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551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551B1
KR101311551B1 KR1020110017026A KR20110017026A KR101311551B1 KR 101311551 B1 KR101311551 B1 KR 101311551B1 KR 1020110017026 A KR1020110017026 A KR 1020110017026A KR 20110017026 A KR20110017026 A KR 20110017026A KR 101311551 B1 KR101311551 B1 KR 10131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ductor
balanced conducto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48A (ko
Inventor
?타로 와다
히데히로 츠쿠모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평형 도체와의 접촉의 확실성 그리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자가 복수의 접촉부를 갖고 있으면서도, 그 단자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복수의 단자 (20)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 (20) 는, 평형 도체 (F) 의 하면과 접촉하기 위한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와, 상하 방향에서 평형 도체 (F) 의 하면측에서 상기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보다 평형 도체 (F) 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22) 를 갖고, 상기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는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 아암부 (22) 로부터 전방 접촉부 (25A) 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적인 후방 접촉 아암부 (26) 의 선단에 후방 접촉부 (26A) 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 (10) 에 장착된 가압 부재 (30) 가, 평형 도체 (F) 를 상기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를 향하여 누른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형 도체와 단자의 접촉의 확실성 그리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단자에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복수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된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그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단자는 상하 방향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으로 연장되는 기부의 하부로부터, 평형 도체 발출 방향인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 (可撓) 적인 제 1 접촉 아암부 (후방 접촉 빔) 과, 상하 방향에서 상기 기부의 위치에서 그 제 1 접촉 아암부와 평행하게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적인 제 2 접촉 아암부 (전방 접촉 빔) 을 갖고 있다. 제 1 접촉 아암부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기 위한 전방 접촉부가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촉 아암부는, 후방측 부분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 접촉부와 동일 위치까지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와 접촉하기 위한 후방 접촉부가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는 상하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서 어긋나게 위치하는 2 개의 접촉부, 즉 제 1 접촉 아암부의 전방 접촉부 및 제 2 접촉 아암부의 후방 접촉부를 갖고 있다.
그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평형 도체가 전방으로 삽입된 후에 액추에이터에 의해 평형 도체가 상기 전방 접촉부와 후방 접촉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눌리면, 상기 전방 접촉부 및 후방 접촉부가 하방으로 탄성 변위되어 그 평형 도체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와 접압에 의해 접촉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4192203호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소형화의 요청이 크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2 개의 접촉 아암부, 즉 제 1 접촉 아암부 및 제 2 접촉 아암부를 상하 방향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각각의 접촉 아암부의 하방에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그 만큼, 상기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의 치수,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치수가 커진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평형 도체와 접촉의 확실성 그리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단자가 복수의 접촉부를 갖고 있으면서도, 그 단자,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의 전단 (前端) 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받아들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며 만들어지고 그 평탄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평형 도체의 일방의 면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부와,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면측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보다 평형 도체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 2 개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가 상기 연장 아암부로부터 타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적인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가, 평형 도체를 상기 단자의 복수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접촉부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중 2 개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가 상기 연장 아암부로부터 타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적인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방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 아암부가 타방의 접촉부와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그 타방의 접촉부와 전후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혹은 중복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가까운 위치에서 양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의 치수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치수가 작아진다.
일방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 아암부는,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타방의 접촉부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의 치수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의 치수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타방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수단은, 전후 방향에서 일방의 접촉부와 타방의 접촉부 사이의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일방의 접촉부와 타방의 접촉부 사이의 위치에서 가압 수단이 평형 도체를 누름으로써, 전후 방향에 있어서, 가압 수단에 의한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 위치에서부터 일방의 접촉부 및 타방의 접촉부의 각각까지의 거리가 거의 동등해진다. 따라서, 일방의 접촉부 및 타방의 접촉부에 있어서,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으며,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압 수단은,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가압 부재가 상기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가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열림 위치에서는 평형 도체를 제로 삽입력 혹은 저 (低) 삽입력 하에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단자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병행 (竝行) 하여 연장되는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와, 그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를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부재에 형성된 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전단측에 그리고 접촉부를 후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아암부는, 전단측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단측에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부를 갖고 있고,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한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아암부는, 피압부가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눌려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평형 도체를 누르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단자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와, 그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를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부재에 형성된 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전단측에 그리고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부를 후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아암부는, 전단측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단측에 접촉부를 갖고 있고,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한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아암부는, 피압부가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눌려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되어, 상기 가압부가 반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평형 도체를 누르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접촉부 중 2 개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가 타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방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 아암부를 타방의 접촉부와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가 복수의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평형 도체와 단자의 접촉의 확실성 그리고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서로 가까운 위치에 양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단자 나아가서는 전기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 (B) 는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II-II 단면도로서, (A) 는 평형 도체 삽입 전, (B) 는 평형 도체 삽입 완료시, (C) 는 평형 도체 삽입 후,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 (B) 는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II-II 단면도로서, (A) 는 평형 도체 삽입 전,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 (B) 는 평형 도체 삽입 후,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 (C) 는 평형 도체 삽입 후,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1) (이하, 간단히 「커넥터 (1)」이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됨과 함께, 예를 들어 FPC 등의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이 전방 (도 2 에 있어서의 우측) 을 향하여 삽입되고, 그 평형 도체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이다. 도 1 에 있어서, 커넥터 (1) 의 단자 배열 방향인 길이 방향의 중간부는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커넥터 (1) 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전기 절연재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등간격으로 배열 유지되는 금속제의 복수의 단자 (20) 와, 그 하우징 (10) 및 복수의 단자 (20) 에 의해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전기 절연재제,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가압 부재 (30) 와, 그 하우징 (10) 의 단자 배열 방향 양 단부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금속제 고정 금구 (40) 를 갖고 있다.
