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845B1 - 엘리베이터용 로프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845B1
KR101337845B1 KR1020127030570A KR20127030570A KR101337845B1 KR 101337845 B1 KR101337845 B1 KR 101337845B1 KR 1020127030570 A KR1020127030570 A KR 1020127030570A KR 20127030570 A KR20127030570 A KR 20127030570A KR 101337845 B1 KR101337845 B1 KR 10133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outer layer
elevator
stran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263A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미치오 무라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8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marks or luminous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로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로프 본체와, 로프 본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를 가지고 있다. 외층 피복체의 표면에는 제조시에 로프 길이방향을 따라서 실시된 검사의 그 위치에 대응하는 검사결과정보가 소정의 피치로 부여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ELEVATOR ROPE}
본 발명은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에 의해 외주가 피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로프의 외관으로부터 이상이나 손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어느 정도의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것에 대해서, 수지제의 피복체에 의해 외주가 피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피복의 두께나 내부의 단선의 유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또, 종래의 공사용 섬유로프에서는 섬유로프 본체의 외주에 합성수지 피복층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합성수지 피복층의 표면에 제작 또는 판매 시기가 소정 피치마다 인쇄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 등록 제309223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지피복 타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제조시에 피복의 두께나 내부의 단선의 유무의 검사를 행했다고 해도, 이상이 있는 제품이 만일 잘못해서 출시되었을 경우, 이상이 있는 개소를 눈으로 발견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보수점검시에 모든 로프를 전체 길이에 걸쳐 검사하거나, 내부의 단선을 검출하는 단선검출장치를 설치하거나 하지 않으면 이상을 검출할 수 없었다. 또, 피복에 제작 시기를 인쇄했을 경우에도, 정상적인 로프의 수명을 추정할 수 있지만, 이상이 있는 제품이 만일 잘못해서 출시되었을 경우, 역시 보수점검을 실시하거나 단선검출장치를 설치하거나 하지 않으면 이상을 검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조시의 검사결과를 출하 후에도 부분마다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로프 본체와, 로프 본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를 구비하고, 외층 피복체의 표면에는 제조시에 로프 길이방향을 따라서 실시된 검사의 그 위치에 대응하는 검사결과정보가 소정의 피치로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제조시에 로프 길이방향을 따라서 실시된 검사의 그 위치에 대응하는 검사결과정보가 외층 피복체의 표면에 소정의 피치로 부여되어 있으므로, 제조시의 검사결과를 출하 후에도 부분마다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 또는 2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중심에는 1개의 강제(鋼製)의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1)가 배치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1)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의 외주에는 복수 개(여기에서는 8개)의 강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3)가 서로 꼬여 있다.
8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3)로 이루어지는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4) 및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코어 로프 피복체(5)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 로프(6)는 코어 스트랜드(1),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외주에는 복수 개(여기에서는 20개)의 강제의 외층 스트랜드(7)가 서로 꼬여 있다. 로프 본체(8)는 코어 로프(6) 및 외층 스트랜드(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프 본체(8)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9)가 마련되어 있다. 외층 스트랜드(7)와 외층 피복체(9)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는 제조시에 다이스(dies)에 의해 외주로부터 압축(소성가공)되어 있고, 그들의 소선의 단면형상이 이형화(異形化)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는 중심소선의 외주에 2층의 소선을 묶은 3층 구조이다. 또,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단면 구조는 씰형이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2층의 소선의 꼬임 길이는 동일하다. 즉,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는 평행 꼬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층 스트랜드(7)는 중심소선의 외주에 1층의 소선을 묶은 2층 구조이다.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재료에는 코어 로프 스트랜드(3)나 외층 스트랜드(7)로부터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또,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가교제(架橋劑)를 혼입함으로써 가교된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로서의 유연성을 높임과 아울러, 쉬브에 의해 굽혀졌을 때에 발생하는 로스를 저감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어느 정도 낮은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재료로서는, 외층 피복체(9)의 재료보다 딱딱하고, 또한 동일한 금속재료에 대한 마찰계수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 피복체(9)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쉬브에 대한 마찰계수가 0.2 이상으로 충분한 내마모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7)는 가교제를 혼입함으로써 가교된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사용시에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코어 로프 스트랜드(3)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어 로프 피복체(5) 및 외층 피복체(9)는 사용시에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외층 스트랜드(7)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 피복체(9)의 표면에는 제조시에 실시된 검사의 그 위치에 대응하는 검사결과정보(31)와, 로프 길이방향의 위치정보(32)가 소정의 피치로 부여되어 있다.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는, 예를 들면 프린터 또는 레이저 마커 등을 이용하여 외층 피복체(9)에 인쇄되어 있다.
