiency graded bandgap thin-film polycrystalline Cu(In,Ga)Se2-based solar cells",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41/42 (1996) 231-24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가지는 CZTS계 박막과 CZTS계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및 CZTS계 태양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은,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Cu2ZnSn(S,Se)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CZTS계 박막에 포함된 S와 Se의 양에 따라서 밴드갭에 변화가 있는 점에서 착안하여,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가지는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박막층을 1차 황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황화처리한 박막층을 셀렌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셀렌화처리한 박막층을 2차 황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u, Zn, Sn 및 S으로 구성된 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박막층을 셀렌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셀렌화처리된 박막층을 황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제1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전구체 박막층을 1차 황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황화처리한 박막층 위에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제2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제2전구체 박막층을 셀렌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셀렌화 처리된 박막층 위에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제3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제3전구체 박막층을 2차 황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구체 박막을 합성하는 단계는, 동시 진공증발법,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황화처리는 H2S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고, 셀렌화처리는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e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후면 전극의 위에 상기한 방법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CZTS계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CZTS계 태양전지는, 후면 전극; 및 상기 후면 전극 위에 형성된 CZTS계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CZTS계 박막층은,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되고, Cu2ZnSn(S,Se)4 박막층의 밴드갭 에너지가 Cu2ZnSnS4 박막층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ZTS계 태양전지는 S와 Se의 비율을 조절하여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층을 포함하며, CZTS계 박막층의 표면측 밴드갭이 높아서 개방전압이 증가하고 재결합이 감소하며, CZTS계 박막층의 후면측 밴드갭이 높아서 전자이동도는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최종적으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CZTS계 태양전지는 Cu2ZnSn(S,Se)4 박막층의 두께가 Cu2ZnSnS4 박막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됨으로써, 사이 위치하는 Cu2ZnSn(S,Se)4 박막층의 낮은 밴드갭으로 인하여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층은 표면측의 밴드갭이 높아서 개방전압이 증가하고 재결합이 감소하며, 후면측의 밴드갭이 높아서 전자이동도는 증가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ZTS계 박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CZTS계 박막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CIGS 박막에서 Ga 비율 변화에 따른 밴드갭의 변화를 나타는 그래프이다.
도 7은 CIGS 박막에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ZTS계 박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CZTS계 박막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를 가지는 CZTS계 박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을 순차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리 기판(100)과 그 위에 형성된 몰리브덴 후면 전극(200)의 위에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적층된 CZTS계 박막층(30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Cu2ZnSnS4 의 밴드갭은 1.32~1.85eV의 범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u2ZnSnSe4 의 밴드갭은 이보다 낮은 1.02eV 부근이고, Cu2ZnSn(S,Se)4 의 밴드갭은 이 둘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순서로 배치된 CZTS계 박막층(300)은 표면측과 후면 전극(200)측은 밴드갭이 크고 내부는 밴드갭이 작아서, 내부에 표면측과 전극측으로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광전변환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Cu2ZnSn(S,Se)4 박막층의 두께가 Cu2ZnSnSe4 박막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CZTS계 태양전지는 도 2의 구조에서 전면반사층이나 전면전극 등의 구성이 부가되어야하나,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은 특별한 제한이 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 1은 Cu, Zn, Sn으로 구성되는 전구체 박막을 먼저 형성하고, 이 전구체 박막에 1차 황화처리와 셀렌화처리 및 2차 황화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된 CZTS계 박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먼저, Cu, Zn 및 Sn 으로 구성된 전구체 박막을 형성한다.
전구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동시 진공증발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등의 모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구체 박막은 황화처리와 셀렌화처리를 통해 CZTS계 박막이 되기 때문에 0.5~2㎛의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여야 한다.
이렇게 형성된 Cu-Zn-Sn 전구체 박막을 1차 황화처리하여 Cu2ZnSnS4 을 형성한다. 황화처리 방법은 H2S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1차 황화처리를 거친 박막을 셀렌화처리하여 Cu2ZnSn(S,Se)4 를 형성한다. 셀렌화처리 방법은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e을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셀렌화처리를 거친 박막을 2차 황화처리하여 Cu2ZnSnS4 을 형성한다. 황화처리 방법은 H2S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 2는 Cu, Zn, Sn 및 S으로 구성되는 전구체 박막을 먼저 형성하고, 이 전구체 박막에 셀렌화처리와 황화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된 CZTS계 박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먼저, Cu, Zn, Sn 및 S로 구성된 전구체 박막을 형성한다. 실시예 1과는 전구체 박막 형성 단계에서 S를 포함시킨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구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동시 진공증발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등의 모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구체 박막은 셀렌화처리와 황화처리를 통해 CZTS계 박막이 되기 때문에 0.5~2㎛의 충분한 두께로 형성하여야 한다.