또, 도 2(B), (C) 에 나타내는 평형 도체 (F) 는, 커넥터 (1) 에 삽입되었을 때에, 단자 배열 방향 (도 2(B), (C) 에 있어서 지면에 직각인 방향) 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 (20) 와 각각 대응한 위치에, 그 단자 (20) 와 접속되는 대응 회로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은 바닥벽 (11) 과, 그 바닥벽 (11) 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 삽입 방향에서의 전방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벽 (前壁) (12), 단자 배열 방향 (평형 도체의 폭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 에서 하우징 (10) 의 양단 위치에서 바닥벽 (11)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 (13) (도 2 에는 도시하지 않음) 을 구비하고 있다. 그 하우징 (10) 에는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단자 유지홈 (14) 이 그 하우징 (10) 의 단자 배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전후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 (10) 은, 단자 배열 범위에서 후부가 상방으로 개방하여 절결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홈 (14) 은, 하우징 (10) 의 바닥벽 (11) 과 그 바닥벽 (11) 의 앞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벽 (12) 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유지홈 (14) 은 바닥벽 (11) 의 후단부를 제외하고 전후 방향에서 관통하고 있다. 또, 단자 유지홈 (14) 은, 바닥벽 (11) 의 후단부에 있어서 그 후단부에 형성된 후벽부 (11A) 에 의해 막혀 있어 후방으로는 관통하고 있지 않다. 그 후벽부 (11A) 의 전면 (前面) 에는 후술하는 단자 (20) 의 피유지부 (27) 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구멍부 (11A-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측벽 (13) 은,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상측 가장자리가 몰입되어 있고, 후술하는 가압 부재 (30) 의 단 (端) 축부 (33) 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단축 수용부 (13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측벽 (13) 은 고정 금구 (40) 를 유지하기 위한 슬릿 형상의 고정 금구 유지홈 (13B) 이, 그 측벽 (13) 의 후방측 위치에서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후반부에 있어서의 상반부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통하여 상방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 공간의 하반부는, 후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F) 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 공간 (15) 을 이루고 있다. 또, 상기 개방 공간의 상반부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가압 부재 (30) 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6) 을 이루고 있다.
도 2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단자 (20) 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타발 (打拔)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고, 판면에 직각인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 (10) 에 배열되어 있다. 그 단자 (20) 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 (발출 방향), 즉 도 2 에서 좌측을 향하여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홈 (14) 에 장착된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는, 단자 유지홈 (14) 내의 상부에서 그 단자 유지홈 (14) 의 상측 부분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6) 을 향하여 아암 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 (21) 와, 단자 유지홈 (14) 의 하부에서 그 단자 유지홈 (14) 의 하측 부분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22) 와, 전방 또한 하방을 향하여 하우징 (10) 밖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23) 와, 단자 유지홈 (14) 내의 앞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아암부 (21) 의 전단과 연장 아암부 (22) 의 전단과 접속부 (23) 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24) 를 갖고 있다.
상기 연장 아암부 (22) 의 전단부로부터는, 가요적인 전방 접촉 아암부 (25) 가 그 연장 아암부 (22) 보다 상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아암부 (22) 의 후단부로부터는, 가요적인 후방 접촉 아암부 (26) 가 그 연장 아암부 (22) 보다 상방 위치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는, 상하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연장 아암부 (22) 의 후단부로부터는 하우징 (10) 에 유지되기 위한 피유지부 (27) 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아암부 (21) 는,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6) 내에 위치하는 후단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오목 형상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의 회전 운동 중심이 되는 축부 (32) 를 수용함과 함께, 그 가압 부재 (30) 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때에 그 축부 (32) 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상기 접속부 (23) 는 그 하측 가장자리부가 하우징 (10) 의 바닥벽 (11)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여, 그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연결부 (24) 는 그 상하측 가장자리부에서 단자 유지홈 (14) 내로 압입되어 있다.
