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509B1 -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509B1
KR101330509B1 KR1020087012009A KR20087012009A KR101330509B1 KR 101330509 B1 KR101330509 B1 KR 101330509B1 KR 1020087012009 A KR1020087012009 A KR 1020087012009A KR 20087012009 A KR20087012009 A KR 20087012009A KR 101330509 B1 KR101330509 B1 KR 10133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cleaning
cleaning liquid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299A (ko
Inventor
켄지 시마다
코지로 아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 H01L21/02063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the processing being the formation of vias or contact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09Amines or imines with one to four nitrogen atoms; Quaternized am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03F7/425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containing mineral alkaline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basic compounds, e.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bas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2Electronic devices, e.g. PCBs or semicondu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탄소쇄의 서로 이웃한 위치에 2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가지는 특정 구조를 갖는 폴리아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상기 세정액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의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은 안전성이 높고, 환경면의 부하가 작은 것이며, 반도체 기판 상의 에칭 잔사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때 배선 재료를 전혀 부식하지 않고 미세 가공이 가능하며, 더욱이 린스액으로서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물만으로 린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환경면의 부하가 작고, 고정밀도, 고품질의 회로 배선을 공업적으로 매우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CLEANING SOLUTION FOR SEMICONDUCTOR DEVICE OR DISPLAY DEVICE, AND CLEANING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나 표시 소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피처리물 표면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세정액 및 세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환경면의 부하가 작고, 피처리물 표면의 강고한 부착물을 피처리물 상의 금속 배선, 층간 절연막 등의 반도체 기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거하는 세정액 및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집적화된 LSI 등의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리소그래피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 실리콘 웨이퍼 등의 기판 상에 도전용 배선 재료가 되는 금속막 등의 도전 박막이나 배선간의 절연을 행할 목적의 실리콘 산화막 등의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포토레지스트를 균질하게 도포해 감광층을 마련하고, 이것에 선택적 노광 및 현상 처리를 실시하여 원하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부의 박막에 선택적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박막에 원하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레지스트 패턴을 완전하게 제거한다고 하는 일련의 공정이 취해지고 있다.
최근, 반도체 소자는 고집적화가 진행되어 0.18㎛ 이하의 패턴 형성이 필요해지기 시작해서, 이 가공 치수의 초미세화에 따라 상기 선택적 에칭 처리에 있어서는 드라이 에칭법이 주류가 되어오고 있다. 드라이 에칭 처리에 있어서는, 형성된 패턴 주변부에 드라이 에칭 가스, 레지스트, 피가공막 및 드라이 에칭 장치 내의 처리 부재 등에 기인하는 잔사 (이하, 에칭 잔사라고 칭함)가 생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에칭 잔사가, 특히 비아 홀 내부 및 그 주변부에 잔존하면 고저항화를 초래하거나 전기적으로 단락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초래한다.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에서의 에칭 잔사를 제거하는 세정액으로는, 알칸올 아민과 유기용매의 혼합계로 이루어진 유기 아민계 박리액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2). 그러나, 이들 세정액은 에칭 잔사 및 레지스트 등의 제거 후에 물 세정을 실시했을 경우에는 흡습한 수분에 의해 아민이 해리하여 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금속막 등을 부식하므로 린스액에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필요로 하여 안전면이나 환경면의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 유기 아민계 박리액보다도 에칭 잔사, 레지스트 경화층의 제거 능력이 높은 세정제로서 불소 화합물, 유기용매 및 방식제 등으로 이루어진 불소계 세정액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3, 4). 그러나, 최근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의 드라이 에칭의 조건이 엄격해져 레지스트가 보다 변질함으로써, 상기 불소계 수용액으로는 완전한 제거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들 유기용매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유기 아민계 세정액이나 불소계 세정액 은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안전 대책이나 폐액 처리 등의 경제면, 환경면의 부하가 커서 과대한 대책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수용성 세정액으로서 유기산과 환원제의 수용액인 산계 세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5).
