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811A -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3811A KR19990013811A KR1019980028126A KR19980028126A KR19990013811A KR 19990013811 A KR19990013811 A KR 19990013811A KR 1019980028126 A KR1019980028126 A KR 1019980028126A KR 19980028126 A KR19980028126 A KR 19980028126A KR 19990013811 A KR19990013811 A KR 19990013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oard
- flexible circuit
- insulating housing
- pressing member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렉시블 회로판과의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접속이 실현 가능한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를 제공한다.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10)는 복수의 콘택트(30a, 30b)를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20), 및 절연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는 가압부재(50)를 구비한다. 가압부재(50)는 닫힌 위치에서 플렉시블 회로판을 콘택트(30a,30b)에 가압하여 양자간의 전기적 접속을 실현한다. 콘택트(30a,30b)의 접촉부(32a, 32b)는 금속 판면으로 구성되며, 플렉시블 회로판의 일면 측에 접촉하도록 천조(千鳥) 배치된다. 가압부재(50)는 열린 상태에 있는 때에는 그 양측 면의 포스트와 탄성 계합편(72)이 계합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20)에 고정된다. 가압부재(50)가 닫힌 상태에 도달할 때 포스트와 탄성 계합편(72)과의 계합은 해제되지만 가압부재(50)의 계지 돌기(55)와 절연 하우징(20)이 계합하며, 또한 설편(51)이 콘택트(30b)의 일부와 계합하므로써 절연 하우징(20)상에 유지되며, 플렉시블 회로판과 콘택트(30a, 30b)와 접촉 부분에 충분한 접촉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회로판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종래의 예가 특개평 8-250232호 공보에 개시된다. 개시된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콘택트는 비교적 좁은 피치의 요구 때문에 금속판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접촉부를 가지며, 따라서 금속판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콘택트 배치의 피치 방향으로 된다. 그렇지만 안정한 접촉압력을 얻기 위해 그리고 콘택트를 보다 염가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접촉부를 금속판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플렉시블 회로판과 콘택트와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안정화시키기 위해 개량된 가압부재의 구성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가 등록 실용실안 공보 제 3035692호에 개시된다. 개시된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는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가압부재는 닫힌 위치에 이동한 때에 플렉시블 회로판을 콘택트에 가압하는 것이 지만, 가압부재의 일부는 닫힌 위치에서 콘택트의 일부에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해 비교적 안정한 전기적 접촉을 실현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가압부재의 회동축은 닫힌 위치에 있어서도 절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축지(軸支)되므로, 가압부재와 콘택트와의 계합에 의해서도 피치 방향으로 균일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피치이면서 플렉시블 회로판과의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접속이 실현될 수 있으며, 또한 염가로 제조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극(多極)으로 하여 플렉시블 회로판과 안정한 전기적 접속이 실현 가능한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 각각 전후 위치에서 고정되는 2열의 콘택트를 가지며, 이 2열의 콘택트의 각각은 상기 절연 하우징이 수용하는 플렉시블 회로판의 일면 측에 설치된 복수의 패드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탄성 접촉편을 갖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있어서, 전후 2열의 상기 콘택트의 각각의 상기 접촉부는 전후 2열로 하여 천조(千鳥)배치되며, 상기 접촉부의 각각은 금속판 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회로판을 상기 접촉부에 가압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양호하게는 앞 열의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저부에 압입 고정되며, 뒷 열의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정부(頂部)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회로판을 수용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및 이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는 가압부재를 가지며, 이 가압부재를 상기 열린 위치로 하여 상기 플렉시블 회로판을 상기 절연 하우징에 수용시킨 후에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플렉시블 회로판을 상기 콘택트에 가압시켜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열린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포스트가 상기 절연 하우징측에 설치된 탄성 계합편과 계합하므로써 회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닫힌 위치에서는 상기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설편부가 상기 콘택트의 일부에 계합하므로써 상기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포스트와 상기 탄성 계합편과의 계합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탄성계합편은 상기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금속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 부품은 상기 절연 하우징을 회로기판에 실장 고정하기 위한 펙(peg)으로 되는 것이 좋다.