상기 전방 접촉 아암부 (25)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아암부 (22) 의 대략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하면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기 위한 전방 접촉부 (25A) 가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5) 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후방 접촉 아암부 (26) 는 상기 전방 접촉부 (25A) 를 향하여 그 전방 접촉부 (25A) 근방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하면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기 위한 후방 접촉부 (26A) 가 그 후방 접촉 아암부 (26) 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후방 접촉부 (26A) 는, 전방 접촉부 (25A) 보다 후방 또한 그 전방 접촉부 (25A)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자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의 선단부에 돌기 형상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경우, 그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촉 아암부의 선단부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접촉부 (25A) 와 같은 대략 삼각형 형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접촉부 (26A) 는, 도 2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그 삼각형 형상 부분의 대략 우측 부분을 생략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대략 우측 부분을 생략한 만큼,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를 서로 보완하는 형상으로 하여, 후방 접촉부 (26A) 를 더욱 전방 접촉부 (25A) 근방에 형성할 수 있다.
도 2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전방 접촉 아암부 (25) 의 정상부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의 정상부는, 받아들임 공간 (15) 내에 상하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다.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와 연장 아암부 (22)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는 그 간극의 범위 내에서 하방으로의 탄성 변위가 허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가 전후 방향에서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를 상하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의 탄성 변위를 위한 상하 방향의 상기 간극을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복수의 접촉 아암부가 상하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각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는 간극을 별개로 필요로 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단자 (2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를 상하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가압 부재 (30) 는, 평형 도체 (F) 를 단자 (20) 의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를 향하여 하방으로 누르는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 가압 부재 (30) 는 도 2(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자세로 평형 도체 (F) 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자세로 단자 (20) 의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에 대한 평형 도체 (F) 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압 부재 (30) 는, 도 1 에 잘 관찰되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20) 의 배열 범위에 걸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가압 부재 (30) 는, 도 1(A), 도 2(A), (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20) 에 대응한 위치에서, 단자 (20) 의 판 두께 치수보다 약간 넓은 홈 폭의 슬릿 형상을 이루는 홈부 (31) 가 상기 열림 위치에서의 대략 하반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에 잘 관찰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의 대략 하반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단자 배열 범위에서 빗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홈부 (31) 는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의 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다.
상기 홈부 (31) 에는, 도 2(A), (B)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가압 부재 (30) 의 하단부쪽 위치에 축부 (32) 가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부 (32) 에 의해 홈부 (31) 의 대향 벽면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그 축부 (32) 는 단면 (斷面)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양측 단면 (端面) 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축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단축부 (33) 는, 상기 축부 (32) 와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고, 단면 형상이 일부를 절결한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 에 잘 관찰되는 바와 같이, 단축부 (33) 는, 이미 서술한 하우징 (10) 의 측벽 (13) 의 단축 수용부 (1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도 2(A), (B)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 (30) 의 후면 (좌면) 은, 그 가압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 (F) 를 하방으로 누르는 가압면 (34)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C) 도 참조).
고정 금구 (40) 는 금속판을 타발하여 만들어졌으며, 도 1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그 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자세로 하우징 (10) 의 슬릿 형상의 고정 금구 유지홈 (13B) 에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40) 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됨으로써,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 (1) 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먼저, 가압 부재 (30) 를 열림 위치의 자세로 유지한 채로, 그 가압 부재 (30) 의 단축부 (33) 가 하우징 (10) 의 단축 수용부 (13A) 내에 수용되도록 그 가압 부재 (30) 를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6) 에 배치한다. 이 배치에 의해, 그 가압 부재 (30) 는 자중 (自重) 에 의해,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하방,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축부 (33) 가 단축 수용부 (13A) 의 바닥부에까지 도달하여 그 바닥부에 지지되는 위치에 가져오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 (10) 의 전벽 (12) 측으로부터, 즉 도 2 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단자 (20) 를 그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홈 (14) 으로 좌측을 향하여 압입하여 장착한다. 이 결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20) 는, 연결부 (24) 가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서 단자 유지홈 (14) 으로 압입됨과 함께, 유지 구멍부 (11A-1) 내로 피유지부 (27) 가 압입됨으로써 그 단자 유지홈 (14) 내에서 유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는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 (20) 의 장착시에 있어서, 그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는 가압 부재 (20) 의 축부 (32) 와 간섭하지 않고 그 축부 (32) 의 상방 위치에서 홈부 (31) 내에 무난히 진입된다.
다음으로, 후방으로부터 고정 금구 (40) 를 하우징 (10) 의 고정 금구 유지홈 (13B) 으로 압입하여 장착한다. 그 고정 금구 (40) 가 장착된 결과, 그 고정 금구 (40) 의 상측 가장자리에 의해 가압 부재 (30) 의 단축부 (33) 가 하방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가동 부재 (30) 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에 가져오게 되고, 축부 (32) 가 단자 (20)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1A) 내에 수용되게 되어,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 동작을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를 열림 위치로 가져온다. 다음으로, 하우징 (10) 의 받아들임 공간 (15) 내로 평형 도체 (F) 를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F) 는, 그 평형 도체 (F) 의 전단면이 전벽 (12) 의 후면에 맞닿는 정규 위치까지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부재 (30) 를 열림 위치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 (F) 를 제로 삽입력 혹은 저삽입력 하에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 (30) 를 회전 운동시켜, 도 2(C)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로 가져온다. 그 닫힘 위치에 있어서 가압 부재 (30) 는, 가압면 (34) 에 의해 평형 도체 (F) 를 단자 (20) 의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를 향하여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도 2(C)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그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가 평형 도체 (F)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변위되고, 이 결과,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와 그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의 접압이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가압 부재 (30) 를 닫힘 위치로 가져옴으로써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F) 의 접속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접촉부 (25A) 와 후방 접촉부 (26A) 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와의 접압을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근접하는 상기 전방 접촉부 (25A) 및 후방 접촉부 (26A) 는, 가압 부재 (30) 의 축부 (32) 의 하방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에서 그 축부 (32) 에 근접하고 있다. 그 축부 (32) 는 가압 부재 (30) 의 회전 운동 중심이므로, 도 2(A), (B) 의 가압 부재 (30) 에 있어서 그 축부 (32) 가 형성된 하단 부분 (도 2(C) 에 있어서는 우단 부분) 의, 그 가압 부재 (30) 의 회전 운동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는, 그 가압 부재 (30) 의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변위와 비교하여 작다.
