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545B1 - 사골 육수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사골 육수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545B1
KR101339545B1 KR1020130076335A KR20130076335A KR101339545B1 KR 101339545 B1 KR101339545 B1 KR 101339545B1 KR 1020130076335 A KR1020130076335 A KR 1020130076335A KR 20130076335 A KR20130076335 A KR 20130076335A KR 101339545 B1 KR101339545 B1 KR 10133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irculation
broth
cooling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욱
Original Assignee
강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욱 filed Critical 강경욱
Priority to KR102013007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냉각수에 수증기와 김이 충돌하여 액화되어 용기 내부로 재차 낙하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국물이 쫄아들지 않고 열대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체 사골에 균일하게 열이 미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된 사골 육수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많은 사골 육수를 우려낼 때에도 균일하고 빠르게 각 사골로부터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되고, 하부의 사골이 타거나 용기에 눌러붙지 않게 된다. 또한, 완전 밀폐상태에서 육수의 기화와 액화가 반복되므로 육수가 쫄아들지 않고, 냉각수의 열교환을 통해 자연스럽게 온도가 조절되고 육수량이 조절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골 육수 추출장치{EXTRACTING APPARATUS FOR BROTH OF THE BONES OF A COW}
본 발명은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냉각수에 수증기와 김이 충돌하여 액화되어 용기 내부로 재차 낙하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국물이 쫄아들지 않고 열대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체 사골에 균일하게 열이 미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된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의 내부에는 각종 영양분이 함유된 바, 해당 음식물 전체를 섭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음식물의 영양분을 최대한 많이 흡수할 수 있는 방법은 해당 음식물을 액기스 상태로 우려내어서 섭취하는 것이다.
특히, 설렁탕 사골의 경우에도 국물을 대형의 솥과 같은 조리용기에 넣은 다음 장시간 우려내어야 하는 바, 대형의 압력솥 및 일반 솥에 사골을 넣은 상태에서 장시간 강한 불로 끓인 경우 국물이 빨리 증발되게 되어 바닥으로 가라앉은 사골이 솥 바닥면에 들러붙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바닥에 들러붙은 사골이 타게 되므로 차후 획득한 사골국물에서도 탄내가 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약한 불로 장시간 사골을 우려내지만, 이 역시 사골국물을 얻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가 있고, 진한 국물을 우려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강한 불로 조리하면서 국물이 증발되지 않게 온도조절을 해주면 위의 문제가 일부 해결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작업자가 상시 사골상태를 관찰하고 온도를 조절해주고 육수가 부족하면 육수를 보충해줘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사골은 보통 상당히 많은 양이 조리용기에 투입되어 육수를 우려내게 되므로 조리용기의 하부에 위치된 사골과, 하부에 위치된 사골의 조리상태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국물이 증발되어 많이 줄어든 상태에는 조리용기의 하부에 위치된 사골과, 하부에 위치된 사골의 조리상태가 확연히 달라지게 되므로 전체 사골에 대해 열대류 현상이 일어나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균일하게 사골이 조리되지 못하게 되므로 사골 내의 영양분이 덜 획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냉각수에 수증기와 김이 충돌하여 액화되어 용기 내부로 재차 낙하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국물이 쫄아들지 않고 열대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체 사골에 균일하게 열이 미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된 사골 육수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사골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중첩된 사골 채반을 내부에 배치하여 열이 순환되면서 사골을 우려낼 수 있게 한 순환 추출부(4)와; 상기 순환 추출부(4)의 상면에 밀착 배치되어 순환 추출부(4)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게 냉각수를 유입 및 유출시켜 순환 추출부(4)의 사골 수증기와 김이 응결되어 낙하되게 하는 냉각 응결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환 추출부(4)는 하부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정제수를 넣고 가열되는 정제수저장부(8)와; 그 정제수 저장부(8)의 상부 내측벽에 사골 채반(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턱(10)이 형성된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내측 소정부에 구비되어 하우징(6)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 응결부(30)는 상기 순환 추출부(4)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부에 냉각수 저장통(32)이 구비된 커버(22)와; 상기 냉각수 저장통(32)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유출입하는 유입파이프(34)와, 유출파이프(38); 상기 유입파이프(34)와, 유출파이프(38)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각수 유통을 단속하는 유입밸브(36)와, 유출밸브(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그 하부 외표면에 나사형상으로 하우징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전도띠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골 