양호하게는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은 다시 양자를 닫힌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계합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포스트의 상기 탄성계합편과 계합하는 부분은 대략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회동 중심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1은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사시도.
도 2는 가압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도 2중 선 C-C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을 콘택트만을 측면도로 하여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가압부재를 열린 위치에 위치한 때, (b)는 닫힌 위치에 위치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가압부재와 탄성 계합편의 계합 부분 근방을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는 가압부재를 열린 위치로 위치한 때, (b)는 닫힌 위치로 위치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20 : 절연 하우징
30a, 30b : 콘택트 32a, 32b : 접촉부
50 : 가압부재 51 : 설편부
52 : 포스트 72 : 탄성 계합편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로 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가압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 1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의 도 2 중의 선 C-C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a)는 가압부재를 열린 위치에 위치한 때, 및 (b)는 닫힌 위치에 위치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만, 콘택트는 측면도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포스트와 탄성계합편의 계합부분 근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a)는 가압부재를 열린 위치에 위치한 때, 및 (b)는 닫힌 위치에 위치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10)는 절연 하우징(20)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30a, 30b)를 갖는다. 콘택트(30a, 30b)의 각각은 절연 하우징(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부터 압입하여 전후로 열을 이루도록 고정된다. 콘택트(30a, 30b)는 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되는 실장부(31a, 31b) 및 회로판 수용부(28)에 수용되는 플렉시블 회로판에 접속되기 위한 접촉부(32a, 32b)를 갖는다. 특히 도 3 (a), (b)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32a, 32b)는 플렉시블 회로판의 일면에 접속되도록 배치된다. 또, 특히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32a, 32b)는 2열로 하여 천조(千鳥)배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플렉시블 회로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접촉용 패드는 접촉부 (32a, 32b)에 대응하여 천조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30a)는 실장부(31a)와 접촉부(32a)를 포함하는 탄성 접촉부(33a)를 연출시키는 기부(34a)를 갖는다. 기부(34a)는 180。 구부려 꺾어 겹쳐진 2층의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기부(34a)의 하층 금속판에는 콘택트(30a)를 절연 하우징(20)의 저부(21)에 압입 고정하기 위한 압입 돌기(35a)가 설치된다. 탄성 접촉편(33a)은 기부(34a)의 상층 금속판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며, 다시 후방으로 향하여 U자 굴곡되며, 그 단부 근방에 정측(頂側)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접촉부(32a)가 형성된다.
또한, 콘택트(30b)도 역시 실장부(31b)와 접촉부(32b)를 포함하는 탄성접촉편(33b)을 연출시키는 기부(34b)를 갖는다. 기부(34b)는 역시 금속편을 180。 구부려 꺽어 겹쳐지게 한다. 기부(34b)의 상층 금속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에는 콘택트(30b)를 절연 하우징(20)의 정부(22)에 압입 고정하기 위한 압입 돌기(35b)가 설치된다. 탄성 접촉편(33b)은 기부(34b)의 하층의 금속판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며 다시 U자 형상으로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한다. 접촉부(32b)는 기부(34b)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기부(34b)의 전단면(39)은 만곡면을 이룬다. 기부(34b)의 전단면(39)은 콘택트(30a)의 접촉부(32a)의 일부에 겹쳐지도록 위치되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콘택트(30b)의 실장부(31b)를 포함하는 타인(tine; 38)은 절연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된 구획벽(29)에 의해 격리됨과 동시에 위치 정합된다.
