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470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470B1
KR101330470B1 KR1020110034619A KR20110034619A KR101330470B1 KR 101330470 B1 KR101330470 B1 KR 101330470B1 KR 1020110034619 A KR1020110034619 A KR 1020110034619A KR 20110034619 A KR20110034619 A KR 20110034619A KR 101330470 B1 KR101330470 B1 KR 10133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member
contact
conductor
balanced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544A (ko
Inventor
쇼이치로 다마키
기요카즈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시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20)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 (23A) 가 형성된 휠 수 있는 탄성 아암부 (23) 와, 평형 도체 (F) 에 대하여 탄성 아암부 (23) 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부 (21) 와, 탄성 아암부 (23) 에 대하여 지지 아암부 (21) 를 연결하는 연결부 (24) 를 갖고, 지지 아암부 (21) 의 후단부에 가동 부재 (30) 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 (21A) 가 형성되며, 접속부 (25) 는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동 부재 (30) 는,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 범위 내의 중간 위치로부터 가동 범위 종단 위치를 향하여, 상하 방향에서, 가압부 (35) 가 접촉부 (23A) 에 대하여 간섭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간섭량은 상기 가동 범위의 종단 바로 앞 위치에서 최대값을 취하고, 가동 범위 종단 위치에서 그 최대값보다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특히 가요성이 큰 매우 얇은 평형 도체에 바람직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로는 플렉시블 기판 (FPC), 플랫 케이블 (FFC), 또한 이들보다 대폭 얇고 가요성이 큰 필름 상에 칩이 배치된 칩 온 필름 (COF)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는, 일반적으로 일방의 면에 보강판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타방의 면에 도선이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다극의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다극의 전기 커넥터는, 단자를 상기 평형 도체에 대응시켜 조밀하게 배열하기 위하여,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를 판면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하여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단자 (컨택트) 는, 하우징의 상벽부 하면측에서 유지되는 상아암부 (슬라이더 걸어맞춤부) 와, 자유단측이 그 상아암부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아암부 (탄성 접촉각(脚)) 와, 상기 상아암부와 하아암부의 기부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로부터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납땜각(脚)) 를 갖고 있다. 상기 상아암부는, 상기 하아암부 상에 배치되는 평형 도체를 그 하아암부에 누르는 가동 부재 (슬라이더) 를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 가동 부재는 축부를 갖고 있고, 평형 도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회전 운동을 수반한 이동을 하여, 돌출부로서 형성된 가압부로 평형 도체를 누른다. 그 가압부는,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상기 단자의 하아암부가 자유 상태일 때, 그 하아암부에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의 위치보다 하방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에서, 가압부는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부와 간섭량을 갖는다. 실제 사용시에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 상태일 때에 평형 도체가 삽입된 후에, 가동 부재는 닫힘 위치로 이동한다. 요컨대, 가압부와 접촉부 사이에는 평형 도체가 개재된다. 그 결과, 가압부에 의해 눌린 평형 도체는 접촉부를 눌러 하아암부를 휨 변형시키고, 그 접촉부는 하방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간섭량의 대부분은 이 접촉부의 변위량으로 치환되어 버려, 간섭량으로서는 그다지 남지 않는다.
상기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를 향할 때의 상기 접촉부의 변위량은, 가동 부재가 최종적인 닫힘 위치에 도달하여도 변화되지 않는다. 이 변위량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평형 도체와 접촉부 사이의 접압(接壓)이 확보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29618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어 평형 도체를 누르고, 그로 인해 단자의 접촉부를 변위시키며, 그 변위량이 최대값에 도달하면, 그 후에 가동 부재가 최종 위치로서의 닫힘 위치에 도달하여도 변위량이 그 값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접압을 확보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변위량을 유지할 수 있지만 그 변위량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클릭감이 결여되어, 가동 부재가 언제 닫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혹은 닫힘 위치에 도달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없다.