채반(12)은 그 중앙에 형성되고 열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중공상태이고 상하단이 각각 개방된 순환연통(14)과; 상기 순환연통(14)으로부터 일정 반경 배치된 원형의 테두리부(42)와; 상기 순환연통(14)의 외주연과 테두리부(42)의 내주연을 각각 연결하여 테두리부(42)가 지지되게 하는 지지대(44)와; 상기 테두리부(42)와 순환연통(14)의 사이에 사골이 안착되게 격자철망으로 이루어진 사골 안착채(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환연통(14)의 하단은 그 외주연이 상기 순환 연통(14)의 내주연보다 같거나 작게 이루어져 순환연통(14)에 끼워질 수 있게 된 결합턱(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센서(20)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냉각응결부(30)에 저장된 냉각수가 교체될 수 있게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는 많은 사골 육수를 우려낼 때에도 균일하고 빠르게 각 사골로부터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되고, 하부의 사골이 타거나 용기에 눌러붙지 않게 된다. 또한, 완전 밀폐상태에서 육수의 기화와 액화가 반복되므로 육수가 쫄아들지 않고, 냉각수의 열교환을 통해 자연스럽게 온도가 조절되고 육수량이 조절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포함된 사골 채반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포함된 사골 채반의 중첩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포함된 사골 채반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에 포함된 사골 채반의 중첩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는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냉각수에 수증기와 김이 충돌하여 액화되어 용기 내부로 재차 낙하되는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국물이 쫄아들지 않고 열대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전체 사골에 균일하게 열이 미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는 크게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한 구성은 하부 구성으로, 상면에 사골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중첩된 사골 채반을 내부에 배치하여 열이 순환되면서 사골을 우려낼 수 있게 한 순환 추출부(4)이다.
나머지 한 구성은 상부 구성으로서, 상기 순환 추출부(4)의 상면에 밀착 배치되어 순환 추출부(4)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게 냉각수를 유입 및 유출시켜 순환 추출부(4)의 사골 수증기와 김이 응결되어 낙하되게 하는 냉각 응결부(30)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순환 추출부(4)는 하부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정제수를 넣고 가열되는 정제수저장부(8)와; 그 정제수 저장부(8)의 상부 내측벽에 사골 채반(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턱(10)이 형성된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내측 소정부에 구비되어 하우징(6)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제수 저장부(8)는 하우징(6)의 하부에 구성된 바, 하우징(6)은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되, 그 하단이 역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6)에 정제수가 투입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정제수 저장부(8)에 담기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 응결부(30)는 상기 순환 추출부(4)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부에 냉각수 저장통(32)이 구비된 커버(22)와; 상기 냉각수 저장통(32)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유출입하는 유입파이프(34)와, 유출파이프(38); 상기 유입파이프(34)와, 유출파이프(38)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각수 유통을 단속하는 유입밸브(36)와, 유출밸브(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에는 상기 온도센서(20)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냉각응결부(30)에 저장된 냉각수가 교체될 수 있게 밸브(유입밸브(36)와 유출밸브(4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는 상기 냉각 응결부(30)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6)의 내부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지만, 상기 냉각 응결부(30)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반복적인 열교환으로 온도 상승된 상태라면 자동으로 상기 냉각 응결부(30)에 저장된 냉각수를 신규 냉각수로 교체시킨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6)은 그 하부 외표면에 나사형상으로 하우징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전도띠(미도시)가 더 부착된다. 즉, 상기 하우징(6)이 스테인레스 재질인 경우, 그 하우징(6)의 외주연을 따라 수나사 형상으로 트위스트된 구리재질의 전도띠가 하우징(6)의 외주연에 부착되면 스테인레스보다 더 빠른 열전도가 이루어져 초기 하우징(6)의 정제수 끓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골 채반(12)은 그 중앙에 형성되고 열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중공상태이고 상하단이 각각 개방된 순환연통(14)과; 상기 순환연통(14)으로부터 일정 반경 배치된 원형의 테두리부(42)와; 상기 순환연통(14)의 외주연과 테두리부(42)의 내주연을 각각 연결하여 테두리부(42)가 지지되게 하는 지지대(44)와; 상기 테두리부(42)와 순환연통(14)의 사이에 사골이 안착되게 격자철망으로 이루어진 사골 안착채(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순환연통(14)의 하단은 그 외주연이 상기 순환 연통(14)의 내주연보다 같거나 작게 이루어져 순환연통(14)에 끼워질 수 있게 된 결합턱(48)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의 내부에 구비된 사골 채반(12)은 사골이 무더기로 쌓인 상태에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 열전달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열대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으로, 내부의 사골이 다른 사골더미에 묻히지 않게 된다.
