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606A - 엘리베이터용 로프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606A
KR20120070606A KR1020127012789A KR20127012789A KR20120070606A KR 20120070606 A KR20120070606 A KR 20120070606A KR 1020127012789 A KR1020127012789 A KR 1020127012789A KR 20127012789 A KR20127012789 A KR 20127012789A KR 20120070606 A KR20120070606 A KR 20120070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core
rope
strands
ou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아츠시 후나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07B1/068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trand desig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7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omprising postformed and thereby radially plastically deformed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19Strands pressed to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9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 D07B2201/2061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resulting in a twisted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코어 로프와, 복수 개의 외층 스트랜드와,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를 가지고 있다. 코어 로프는 1개의 강제의 코어 스트랜드와, 코어 스트랜드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와,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의 외주에 마련된 복수 개의 강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와,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코어 로프 피복체를 가지고 있다. 외층 피복체는 외층 스트랜드에 접착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의 외주에 2층의 소선을 묶은 3층 구조이다. 외층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의 외주에 1층의 소선을 묶은 2층 구조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ROPE FOR ELEVATOR}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강제(鋼製)의 스트랜드(strand)와 복수 층의 수지제의 피복체를 조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복수 개의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를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코어 로프의 외측에 복수 개의 내층 스트랜드(inner layer strand)가 배치되고, 내층 스트랜드의 외측에 복수 개의 외층 스트랜드가 배치되어 있다. 또, 코어 로프와 내층 스트랜드와의 사이에 수지제의 코어 로프 피복체가 배치되며, 내층 스트랜드와 외층 스트랜드와의 사이에 수지제의 내층 피복체가 배치되고, 외층 스트랜드의 외측에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108607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코어 스트랜드를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코어 로프가 중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스트랜드를 서로 꼬는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에 시간이 든다. 또, 스트랜드를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코어 로프는 외력에 대해서 비교적 단면 형상이 일그러지기 쉽고, 게다가, 쉬브에 감겨졌을 때에 로프 중심에는 힘이 집중하기 때문에, 코어 로프의 단면 형상이 일그러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단면 형상도 일그러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단면 형상을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1개의 강제의 코어 스트랜드와, 코어 스트랜드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와,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의 외주에 마련된 복수 개의 강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와,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코어 로프 피복체를 가지는 코어 로프, 코어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 마련된 복수 개의 강제의 외층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외층 스트랜드 집합체 및 외층 스트랜드 집합체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를 구비하고, 코어 스트랜드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素線)의 외주에 2층의 소선을 묶은 3층 구조이며, 외층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의 외주에 1층의 소선을 묶은 2층 구조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코어 스트랜드를 1개만 이용했기 때문에, 스트랜드를 서로 꼬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코어 로프 스트랜드를 코어 스트랜드의 외주에 직접 서로 꼬지 않고,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의 외주에 마련했기 때문에, 코어 로프의 단면 형상을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 2, 3 또는 4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중심에는 1개의 강제의 코어 스트랜드(1)가 배치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1)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의 외주에는 복수 개(여기에서는 8개)의 강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3)가 서로 꼬여 있다.