다시 도 1에 의하면,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10)는 회로기판으로의 취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절연 하우징(20)의 양단 근방에 설치되는 보강금구(70) 및 이들에 의해 고정되는 가압부재(50)를 갖는다. 보강금구(70)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표면실장되기 위한 실장부(71) 및 가압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계합편(72)을 구비하며, 절연 하우징(20)에 압입 고정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가압부재(50)는 절연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70)의 위치를 도 3중에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 (b)에 의하면, 가압부재(50)의 회동작용 및 플렉시블 회로판의 전기적 작용에 대하여 이해된다. 먼저 플렉시블 회로판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50)를 개방 상태로 하여 절연 하우징(20)내에 수용된다. 수용위치를 도 3(a)중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참조기호 F). 이때 가압부재(50)는 직립하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도 4(a)에 의하면, 가압부재(50)는 그 양측단에 포스트(52)를 갖는다. 포스트(52)는 원기둥 형상의 기부(52a)와 대략 반원 형상의 연장부(52b)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4(a)에 의하면, 가압부재(50)가 개방 위치에 있는 때에는 포스트(52)의 연장부(52b)가 탄성계합편(72)에 계합하며, 가압부재(50)를 절연 하우징(20)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다. 가압부재(50)는 설편부(51)를 갖지만, 개방 상태에 있어서는 설편부(51)는 플렉시블 회로판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위치한다. 플렉시블 회로판은 회로판 수용부(28)에 수용되어 절연 하우징(20)에 형성되는 제지견(23; 制止肩)에 의해 제지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다음에 가압부재(50)는 도 3(a)에 도시하는 개방 위치에서 도 3(b)에 도시하는 닫힌 위치로 회동된다(도 3(a) 중의 화살표 A 참조). 이때, 가압부재(50)의 설부(51)는 콘택트(30b)의 기부(34b)의 하측으로 회입(돌아서 들어감)되며, 가압부재(50)의 가압면(53)은 플렉시블 회로판을 콘택트(30a, 30b)에 대하여 가압하여 플렉시블 회로판과 콘택트(30a, 30b)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현한다.
가압부재(50)가 닫힌 위치에 도달하면 가압부재(50)의 양측면(54)에 형성되는 계지돌기(55)가 절연 하우징(20)의 계지견(26)에 계지된다. 계지돌기(55)와 계지견(26)과의 계합에 의해 가압부재(50)의 앞측에서의 일어남(들림)이 저지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50)가 닫힌 위치에 도달하면, 포스트(52)의 연장부(52)와 탄성 계합편(72)과의 계합이 해제되며, 이들에 의해 가압부재(50)는 후측에서 약간 일어남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편부(51)가 콘택트(30b)의 기부(34b)에 당접하므로 필요 이상의 일어남이 저지된다. 따라서, 가압부재(50)는 계지돌기(55)와 계합하는 계지견(26) 및 콘택트(30b)의 기부(34b)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에 의해 가압부재(50)는 콘택트(30a, 30b)의 피치 방향으로 밸런스가 양호하고 안정한 접촉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로 이루어 진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로 이루어 진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의하면, 콘택트의 접촉부는 2열로 하여 천조 배치되며, 접촉부의 각각은 금속판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좁은 피치이면서 충분한 접촉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전기적 접촉이 실현되며, 또한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를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로 이루어 진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의하면, 가압부재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압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포스트가 절연 하우징 측으로 설치된 탄성 계합편과 계합하므로써 절연 하우징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여 고정되며, 닫힌 위치에서는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설편부가 콘택트의 일부에 계합함으로써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며, 포스트와 탄성 계합편과의 계합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피치 방향으로 배열된 콘택트에 비교적 균일하게 안정한 접촉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접촉 신뢰성이 높다.