열대류는 하우징(6)내부에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는 더욱 특징적으로 상기 하우징(6)의 상단에 냉각응결부(30)가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더욱 빠른 열대류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승하는 열의 대류와 전도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에는 사골 채반(12)의 중앙에 순환 연통(14)을 구성한 바, 열은 순환 연통(14)을 통해 상승하고 그 과정중에 순환연통(14)을 가열한 열이 지지대(44)를 통해 테두리부(42)와 사골 안착채(46)에 전체적으로 전도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사골 채반(12)은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중첩되게 구성된 바, 사골 채반(12)이 다수개 중첩되면 그 중앙에 위치된 순환 연통(14)은 열이 한번에 통과될 수 있게 연통된 상태이다.
따라서, 그 순환 연통(14)들을 통과한 열은 증기와 수증기의 상태로 상승하고, 상부에 구성된 냉각수 저장통(32)에 접촉되는 바, 그 접촉과 동시에 증기와 수증기는 냉각 응결되고 액화되어 낙하한다.
낙하된 액화물질은 결국 사골 육수인 바, 그 사골 육수가 최상층의 사골 채반(12)에 안착된 사골에 수분을 제공하게 되어 다시 끓으면서 육수를 우려내게 되고, 그 육수들은 다시 하층의 사골 채반(12)으로 낙수되면서 마찬가지로 직하방의 사골 채반(12)에 안착된 사골에 수분을 제공하게 되어 다시 끓으면서 육수를 우려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2)는 많은 사골 육수를 우려낼 때에도 균일하고 빠르게 각 사골로부터 육수를 추출할 수 있게 되고, 하부의 사골이 타거나 용기에 눌러붙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는 완전 밀폐상태에서 육수의 기화와 액화가 반복되므로 육수가 쫄아들지 않고, 냉각수의 열교환을 통해 자연스럽게 온도가 조절되고 육수량이 조절된다. 미설명부호 9는 가열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골 육수 추출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순환추출부, 6:하우징,
8:정제수 저장부, 10:고정턱,
12:사골 채반, 14:순환 연통,
20:온도센서, 22:커버,
30:냉각 응결부, 32:냉각수 저장통,
34:유입파이프, 36:유입밸브,
38:유출파이프, 40:유출밸브,
42:테두리부, 44:지지대,
46:사골 안착채, 48:결합턱.

Claims (7)

  1. 상면에 사골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중첩된 사골 채반을 내부에 배치하여 열이 순환되면서 사골을 우려낼 수 있게 한 순환 추출부(4)와;
    상기 순환 추출부(4)의 상면에 밀착 배치되어 순환 추출부(4)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냉각수를 저장할 수 있게 냉각수를 유입 및 유출시켜 순환 추출부(4)의 사골 수증기와 김이 응결되어 낙하되게 하는 냉각 응결부(30)와;
    상기 순환 추출부(4)는 하부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정제수를 넣고 가열되는 정제수저장부(8)와;
    그 정제수 저장부(8)의 상부 내측벽에 사골 채반(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턱(10)이 형성된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의 내측 소정부에 구비되어 하우징(6)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0)와;
    상기 냉각 응결부(30)는 상기 순환 추출부(4)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고, 내부에 냉각수 저장통(32)이 구비된 커버(22)와;
    상기 냉각수 저장통(32)의 상부 양측에 각각 연통되어 냉각수를 유출입하는 유입파이프(34)와, 유출파이프(38);
    상기 유입파이프(34)와, 유출파이프(38)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각수 유통을 단속하는 유입밸브(36)와, 유출밸브(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하부 외표면에 나사형상으로 하우징의 재질보다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전도띠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골 채반(12)은 그 중앙에 형성되고 열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중공상태이고 상하단이 각각 개방된 순환연통(14)과;
    상기 순환연통(14)으로부터 일정 반경 배치된 원형의 테두리부(42)와;
    상기 순환연통(14)의 외주연과 테두리부(42)의 내주연을 각각 연결하여 테두리부(42)가 지지되게 하는 지지대(44)와;
    상기 테두리부(42)와 순환연통(14)의 사이에 사골이 안착되게 격자철망으로 이루어진 사골 안착채(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연통(14)의 하단은 그 외주연이 상기 순환 연통(14)의 내주연보다 같거나 작게 이루어져 순환연통(14)에 끼워질 수 있게 된 결합턱(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20)의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냉각응결부(30)에 저장된 냉각수가 교체될 수 있게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추출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30076335A 2013-07-01 2013-07-01 사골 육수 추출장치 KR10133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35A KR101339545B1 (ko) 2013-07-01 2013-07-01 사골 육수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35A KR101339545B1 (ko) 2013-07-01 2013-07-01 사골 육수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545B1 true KR101339545B1 (ko) 2013-12-10

