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786B1 -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 Google Patents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786B1
KR101327786B1 KR1020110039634A KR20110039634A KR101327786B1 KR 101327786 B1 KR101327786 B1 KR 101327786B1 KR 1020110039634 A KR1020110039634 A KR 1020110039634A KR 20110039634 A KR20110039634 A KR 20110039634A KR 101327786 B1 KR101327786 B1 KR 10132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cetin
astragalin
composition
effec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684A (ko
Inventor
장선일
정승일
조정근
목지예
박지민
전인화
김현수
문병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Priority to KR102011003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78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의 가려움증을 억제 및 개선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및 경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Antipruritic composition containing astragalin and quercetin}
본 발명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의 가려움증을 억제 및 개선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및 경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과 전라북도의 산학연협력 기업부설연구소 지원사업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전주대학교의 지원으로 시행되었다.
아토피 피부염(AD)은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만성질환으로 면역학적 기능 이상과 알레르기 항원의 노출과 같은 다인자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피부 염증성 질환이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주된 증상인 가려움증은 피부 병소(skin lesion)와 심한 정신적 방해요인(psychological disturbance)에 의해 발생되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이다. 게다가 가려움증으로 인해 환부를 긁는 행위는 피부 장벽의 붕괴를 야기시키며, 반복적인 가려움증으로 인해 피부 염증부위가 더욱 악화되므로 가려움증의 효과적인 조절이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된다.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또는 급성 알레르기반응과 같은 염증질환 매개 물질을 생성하는 주요 세포이다. 급성 알레르기 반응은 IgE와 결합된 항원이 비만세포의 FcεRI 수용체에 결합함에 따른 히스타민 분비에 의해 일어난다. FcεRI의 활성화가 일어난 뒤 비만세포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대사산물과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s)과 같은 매개물질의 분비 결과, 탈과립과정(degranulation process)을 시작한다.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물질 중에서 히스타민(histamine)은 가장 특징적이고, 강한 혈관작용이 있는 매개물질로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다. 여러 항원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히스타민을 비롯하여 아이코사노이드(eicosanoid),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프로테아제(protease)와 같은 염증성 매개인자와 전염증성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화학주성사이토카인(chemotactic cytokine)을 생산한다. 이러한 비만세포를 강력하게 자극하는 물질로는 화합물 48/80(compound 48/80)과 물질 P(substance P)와 같은 기본 아미노산 복합체 등의 물질이 가려움증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화합물 48/80은 아나팔락시안 알레르기 반응의 기전연구를 위한 직접적이고 편리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증상인 피부 가려움증을 억제 및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아스트라갈린과 퀘세틴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우수한 항염증 효과 및 화합물 48/80, 히스타민, 세로토닌 또는 물질 P 등으로 유도되는 피부 가려움증을 억제 및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및 경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염효과 및 가려움증 억제 및 개선효과를 제공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KU812 세포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에 대하여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1은 항-FcεRIα 항체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2는 KU812 세포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항-FcεRIα 항체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3은 복강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에 대하여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1은 LPS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4는 복강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LPS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5는 복강 대식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에 대하여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1은 LPS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6은 복강 대식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LPS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7은 비장세포의 Th2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항-CD3과 항-CD28S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8은 화합물 48/80으로 유발된 가려움증 경감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화합물 48/80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9는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가려움증 경감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히스타민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10은 세로토닌으로 유발된 가려움증 경감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세로토닌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11은 물질 P로 유발된 가려움증 경감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QT는 퀘세틴, AG는 아스트라갈린을 의미하며, #p<0.001은 약물이 처리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내고, *p<0.05 및 ***p<0.001은 물질 P만 처리한 양성대조군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항염증 효과 및 화합물 48/80, 히스타민, 세로토닌 또는 물질 P 등으로 유도되는 피부 가려움증을 억제 및 개선시키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또는 경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퀘세틴(quercetin)은 과일, 채소, 다양한 식물에 풍부하게 함유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polyphenolic flavonoid)에 속하는 자연화합물이며, 항산화, 항암, 항바이러스, 심혈관계질환의 억제 및 항알레르기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퀘세틴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31398808-pat00001
한편,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아스트라갈린은 주로 감잎을 비롯한 식물의 잎을 비롯한 각종 부위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화합물이며, 최근에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효과가 보고되었다. 아스트라갈린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31398808-pat00002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은 1:1의 비율로 조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경구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경구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주사제와 같은 비경구용 조성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크림, 에센스, 로션 등의 화장료; 또는 연고, 크림, 페이스트, 로션, 도찰제(liniment), 외용액제, 틴크제, 에어로졸, 경고제(plaster) 등의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제, 캡슐제, 단제, 과립제, 드링크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medium)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새세이,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복강, 근육, 국소도포, 첩포 및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이 중에서 국소 적용 및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용량 범위는 중증도 및 제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적용 횟수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체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투여량은 연령, 성별, 체중, 증상, 투여 방법에 의해 상이하나, 1일당 1.0 내지 3.0㎖로 이를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구용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mg/kg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은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뽕나무(Morus alba)잎(상옆)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또한, 뽕나무 동정은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에서 동정하였다.