8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3)로 이루어진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4) 및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코어 로프 피복체(5)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 로프(6)는 코어 스트랜드(1),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외주에는 복수 개(여기에서는 20개)의 강제의 외층 스트랜드(7)가 서로 꼬여 있다. 20개의 외층 스트랜드(7)로 이루어진 외층 스트랜드 집합체(8)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외주에는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9)가 마련되어 있다. 외층 스트랜드(7)와 외층 피복체(9)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는 제조시에 다이스(dies)에 의해 외주로부터 압축(소성가공)되어 있어, 그들의 소선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異形化)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는 중심 소선의 외주에 2층의 소선을 묶은 3층 구조이다. 또,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단면 구조는 씰형이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2층의 소선의 꼬임 길이는 동일하다. 즉,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는 평행 꼬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층 스트랜드(7)는 중심 소선의 외주에 1층의 소선을 묶은 2층 구조이다.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재료에는 코어 로프 스트랜드(3)나 외층 스트랜드(7)로부터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또,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가교제(架橋劑)를 혼입함으로써 가교된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로서의 유연성을 높임과 아울러, 쉬브에 의해 굽혀졌을 때에 발생하는 로스를 저감 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어느 정도 낮은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의 재료로서는 외층 피복체(9)의 재료보다 딱딱하고, 또한 동일한 금속재료에 대한 마찰계수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외층 피복체(9)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쉬브에 대한 마찰계수가 0.2 이상으로 충분한 내마모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외층 스트랜드(7)는 가교제를 혼입함으로써 가교된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는 사용시에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코어 로프 스트랜드(3)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어 로프 피복체(5) 및 외층 피복체(9)는 사용시에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외층 스트랜드(7)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를 1개만 이용했기 때문에, 사용시에 장력이 작용하여, 코어 로프 스트랜드(3)로부터 코어 스트랜드(1)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하기 어렵고,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단면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트랜드를 서로 꼬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코어 로프 스트랜드(3)를 코어 스트랜드(1)의 외주에 직접 서로 꼬지 않고,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의 외주에 서로 꼬았기 때문에, 코어 로프(6)의 단면 형상을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단면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가 다른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랜드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 손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외층 피복체(9)는 쉬브와의 사이에 트랙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외층 스트랜드(7)에 접착할 필요가 있어, 외층 피복체(9)를 외층 스트랜드(7)에 접착하기 전에는 외층 스트랜드(7)의 제조시 등에 부착한 오물이나 기름 성분을 충분히 세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외층 스트랜드(7)의 구조가 복잡하면, 외층 스트랜드(7)의 내부까지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1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를 3층 구조로 하면서, 외층 스트랜드(7)를 2층 구조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외층 스트랜드(7)를 충분하고, 또한 용이하게 세정하여, 외층 피복체(9)를 외층 스트랜드(7)에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의 소선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있으므로, 직경의 이형 가공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스트랜드와 비교해서, 유효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2) 및 코어 로프 피복체(5)가 가교된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이나, 굽힘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 내구성을 높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외층 피복체(9)도 가교된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이나, 굽힘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 내구성을 높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비상제동시의 쉬브와 엘리베이터용 로프와의 사이의 슬립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서,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충분한 감속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단면 구조가 씰형이며, 또한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소선은 평행하게 서로 꼬여 있기 때문에, 소선끼리가 선접촉 상태가 되어,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내부의 마모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소선 사이의 공극을 적게 하여 유효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층 스트랜드(7)의 개수를 많게 하면, 같은 단면구조인 경우, 외층 스트랜드(7)를 구성하는 소선 직경을 세경화(細徑化)할 수 있기 때문에, 굽힘피로에 대한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 로프(6)의 단면적 비율이 커지는 만큼 필요한 유연성(굽힘피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코어 로프(6)의 단면 구조를 다층화하거나 코어 로프(6)에 포함되는 스트랜드를 다층화하거나 할 필요가 생겨, 구성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소선 및 스트랜드의 개수가 증가하여, 제조에 시간이 들어,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반대로, 외층 스트랜드(7)의 개수를 감소시키면, 쉬브의 홈과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접촉할 때의 외층 스트랜드(7)로부터 외층 피복체(9)에 작용하는 국부적인 면압이 증가하여, 외층 스트랜드(7)에 손상을 주기 쉬워진다. 또, 필요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외층 스트랜드(7)의 단면 구조를 보다 다층화할 필요가 있어, 구성이 복잡하게 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에서의 충전 밀도가 저하, 즉 유효 단면적이 감소한다.