클릭감을 갖게 하려면, 일단 변위량이 최대값에 도달한 후에, 닫힘 위치에서 그 변위량이 작아지는 것 그리고 그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동 부재의 가압부를, 큰 볼록부를 갖는 형상과 그 볼록부가 통과하는 동안의 시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고, 이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부재의 높이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 하는 것을 의미하여, 결과적으로 동 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시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수용부에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와 하우징 밖에서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있는 복수의 단자가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의 단자 홈에서 배열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를 각각 시단 그리고 종단으로 하는 가동 범위를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를 갖고, 그 가동 부재는 평형 도체를 누르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가 형성된 휠 수 있는 탄성 아암부와,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탄성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부와, 상기 탄성 아암부에 대하여 그 지지 아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지지 아암부의 선단 부분에 가동 부재를 상기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 범위 내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가동 범위 종단 위치를 향하여,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 방향에서, 상기 가압부가 접촉부에 대하여 간섭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간섭량은 상기 가동 범위의 종단 바로 앞 위치에서 최대값을 취하고, 가동 범위 종단 위치에서 그 최대값보다 작은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가동 부재가, 상기 간섭량이 최대값인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 그 간섭량, 바꿔 말하면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단자 접촉부의 변위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상기 닫힘 위치에서도 간섭량 (변위량) 이 남아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와 상기 접촉부의 접압이 확보된다.
가동 부재는, 적어도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단자 배열 범위 외에서 평형 도체의 폭 방향 양 단부(端部)에 상당하는 위치에, 평형 도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규제부가 평형 도체의 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평형 도체가 매우 얇은 경우, 그 평형 도체가 폭 방향 양 단에서 상방으로 만곡 변형되어 삽입되어, 폭 방향에서의 양 단측 부분이 가동 부재와 하우징의 간극에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규제부로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규제함으로써, 그 평형 도체가 가동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가동 부재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그 가동 부재의 가압부가 전후 방향에서 단자의 접촉부와 중복되는 범위에 그리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단자끼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그 가압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접촉부를 양 측방과 후방의 3 방에서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압부의 가장자리가 접촉부를 둘러쌈으로써 접촉 영역을 크게 취하여 접촉을 확실하게 하고, 특히 평형 도체가 매우 얇은 경우라도 접촉 영역의 형상이 안정되어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단자의 접촉부는, 평형 도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형상을 이루고 있고, 평형 도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 부재의 가압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접촉부의 정상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가장자리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 가압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의 탄성 변위량을 최대로 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부재의 가압부가, 전후 방향에서, 단자 접촉부의 후방 가장자리의 범위 내에서 그 접촉부의 탄성 변위량을 최대로 하는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동 방향에서 접촉부 정상부의 위치에서 상기 탄성 변위량이 최대가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촉부의 최대 변위량을 크게 확보하면서 그 최대 변위량을 조속히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최대 변위량으로부터 최종 변위량까지 감소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큰 클릭감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복수의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제 1 단자의 접촉부와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자의 접촉부와 제 2 단자의 접촉부를 전후 방향에서 어긋나게 위치시킴으로써, 평형 도체의 대응 회로부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평형 도체에 대한 접촉 위치가 전후 방향 그리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분포되므로, 특히 평형 도체가 매우 얇은 경우에 있어서, 전후 방향 그리고 단자 배열 방향 양방에서의 그 평형 도체의 파동량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와 단자의 양호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그 평형 도체의 필름 상에 형성된 회로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 부재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에 상당하는 가동 범위의 종단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에, 종단 위치 전에서 단자의 접촉부와의 간섭량이 최대값을 취하고, 상기 종단 위치에서 이 최대값보다 작은 간섭량을 갖도록 했기 때문에, 평형 도체를 삽입 후에 가동 부재를 닫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 이 평형 도체의 개재에 의해, 상기 간섭량보다 작아져 버리지만, 가압부에 의해 접촉부에 변위량을 갖게 한다. 이 변위량은, 상기 간섭량 최대의 위치에서 최대가 되고, 닫힘 위치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이 사이에서 클릭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닫힘 위치에서는 남은 변위량에 의해 평형 도체의 접압이 확보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B)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C) 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단부 근처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C) 의 Ⅳ-Ⅳ 단면도이고, 커넥터의 단부 근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평형 도체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B)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C) 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으로서, 단자의 접촉부 및 가동 부재의 가압부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A) 는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B) 는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는,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B)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C) 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 은, 도 1 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단부 근처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간단히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됨과 함께, COF 인 평형 도체 (F) (도 5 참조) 가 전방 (도 2 에 있어서의 우측) 을 향하여 삽입되고, 그 평형 도체 (F) 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이다. 상기 COF 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0.046 ㎜ 정도이다. 또한, COF 와는 달리, 그 COF 보다 두께를 갖는 평형 도체인 FPC, FFC 는 일반적으로 약 0.2 ∼ 0.3 ㎜ 정도이다.