Claims (5)
- 절연 하우징의 전후에 배열 고정되며, 플렉시블 회로판의 일면에 설치된 복수의 패드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갖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있어서,상기 콘택트는 탄성 금속판의 타발 절곡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절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각각 저부 및 정부에 압입 고정되는 전후 콘택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상기 전후 콘택트는 압입 선단으로부터 압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반(折返)된 기부를 통해 탄성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상기 전후 콘택트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방으로 각각 연출하는 표면 실장형의 실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플렉시블 회로판을 수용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절연 하우징 및 이 절연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는 가압부재를 가지며, 이 가압부재를 상기 열린 위치로 하여 상기 플렉시블 회로판을 상기 절연 하우징에 수용시킨 후에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닫힌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플렉시블 회로판을 상기 콘택트에 가압시켜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에 있어서,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열린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가압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포스트가 상기 절연 하우징측에 설치된 탄성 계합편과 계합하므로써 상기 절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하여 고정되며, 상기 닫힌 위치에서는 상기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설편부가 상기 콘택트의 일부에 계합하므로써 상기 절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포스트와 상기 탄성 계합편의 계합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의 양측에 회전축을 갖는 대략 평판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의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914297A JP4030077B2 (ja) | 1997-07-30 | 1997-07-30 | フレキシブル回路板コネクタ |
JP9-219142 | 1997-07-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3811A true KR19990013811A (ko) | 1999-02-25 |
Family
ID=1673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28126A KR19990013811A (ko) | 1997-07-30 | 1998-07-13 |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030077B2 (ko) |
KR (1) | KR19990013811A (ko) |
GB (1) | GB233024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1378B1 (ko) * | 2001-07-24 | 2003-12-18 | 성경모 | 플랙시블 와이어 콘넥터용 플립 잠금장치 |
KR101311551B1 (ko) * | 2010-03-26 | 2013-09-26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48672B2 (ja) * | 1999-04-30 | 2009-04-02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US6665455B1 (en) * | 2000-08-14 | 2003-12-16 | Opcom Inc. | Structure of an image-sensing module |
US7044773B2 (en) | 2002-08-01 | 2006-05-16 | Ddk Ltd. | Connector |
JP4029703B2 (ja) * | 2002-09-19 | 2008-01-09 | オムロン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JP4578931B2 (ja) | 2004-10-18 | 2010-11-10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1134582A (ja) | 2009-12-24 | 2011-07-07 | Fujitsu Component Ltd | 平型ケーブル用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ロック機構 |
JP2011023371A (ja) * | 2010-11-04 | 2011-02-03 | D D K Ltd | コネクタ |
JP2012182150A (ja) * | 2012-05-25 | 2012-09-20 | D D K Ltd | コネクタ |
DE102019125285A1 (de) * | 2019-09-19 | 2021-03-25 | Phoenix Contact Gmbh & Co. Kg | Klemme zur Kontaktierung eines Kontaktstift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5413Y2 (ja) * | 1989-07-10 | 1994-09-14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3019288U (ja) * | 1995-06-08 | 1995-12-1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2976327B2 (ja) * | 1995-09-29 | 1999-11-1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EP0768613A3 (en) * | 1995-10-16 | 1998-12-09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IC card for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and card insertion method |
EP0946922B1 (de) * | 1996-12-20 | 2002-05-08 | TYCO Electronics AMP GmbH | Kartenlesevorrichtung |
-
1997
- 1997-07-30 JP JP21914297A patent/JP403007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7-13 KR KR1019980028126A patent/KR199900138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7-23 GB GB9816101A patent/GB233024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1378B1 (ko) * | 2001-07-24 | 2003-12-18 | 성경모 | 플랙시블 와이어 콘넥터용 플립 잠금장치 |
KR101311551B1 (ko) * | 2010-03-26 | 2013-09-26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9816101D0 (en) | 1998-09-23 |
JP4030077B2 (ja) | 2008-01-09 |
GB2330244A (en) | 1999-04-14 |
JPH1154220A (ja) | 1999-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976327B2 (ja) | コネクタ | |
EP0696090B1 (en) |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 |
US6345987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307746C (zh) | 扁平柔性电缆连接器 | |
TW564576B (en) |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 |
JP3075707B2 (ja) |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 |
US4087146A (en) | Flat flexible cable surface mount connector assembly | |
JP4388879B2 (ja) | コネクタ | |
US790963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portion | |
KR0122783Y1 (ko) |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 |
KR19990013811A (ko) | 플렉시블 회로판 컨넥터 | |
US6450826B1 (en) | Contact of electrical connector | |
JP3356394B2 (ja) | 電気コンタクト | |
JPH11288768A (ja) |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 |
US6174187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020083125A (ko) | 플렉시블 평면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
US5924883A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3064232B2 (ja)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JP5057583B2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
JP4270418B2 (ja) |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 |
JP2022168951A (ja) | 電気コネクタ | |
JP4387031B2 (ja) | Fpc/ffc用コネクタ | |
JP3233843B2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 |
JP4528605B2 (ja) | コネクタ | |
JPH052870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