제조시의 검사는 제조공정 내의 외층 피복체(9)의 피복 후, 또는 제조공정과는 다른 검사공정에서 실시된다. 또, 제조시의 검사는 로프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 또는 소정의 간격마다 실시된다.
검사의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레이저식 외경 측정기에 의한 로프 직경 검사, 초음파식 센서 또는 와전류(渦電流)식 센서에 의한 피복두께 검사 및 누설 자기식 로프 테스터에 의한 단선 검사를 들 수 있다.
각 검사의 결과는 일련 번호(batch number) 및 길이방향의 위치와 관련하여 별도로 기록되고, 외층 피복체(9)에는 모든 검사의 종합적인 판정결과가 부여된다. 즉, 모든 검사의 결과가 이상 없이 있으면 「OK」, 1개에서도 이상이 있으면 「NG」라고 인쇄된다.
또,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2000㎜ ~ 6000m의 길이로 제조된 후,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따라 필요한 길이에 절단된다. 검사결과정보(31)가 「NG」였을 경우,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그 부분을 피해 절단되어 제품화된다. 또, 이상이 검출된 검사항목이나 범위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제품화가 보류되기도 한다.
위치정보(32)로서는 제조시(절단 전)의 단부로부터의 길이, 즉 제조길이가 외층 피복체(9)에 부여된다. 도 1의 예에서는, 0.1m마다 제조길이가 부여되어 있다.
또,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는 외층 피복체(9)의 둘레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부여되어 있다. 즉,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축선에 평행한 일직선상에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외층 피복체(9)의 표면에 검사결과정보(31)가 소정의 피치로 부여되어 있으므로, 제조시의 검사결과를 출하 후에도 부분마다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출하 전은 물론, 제품이 출시된 후에도, 인도 전의 검사시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시에,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외관으로부터 검사결과를 재체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상이 검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어떠한 원인으로 잘못해서 출시되었을 경우에도, 그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 검사결과정보(31)에 위치정보(32)를 병기함으로써, 검사데이터와 실물과의 대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 중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보수점검시에, 이상 개소나 연속해서 검사가 요구되는 부분이 발생했을 경우에, 그 위치가 엘리베이터용 로프 중의 어디에 있는지를 곧바로 수치로서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필요 길이로 절단하는 경우에, 특별한 측장기(測長器)를 별도로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칸이 착상(着床)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예를 들면 권상기에 마련한 표시 위치에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어느 부분이 위치하고 있는지를 미리 기록해 둠으로써, 권상기를 수동조작하여 구출운전을 실시할 때에, 엘리베이터칸을 정밀도 좋게 착상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를 일직선상에 부여하고, 인쇄 피치를 어느 정도 작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매달았을 때에,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꼬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피치는 꼬임의 확인을 위해서도, 외층 스트랜드(7)의 꼬임 피치가 2피치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능한 한 짧은 피치로 하는 것이, 인쇄가 연속한 라인과 같이 되어, 꼬임의 확인에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쇄의 길이도 고려하면, 1피치 이내는 곤란한 경우가 많다. 반대로, 3피치 이상이 되면, 인쇄의 비틀림이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회전에 의한 것인지, 꼬임의 들어감(tightening) 또는 되돌림(unwinding)에 의한 것인지의 판단이 어려워진다.
통상, 외층 스트랜드(7)의 꼬임의 1피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지름의 6.5 경우 정도이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지름이 12㎜이면, 꼬임의 1피치는 70 ~ 80㎜ 정도이며, 꼬임의 2피치는 140 ~ 160㎜ 정도가 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인쇄 피치 100㎜는 바람직한 범위 내라고 말할 수 있다.
