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085B1 - 변속조작기구 - Google Patents

변속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085B1
KR101338085B1 KR1020120110925A KR20120110925A KR101338085B1 KR 101338085 B1 KR101338085 B1 KR 101338085B1 KR 1020120110925 A KR1020120110925 A KR 1020120110925A KR 20120110925 A KR20120110925 A KR 20120110925A KR 101338085 B1 KR101338085 B1 KR 10133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ift
elastic member
connecting portion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혁
김은식
민정선
양희수
조양래
윤석준
장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085B1/ko
Priority to US14/010,182 priority patent/US20140102238A1/en
Priority to CN201310429930.4A priority patent/CN103711887B/zh
Priority to DE102013110329.4A priority patent/DE102013110329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77Particular element [e.g., shift fork, templat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변속레버와 일체로 이동되어 수동 또는 자동모드가 선택되도록 위치이동되고 요철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시프트플레이트;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자동모드 선택시 상기 시프트플레이트와 연동되도록 걸림부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수동모드 선택시 시프트플레이트와 분리되도록 마련된 인게이징플레이트; 및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의 연결부에 조립되되 연결부에 삽입되는 걸림부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시프트플레이트와 인게이징플레이트의 연결시 걸림부와 연결부 간의 간극을 제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변속조작기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변속조작기구 {DEVICE FOR TRANSMISSION OPERATION}
본 발명은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에 있어서, 변속감을 부여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는 변속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 등으로 구분되며,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의 토크 및 회전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속기는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변속을 수행할 수 있고,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성이 향상되고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한편, 변속기는 변속레버의 조작성이 좋지 않으면 운전자의 변속조작이 변속기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불편한 변속감으로 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은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프트레버와 일체로 움직이는 시프트플레이트(10)와 이를 변속케이블과 연동되도록 하는 인게이징플레이트(20)가 구비되는데, 자동모드 선택시 인게이징플레이트(20)가 시프트플레이트(10)와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이 변속케이블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인게이징플레이트(20)는 수동모드로 진입시 시프트플레이트(10)와 분리되어 변속케이블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변속레버의 조작은 전기적신호로 변속기에 전달되어 변속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조작기구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시프트플레이트(1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의 연결시 연결부분(30)간에 공차누적에 의해 간극발생 또는 끼임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즉, 시프트플레이트(1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는 연결부분(30)에 간극이 발생되어 느슨하게 결합되는 경우 유격이 발생되고, 반대로 유격발생을 제거하기 위해 연결부분(30)이 타이트해지면 끼임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변속기구는 시프트플레이트(1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의 연결부분(30)의 간극을 제거하여 유격발생을 제거하는 동시에 끼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여 운전자에게 매끄러운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기구의 시프트플레이트와 인게이징플레이트 간의 간극을 제거하여 유격발생 또는 끼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변속레버 조작시 매끄러운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변속조작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는 변속레버와 일체로 이동되어 수동 또는 자동모드가 선택되도록 위치이동되고 요철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시프트플레이트;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자동모드 선택시 상기 시프트플레이트와 연동되도록 걸림부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수동모드 선택시 시프트플레이트와 분리되도록 마련된 인게이징플레이트; 및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의 연결부에 조립되되 연결부에 삽입되는 걸림부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시프트플레이트와 인게이징플레이트의 연결시 걸림부와 연결부 간의 간극을 제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U)형상의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양 내측면이 내측공간을 향하여 불룩하게 굴곡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양 내측면이 상기 걸림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불룩하게 굴곡된 부분은 걸림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연결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의 단부와 연결부의 대향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양 