그러나, 이 수용성 세정액으로는 보다 강고하게 변질한 에칭 잔사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다. 또, 환원제는 약액 성분이나 공기 중 성분의 환원으로 소비되므로 품질 유지 기한이 짧고, 또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보관이 필요하다. 더욱이, 수용성 세정액은 강산이므로 폐기에도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여, 경제면과 환경면의 부하를 충분히 저감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배선 소재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에칭 잔사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서의 안전 및 환경면의 부하가 작은 세정액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소62-4935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소64-4265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 평7-201794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공개특허 평11-67632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공개특허 2003-16730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이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배선 공정이나 표시 소자의 배선 공정에서의 드라이 에칭 후에 잔존하는 에칭 잔사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배선 재료나 층간 절연막 등을 산화 또는 부식하지 않고, 또 환경면의 부하가 작은 세정액 및 이것을 이용한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열심히 검토한 결과, 탄소쇄의 서로 이웃한 위치에 2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가지는 특정 구조를 갖는 폴리아민류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세정액, 또는 추가로 산성 화합물이나 염기성 화합물, 혹은 추가로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정액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1. 하기 일반식 (1) 또는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Figure 112008035559403-pct00001
(R1 ~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R1 와 R4는 알킬기인 경우에 서로 결합해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08035559403-pct00002
(R5 ~ R10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산성 화합물 및/또는 염기성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1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3. 불소 화합물을 더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4. 불소 화합물이 불화수소산, 불화암모늄 또는 불화테트라메틸암모늄인 상기 3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세정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의 세정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은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또 공기 중에서 변질하는 일 없이, 비교적 저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고, 환경면의 부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액을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상의 에칭 잔사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때 배선 재료를 전혀 부식하지 않고 미세 가공이 가능하며, 아울러 린스액으로서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물만으로 린스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먼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이하, 단순히 세정액이라고도 함)은 하기 일반식 (1) 또는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112008035559403-pct00003
Figure 112008035559403-pct00004
일반식 (1)에서의 R1 ~ R4 및 일반식 (2)에서의 R5 ~ R10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일반식 (1)에서의 R1 와 R4는 알킬기인 경우에 서로 결합해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또,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 일반식 (1) 및 일반식 (2)에서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랄킬기의 탄소수는 7~11인 것이 바람직하며, 알케닐기의 탄소수는 2~6인 것, 아릴기에서의 탄소수는 6~10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의 구체예로는 에틸렌디아민, 1,2-디아미노프로판, 2,3-디아미노부탄, 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2)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의 구체예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민류는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을 조합해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세정액에서의 일반식 (1) 및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의 농도는 통상 0.0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이다. 0.005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드라이 에칭 후에 잔존하는 에칭 잔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에칭 잔사 제거 성능의 관점에서는 상한을 마련할 필요는 없지만, 경제성이나 환경 부하, 안전성을 감안해 적절한 양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환경면의 부하를 감안하면 물의 농도를 80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액으로는 상기 일반식 (1) 또는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 외에 pH를 조정할 목적으로 산성 화합물 및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산성 화합물 및 염기성 화합물은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또는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는 임의의 pH 영역에서 에칭 잔사 제거 성능을 가지므로, 배선 금속과 층간 절연막의 부식성이나 금속 불순물의 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세정액의 pH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되는 산성 화합물 및 염기성 화합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이면 종류나 농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무기산, 유기산, 염기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무기산의 구체예로는 붕산, 염산, 질산, 아질산, 황산, 아황산, 인산, 아인산, 차아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의 구체예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발레르산, 헵탄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옥살산, 말론산, 말레산, 숙신산, 아디프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이소아스코르브산, 글리옥실산, 벤조산, 톨일산,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의 구체예로는 암모니아,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트리메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 (콜린), 에탄올아민, 히드록실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성 화합물 및/또는 염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 적절히 조합해 이용해도 된다. 또, 산성 화합물 및 염기성 화합물의 농도는 원하는 pH로부터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액은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분한 에칭 잔사 제거 성능을 가지지만, 층간 절연막에 부착된 에칭 잔사를 층간 절연막의 표층과 함께 제거할 목적으로, 불소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로는 불화수소산, 불화암모늄, 산성 불화암모늄 및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불화 제4급 암모늄류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8035559403-pct00005
상기 식 중, R11~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이 일반식 (3)에 있어서도, 알킬기의 탄소수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랄킬기의 탄소수는 7~11인 것이 바람직하며, 알케닐기의 탄소수는 2~6인 것, 아릴기에서의 탄소수는 6~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불화 제4급 암모늄류의 구체예로는 불화테트라메틸암모늄, 불화테트라에틸암모늄, 불화트리에틸메틸암모늄, 불화트리메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 불화테트라에탄올암모늄, 불화메틸트리에탄올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불화수소산, 불화암모늄 및 불화테트라메틸암모늄이다.