커넥터 (1) 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고 전기 절연재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등간격으로 배열 유지되는 금속 제의 복수의 단자 (20) 와, 그 하우징 (10) 및 복수의 단자 (20) 에 의해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전기 절연재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가동 부재 (30) 와, 하우징 (10) 의 단자 배열 방향 양 단부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금속 제의 고정 금구 (40) 를 갖고 있다. 상기 가동 부재 (30) 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을 허용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 (F) 를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형 도체 (F) 는,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 배열 방향(도 2 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에 직각인 방향) 에서 복수의 단자 (20) 와 각각 대응된 위치에, 그 단자 (20) 와 접속되는 대응 회로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은, 저벽 (11) 과, 그 저벽 (11) 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 삽입 방향에서의 전방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벽(前壁) (12) 과, 그 전벽 (12) 의 상부로부터 전후 방향에서의 하우징 (10) 의 대략 중앙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벽 (13) 과, 단자 배열 방향 (평형 도체의 폭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 에서 하우징 (10) 의 양 단 위치에서 저벽 (11)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 (14) (도 2 에는 도시 생략) 을 구비하고 있다. 그 하우징 (10) 에는,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단자 유지 홈 (15) 이 그 하우징 (10) 의 단자 배열 방향에 등간격으로 전후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10) 은, 단자 배열 범위에서 후부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절결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 홈 (15) 은, 하우징 (10) 의 저벽 (11), 전벽 (12) 및 상벽 (13) 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그 전벽 (12) 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단자 (20) 의 피유지부 (27) 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구멍부 (12A) 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 3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측벽 (14) 은, 상방 그리고 후방으로 개방된 수용 오목부 (14A) 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그 가동 부재 (30) 의 후술하는 단판부(端板部) (34) 가 그 수용 오목부 (14A)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 수용 오목부 (14A) 를 형성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벽부를 갖고 있으며, 그 중 일방인 단자 배열 범위 근처에 위치하는 벽부는,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는 범위와 그 범위 외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구분하는 격벽 (14B) 을 이루고 있다. 또한, 타방인 단자 배열 범위로부터 떨어진 측에 위치하는 벽부는 하우징 (10) 의 단벽(端壁) (14C) 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격벽 (14B) 과 단벽 (14C) 을 연결하는 그 수용 오목부 (14A) 의 하벽 (14D) 은, 상기 단벽 (14C) 근처 위치에, 고정 금구 (40) 를 유지하기 위한 슬릿 형상의 고정 금구 유지 홈 (14E) 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 4 참조)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상반부는,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통되어 후부에서 상방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 공간의 하반부는, 후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F)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16) 을 이루고 있다.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수용 공간 (16) 의 전방부는 상벽 (13) 의 하방 위치까지 미치고 있다. 또한, 상기 개방 공간의 상반부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가동 부재 (30) 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7) 을 이루고 있다.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20) 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고, 예를 들어 타발(打拔)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으며, 판면에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 (10) 에 배열되어 있다. 그 단자 (20) 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 (도 2 에서 우측) 을 향하여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 홈 (15) 에 장착된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는, 단자 유지 홈 (15) 내의 상부에서 상벽 (13) 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고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7) 을 향하여 아암 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 (21) 와, 단자 유지 홈 (15) 의 하부에서 저벽 (11) 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22) 와, 상하 방향에서의 지지 아암부 (21) 와 연장 아암부 (22) 의 중간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아암부 (23)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아암부 (21), 연장 아암부 (22) 및 탄성 아암부 (23) 각각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24) 와, 그 연장 아암부 (22) 의 후단으로부터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25) 를 갖고 있다. 또한, 그 단자 (20) 는, 연결부 (24) 의 하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피유지부 (27) 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 아암부 (21) 는,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7) 내에 위치하는 후단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오목 형상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의 회전 운동 중심이 되는 축부 (32) 를 수용함과 함께, 그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때에 그 축부 (32) 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한다.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회전 운동 지지부 (21A) 의 상측 가장자리의 후단부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아암부 (23)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지지 아암부 (21)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와 거의 동 위치가 되는 연장 아암부 (22) 의 중간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하면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23A) 가 그 탄성 아암부 (23) 의 후단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수용 공간 (16) 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접촉부 (23A) 의 정상부는, 전후 방향에서, 후술하는 가동 부재 (30) 의 축부 (32) 의 회전 운동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 (25) 는, 그 하측 가장자리부가 하우징 (10) 의 저벽 (11)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여, 그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접속부 (25) 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로서의 끼워 붙임부 (25A) 가 전방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워 붙임부 (25A) 가 하우징 (10) 의 저벽 (11) 의 후단부에 끼워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유지부 (27) 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피유지 돌기부 (27A) 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피유지 돌기부 (27A) 가 그 유지 구멍부 (12A) 의 내벽면에 파고들도록 되어 있다.