끝단부가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갈고리형상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으로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형상을 이루는 탄성부재의 끝단부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변속조작기구는 인게이징플레이트와 시프트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각 플레이트 간의 유격발생 또는 끼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양 내측면이 내측공간을 향하여 불룩하게 굴곡되어 시프트플레이트의 걸림부가 인게이징플레이트의 연결부에 삽입시 변속감을 부여할 수 있고, 양 끝단부가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인게이징플레이트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A-A의 걸림부와 연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걸림부와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변속레버와 일체로 이동되어 수동 또는 자동모드가 선택되도록 위치이동되고 요철형상의 걸림부(120)가 형성된 시프트플레이트(100); 상기 걸림부(120)에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연결부(220)가 형성되어 자동모드 선택시 상기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연동되도록 걸림부(120)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수동모드 선택시 시프트플레이트(100)와 분리되도록 마련된 인게이징플레이트(200); 및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에 조립되되 연결부(220)에 삽입되는 걸림부(120)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시 걸림부(120)와 연결부(220) 간의 간극을 제거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시프트플레이트(100)의 걸림부(12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부(120)와 연결부(220)는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자동모드 선택시 걸림부(120)가 연결부(220)에 삽입되어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20)가 연동되거나, 수동모드 선택시 걸림부(120)가 연결부(22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의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에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300)를 마련함으로써 연결부(220)에 삽입되는 걸림부(120)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걸림부(120)를 감싸도록 변형되어 걸림부(120)와 연결부(220)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조의 변속조작기구는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가 연결시 걸림부(120)와 연결부(220)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여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대로 결합부분이 타이트하여 끼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매끄러운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0)는 연결부(220)에 삽입시 단순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300)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변속조작에 따른 변속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A-A의 걸림부(120)와 연결부(22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U)형상의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연결부(220)에 삽입되는 걸림부(1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탄성부재(300)는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에 조립되어 삽입되는 걸림부(120)를 감싸되 걸림부(120)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구조의 (U)형상 판스프링을 사용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에 삽입되어 조립되기 쉬운 구조이고, 삽입되는 걸림부(120)를 완전히 감싸면서 연결부(220)와 걸림부(120) 간의 간극을 제거할 수 있는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재(300)는 양 내측면(320)이 내측공간을 향하여 불룩하게 굴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는 양 내측면(320)이 상기 걸림부(1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불룩하게 굴곡된 부분은 걸림부(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00)는 양 내측면(320)이 내측공간을 향하여 불록하게 굴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부(220)에 삽입되는 걸림부(120)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변형되도록 한다.
단, 탄성부재(300)는 양 내측면(320)이 상기 걸림부(1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불룩하게 굴곡된 부분은 걸림부(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삽입되는 걸림부(120)가 불룩하게 굴곡된 내측면(320)을 외측방향으로 밀어주면서 변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탄성부재(300)는 걸림부(120)가 연결부(220)에 삽입시 탄성부재(300)의 불룩하게 굴곡된 부분에 걸림부가 접촉되면서 걸림부(120)와 연결부(220)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걸림부(120)가 탄성부재(300)의 양 내측면(320)에 불룩하게 굴곡된 부분을 밀어주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변속조작에 따른 변속감이 부여되고, 삽입되는 걸림부(120)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변형됨으로써 유격발생 및 끼임현상이 해소되어 운전자에게 변속조작에 따른 우수한 변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20)는 연결부(22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120)의 단부(140)와 연결부(220)의 대향부(240)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결부(220)에 탄성부재(300)가 조립되어야 하기에 삽입되는 걸림부(120)와 연결부(220) 사이는 탄성부재(300)가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시 걸림부(120)가 탄성부재의 (300)의 불룩하게 굴곡된 내측면을 밀어주면서 연결부(220)에 삽입되기 때문에 탄성부재(300)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더 확보되어야 한다.