본 발명의 세정액에 있어서는, 이 불소 화합물은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 적절히 조합해 이용해도 되며, 또 그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01~1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10중량%이다.
세정액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되며, 양이온성,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 불소계 계면활성제 중 어떠한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도 2종류 이상 적절히 조합해 이용해도 된다.
세정액의 금속 배선 부식 방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식 방지제를 첨가해도 된다. 부식 방지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인산계 킬레이트, 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 아민계 킬레이트, 옥심계 킬레이트, 아세틸렌계 킬레이트 등의 킬레이트 화합물, 방향족 히드록시 화합물, 트리아졸이나 테트라졸 화합물, 당 알코올 및 이들의 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킬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1,2-프로판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히드록시에탄포스폰산 등의 인산계 킬레이트 화합물;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디히드록시에틸글리신, 니트릴로3아세트산, 옥살산,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의 카르복실산계 킬레이트 화합물; 비피리딘, 테트라페닐포르피린, 페난트롤린, 2,3-피리딘디올 등의 아민계 킬레이트 화합물; 디메틸글리옥심, 디페닐글리옥심 등의 옥심계 킬레이트 화합물; 페닐아세틸렌, 2,5-디메틸-3-헥신-2,5-디올 등의 아세틸렌계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피로카테콜, t-부틸카테콜,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피로갈롤, 1,2,4-벤젠트리올, 살리실알코올, p-히드록시벤질알코올, o-히드록시벤질알코올, p-히드록시페네틸알코올, p-아미노페놀, m-아미노페놀, 디아미노페놀, 아미노레조르시놀, p-히드록시벤조산, o-히드록시벤조산, 2,4-디히드록시벤조산, 2,5-디히드록시벤조산, 3,4-디히드록시벤조산, 3,5-디히드록시벤조산, 갈산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졸이나 테트라졸 화합물로는 벤조트리아졸, 아미노트리아졸, 아미노테트라졸 등을 들 수 있다. 당 알코올로는 소르비톨, 자일리톨, 팔라티니트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부식 방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액에서의 부식 방지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5중량%이다.
또, 본 발명의 세정액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부터 세정액에 사용되고 있는 다른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세정액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의 세정 방법에서의 세정 온도는 통상, 상온~70℃이며, 에칭 조건이나 사용되는 반도체 기체나 배선 금속에 의해 적절히 선택한다.
본 발명의 세정 방법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 및 표시 소자는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폴리실리콘, 유리 등의 기판 재료; 산화실리콘, 질화실리콘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의 절연 재료; 티탄, 질화티탄, 탄탈, 탄탈 화합물 등의 배리어 재료; 구리, 텅스텐, 티탄-텅스텐,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크롬, 크롬 합금 등의 배선 재료; 갈륨-비소, 갈륨-인, 인듐-인 등의 화합물 반도체; 크롬 산화물 등의 산화물 반도체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세정액을 이용함으로써 이들 소재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세정하여 에칭 잔사 등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은 필요에 따라 초음파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법에 의해 반도체 기체 상의 에칭 잔사 등을 제거한 후의 린스액으로는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물로 린스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 하층 구리 배선체 상에 CVD 법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과 실리콘 산화막을 순서대로 퇴적시킨 후,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레지스트를 가공하며, 그 후 드라이 에칭 기술을 사용해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원하는 패턴으로 에칭 가공하여 잔존한 레지스트를 제거한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하층 구리 배선체
2 실리콘 질화막
3 실리콘 산화막
4 에칭 잔사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를 세정 후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에칭 잔사 제거 상태
A: 완전하게 제거되었다.
B: 거의 완전하게 제거되었다.
C: 일부 잔존하고 있었다.
D: 대부분 잔존하고 있었다.
(2) 구리의 부식 상태
A: 부식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B: 부식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C: 크레이터 모양 혹은 피트 (pit) 모양의 부식이 확인되었다.
D: 구리층의 전면에 거침이 확인되고, 아울러 구리층의 후퇴가 확인되었다.