또, 외층 피복체(9)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외층 피복체(9)와 구동쉬브와의 사이의 마찰계수가 크고, 구동쉬브에 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마모에 의해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가 소실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운전상태 등에 의해 사용시에 인쇄가 사라지는 것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레이저 마커 등을 이용하여,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의 인쇄 심도(深度)를 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를 1개만 이용했기 때문에, 사용시에 장력이 작용하여, 코어 로프 스트랜드(3)로부터 코어 스트랜드(1)로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하기 어렵고,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단면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트랜드를 서로 꼬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코어 로프 스트랜드(3)를 코어 스트랜드(1)의 외주에 직접 서로 꼬지 않고,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의 외주에 서로 꼬았기 때문에, 코어 로프(6)의 단면형상을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단면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가 다른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랜드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 손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외층 피복체(9)는 쉬브와의 사이에 트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외층 스트랜드(7)에 접착할 필요가 있고, 외층 피복체(9)를 외층 스트랜드(7)에 접착하기 전에는, 외층 스트랜드(7)의 제조시 등에 부착한 오염물이나 유분(油分)을 충분히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외층 스트랜드(7)의 구조가 복잡하면, 외층 스트랜드(7)의 내부까지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를 3층 구조로 하면서, 외층 스트랜드(7)를 2층 구조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층 스트랜드(7)를 충분하고 또한 용이하게 세정하고, 외층 피복체(9)를 외층 스트랜드(7)에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가 가교된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이나, 굽힘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 내구성을 높이고,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층 피복체(9)도 가교된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이나, 굽힘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 내구성을 높이고,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비상제동시의 쉬브와 엘리베이터용 로프와의 사이의 슬립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충분한 감속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외층 피복체(9)의 표면에는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에 더하여, 제조정보(33)가 병기되어 있다. 제조정보(33)로서는 제조 메이커명, 일련 번호 및 제조 일시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조정보(33)는, 로프 길이방향에 대해서,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와 같은 피치로 인쇄되어 있다. 또한, 제조정보(33)는 외층 피복체(9)의 둘레방향에 대해서, 검사결과정보(31) 및 위치정보(32)와는 다른 위치로 옮겨져 인쇄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로프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외층 피복체(9)에 제조정보(33)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다른 데이터 플레이트를 마련하지 않고, 현물 그 자체로 제조에 관한 정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 구조는 도 2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어 스트랜드(1)에 이형 가공을 하지 않는 구조,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의 개수를 각각 줄인 구조(예를 들면 코어 로프 스트랜드 : 6개, 외층 스트랜드 : 16개),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를 생략한 2층 구조 등이라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2에서는, 단면 원형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광의의 것이며, 단면형상이 평평한 로프, 즉 벨트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형태 1, 2에서는, 모든 검사의 종합적인 결과를 검사결과정보(31)로서 외층 피복체(9)에 부여했지만, 검사결과정보(31)는 검사마다의 결과를 알 수 있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 검사결과를 미리 결정된 순서로 코드화하여 표시하면, 검사결과정보(31)를 컴팩트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로프 직경 검사, 피복두께 검사 및 단선 검사의 결과를 이상 없음이면 「0」, 이상 있음이면 「1」이라고 한 3자리 수의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 또, 이상의 유무를 「○」 또는 「×」 등의 기호의 순서로 나타낼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는 실시형태 1 또는 2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1)의 상부에는 기계실(1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12) 내에는 기계대(13)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대(13)상에는 권상기(14)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14)는 구동쉬브(15) 및 권상기 본체(16)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16)는 구동쉬브(15)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쉬브(15)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기계대(13)에는 디플렉팅 쉬브(17)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쉬브(15) 및 디플렉팅 쉬브(17)에는 현가수단으로서의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18)가 감겨 있다. 디플렉팅 쉬브(17)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8)의 구동쉬브(15)보다도 균형추(10) 측의 부분이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18)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19)이 매달려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19)은 구동쉬브(15)의 일측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18)에 의해 승강로(1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18)의 타단부에는 균형추(20)가 매달려 있다. 즉, 균형추(20)는 구동쉬브(15)의 타측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18)에 의해 매달려 있다.