즉, 탄성부재(300)는 연결부(220)에 걸림부(1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걸림부(120)의 단부(140)와 연결부(220)의 대향부(240)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탄성부재(300)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변속조작기구의 걸림부(120)와 연결부(220)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양 끝단부가 상기 걸림부(12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갈고리형상(340)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탄성부재(300)는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가 변속조작에 따라 연결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연결부(220)에 걸림부(120)가 삽입 또는 이탈하게 되는데, 연결부(220)에서 걸림부(120)가 이탈되는 경우 연결부(120)에 조립된 탄성부재(300)가 걸림부(120)와 함께 연결부(22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200)는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으로 일정깊이의 홈(260)이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형상(340)을 이루는 탄성부재(300)의 끝단부가 홈(26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인게이징플레이트(200)는 탄성부재(300)가 연결부(220)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탄성부재(300)의 끝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갈고리형상(340)이 연결부의 양측에 형성된 홈(26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2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홈(260)은 탄성부재(300)의 끝단부가 걸리는 부분에 돌기(280)를 형성하여 탄성부재(300)의 끝단부가 연결부(220)에 형성된 홈(260)에서 빠지지 않도록 완전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게이징플레이트(200)에 탄성부재(300)가 조립시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의 양측으로 형성된 홈(260)에 탄성부재(300)에 갈고리형상(340)으로 형성된 끝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연결부(220)에 탄성부재(300)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00)는 연결부(220)에 조립시 복잡하고 특별한 결합공정 없이 연결부(220)에 탄성부재(30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탄성부재(300)를 연결부(20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시프트플레이트 120:걸림부
200:인게이징플레이트 220:연결부
300:탄성부재

Claims (7)

  1. 변속레버와 일체로 이동되어 수동 또는 자동모드가 선택되도록 위치이동되고 요철형상의 걸림부(120)가 형성된 시프트플레이트(100);
    상기 걸림부(120)에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연결부(220)가 형성되어 자동모드 선택시 상기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연동되도록 걸림부(120)가 삽입되어 연결되고, 수동모드 선택시 시프트플레이트(100)와 분리되도록 마련된 인게이징플레이트(200); 및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부(220)에 조립되되 연결부(220)에 삽입되는 걸림부(120)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상기 시프트플레이트(100)와 인게이징플레이트(200)의 연결시 걸림부(120)와 연결부(220) 간의 간극을 제거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하는 변속조작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U)형상의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연결부(220)에 삽입되는 걸림부(120)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양 내측면이 내측공간을 향하여 불룩하게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양 내측면이 상기 걸림부(12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불룩하게 굴곡된 부분은 걸림부(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20)는 연결부(22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120)의 단부와 연결부(220)의 대향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양 끝단부가 상기 걸림부(12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갈고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게이징플레이트(200)는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으로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형상을 이루는 탄성부재(300)의 끝단부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
KR1020120110925A 2012-10-05 2012-10-05 변속조작기구 KR10133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25A KR101338085B1 (ko) 2012-10-05 2012-10-05 변속조작기구
US14/010,182 US20140102238A1 (en) 2012-10-05 2013-08-26 Shift lever operation structure
CN201310429930.4A CN103711887B (zh) 2012-10-05 2013-09-18 换档杆操作结构
DE102013110329.4A DE102013110329A1 (de) 2012-10-05 2013-09-19 Schalthebelbetätigungs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25A KR101338085B1 (ko) 2012-10-05 2012-10-05 변속조작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085B1 true KR101338085B1 (ko) 2013-12-06

Family

ID=4998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25A KR101338085B1 (ko) 2012-10-05 2012-10-05 변속조작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102238A1 (ko)
KR (1) KR101338085B1 (ko)
CN (1) CN103711887B (ko)
DE (1) DE10201311032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212A (ko) * 2014-12-26 2016-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70003186A (ko) * 2015-06-30 2017-01-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70003435U (ko) * 2016-03-25 2017-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US10619732B2 (en) 2014-12-26 2020-04-14 Sl Corporation Automotive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9760B (zh) * 2016-12-23 2019-06-1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手自一体式换挡机构和车辆
CN107489761B (zh) * 2016-12-23 2020-03-0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手自一体式换挡机构和车辆
CN108533732B (zh) * 2018-05-29 2024-03-19 上海三立汇众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手动操作和电动操作切换的换挡器
CN110630809B (zh) * 2018-06-21 2021-04-20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手动阀限位机构及具有该限位机构的无级变速箱
KR102635920B1 (ko) * 2019-05-08 2024-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CN110159744B (zh) * 2019-05-29 2020-11-20 重庆睿格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自带消除间隙及自带减震降噪的换挡器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250A (ja) * 1994-08-17 1996-03-08 Riken Kaki Kogyo Kk 連動機構
JPH09210049A (ja) * 1996-02-01 1997-08-12 Toyota Motor Corp マニュアル式シフトレバーの連結構造
JP2005206017A (ja) 2004-01-22 2005-08-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8080831A (ja) 2006-09-25 2008-04-10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5129B1 (fr) * 1993-05-11 1995-08-11 Peugeot Dispositif formant commande de vitesses pour boîte de vitesses automatique de véhicule.