따라서, 만일 평형 도체 (F) 에 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뜻밖의 외력, 즉, 닫힘 위치 (도 2(C) 의 위치) 에 있는 가압 부재 (30) 를 열림 위치 (도 2(A), (B) 의 위치) 를 향하여 약간 회전 운동시키는 외력이 그 가압 부재 (30) 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축부 (32)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가 작기 때문에, 그 축부 (32) 에 근접하여 형성된 접촉부 (25A, 26A) 근방에서의 평형 도체 (F) 에 대한 가압력은 상기 외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이 결과, 평형 도체 (F) 와 상기 접촉부 (25A, 26A) 의 높은 접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 접촉부 (26A) 는 상기 축부 (32)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전방 접촉부 (25A) 는 상기 축부 (32)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C)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3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방 접촉부 (26A) 가 평형 도체 (F) 를 개재하여 가압 부재 (30) 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대한 가압 부재 (30) 에 대한 반력은, 그 가압 부재 (30) 를 열림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시키는 방향, 즉 도 2(C) 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그 가압 부재 (30) 에 작용한다. 한편, 상기 전방 접촉부 (25A) 가 평형 도체 (F) 를 개재하여 가압 부재 (30) 로부터 받는 가압력에 대한 가압 부재 (30) 에 대한 반력은, 그 가압 부재 (30) 를 닫힘 위치로 유지하는 방향, 즉 도 2(C) 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에서 그 가압 부재 (30) 에 작용한다. 따라서, 이들 반력이 작용하는 회전 방향이 반대이므로 서로 상쇄되는 결과, 가압 부재 (30) 는 닫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평형 도체 (F) 와 접촉부 (25A, 26A) 와의 접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접촉 아암부 및 후방 접촉 아암부는, 상하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양 접촉 아암부가 형성되는 위치가 상하 방향에서 반드시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양 접촉 아암부는 상하 방향에서의 범위가 일부 중복될 정도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또, 중복되지 않고 상하 방향에서 근접해서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양 접촉부가 이와 같은 위치에 형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양 접촉 아암부와 연장 아암부 사이에 양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는 1 개의 공간 (간극) 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와 변함없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단자 그리고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에 장착된 가압 부재를 가압 수단으로서 형성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가압 부재를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를 가압 수단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상벽과 바닥벽 사이에 받아들임 공간이 형성되고, 그 받아들임 공간 내에서 단자의 복수의 접촉부와 하우징 상벽 사이의 거리가 평형 도체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커넥터에서는, 받아들임 공간 내에 평형 도체가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에 의해 평형 도체가 상벽을 향하여 눌려짐과 함께, 그 상벽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평형 도체가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눌려, 그 평형 도체와 그 접촉부의 접압이 높아진다. 즉, 상벽이 평형 도체에 대하여 가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는 2 개의 접촉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접촉부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단자의 연장 아암부의 후단부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 부분을 형성함과 함께, 후방 접촉 아암부와 동일한 형상의 접촉 아암부를 그 직선 형상 부분의 후단부로부터 그 후방 접촉 아암부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한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3 개의 접촉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단자가 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점에서, 단자가 전방으로부터 장착되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하우징과 단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커넥터 (101) 의 하우징 (110) 의 단자 유지홈 (114) 은, 도 3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서는 관통하고 있지 않다. 단자 (120) 는, 단자 유지홈 (114) 내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부재 이동 공간 (116) 을 향하여 아암 형상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부 (121) 와, 단자 유지홈 (114) 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122) 와, 그 연장 아암부 (122) 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우징 (110) 밖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123) 와, 단자 유지홈 (114) 내의 앞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아암부 (121) 의 전단과 연장 아암부 (122) 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124) 를 갖고 있다.