승강로(1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1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21)과, 균형추(2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22)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9)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21)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19)을 비상정지시키는 비상멈춤장치(23)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타입은, 도 4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2 : 1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멀티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엘리베이터칸(19)을 매달기 위한 로프 이외의 로프, 예를 들면 콤펜세이팅(compensating) 로프나 거버너(governor) 로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로프 본체와, 상기 로프 본체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있어서,
    상기 외층 피복체의 표면에는 제조시에 로프 길이방향을 따라서 실시된 검사의 그 위치에 대응하는 검사결과정보가 소정의 피치로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층 피복체의 표면에는, 상기 검사결과정보와 함께, 로프 길이방향의 위치정보가 병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프 본체에는 그 외주에 서로 꼬인 복수 개의 스트랜드(strand)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검사결과정보를 부여하는 피치는 상기 스트랜드의 꼬임 피치의 2피치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20127030570A 2010-07-07 2010-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1337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1529 WO2012004867A1 (ja) 2010-07-07 2010-07-07 エレベータ用ロ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263A KR20130031263A (ko) 2013-03-28
KR101337845B1 true KR101337845B1 (ko) 2013-12-06

Family

ID=4544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570A KR101337845B1 (ko) 2010-07-07 2010-07-07 엘리베이터용 로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92033B1 (ko)
JP (1) JP5377769B2 (ko)
KR (1) KR101337845B1 (ko)
CN (1) CN102958822B (ko)
WO (1) WO2012004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5261A1 (de) * 2012-06-18 2013-12-19 Casar Drahtseilwerk Saa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eils
JP2016033269A (ja) * 2014-07-31 2016-03-10 芦森工業株式会社 ロープ
DE112014007185B4 (de) * 2014-11-18 2020-03-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eil und eine dieses verwendende Aufzugsvorrichtung
CN105084142B (zh) * 2015-08-25 2017-06-13 上海新时达线缆科技有限公司 电梯电缆的寿命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9071172B (zh) * 2016-05-13 2020-06-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绳索和绳索扭转状态检测装置
JP6958975B2 (ja) * 2019-11-12 2021-11-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239U (ko) * 1990-01-11 1991-09-19
JPH03111728U (ko) * 1990-02-27 1991-11-15
KR20070107637A (ko) * 2007-10-18 2007-11-07 인태환 케이블카,콘도라, 스키리프트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및 로프검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2308Y1 (ko) * 1968-10-01 1972-12-21
JP3329984B2 (ja) * 1995-04-03 2002-09-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防食層被覆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184132C (zh) * 2000-08-24 2005-01-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合成纤维绳
US7117981B2 (en) * 2001-12-19 2006-10-10 Otis Elevator Company Load bearing member for use in an elevator system having external markings for indicating a condition of the assembly
JP3092239U (ja) * 2002-08-21 2003-03-07 東京製綱繊維ロープ株式会社 工事用繊維ロープ
JP2004132861A (ja) * 2002-10-11 2004-04-30 Toppan Printing Co Ltd 布線検査機及び布線検査方法並びに布線検査システム
JP3111728U (ja) * 2004-05-10 2005-07-28 合資会社オフィス ケー ケーブル
AU2006227082B2 (en) * 2005-03-22 2011-07-21 Inventio Ag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lift cage and lift system wherein the method is used
JP4514059B2 (ja) * 2006-12-11 2010-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状成形体の検査結果記録方法及び検査結果記録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239U (ko) * 1990-01-11 1991-09-19
JPH03111728U (ko) * 1990-02-27 1991-11-15
KR20070107637A (ko) * 2007-10-18 2007-11-07 인태환 케이블카,콘도라, 스키리프트에서 사용하는 케이블 및 로프검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2033A1 (en) 2013-05-15
CN102958822A (zh) 2013-03-06
EP2592033B1 (en) 2017-03-29
CN102958822B (zh) 2015-03-11
EP2592033A4 (en) 2016-04-06
JP5377769B2 (ja) 2013-12-25
JPWO2012004867A1 (ja) 2013-09-02
KR20130031263A (ko) 2013-03-28
WO2012004867A1 (ja)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845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CN108423503B (zh) 方法和提升装置
JP5976116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EP1312574B1 (en) Synthetic fiber rope for elevators
JP2015037997A (ja) ロープの劣化診断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4310112B2 (ja) ロープ及びロープの劣化診断方法
JP2011046462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EP3020673B1 (en) Elevator rope and elevator device using same
JP2010195580A (ja) 吊支持用ロープ
EP1371597B1 (en) Main cable of elevator
JP2004075221A (ja) エレベータ
JP6143834B1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検査治具および診断方法
JP4202950B2 (ja) ワイヤロ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昇降装置
JPWO200603825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220962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監視装置
JP6223599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20120070606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216896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