또, 소선의 직경을 같게 하여, 유효 단면적, 즉 로프 직경도 동등하게 확보하고자 하면, 소선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소선의 층을 증가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 현실적으로는, 외층 스트랜드(7)의 개수를 코어 로프(6)에 포함되는 스트랜드(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개수의 2 ~ 2.5배로 함으로써,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비해 유연성이 뛰어나고, 쉬브 홈과의 접촉시에 외층 스트랜드(7)로부터 외층 피복체(9)에 작용하는 압력을 억제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서는 모든 스트랜드에 이형 가공을 했지만, 실시형태 2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에 이형 가공을 하지 않는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조시의 소선장력의 불균일 등에 의해, 코어 스트랜드(1)의 소선의 일부에 단선(斷線)이 생겼을 경우, 코어 스트랜드(1)는 중심에 단독으로 존재하고 있어, 다른 스트랜드와 꼬이지 않고, 단선한 소선을 구속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단선한 소선이 코어 스트랜드(1)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 코어 스트랜드(1)는 직경이 다른 소선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대해서, 직경이 작은 소선이 우선적으로 끊어지기 쉽다. 이와 같이 하여, 코어 스트랜드(1)의 소선의 일부가 단선하여, 코어 스트랜드(1)의 단면 형상에 일그러짐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단면 형상에도 일그러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2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만 이형 가공을 하지 않음으로써, 코어 스트랜드(1)의 소선에 단선이 생겼을 경우에, 단선한 소선의 변형을 코어 스트랜드(1) 내의 틈새의 범위에서 흡수하여, 코어 스트랜드(1)의 단면 형상의 일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형 가공을 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시의 소선장력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소선의 조기의 단선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개수를 6개로 했다. 이것에 수반하여, 외층 스트랜드(7)의 개수는 16개로 했다. 다른 기본적인 단면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개수를 6개로 함으로써, 코어 로프(6)에 포함되는 모든 스트랜드(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의 지름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어, 그들의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소선의 지름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피복을 이용하지 않는 타입의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쉬브와의 접촉 부분에서 우선적으로 단선이 발생하여, 그 부분으로부터 단선이 진행한다. 이것에 대해서, 외층 피복체(9)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외층 스트랜드(7)가 쉬브와 접촉하지 않고, 또 스트랜드끼리도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피로 수명을 결정하는 인자는 쉬브에서 굽혀짐으로써 소선에 발생하는 굽힘응력이 지배적이다.
실시형태 3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 및 코어 로프 스트랜드(3)를 구성하는 소선의 지름을 거의 동일하게 하기 때문에, 굽힘응력에 의해 특정 부분에서 조기에 손상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효과를 보다 확실히 얻기 위해서는, 코어 스트랜드(1)에서 가장 굵은 소선의 지름과, 코어 로프 스트랜드(3)에서 가장 굵은 소선의 지름과, 외층 스트랜드(7)에서 가장 굵은 소선의 지름과의 차이를 거의 없게 하고, 구체적으로는 0.1㎜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선 직경과 함께,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의 직경의 차이를 거의 없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1㎜ 이내로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 제조상에서도 장치를 통일화할 수 있다.
특히, 실시형태 3에서는, 외층 스트랜드(7)를 16×7로 구성하고(각각 7개의 소선으로 구성된 16개의 외층 스트랜드(7)), 코어 로프(6)를 6×S(19)+S(19)로 구성하고 있다(19개의 소선을 씰형으로 배치한 6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19개의 소선을 씰형으로 배치한 1개의 코어 스트랜드(1)).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 전체의 소선수를 245개로 억제하면서,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의 소선의 최대지름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내피로성을 높여, 실장(實裝) 밀도, 즉 유효 단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스트랜드(1), 코어 로프 스트랜드(3) 및 외층 스트랜드(7)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에 포함되는 모든 소선의 합계 수는 250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층 피복체(9)를 제외한 로프지름을 8㎜로 하여, 모든 소선의 지름을 0.5㎜ 이하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쉬브의 직경을 최소로 200㎜로 하고, 소선 직경의 400㎜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충분한 굽힘피로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실장 밀도가 높고, 소선 강도도 높기 때문에, 로프지름 8㎜는 수지 피복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로프지름 10㎜에 상당한다. 로프지름 10㎜로 했을 경우의 쉬브의 최소의 직경은 400㎜이기 때문에, 쉬브의 직경을 반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4에서는 코어 스트랜드(1)에 이형 가공을 하지 않는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코어 스트랜드(1)의 단면 형상의 일그러짐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선의 조기의 단선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실시형태 1, 2, 3 또는 4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1)의 상부에는 기계실(1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12) 내에는 기계대(13)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13)상에는 권상기(14)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14)는 구동 쉬브(15) 및 권상기 본체(16)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16)는 구동 쉬브(15)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쉬브(15)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기계대(13)에는 디플렉팅 쉬브(17)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쉬브(15) 및 디플렉팅 쉬브(17)에는 현가수단으로서의 복수 개의 엘리베이터용 로프(18)가 감겨져 있다. 디플렉팅 쉬브(17)에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8)의 구동 쉬브(15)보다도 균형추(20) 측의 부분이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18)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19)이 매달려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19)은 구동 쉬브(15)의 일측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18)에 의해 승강로(1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용 로프(18)의 타단부에는 균형추(20)가 매달려 있다. 즉, 균형추(20)는 구동 쉬브(15)의 타측에서 엘리베이터용 로프(18)에 의해 매달려 있다.