상기 연장 아암부 (122) 의 전단부로부터는, 가요적인 전방 접촉 아암부 (125) 가 그 연장 아암부 (122) 보다 상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아암부 (122) 의 후단부로부터는, 가요적인 후방 접촉 아암부 (126) 가 그 연장 아암부 (122) 보다 상방 위치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전방 접촉 아암 (1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126) 는, 상하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부 (123) 의 전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 (110) 의 바닥벽 (111) 의 후측 가장자리부에 끼워 장착하는 끼움 장착부 (123A) 가 전방으로 개방된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101) 의 조립시에 있어서, 상기 단자 (120) 는 단자 유지홈 (114) 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장착된다. 이 결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120) 는, 연결부 (124) 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가 단자 유지홈 (114) 에 압입됨과 함께, 하우징 (110) 의 바닥벽 (111) 의 후측 가장자리부에 끼움 장착부 (123A) 가 끼워져 붙여짐으로써, 그 단자 유지홈 (114) 내에서 유지된다.
단자 (120) 의 형태는 도 3 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접촉 아암부 (126) 를 생략하고, 연장 아암부 (122) 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접촉부 (126A)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전방 접촉 아암부 (125) 및 전방 접촉부 (125A) 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후방 접촉부 (126A) 와 동일 위치에 있어, 단자 (120) 그리고 커넥터 (101) 의 상하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상기 후방 접촉 아암부 (126) 가 생략되어 있는 만큼, 단자 (120) 그리고 커넥터 (101) 의 전후 방향에서의 소형화도 가능하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접촉 아암부 (125) 를 생략하고, 연장 아암부 (122) 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접촉부 (125A)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후방 접촉 아암부 (126) 및 후방 접촉부 (126A) 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전방 접촉부 (125A) 와 동일 위치에 있어, 단자 (120) 그리고 커넥터 (101) 의 상하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 상기 전방 접촉 아암부 (125) 가 생략되어 있는 만큼, 단자 (120) 그리고 커넥터 (101) 의 전후 방향에서의 소형화도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은 제 2 실시형태의 단자와 제 1 실시형태의 단자를 교대로 위치시켜 배열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평형 도체가 삽입되는 자세로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점에서, 회로 기판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평형 도체가 삽입되는 자세로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하우징과 단자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호에 「200」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압 부재 (230) 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201) 는 평형 도체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는 형식의 커넥터로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를, 받아들임 공간이 상방으로 개구하도록 세로로 놓은 형태로 완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이 평형 도체 삽입 방향의 전방이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220) 는 단자 유지홈 (214) 내의 우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부재 이동 공간 (216) 을 향하여 아암 형상으로 연장 되는 지지 아암부 (221) 와, 단자 유지홈 (214) 의 좌측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 (222) 와, 상기 지지 아암부 (221) 의 하방 위치에서 우측을 향하여 하우징 (210) 밖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223) 와, 단자 유지홈 (214) 내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 아암부 (221) 의 하단과 연장 아암부 (222) 의 하단과 접속부 (223) 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224) 를 갖고 있다.
단자 유지홈 (214) 내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암부 (222) 의 하단부로부터는 가요적인 전방 접촉 아암부 (225) 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 아암부 (222) 의 상단부로부터는 가요적인 후방 접촉 아암부 (226) 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6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전방 접촉 아암부 (2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26) 는 우측을 향하여, 즉 받아들임 공간 (215) 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26) 는, 좌우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연장 아암부 (222) 의 상단부로부터는 하우징 (210) 에 유지되기 위한 피유지부 (227)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전방 접촉 아암부 (225)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아암부 (222) 의 거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기 위한 전방 접촉부 (225A) 가 그 전방 접촉 아암부 (225) 의 상단부로부터 받아들임 공간 (215) 내를 향하여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후방 접촉 아암부 (226) 는, 그 전방 접촉부 (225A) 근방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기 위한 후방 접촉부 (226A) 가 그 후방 접촉 아암부 (226) 의 하단부로부터 받아들임 공간 (215) 내를 향하여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방 접촉 아암부 (2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26) 는 좌우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어, 단자 (220) 그리고 커넥터 (201) 의 좌우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단자의 일부인 가압부에 의해 가압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 수단이 형성되는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상이하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 조작을 받으면, 그 가동 부재의 캠축부의 작용에 의해, 단자에 있어서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부가 형성된 가압 아암부가 평형 도체를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301) 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301) 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 (310) 과, 그 하우징 (310) 에 배열 유지되는 단자 (320) 와, 그 하우징 (310) 및 단자 (320) 에 의해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가동 부재 (330) 를 갖고 있다.
하우징 (310) 은 단자 배열 방향 (도 7 의 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에서의 단자 (320)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서 관통하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홈부끼리 사이에는, 전방쪽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311)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에 있어서, 상벽 (312), 격벽 (311) 그리고 바닥벽 (313) 에 걸쳐 연장되는 부분이 단자 유지홈 (314)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격벽 (311) 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벽 (312) 과 바닥벽 (313) 사이의 부분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 연통되어 후방으로 개구된 공간이, 후방에서 평형 도체 (도시하지 않음) 를 수용하기 위한 받아들임 공간 (315)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홈부는 상기 격벽 (311) 보다 전방 위치에서의 상반부가 단자 배열 방향과 연통되어 상방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 공간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의 가동 부재 (330) 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동 부재 이동 공간 (316) 을 이루고 있다.