Family

ID=4998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335A KR101339545B1 (ko) 2013-07-01 2013-07-01 사골 육수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5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75B1 (ko) * 2014-06-03 2015-06-02 최은경 고형 추출물 달임용 약탕장치
CN106616471A (zh) * 2016-05-26 2017-05-10 东莞市鸿远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禽体营养液高效提取装置
CN108404446A (zh) * 2018-04-09 2018-08-17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多重索氏提取装置及其提取方法
KR20220036207A (ko) * 2020-09-15 2022-03-2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20220045390A (ko) * 2020-10-05 2022-04-1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881A (ja) * 1991-05-09 1993-09-24 Hisaka Works Ltd エキス分の抽出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78559A (ko) * 2004-12-31 2006-07-05 이청재 닭곰탕 쌀국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10116651A (ko) * 2010-04-20 2011-10-26 김기범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881A (ja) * 1991-05-09 1993-09-24 Hisaka Works Ltd エキス分の抽出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78559A (ko) * 2004-12-31 2006-07-05 이청재 닭곰탕 쌀국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110116651A (ko) * 2010-04-20 2011-10-26 김기범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280549B1 (ko) 2010-04-20 2013-07-01 김민영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75B1 (ko) * 2014-06-03 2015-06-02 최은경 고형 추출물 달임용 약탕장치
CN106616471A (zh) * 2016-05-26 2017-05-10 东莞市鸿远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禽体营养液高效提取装置
CN108404446A (zh) * 2018-04-09 2018-08-17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多重索氏提取装置及其提取方法
CN108404446B (zh) * 2018-04-09 2024-05-0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多重索氏提取装置及其提取方法
KR20220036207A (ko) * 2020-09-15 2022-03-2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102406872B1 (ko) 2020-09-15 2022-06-08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20220045390A (ko) * 2020-10-05 2022-04-12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KR102453965B1 (ko) 2020-10-05 2022-10-11 홍성복 회차별 투입식 돈골 육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545B1 (ko) 사골 육수 추출장치
US9854931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101106590B1 (ko)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US20160174747A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RU201710198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ого напитка
CN106510445A (zh) 电饭煲
EP2755532B1 (en) Food heating apparatus
JP2012533370A (ja) ソーラー式調理装置
CN102438491B (zh) 用于烹制食品所用容器的经改进的有孔盖
US20170231257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US9723950B2 (en) Vertical food cabinet
KR102172289B1 (ko) 식물 유효성분 추출용 증숙기
JP2005065847A (ja) 蒸気加熱調理器用蒸気供給装置
JP2005065819A (ja) 蒸気加熱調理器
EA030094B1 (ru) Кофе/чаемашина и другие кухонные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использующие солнечную энергию
CN104274065B (zh) 多功能炊具
KR20160140096A (ko) 고압 스팀 조리 용기
JP2014204938A (ja) 炊飯蒸気復水器
KR101311863B1 (ko)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KR101552042B1 (ko) 해산물 증숙장치
CN202355163U (zh) 无油烟烫食器
JP4831060B2 (ja) 電子レンジ用の小型抽出装置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KR200490793Y1 (ko) 오목냄비뚜껑
CN107135746B (zh) 葵花盘脱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