승강로(1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1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21)과, 균형추(20)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2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9)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21)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19)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멈춤장치(23)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타입은 도 5의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멀티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엘리베이터칸(19)을 매달기 위한 로프 이외의 로프, 예를 들면 콤펜세이팅 로프(compensating rope)나 거버너 로프(governor rope)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개의 강제(鋼製)의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와, 상기 코어 스트랜드의 외주에 피복된 수지제의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와, 상기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의 외주에 마련된 복수 개의 강제의 코어 로프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와,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 집합체의 외주에 마련된 수지제의 코어 로프 피복체를 가지는 코어 로프,
상기 코어 로프 피복체의 외주에 마련된 복수 개의 강제의 외층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외층 스트랜드 집합체 및
상기 외층 스트랜드 집합체의 외주에 마련되고, 상기 외층 스트랜드에 접착된 수지제의 외층 피복체를 구비하며,
상기 코어 스트랜드 및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素線)의 외주에 2층의 소선을 묶은 3층 구조이고,
상기 외층 스트랜드는 중심 소선의 외주에 1층의 소선을 묶은 2층 구조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 및 상기 외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는 제조시에 외주로부터 압축되어 있으며, 그들의 소선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異形化)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 및 상기 외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 가운데, 상기 코어 스트랜드를 제외한 스트랜드는 제조시에 외주로부터 압축되어 있으며, 그들의 소선의 단면 형상이 이형화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 및 상기 코어 로프 피복체의 재료는 상기 외층 피복체의 재료보다도 딱딱하고, 또한 동일한 금속재료에 대한 마찰계수가 낮은 엘리베이터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피복체 및 상기 코어 로프 피복체는 가교(架橋)된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층 피복체는 가교된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및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의 단면 구조는 씰형이며, 상기 코어 스트랜드 및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의 소선은 평행하게 서로 꼬여 있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 및 상기 외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의 직경의 차이는 1㎜ 이내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의 소선의 최대지름과,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의 소선의 최대지름과, 상기 외층 스트랜드의 소선의 최대지름과의 차이는 0.1㎜ 이내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 상기 코어 로프 스트랜드 및 상기 외층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랜드에 포함되는 모든 소선의 합계 수는 250개 이하인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20127012789A 2009-12-08 2009-12-08 엘리베이터용 로프 KR20120070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0529 WO2011070648A1 (ja) 2009-12-08 2009-12-08 エレベータ用ロ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606A true KR20120070606A (ko) 2012-06-29

Family

ID=4414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789A KR20120070606A (ko) 2009-12-08 2009-12-08 엘리베이터용 로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11219A1 (ko)
JP (1) JPWO2011070648A1 (ko)
KR (1) KR20120070606A (ko)
CN (1) CN102639424A (ko)
WO (1) WO2011070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6116B2 (ja) * 2012-08-29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6077941B2 (ja) * 2013-06-07 2017-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0348A1 (fr) * 2001-12-12 2003-06-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ble d'ascenseur et dispositif d'ascenseur
KR100623815B1 (ko) * 2003-01-24 2006-09-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EP1820765A4 (en) * 2004-12-08 2011-12-28 Mitsubishi Electric Corp CABLE FOR ELEVATOR AND ELEVATOR
WO2006075384A1 (ja) * 2005-01-14 2006-07-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219A1 (en) 2012-10-17
JPWO2011070648A1 (ja) 2013-04-22
WO2011070648A1 (ja) 2011-06-16
CN102639424A (zh) 201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7147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
JP5976116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6042987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WO2012056529A1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
JP6452839B2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25892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046462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JPWO2006061888A1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077941B2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
KR20040071180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20120070606A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KR100830777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4061958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0744737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