가동 부재 (30) 는, 평형 도체 (F) 를 단자 (20) 의 접촉부 (23A) 를 향하여 하방으로 누르는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 가동 부재 (30) 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자세를 이루고 하우징 (10) 의 수용 공간 (16) 을 개방하여 평형 도체 (F) 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열림 위치와,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자세를 이루고 단자 (20) 의 접촉부 (23A) 에 대한 평형 도체 (F) 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동 부재 (30) 는, 도 1 에 상세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하우징 (10) 과 거의 동 치수를 이루고 그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30) 는, 도 1, 도 2(A)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20) 에 대응한 위치에서, 단자 (20) 의 판두께 치수보다 약간 넓은 홈 폭의 슬릿 형상을 이루는 홈부 (31) 가 상기 열림 위치에서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에 상세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의 하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단자 배열 범위에서 빗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홈부 (31) 는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의 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도 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는, 그 홈부 (31) 와 타부의 경계 위치에서의 후방 근처 위치에서 홈부 (31) 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 (30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 (30A) 는, 도 2(A) 에서의 후면이,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를 후술하는 가압부 (35) 와 함께 하방을 향하여 압압하는 가압면으로서 기능한다. 도 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돌출부 (30A) 의 전방 가장자리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그 돌출부 (30A) 가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것과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31) 에는,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가동 부재 (30) 의 하단부 근처 위치에 축부 (32) 가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부 (32) 에 의해 홈부 (31) 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 대향하는 벽면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그 축부 (32) 는, 도 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원형의 하단부를 절결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격벽 (14B) 과 동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가져와졌을 때에 그 격벽 (14B) 을 수용하는 수용 홈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양방의 수용 홈부 (3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조작부로서, 또한 그 수용 홈부 (33) 보다 단자 배열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양 단측 부분은 단판부 (34) 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0) 에 있어서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홈부 (31) 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후부는, 그 가동 부재 (30) 가 가동 범위에서의 중간 위치 그리고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 (F) 를 단자 (20) 의 접촉부 (23A) 를 향하여 하방으로 누르는 가압부 (35)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C)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압부 (35)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단자 (20) 의 접촉부 (23A) 와 중복되는 범위를 갖고 있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는, 단자 배열 범위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단자 유지 홈 (15) 과 격벽 (14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그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규제부 (36) 를 갖고 있다. 그 규제부 (36) 는, 평형 도체 (F) 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평형 도체 (F) 의 상면에 맞닿았을 때에는, 그 규제부 (36) 에 의해 그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규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규제부 (36) 의 하면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그 가동 부재 (30) 에 있어서,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를 포함하는, 상기 규제부 (36) 이외의 부분의 하면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지는 것과 같은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의 전단이 상기 테이퍼면에 의해 단자 (20) 의 지지 아암부 (21) 와 탄성 아암부 (23) 사이에 안내되므로, 그 평형 도체 (F) 를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2(A) 의 열림 위치를 시단으로 하고, 도 2(C) 의 닫힘 위치를 종단으로 하는 가동 범위에서 가동 부재 (30) 를 회전 운동시켰을 때, 그 가동 범위에서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닫힘 위치를 향하여, 가동 부재 (30) 의 가압부 (35) 는, 상하 방향 (평형 도체 (F) 의 가압 방향) 에서 단자 (20) 의 접촉부 (23A) 에 대하여 간섭량을 갖고 있다. 가동 부재 (30) 의 가압부 (35) 는, 도 2(B) 에 나타내는 상기 가동 범위에서의 닫힘 위치의 전방 위치에서, 가압부 (35) 중 축부 (32) 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부분인 모서리부 (35A) 가 최하 위치로 가져와지고, 그 결과 상기 간섭량은 최대값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 (35) 는, 도 2(C) 의 닫힘 위치에서 도 2(B) 의 위치보다 상방으로 가져와지기 때문에, 그 닫힘 위치에서 상기 간섭량은 상기 최대값보다 작은 값으로 잔존한다. 도 2(B), (C) 에서는 상기 가압부 (35) 가 상기 접촉부 (23A) 와 간섭하고 있는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단자 (20) 의 접촉부 (23A) 는 가동 부재 (30) 의 홈부 (31) 내에 하방으로부터 수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 (35) 가 상기 접촉부 (23A) 와 상하 방향에서 간섭하도록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를 삽입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 (35) 는 평형 도체 (F) 를 상기 접촉부 (23A) 를 향하여 하방으로 압압하고, 간섭량에 따라 그 접촉부 (23A) 가 하방으로 변위된다. 즉, 간섭량이 클수록 상기 접촉부 (23A) 의 변위량도 커진다.