(3) 층간 절연막의 부식 상태
A: 부식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B: 부식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C: 비아 홀 측벽에 거침이 확인되었다.
D: 비아 홀 지름이 커져 있었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3
CVD법에 의해 구리 배선체(1) 상에 실리콘 질화막(2)과 실리콘 산화막(3)을 순서대로 퇴적시킨 후,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레지스트를 가공하고, 그 후 드라이 에칭 기술을 사용해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원하는 패턴으로 에칭 가공하여 잔존한 레지스트를 제거한 반도체 소자의 일부 단면을 도 1에 나타낸다. 이 구리 회로 소자에서는 비아 홀 측벽에 에칭 잔사(4)가 잔존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구리 회로 소자를 표 1에 나타낸 세정액을 이용해 소정의 조건으로 세정한 후, 초순수로 린스하고 질소 블로우에 의해 건조했다. 상온에서 1 시간 후에,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표면 상태를 관찰하여 에칭 잔사의 제거성 및 구리 배선체의 부식에 대해 상기 판단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포스파놀은 토호화학공업 주식회사제의 상품명이다.
[표 1]
Figure 112008035559403-pct00006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액 및 세정법을 적용한 실시예 1~6에 있어서는 구리를 완전히 부식하는 일 없이, 층간 절연막의 부식도 전혀 없이 세정할 수 있어 뛰어난 에칭 잔사의 제거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은 안전성이 높고, 환경면의 부하가 작은 것이며, 반도체 기판 상의 에칭 잔사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 때 배선 재료를 전혀 부식하지 않고 미세 가공이 가능하며, 아울러 린스액으로서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물만으로 린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환경면의 부하가 작고, 고정밀도, 고품질의 회로 배선을 공업적으로 매우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일반식 (1) 또는 일반식 (2)로 나타내는 폴리아민류 또는 그 염,
    산성 화합물 및 염기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불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Figure 112013063241587-pct00007
    (R1 ~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나타낸다. 단, R1 와 R4는 알킬기인 경우에 서로 결합해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13063241587-pct00008
    (R5 ~ R10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아랄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히드록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또는 알콕시알킬기를, n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불소 화합물이 불화수소산, 불화암모늄 또는 불화테트라메틸암모늄인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세정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의 세정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87012009A 2005-12-01 2006-11-24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 KR101330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8106 2005-12-01
JP2005348106 2005-12-01
PCT/JP2006/323408 WO2007063767A1 (ja) 2005-12-01 2006-11-24 半導体素子又は表示素子用洗浄液および洗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299A KR20080073299A (ko) 2008-08-08
KR101330509B1 true KR101330509B1 (ko) 2013-11-15

Family

ID=3809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009A KR101330509B1 (ko) 2005-12-01 2006-11-24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98914B2 (ko)
EP (1) EP1959303B1 (ko)
JP (1) JP5251128B2 (ko)
KR (1) KR101330509B1 (ko)
TW (1) TWI397953B (ko)
WO (1) WO2007063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8975B2 (en) * 2006-06-09 2015-06-16 Lam Research Corporation Cleaning solution formulations for substrates
JP5206622B2 (ja) * 2009-08-07 2013-06-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金属微細構造体のパターン倒壊抑制用処理液及びこれを用いた金属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
JP5377197B2 (ja) * 2009-09-28 2013-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JP2011207002A (ja) * 2010-03-29 2011-10-20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メンテナンス液、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メンテナンス液の製造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
TWI568859B (zh) * 2010-04-15 2017-02-01 恩特葛瑞斯股份有限公司 廢棄印刷電路板之回收利用方法
JP2012032757A (ja) * 2010-07-06 2012-02-16 Tosoh Corp レジスト剥離剤及びそれを用いた剥離方法
US8916479B1 (en) * 2013-06-10 2014-12-23 Intermolecular, Inc. Selective etching of titanium nitride
EP3051577B1 (en) * 2013-11-08 2017-10-18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Cleaning agent for semiconductor substrate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substrate surface
US9957469B2 (en) 2014-07-14 2018-05-01 Versum Materials Us, Llc Copper corrosion inhibition system