상기 격벽 (311) 은, 상하 방향 중간부의 좌측쪽 위치에 단자 유지부 (317) 가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유지부 (317) 는 그 격벽 (311) 의 대향 벽면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단자 (320) 는, 평탄면을 유지하면서 금속판을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단자 유지홈 (314) 의 하측 부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아암부 (321) 와, 그 단자 유지홈 (314) 의 상측 부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 아암부 (32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아암부 (321) 및 가동 아암부 (322) 를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하는 연결부 (323) 를 갖고 있다.
고정 아암부 (321) 는 하우징 (310) 에 고정되어 있고, 후술하는 가동 부재 (330) 의 캠축부 (332)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324) 를 상기 연결부 (323) 보다 전단측에 갖고 있다. 그 지지부 (324) 는, 그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로 상기 캠축부 (332) 를 하방으로부터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 (324) 의 전단부로부터는 접속부 (324A) 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접속부 (324A) 는, 그 하측 가장자리부가 하우징 (310) 의 바닥벽 (313)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여 그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부 (324A) 의 후측 가장자리에는, 바닥벽 (313) 의 전측 가장자리에 끼워 장착하는 끼움 장착부 (324A-1) 가 후방으로 개방된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아암부 (321)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323) 보다 후단측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장 아암부 (22), 전방 접촉 아암부 (25) 및 후방 접촉 아암부 (26) 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단자 유지홈 (314) 의 하측 부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연장 아암부 (325) 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접촉 아암부 (326) 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단부로부터 후방 접촉 아암부 (327) 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그 전방 접촉 아암부 (326) 및 후방 접촉 아암부 (327) 는, 상하 방향에서 거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각각 형성된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에 의해 평형 도체의 하면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전방 접촉 아암부 (326) 의 기부에는 단자 (320) 를 단자 유지홈 (314) 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돌기부 (326B)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전방 접촉 아암부 (326) 및 후방 접촉 아암부 (327) 를 상하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 (320) 나아가서는 커넥터 (301) 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단자 (320) 의 가동 아암부 (322)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30) 의 캠축부 (332) 에 의해 눌리는 피압부 (328) 를 상기 연결부 (323) 보다 전단측에,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가압 수단으로서의 돌출 형상의 가압부 (329A) 가 형성된 가압 아암부 (329) 를 상기 연결부 (323) 보다 후단측에 갖고 있다.
상기 피압부 (328) 는, 단자 유지홈 (314) 내로부터 가동 부재 이동 공간 (316) 을 향하여 아암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캠축부 (332) 로부터 가압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가압 아암부 (329) 는 단자 유지홈 (314) 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받아들임 공간 (315) 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가압부 (329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 (329A) 는, 전후 방향에서 전방 접촉부 (326A) 와 후방 접촉부 (327A)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후술하는 가동 부재 (330) 가 닫힘 위치에 왔을 때에, 평형 도체를 전방 접촉부 (326A) 와 후방 접촉부 (327A) 를 향하여 하방으로 누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전방 접촉부 (326A) 와 후방 접촉부 (327A) 사이에 그 가압부 (329A) 를 위치시킴으로써, 가압부 (329A) 에 의한 평형 도체의 가압 위치에서부터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각각까지의 거리가 거의 동등해진다. 따라서,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에 있어서 평형 도체와의 접압을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 부재 (330) 는,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 (320) 의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 에서는 그 가동 부재 (33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 가동 부재 (330)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 (30) 와 기본적인 형상이 동일하다. 즉, 그 가동 부재 (330) 는, 도 7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은 열림 위치에서의 대략 하반부에 슬릿 형상의 홈부 (331)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가동 부재 (330) 의 하단부쪽 위치에 형성된 섬 형상의 캠축부 (332) 에 의해 홈부 (331) 의 대향 벽면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그 홈부 (331) 는 단자 (320) 의 피압부 (328) 의 후방으로부터의 진입을 허용하고 있고, 그 피압부 (328) 는 상기 캠축부 (332)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7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상기 캠축부 (332) 는, 가동 부재 (3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단면 형상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캠축부 (332) 의 단축 방향 (도 7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에서의 치수는, 피압부 (328) 와 지지부 (324) 사이의 상하 방향에서의 거리보다 작고, 장축 방향 (도 7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에서의 치수는 상기 거리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가동 부재 (33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7 에 관찰되는 바와 같이, 캠축부 (332) 와 피압부 (328) 사이에는 상하 방향에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 (330) 가 그 열림 위치로부터 도 7 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거의 90 도 회전 운동되어 닫힘 위치에 오면, 캠축부 (332) 는 상하 방향에서 길게 연장된 자세가 되고, 그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상단 (도 7 에 있어서의 열림 위치에서의 좌단) 이 피압부 (328) 의 하측 가장자리를 상방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 (301) 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 (10) 의 전방으로부터, 즉 도 7 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단자 (320) 를 그 하우징 (310) 의 단자 유지홈 (314) 으로 후방을 향하여 압입하여 장착한다. 이 결과,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320) 는, 유지 돌기부 (326B) 가 하우징 (310) 의 단자 유지부 (317) 의 하면에 파고듦과 함께, 끼움 장착부 (324A-1) 가 하우징 (310) 의 바닥벽 (313) 의 전측 가장자리부에 끼워져 장착됨으로써, 그 단자 유지홈 (314) 내에서 유지된다.