이렇게 형성된 Cu-Zn-Sn-S 전구체 박막을 셀렌화처리하여 Cu2ZnSnS4 와 Cu2ZnSn(S,Se)4 을 형성한다.
전구체 박막에 S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황화처리를 거치지 않고 셀렌화 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Cu2ZnSnS4 와 Cu2ZnSn(S,Se)4 가 순차로 위치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셀렌화처리 방법은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e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셀렌화처리를 거친 박막을 2차 황화처리하여 Cu2ZnSnS4 을 형성한다. 황화처리 방법은 H2S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라서 CZTS계 박막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 3은 Cu, Zn, Sn으로 구성되는 전구체 박막을 3번에 걸쳐서 형성하고, 각 전구체 박막에 1차 황화처리와 셀렌화처리 및 2차 황화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된 CZTS계 박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먼저, Cu, Zn 및 Sn 으로 구성된 제1전구체 박막을 형성한다.
제1전구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동시 진공증발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등의 모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전구체 박막은 황화처리를 통해 Cu2ZnSnS4 박막층이 되기 때문에 0.1~0.5㎛의 얇은 두께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1전구체 박막을 1차 황화처리하여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한다. 황화처리 방법은 H2S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Cu2ZnSnS4 박막층의 위에 Cu, Zn 및 Sn 으로 구성된 제2전구체 박막을 형성한다. 제2전구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1전구체 박막의 경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2전구체 박막은 셀렌화처리를 통해 Cu2ZnSn(S,Se)4 박막층이 되기 때문에 0.5~1㎛의 범위로 형성한다.
제2전구체 박막을 셀렌화처리하여 Cu2ZnSn(S,Se)4 박막층을 형성한다. 셀렌화처리 방법은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e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Cu2ZnSn(S,Se)4 박막층의 위에 Cu, Zn 및 Sn 으로 구성된 제3전구체 박막을 형성한다. 제3전구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과 두께는 제1전구체 박막의 경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3전구체 박막을 1차 황화처리하여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한다. 황화처리 방법은 H2S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과 진공증발법으로 S를 전구체 박막에 주입하고 열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열처리 시의 기판 온도는 400~530℃의 범위이고 1mtorr ~ 300 torr의 압력범위에서 1~2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실시예 3은 3번의 전구체 박막을 형성하고 각 전구체 박막을 황화처리 또는 셀렌화처리하는 점에서 다른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3은 다른 실시예 비하여 공정이 더 복잡하지만 Cu2ZnSnS4 박막층과 Cu2ZnSn(S,Se)4 박막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쉬우므로, Cu2ZnSn(S,Se)4 박막층이 Cu2ZnSnS4 박막층보다 두꺼운 구조를 형성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판 200: 후면 전극
300: CZTS계 박막층

Claims (16)

  1.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Cu2ZnSnS4 박막층 위에 Cu2ZnSn(S,Se)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Cu2ZnSn(S,Se)4 박막층 위에 Cu2ZnSnS4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2.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박막층을 1차 황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황화처리한 박막층을 셀렌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셀렌화처리한 박막층을 2차 황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가, 동시 진공증발법,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1차 황화처리 및 2차 황화처리가 H2S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셀렌화처리가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e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6. Cu, Zn, Sn 및 S으로 구성된 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전구체 박막층을 셀렌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셀렌화처리된 박막층을 황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가, 동시 진공증발법,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셀렌화처리가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e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황화처리가 H2S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10.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제1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전구체 박막층을 1차 황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황화처리한 박막층 위에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제2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제2전구체 박막층을 셀렌화처리하는 단계;
    상기 셀렌화 처리된 박막층 위에 Cu와 Zn 및 Sn으로 구성된 제3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제3전구체 박막층을 2차 황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전구체 박막층 내지 제3전구체 박막층을 합성하는 단계가, 동시 진공증발법, 스퍼터링법, 전기증착법, 나노입자증착법 및 용액도포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 황화처리 및 2차 황화처리가 H2S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셀렌화처리가 H2Se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방법 또는 진공증발법으로 박막에 Se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14.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후면 전극의 위에 청구항 1 내지 13까지의 방법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CZTS계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5. 후면 전극; 및
    상기 후면 전극 위에 형성된 CZTS계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CZTS계 박막층은, Cu2ZnSnS4 박막층, Cu2ZnSn(S,Se)4 박막층 및 Cu2ZnSnS4 박막층이 순차로 형성되고, Cu2ZnSn(S,Se)4 박막층의 밴드갭 에너지가 Cu2ZnSnS4 박막층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계 태양전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Cu2ZnSn(S,Se)4 박막층의 두께가 상기 Cu2ZnSnS4 박막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CZTS계 태양전지.