US5862708A (en) * 1996-02-16 1999-01-26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lever device
DE10022433B4 (de) * 2000-05-09 2006-07-13 Daimlerchrysler Ag Wählhebelvorrichtung
DE10111375B4 (de) * 2001-03-09 2009-12-10 Audi Ag Wählein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JP4668439B2 (ja) * 2001-03-12 2011-04-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US6612194B2 (en) * 2001-03-28 2003-09-0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with load sensors for sensing shift demands
KR100488693B1 (ko) * 2002-06-27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매뉴얼 모드 스위치가 구비된 자동변속기 레버 장치
AU2002951613A0 (en) * 2002-09-24 2002-10-10 M.T.M. Pty Ltd A shift lever assembly
CN2767314Y (zh) * 2005-01-26 2006-03-29 联统兴业股份有限公司 全地形车齿轮箱档位操纵杆安全操控装置
US8371188B2 (en) * 2008-10-02 2013-02-12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Transmission control assembly having a locking mechanism
KR101881962B1 (ko) 2011-03-30 2018-07-2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보안채널을 이용한 카드 매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3250A (ja) * 1994-08-17 1996-03-08 Riken Kaki Kogyo Kk 連動機構
JPH09210049A (ja) * 1996-02-01 1997-08-12 Toyota Motor Corp マニュアル式シフトレバーの連結構造
JP2005206017A (ja) 2004-01-22 2005-08-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8080831A (ja) 2006-09-25 2008-04-10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212A (ko) * 2014-12-26 2016-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653636B1 (ko) * 2014-12-26 2016-09-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US10619732B2 (en) 2014-12-26 2020-04-14 Sl Corporation Automotive transmission
KR20170003186A (ko) * 2015-06-30 2017-01-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260938B1 (ko) 2015-06-30 2021-06-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170003435U (ko) * 2016-03-25 2017-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0492977Y1 (ko) * 2016-03-25 2021-01-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1887A (zh) 2014-04-09
CN103711887B (zh) 2018-05-29
DE102013110329A1 (de) 2014-04-10
US20140102238A1 (en)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085B1 (ko) 변속조작기구
EP3466777A1 (en) Parking lock mechanism
JP2013164145A (ja) 変速機用同期装置
JP2012097895A (ja) 自動変速機用パーキング装置
KR20140036040A (ko) 커넥터
JP5739757B2 (ja) コネクタ
KR101274246B1 (ko) 변속기의 동기치합기구
JP2009138840A (ja) シフトフォーク
JP2007120723A (ja) トルク断続装置
JP2008032166A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シフトフォーク
KR20160082450A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2014173633A (ja) シンクロ装置
WO2014024488A1 (ja) 留め具
JP4526327B2 (ja) シンクロナイザクラッチ機構
WO2014038581A1 (ja) 樹脂成形部品のロック機構
JP5028477B2 (ja) 可逆自在のレバー同期化装置
KR101173682B1 (ko)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KR20160049674A (ko)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US9941681B2 (en) Chain header with shield design
JP6310281B2 (ja) 同期噛合装置
JP2016007971A (ja) 部材の組付固定構造
KR101756024B1 (ko) 변속 노브 조립체
JP2005026048A (ja) 電線カバー
KR101294195B1 (ko) 차량용 변속레버
JP2014159835A (ja) 噛み合い式ク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