도 4 는, 도 2(C)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의 Ⅳ-Ⅳ 단면도로서, 커넥터 (1) 의 단부 근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 (20) 의 접촉부 (23A) 의 위치에서 커넥터 (1) 를 상방으로부터 본 횡단면이다. 도 4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부재 (30) 의 홈부 (31) 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그 홈부 (31) 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 바꿔 말하면 가압부 (35) 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접촉부 (23A) 를 양 측방 (도 4 에서 좌우 방향) 및 후방 (도 4 에서 하방) 의 3 방에서 U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둘러싸고 있다.
고정 금구 (40) 는, 금속판을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3, 4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자세로 하우징 (10) 의 슬릿 형상의 고정 금구 유지 홈 (14E) 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40) 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됨으로써, 커넥터 (1)가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 (1) 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먼저, 하우징 (10) 의 후방 (도 2 에서 좌측) 으로부터, 단자 (20) 를 그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 홈 (15) 에 전방 (도 2 에서 우측) 을 향하여 압입해서 장착한다. 상기 단자 (20) 는, 피유지부 (27) 가 유지 구멍부 (12A) 내에 압입되고 그 피유지부 (27) 의 피유지 돌기부 (27A) 가 그 유지 구멍부 (12A) 의 내벽면에 파고듦과 함께, 접속부 (25) 의 끼워 붙임부 (25A) 가 하우징 (10) 저벽 (11) 의 후단부에 끼워 붙여짐으로써, 그 단자 유지 홈 (15) 내에서 유지된다.
다음으로, 상하 방향 (수직 방향) 으로 연장된 자세에서 가동 부재 (30) 를 유지한 채로, 그 가동 부재 (30) 의 홈부 (31) 에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를 전방으로부터 진입시킨 후, 그 가동 부재 (30) 의 축부 (32) 가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내에 하방으로부터 수용되도록 하여 그 가동 부재 (30) 를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7) 에 배치한다. 상기 홈부 (31) 에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를 진입시킬 때, 가동 부재 (30) 의 돌출부 (30A) 의 하단이 회전 운동 지지부 (21A) 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그 회전 운동 지지부 (21A) 가 전후 방향에서 가동 부재 (30) 의 축부 (32) 와 동 위치에 도달하여 그 축부 (32) 의 바로 위에 가져와졌을 때, 상기 돌출부 (30A) 의 전방 가장자리와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 (21A) 의 후단이 테이퍼 형상 부분끼리 서로 회피하므로, 그 돌출부 (30A) 와 회전 운동 지지부 (21A) 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상기 가동 부재 (30) 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축부 (32) 를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내에 넣은 후, 고정 금구 (40) 를 하우징 (10) 의 고정 금구 유지 홈 (14E) 에 전방으로부터 압입하여 장착한다. 이 결과, 가동 부재 (30) 가 하우징 (10) 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되고,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 동작을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평형 도체 (F) 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의 커넥터 (1)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고, (A) 는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B) 는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중간 위치에 있을 때, (C) 는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를 열림 위치에 가져온다. 다음으로, 하우징 (10) 의 수용 공간 (16) 내에 평형 도체 (F) 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도 5(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평형 도체 (F) 는, 단자 (20) 의 지지 아암부 (21) 와 탄성 아암부 (23) 사이에,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이 하우징 (10) 의 전벽 (12) 의 후면에 맞닿는 정규 위치까지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COF 인 경우, 그 얇음 때문에 그 평방 도체 (F) 가 폭 방향 양 단에서 상방으로 만곡 변형되어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30) 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 (F) 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규제부 (36)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규제부 (36) 가 그 평형 도체 (F) 의 양 단부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규제함으로써, 평형 도체 (F) 가 가동 부재 (30) 와 하우징 (10) 의 격벽 (14B)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시킨다. 회전 운동 도중에 있어서, 그 가동 부재 (30) 의 가압부 (35) 의 모서리부 (35A) 는, 평형 도체 (F) 를 단자 (20) 의 접촉부 (23A) 를 향하여 하방으로 누른다. 이 결과, 탄성 아암부 (23) 는 하방을 향하여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 (23A) 도 하방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가동 부재 (30) 가, 도 5(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닫힘 위치의 바로 앞 위치에서, 상기 가압부 (35) 의 모서리부 (35A) 는 가동 부재 (30) 의 가동 범위에 있어서의 최하 위치에 가져와져 있고, 이 위치에서 상기 접촉부 (23A) 의 변위량이 최대값이 된다.