JP6689991B2 (ja) * 2016-08-31 202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処理液、基板の洗浄方法、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1254A2 (en) * 1999-09-28 2001-04-1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st stripping composition
EP1400858A1 (en) * 2001-06-29 2004-03-2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hotoresist stripp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55B2 (ja) 1985-08-10 1994-02-16 長瀬産業株式会社 剥離剤組成物
EP0232092A3 (en) * 1986-01-28 1988-08-17 Robert Goldm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moving tarnish from household articles
JP2578821B2 (ja) 1987-08-10 1997-02-05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ホトレジスト用剥離液
JP3264405B2 (ja) 1994-01-07 2002-03-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半導体装置洗浄剤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755776B2 (ja) * 1996-07-11 2006-03-15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リソグラフィー用リンス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の処理方法
JPH1167632A (ja) 1997-08-18 1999-03-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半導体装置用洗浄剤
JP4224651B2 (ja) * 1999-02-25 2009-02-1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レジスト剥離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EP1211563B1 (en) 2000-11-30 2011-12-21 Tosoh Corporation Resist stripper composition
WO2002094462A1 (fr) * 2001-05-22 2002-11-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de de nettoyage de la surface d'un substrat
JP2003016730A (ja) 2001-06-29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CN100338530C (zh) * 2001-11-02 2007-09-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剥离抗蚀剂的方法
KR101017738B1 (ko) 2002-03-12 2011-02-28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포토레지스트 박리제 조성물 및 세정 조성물
JP4304909B2 (ja) * 2002-04-03 2009-07-29 東ソー株式会社 洗浄剤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方法
JP4359754B2 (ja) * 2003-07-03 2009-11-0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基板の洗浄剤
JP2005060660A (ja) * 2003-07-31 2005-03-10 Sumitomo Chemical Co Ltd 半導体基板用洗浄液
KR100795364B1 (ko) * 2004-02-10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판용 세정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및도전성 구조물의 제조 방법
JP4440689B2 (ja) 2004-03-31 2010-03-24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
EP1628336B1 (en) * 2004-08-18 2012-01-0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Cleaning liquid and cleaning method
KR20100044777A (ko) * 2007-07-26 2010-04-30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세정 방식용 조성물 및 반도체소자 또는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1254A2 (en) * 1999-09-28 2001-04-1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st stripping composition
EP1400858A1 (en) * 2001-06-29 2004-03-2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hotoresist stripp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51128B2 (ja) 2013-07-31
TWI397953B (zh) 2013-06-01
EP1959303A1 (en) 2008-08-20
US7998914B2 (en) 2011-08-16
JPWO2007063767A1 (ja) 2009-05-07
WO2007063767A1 (ja) 2007-06-07
EP1959303A4 (en) 2010-01-27
EP1959303B1 (en) 2017-08-23
US20100152085A1 (en) 2010-06-17
TW200731371A (en) 2007-08-16
KR20080073299A (ko)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509B1 (ko) 반도체 소자 또는 표시 소자용 세정액 및 세정 방법
CN107527808B (zh) 蚀刻组合物和使用所述蚀刻组合物的方法
KR101047776B1 (ko) 세정액 및 이를 이용한 세정방법
JP4456424B2 (ja) フォトレジスト残渣及びポリマー残渣除去組成物
US7572758B2 (en) Cleaning liquid and cleaning method
KR100736061B1 (ko) 플라즈마 에칭 잔류물 제거용 비부식성 세정 조성물
KR100857865B1 (ko) 세정 제제
JP4810928B2 (ja) 洗浄液および洗浄法。
KR102040667B1 (ko) 세정 포뮬레이션
TWI399622B (zh) Release agent composition
US20080076688A1 (en) Copper passivating post-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2003289060A (ja) 半導体デバイス用基板の洗浄液および洗浄方法
WO2004094581A1 (en) Aqueous fluoride compositions for cleaning semiconductor devices
TWI734149B (zh) 後蝕刻殘留物的清潔組合物及其使用方法
JP2009212383A (ja) 洗浄剤組成物及び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JP4374989B2 (ja) 洗浄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方法
JP4651269B2 (ja) 洗浄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法
KR101101378B1 (ko) Tft-lcd용 세정액 조성물
JP4772107B2 (ja) 洗浄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法
JP4530146B2 (ja) 洗浄液および洗浄法。
JP2006059908A (ja) 洗浄液および洗浄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