다음으로, 가동 부재 (330) 의 캠축부 (332) 를, 그 가동 부재 (330) 를 열림 위치의 자세로 유지한 채로, 단자 (320) 의 피압부 (328) 와 지지부 (324) 사이로 후방으로부터 진입시켜 그 가동 부재 (330) 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 커넥터 (301) 와 평형 도체와의 접속 동작을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330) 를 열림 위치로 가져온다. 다음으로, 하우징 (310) 의 받아들임 공간 (315) 내로 평형 도체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그 평형 도체는, 그 전단면이 격벽 (311) 의 후면에 맞닿는 정규 위치까지 삽입된다.
다음으로,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330) 를 회전 운동시켜 닫힘 위치로 가져온다. 그 가동 부재 (330) 의 닫힘 위치를 향한 이동에 수반하여 그 가동 부재 (330) 의 캠축부 (332) 도 회전 운동하고, 그 캠축부 (332) 가 그 단부 (도 7 에 있어서의 좌단) 에 의해 단자 (320) 의 피압부 (328) 를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그 단자 (320) 의 가동 아암부 (322) 가 연결부 (32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된다. 이 결과, 상기 가압 아암부 (329) 가 하방으로 변위되어, 그 가압 아암부 (329) 의 후단에 위치하는 가압부 (329A) 가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를 향하여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누른다.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는, 평형 도체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변위되고, 이 결과, 평형 도체의 대응 회로부와 그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의 접압이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가동 부재 (330) 를 닫힘 위치로 가져옴으로써, 커넥터 (301) 와 평형 도체의 접속이 완료된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단자에 있어서, 고정 아암부에 가압 아암부가 형성되고, 가동 아암부에 연장 아암부, 전방 접촉 아암부 후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가동 아암부에 가압 아암부가 형성되고, 고정 아암부에 연장 아암부, 전방 접촉 아암부 및 후방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 7 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상이하다.
이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가압 아암부와 상기 연장 아암부, 전방 접촉 아암부 및 후방 접촉부와의 위치 관계를 제외하고 도 7 의 커넥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연장 아암부, 전방 접촉 아암부, 후방 접촉부 및 가압 아암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 7 의 커넥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평형 도체의 대응 회로부는 그 평형 도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관련된 커넥터 (301) 의 단자 (320) 는, 도 7 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단자 (320) 의 연결부 (323) 보다 후방측 부분을 상하 방향에서 반전시킨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고정 아암부 (321) 에 가압 아암부 (329) 가 형성되고, 가동 아암부 (322) 에 연장 아암부 (325), 전방 접촉 아암부 (326) 및 후방 접촉 아암부 (327)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301) 에 평형 도체가 삽입된 후, 가동 부재 (330) 가 닫힘 위치에 오면, 단자 (320) 의 피압부 (328) 가 캠축부 (332) 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가동 아암부 (322) 가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된다. 이 결과, 상기 연장 아암부 (325), 전방 접촉 아암부 (326) 및 후방 접촉 아암부 (327) 가 하방으로 변위되고,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가 가압 아암부 (329) 의 가압부 (329A) 를 향하여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누름과 함께, 그 평형 도체의 상면의 대응 회로부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평형 도체가 가압부 (329A) 를 향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가압부 (329A) 는, 반력에 의해 그 평형 도체를 상기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를 향하여 상방으로 누른다. 이 결과, 평형 도체의 대응 회로부와 전방 접촉부 (326A) 및 후방 접촉부 (327A) 의 접압이 높아져, 커넥터 (301) 와 평형 도체의 접속이 완료된다.