또한, 가동 부재 (30) 가 회전 운동되어, 도 5(C) 의 닫힘 위치에 가져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 (F) 는 매우 얇은 COF 이고, 상기 도 5(B) 의 위치에서, 그 가요성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으로 파동치고 있으므로, 가동 부재 (30) 는 그 도 5(B) 에서의 위치를 원활히 타고 넘어 상기 닫힘 위치에 가져와진다. 그 닫힘 위치에서는, 그 가동 부재 (30) 의 단판부 (34) 는 하우징 (10) 의 수용 오목부 (14A) 내에 수용됨과 함께, 그 하우징 (10) 의 격벽 (14B) 이 그 가동 부재 (30) 의 수용 홈부 (33) 내에 수용된다.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가져와질 때, 상기 접촉부 (23A) 의 변위량이 감소하므로, 이 때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그러나, 그 닫힘 위치에 있어서도, 접촉부 (23A) 의 변위량은 감소하지만 남아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 (F) 와 상기 접촉부 (23A) 의 접압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매우 얇은 COF 인 경우에는, 회전 운동 도중에 있어서 탄성 변형되어 약간 파동치고 있던 평형 도체 (F) 가, 닫힘 위치에서 거의 평탄하게 복원되므로, 상기 접촉부 (23A) 의 변위량은 간섭량에 대하여 크게 감소하는 경우가 없고, 그 접촉부 (23A) 의 충분한 변위량 나아가서는 평형 도체 (F) 와의 충분한 접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힘 위치에 있어서, 가동 부재 (30) 의 홈부 (31) 에 의해, 단자 (20) 의 접촉부 (23A) 가 양 측방 및 후방의 3 방에서 둘러싸이기 때문에, 접촉 영역을 크게 취함으로써 평형 도체 (F) 와 상기 접촉부 (23A) 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OF 와 같이 매우 얇은 평형 도체인 경우에도 접촉 영역의 형상이 안정되어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의 접촉부 (23A) 의 정상부가 가동 부재 (30) 의 축부 (32) 의 회전 운동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그 접촉부 (23A) 의 정상부가 평형 도체 (F) 를 개재하여 가동 부재 (30) 로부터 받는 압압력에 대한 가동 부재 (30) 로의 반력에서 기인하는 상기 회전 운동 중심 주위의 회전 모멘트는, 그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에 유지시키는 방향, 즉 도 2(C) 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그 가동 부재 (30) 에 작용한다. 따라서, 가동 부재 (30) 는 닫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평형 도체 (F) 와 접촉부 (23A) 의 접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에 가져오게 함으로써,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는 후방으로부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단자를 장착하는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방,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2 종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접촉부가 전후 방향에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1 종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모든 단자의 접촉부가 전후 방향에서 동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으로서 단자의 접촉부 및 가동 부재의 가압부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는 일방의 종류의 제 1 단자 (50) 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B) 는 타방의 종류의 제 2 단자 (60) 의 위치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에서는, 가동 부재 (30) 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의 가동 범위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있고, 그 가동 부재 (30) 의 가압부 (35) 가 후술하는 제 2 단자 (60) 의 후방 가장자리를 향하여 평형 도체 (F) 의 압압을 개시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 (50) 및 제 2 단자 (60) 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제 1 단자 (50) 및 제 2 단자 (6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 제 1 단자 (50) 는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 홈 (15) 내에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고, 그 제 2 단자 (60) 는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 홈 (15) 내에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50) 의 탄성 아암부 (53) 는 제 2 단자 (60) 의 탄성 아암부 (63) 보다 후방 (도 6 에서 좌측) 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탄성 아암부 (53) 의 접촉부 (53A) 는 상기 탄성 아암부 (63) 의 접촉부 (63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그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 즉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부 (63A) 의 정상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는, 그 일부가 접촉부 (53A) 와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단자 (60) 의 접촉부 (63A) 의 정상부는, 전후 방향에서, 가동 부재 (30) 의 축부 (32) 의 회전 운동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 (50) 의 접촉부 (53A) 와 제 2 단자 (60) 의 접촉부 (63A) 를 전후 방향에서 어긋나게 위치시킴으로써, 평형 도체 (F) 에 대한 접촉 위치가 전후 방향 그리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분포되므로,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COF 인 경우에 있어서, 전후 방향 그리고 단자 배열 방향의 양방에서의 그 COF 의 파동량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COF 와 단자 (50, 60) 의 양호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그 COF 의 필름 상에 형성된 회로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 (53A, 63A) 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접촉부 (53A, 63A) 의 정상부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 즉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부 (63A) 의 정상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는, 접촉부 (53A) 의 후방 가장자리보다 완만하게 경사져 있고, 전후 방향에서 그 접촉부 (53A) 의 후방 가장자리보다 긴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도 6(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0) 의 가압부 (35) 에 의해 평형 도체 (F) 가 상기 제 2 단자 (60) 의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를 향하여 상방으로부터 눌렸을 때, 이와 동시에, 그 평형 도체 (F) 는, 상기 제 1 단자 (50) 의 접촉부 (53A) 의 정상부에 의해 반력으로 하방으로부터 눌려,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는 완만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의 경사를 도시하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후방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 (F) 가 압압되는 부위 (이하, 「피압 부위」라고 한다) 가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 만큼, 그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의 피압 부위와 제 1 단자 (50) 의 접촉부 (53A) 정상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차이가 작아진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 가 굴곡되는 각도가 작아지므로, 평형 도체 (F) 의 회로부의 파손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6(A), (B) 에 있어서, 가동 부재 (30) 의 가동 범위에 있어서의 가압부 (35) 의 모서리부 (35A) 의 궤적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A), (B)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 (35) 의 모서리부 (35A) 는, 먼저 상기 제 2 단자 (60) 의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단자 (50) 의 접촉부 (53A) 와 중복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평형 도체 (F) 를 개재하여 상기 접촉부 (63A) 를 압압한 후, 전후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 (63A) 의 후방 가장자리의 범위 내에서 최하 위치에 가져와진다. 요컨대, 그 접촉부 (63A) 는, 상기 가압부 (35) 가 상기 후방 가장자리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 탄성 변위량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에서 접촉부의 정상부의 위치에서 탄성 변위량이 최대가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촉부 (63A) 의 최대 변위량을 크게 확보하면서 그 최대 변위량이 발생하는 시기를 조속히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최대 변위량으로부터 최종 변위량까지 감소시키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큰 클릭감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 (60) 의 접촉부 (63A) 의 정상부가 가동 부재 (30) 의 축부 (32) 의 회전 운동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 부재 (30) 를 닫힘 위치로 유지하는 방향, 즉 도 2(C) 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에서 회전 모멘트가 그 가동 부재 (30) 에 작용한다. 따라서, 가동 부재 (30) 는 닫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평형 도체 (F) 와 접촉부 (53A, 63A) 의 접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가 전방으로부터 그리고 제 2 단자가 후방으로부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단자를 장착하는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예를 들어 전방,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도록 하여도 된다.