KR1020120066111A 2012-06-20 2012-06-20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KR10133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11A KR101339874B1 (ko) 2012-06-20 2012-06-20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US14/364,879 US9780246B2 (en) 2012-06-20 2013-06-19 Method for manufacturing CZTS based thin film having dual band gap slope, method for manufacturing CZTS based solar cell having dual band gap slope and CZTS based solar cell thereof
CN201380004304.9A CN103999229B (zh) 2012-06-20 2013-06-19 具有双重带隙倾斜度的czts系薄膜的制造方法、具有双重带隙倾斜度的czts系太阳能电池的制造方法及czts系太阳能电池
PCT/KR2013/005381 WO2013191451A1 (ko) 2012-06-20 2013-06-19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11A KR101339874B1 (ko) 2012-06-20 2012-06-20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874B1 true KR101339874B1 (ko) 2013-12-10

Family

ID=4976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111A KR101339874B1 (ko) 2012-06-20 2012-06-20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80246B2 (ko)
KR (1) KR101339874B1 (ko)
CN (1) CN103999229B (ko)
WO (1) WO201319145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967A (ko) * 2014-08-18 2016-02-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전지용 CZTS/CZTSe계 박막 및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ZTS/CZTSe계 박막
KR20160035456A (ko) * 2014-09-23 2016-03-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적 에너지 밴드갭 변조방법에 의한 태양전지의 케스트라이트 광흡수층 구조
KR20160098695A (ko) 2015-02-11 2016-08-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경사조성형 칼코제나이드 박막 및 그 제조방법
US9601642B1 (en) 2014-09-29 2017-03-21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CZTSe-based thin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olar cell using the same
KR20210017480A (ko) * 2019-08-08 2021-02-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ZTSSe 광흡수층 내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7267B (zh) * 2014-06-30 2016-07-06 电子科技大学 一种对铜锌锡硒薄膜太阳能电池吸收层改性的方法
US9530908B2 (en) * 2014-11-13 2016-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vapor phase-solution phase growth techniques for improved CZT(S,Se) photovoltaic device performance
CN104409568B (zh) * 2014-11-13 2016-08-24 郑州大学 一种提高用于太阳能电池的铜锌锡硫薄膜质量的方法
US9722120B2 (en) * 2015-09-14 2017-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ndgap grading of CZTS solar cell
CN105489702A (zh) * 2015-12-16 2016-04-13 山东建筑大学 一种用硫酸锌制备硫化锌光电薄膜的方法
CN106653898B (zh) * 2016-11-04 2019-06-11 苏州腾晖光伏技术有限公司 一种czts太阳能电池
CN107134507B (zh) * 2016-12-08 2021-04-09 福建师范大学 具有梯度成分太阳能电池吸收层铜铟硫硒薄膜的制备方法
CN107871795B (zh) * 2017-11-17 2019-04-05 福州大学 一种基于柔性钼衬底的镉掺杂铜锌锡硫硒薄膜的带隙梯度的调控方法
TW201941444A (zh) * 2018-02-16 2019-10-16 澳大利亞商新南創新私人有限公司 金剛合金半導體及其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5305A (ja) 2008-08-18 2010-02-25 Toyota Central R&D Labs Inc 硫化物系化合物半導体
KR20110116485A (ko) * 2010-04-19 2011-10-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 전지 제조 방법
JP2012059847A (ja) 2010-09-07 2012-03-22 Showa Shell Sekiyu Kk Czts系薄膜太陽電池の光吸収層の作製方法
WO2012071289A2 (en) 2010-11-22 2012-05-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miconductor inks, film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coated substrates and photovolta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0263A (zh) * 2009-12-18 2010-08-11 湛江师范学院 一种铜锌锡硫薄膜太阳能电池吸收层的制备方法
CN101847669B (zh) * 2010-03-05 2012-05-30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ⅰ2-ⅱ-ⅳ-ⅵ4基薄膜太阳电池
JP2013529378A (ja) * 2010-04-19 2013-07-18 韓国生産技術研究院 太陽電池の製造方法
US20120100663A1 (en) * 2010-10-26 2012-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brication of CuZnSn(S,Se) Thin Film Solar Cell with Valve Controlled S and Se
CN102418072B (zh) * 2011-10-11 2013-03-2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铜铟镓硒薄膜太阳能电池的光吸收层的制备方法
US20130164885A1 (en) * 2011-12-21 2013-06-27 Intermolecular, Inc. Absorbers For High-Efficiency Thin-Film PV
KR101195927B1 (ko) * 2012-07-06 2012-10-30 한국기계연구원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69166B1 (ko) * 2012-07-13 2014-03-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용 cigs 광흡수층 형성 방법 및 cigs 태양전지