1 커넥터 222 연장 아암부
10 하우징 225 전방 접촉 아암부
15 받아들임 공간 (받아들임부) 225A 전방 접촉부
20 단자 226 후방 접촉 아암부
22 연장 아암부 226A 후방 접촉부
25 전방 접촉 아암부 230 가압 부재
25A 전방 접촉부 301 커넥터
26 후방 접촉 아암부 310 하우징
26A 후방 접촉부 315 받아들임 공간 (받아들임부)
30 가압 부재 320 단자
101 커넥터 322 가동 아암부
110 하우징 321 고정 아암부
115 받아들임 공간 (받아들임부) 323 연결부
120 단자 325 연장 아암부
122 연장 아암부 324 지지부
125 전방 접촉 아암부 326 전방 접촉 아암부
125A 전방 접촉부 326A 전방 접촉부
126 후방 접촉 아암부 327 후방 접촉 아암부
126A 후방 접촉부 327A 후방 접촉부
130 가압 부재 328 피압부
201 커넥터 329 가압 아암부
215 받아들임 공간 (받아들임부) 329A 가압부
210 하우징 330 가동 부재
220 단자 332 캠축부 (캠부)

Claims (8)

  1. 평형 도체의 전단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받아들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며 만들어지고 그 평탄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평형 도체의 일방의 면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부와,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면측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보다 평형 도체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하우징의 바닥벽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 2 개의 접촉부는, 상기 연장 아암부의 양단으로부터 그 연장 아암부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다가오는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가요적인 2 개의 접촉 아암부의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가, 평형 도체를 상기 단자의 복수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방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촉 아암부는,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 타방의 접촉부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타방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 아암부는 전후 방향의 일단에,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 수단은, 전후 방향에서 일방의 접촉부와 타방의 접촉부 사이의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누르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 수단은,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가압 부재가 상기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7. 평형 도체의 전단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받아들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며 만들어지고 그 평탄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부재를 구비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평형 도체의 일방의 면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부와,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면측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보다 평형 도체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의 2 개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가 상기 연장 아암부로부터 타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적인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가, 평형 도체를 상기 단자의 복수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 수단을 갖고, 단자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와, 그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를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부재에 형성된 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전단측에 그리고 접촉부를 후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아암부는, 전단측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단측에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부를 갖고 있고,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한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아암부는, 피압부가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눌려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평형 도체를 누르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8. 평형 도체의 전단측에 형성된 접속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받아들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며 만들어지고 그 평탄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평형 도체의 일방의 면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부와, 평형 도체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면측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보다 평형 도체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아암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의 2 개의 접촉부는, 일방의 접촉부가 상기 연장 아암부로부터 타방의 접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적인 접촉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가, 평형 도체를 상기 단자의 복수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가압 수단을 갖고,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단자의 접촉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접압을 높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단자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와, 그 고정 아암부 및 가동 아암부를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부재에 형성된 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전단측에 그리고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부를 후단측에 갖고 있고, 상기 가동 아암부는, 전단측에 피압부를 그리고 후단측에 접촉부를 갖고 있고,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한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아암부는, 피압부가 가동 부재의 캠부에 의해 눌려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되어, 상기 가압부가 반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를 향하여 평형 도체를 누르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10017026A 2010-03-26 2011-02-25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311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3505 2010-03-26
JP2010073505A JP4993788B2 (ja) 2010-03-26 2010-03-26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48A KR20110108248A (ko) 2011-10-05
KR101311551B1 true KR101311551B1 (ko) 2013-09-26

Family

ID=4465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026A KR101311551B1 (ko) 2010-03-26 2011-02-25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0528B2 (ko)
JP (1) JP4993788B2 (ko)
KR (1) KR101311551B1 (ko)
CN (1) CN102237590B (ko)
TW (1) TWI4963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39B1 (ko) * 2011-12-19 2014-02-03 주식회사 후성테크 전기 커넥터
JP5571837B1 (ja) 2013-08-21 2014-08-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90341B2 (ja) *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336941B2 (ja) *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655364B2 (ja) * 2015-11-19 2020-02-2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71983B2 (ja) * 2016-08-01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960846B2 (ja) * 2017-12-21 2021-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N110165452A (zh) * 2018-02-13 2019-08-23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具有双层端子的软扁平电缆电连接器
JP7098592B2 (ja) * 2019-10-11 202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TWI824285B (zh) * 2021-08-27 2023-12-0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811A (ko) * 1997-07-30 1999-02-25 오울플링 프랭크 에이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JP2004039321A (ja) * 2002-07-01 2004-02-05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9199766A (ja) * 2008-02-19 2009-09-03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160A (ja) * 2002-08-01 2004-03-04 D D K Ltd コネクタ
JP4054740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zifコネクタ
JP4168986B2 (ja) * 2004-07-06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330084B2 (ja) * 2007-06-12 2009-09-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192203B1 (ja)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01191666Y (zh) * 2008-01-29 2009-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41428B2 (ja) * 2008-05-28 2010-09-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203046B2 (ja) * 2008-05-30 2013-06-0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811A (ko) * 1997-07-30 1999-02-25 오울플링 프랭크 에이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JP2004039321A (ja) * 2002-07-01 2004-02-05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9199766A (ja) * 2008-02-19 2009-09-03 Fujitsu Component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48A (ko) 2011-10-05
CN102237590A (zh) 2011-11-09
US8540528B2 (en) 2013-09-24
TW201205969A (en) 2012-02-01
JP4993788B2 (ja) 2012-08-08
US20110237106A1 (en) 2011-09-29
JP2011204639A (ja) 2011-10-13
CN102237590B (zh) 2014-10-22
TWI496361B (zh)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551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N109802252B (zh) 可动连接器
CN100593883C (zh) 电连接器
KR101235237B1 (ko) 커넥터
CN102576952B (zh) 连接器
KR10127433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495785B1 (ko) 전기 커넥터
KR20090123784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110105329A (ko) 커넥터
JP2019160697A (ja) コネクタ
JP2013098025A (ja) コネクタ
US20110021052A1 (en) Stacked fpc connector
KR10127427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30991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330470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21039870A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KR20120116336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0823518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8067428A (ja) コネクタ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JP4800404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40049459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21057115A (ja) 電気コネクタ
WO2009099006A1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2021064499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