1 : 커넥터 30 : 가동 부재
10 : 하우징 35 : 가압부
16 : 수용 공간 (수용부) 36 : 규제부
20 : 단자 50 : 제 1 단자
21 : 지지 아암부 53 : 탄성 아암부
21A : 회전 운동 지지부 (지지부) 53A : 접촉부
23 : 탄성 아암부 60 : 제 2 단자
23A : 접촉부 63 : 탄성 아암부
24 : 연결부 63A : 접촉부
25 : 접속부

Claims (5)

  1. 하우징의 수용부에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와 하우징 밖에서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있는 복수의 단자가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의 단자 홈에서 배열 유지되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는 닫힘 위치를 각각 시단 그리고 종단으로 하는 가동 범위를 움직일 수 있는 가동 부재를 갖고, 그 가동 부재는 평형 도체를 누르기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가 형성된 휠 수 있는 탄성 아암부와,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탄성 아암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부와, 상기 탄성 아암부에 대하여 그 지지 아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지지 아암부의 선단 부분에 가동 부재를 상기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는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가동 범위 내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가동 범위 종단 위치를 향하여,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 방향에서, 평형 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접촉부에 대하여 간섭량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간섭량은 상기 가동 범위의 종단 바로 앞 위치에서 최대값을 취하고, 가동 범위 종단 위치에서 그 최대값보다 작은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단자 배열 범위 외에서 평형 도체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평형 도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규제부가 평형 도체의 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동 부재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그 가동 부재의 가압부가 전후 방향에서 단자의 접촉부와 중복되는 범위에 그리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단자끼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그 가압부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접촉부를 양 측방과 후방의 3 방에서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자의 접촉부는, 평형 도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형상을 이루고 있고, 평형 도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 부재의 가압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접촉부의 정상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가장자리의 범위 내에 있을 때에, 가압 방향에서 상기 접촉부의 탄성 변위량을 최대로 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제 1 단자의 접촉부와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10034619A 2010-04-30 2011-04-14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330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5787 2010-04-30
JP2010105787A JP5108053B2 (ja) 2010-04-30 2010-04-30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544A KR20110121544A (ko) 2011-11-07
KR101330470B1 true KR101330470B1 (ko) 2013-11-15

Family

ID=4532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19A KR101330470B1 (ko) 2010-04-30 2011-04-14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08053B2 (ko)
KR (1) KR101330470B1 (ko)
TW (1) TWI4811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2490B (zh) * 2012-12-12 2017-10-03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5449422B (zh) * 2014-08-28 2019-02-22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多件式fpc连接器
JP6308197B2 (ja) * 2015-11-10 2018-04-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655364B2 (ja) 2015-11-19 2020-02-2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36824B2 (ja) * 2019-03-07 2021-09-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616A (ko) * 2007-06-12 2008-12-1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090123784A (ko) * 2008-05-28 2009-12-0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074Y2 (ja) * 1993-04-02 1998-09-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606614B2 (ja) * 2001-02-16 2011-01-0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JP3722725B2 (ja) * 2001-06-29 2005-11-30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Fpc/ffc用コネクタ
JP2003109695A (ja) * 2001-09-26 2003-04-11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JP2004311204A (ja) * 2003-04-07 2004-11-04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338955A (ja) * 2005-05-31 2006-12-14 Tyco Electronics Amp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616A (ko) * 2007-06-12 2008-12-1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090123784A (ko) * 2008-05-28 2009-12-0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33487A (ja) 2011-11-17
KR20110121544A (ko) 2011-11-07
JP5108053B2 (ja) 2012-12-26
TWI481125B (zh) 2015-04-11
TW201223019A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560B2 (ja) 基板コネクタ
US7931491B2 (en) Flat cable connector
KR10106843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192203B1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01261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N100593883C (zh) 电连接器
KR101330470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P162453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EP192395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TWI418102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onductors
KR101311551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4722756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10127427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08066245A (ja) 中継コネクタ
CN103078209A (zh) 连接器
JP6473435B2 (ja) コネクタ
US9252516B2 (en) Connector
JP3913230B2 (ja) プッシュターミナル
JP200828800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714056B2 (ja) コネクタ
JP4880538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93144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698531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8531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7265851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