KR101550349B1 (ko) * 2013-07-25 2015-09-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 전해조와 이를 이용한 Cu2ZnSnS4-xSex (0≤x≤4) 박막의 단일 스텝 전기 증착법
US9530908B2 (en) * 2014-11-13 2016-1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vapor phase-solution phase growth techniques for improved CZT(S,Se) photovoltaic device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5305A (ja) 2008-08-18 2010-02-25 Toyota Central R&D Labs Inc 硫化物系化合物半導体
KR20110116485A (ko) * 2010-04-19 2011-10-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태양 전지 제조 방법
JP2012059847A (ja) 2010-09-07 2012-03-22 Showa Shell Sekiyu Kk Czts系薄膜太陽電池の光吸収層の作製方法
WO2012071289A2 (en) 2010-11-22 2012-05-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emiconductor inks, film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coated substrates and photovoltaic devic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967A (ko) * 2014-08-18 2016-02-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전지용 CZTS/CZTSe계 박막 및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ZTS/CZTSe계 박막
KR101656842B1 (ko) * 2014-08-18 2016-09-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전지용 CZTS/CZTSe계 박막 및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ZTS/CZTSe계 박막
KR20160035456A (ko) * 2014-09-23 2016-03-3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적 에너지 밴드갭 변조방법에 의한 태양전지의 케스트라이트 광흡수층 구조
KR101691134B1 (ko) * 2014-09-23 2016-12-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적 에너지 밴드갭 변조방법에 의한 태양전지의 케스트라이트 광흡수층 구조
US9601642B1 (en) 2014-09-29 2017-03-21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CZTSe-based thin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olar cell using the same
KR20160098695A (ko) 2015-02-11 2016-08-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경사조성형 칼코제나이드 박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17480A (ko) * 2019-08-08 2021-02-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ZTSSe 광흡수층 내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KR102243198B1 (ko) 2019-08-08 2021-04-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ZTSSe 광흡수층 내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8736A1 (en) 2014-11-20
WO2013191451A1 (ko) 2013-12-27
CN103999229B (zh) 2016-11-16
CN103999229A (zh) 2014-08-20
US9780246B2 (en)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874B1 (ko)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박막의 제조방법, 이중의 밴드갭 기울기가 형성된 czt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czts계 태양전지
US9812593B2 (en) Solar cell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JP6312996B2 (ja) 光電変換素子および太陽電池
KR101094326B1 (ko) 태양전지용 Cu-In-Zn-Sn-(Se,S)계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230888A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16528A (ko) 태양전지용 CZT(S,Se)계 박막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CZT(S,Se)계 박막
KR101091215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2478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1859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8853B1 (ko) 반투명 cigs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모듈
KR101708282B1 (ko) CZTSe계 박막을 이용한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7126B1 (ko) 태양전지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
KR102057234B1 (ko) Cigs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cigs 박막 태양전지
KR101180998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9570636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5144402A (zh) 具有梯度粒度和S:Se比例的光伏器件
KR101283106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9349901B2 (en)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1091249A (ja) 太陽電池
WO2013168672A1 (ja) 光電変換素子
CN113130679A (zh) 薄膜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US20210210645A1 (en) Chalcogenide solar cell having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back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halcogenide solar cell
Kumar Zinc Cadmium Sulphide And Zinc Sulphide as Alternative Heterojunction Partners for CIGS2 Solar Cells
KR101273175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4892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