1. 뽕잎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 지역에서 뽕나무로부터 뽕잎을 2010년 6월 3일에 채취하였다. 채취한 뽕잎은 즉시 신선한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45℃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세절하여 530g를 추출기를 이용하여 메탄올로 50℃에서 4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수용상에서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 약 67g을 얻었으며, 이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동량의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의 순으로 용매 분획하여 13.2g, 1.48g, 1.32g, 및 6.31g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중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1.2g을 세파덱스(Sephadex) LH-20과 메탄올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5 × 3.0cm)를 실시하여 TLC(실리카 겔 60F254, 전개용매;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포름산=5:4:1, v/v) 패턴에 따라 6개의 분획(E1~E6)으로 나누었다.
이 중 주요 반점(spot)을 나타낸 E4에서 물질분리를 시도하였다. E4(467mg)를 실리카 겔과 CHCl3:MeOH: H2O(90:20:1)의 혼합용매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7 × 2.5cm)를 실시하여 8개의 소분획(E41~E48)으로 나누었다. 이중에서 E44(23mg)를 GS310 컬럼과 MeOH를 이용하여 분취용고속크로마토그래피(prep-HPLC)를 실시하고 화합물 1(8.4mg)을 얻었다. 또한 E42(78mg)를 GS310 컬럼과 MeOH를 이용하여 분취용고속크로마토그래피(prep-HPLC)를 실시하고 화합물 2(18.7mg)를 얻었다.
2.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의 구조 동정
화합물 1은 먼저 Molish 테스트와 플라보노이드 정색반응인 FeCl3, Mg-HCl, Zn-HCl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1H-NMR 스펙트럼의 방향족 영역에서 δ 7.74 (1H, d, J = 2.4 Hz), δ 6.87 (1H, d, J = 2.4 Hz), δ 6.87 (1H, d, J = 8.6 Hz) 및 δ 7.64 (1H, dd, J = 8.6, 2.4 Hz)에서 상기 화학식 1의 B환의 H-2', H-5' 및 H-6'에 기인하는 피크로 H-5'는 이웃한 수소(proton)와 메타(meta) (J = 2.4 Hz) 및 오르토 커플링(ortho coupling)(J = 8.8 Hz)하는 각각 2H에 해당하는 2개의 양성자 피크를 가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B환의 구조가 ABX 시스템 구조를 갖고 있는 카테콜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환과 관련된 수소의 신호는 관찰되지 않아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13C-NMR 스펙트럼의 δ 136.1과 146.8에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특징인 각각 C-3과 C-2에 해당하는 신호가 관찰되었다. 또한, δ 147.6과 δ 145.1은 B환의 C-4'와 C-3'로 OH(수산기)이 결합되어 있는 카테콜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A환의 C-8과 C-6은 각각 δ 94.1과 δ 98.1에서 나타나며 OH(수산기)가 결합된 C-5, C-7 및 C-9는 각각 161.3, 164.4 및 157.1에서 나타나 전형적인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A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문헌 [진은영, 박영서, 장재권, 정명수, 박훈, 심건섭, 최영진. 용매 추출과 병용 추출법을 이용한 양파 과육으로부터 퀘세틴 관련물질의 추출, 2009, 산업식품공학, 13(2),147-153]을 비교하여 화합물 2는 3,3',4',5,7-펜타하이드록시플라본(pentahydroxyflavone)인 퀘세틴인 것으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3,3',4',5,7-펜타하이드록시플로본(퀘세틴): 1H-NMR (400MHz, CD3OD) δ 6.19 (1H, d, J = 2.4 Hz, H-6), 6.39 (1H, d, J = 2.4 Hz, H-8), 6.87 (1H, d, J = 8.6 Hz, H-5'), 7.63 (1H, dd, J = 8.6, 2.4 Hz, H-6'), 7.74 (1H, d, J = 2.4 Hz, H-2'). 13C-NMR (100MHz, CD3OD) δ 176.5 (C-4), 164.4 (C-7), 161.3 (C-5), 157.1 (C-9), 147.6 (C-4'), 146.8 (C-2), 145.1 (C-3'), 136.1 (C-3), 122.9 (C-1'), 120.5 (C-6'), 115.1 (C-5'), 114.8 (C-2'), 103.3 (C-10), 98.1 (C-6), 94.1 (C-8).
화합물 2는 Molish test와 플라보노이드 정색반응인 FeCl3, Mg-HCl, Zn-HCl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1H-NMR 스펙트럼의 방향족 영역에서 δ 8.04과 6.88에서 오르토 커플링(ortho coupling)( J=8.8 Hz)하는 각각 2H에 해당하는 2개의 양성자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δ 6.38과 6.19에서는 메타 커플링(meta coupling)(J=2.0Hz)하는 각각 1H에 해당하는 신호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화합물 2는 캄페롤 골격인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추정되었으며 δ 5.24에서 아노머 양성자(anomeric proton)(J=7.6Hz)로 추정되는 피크가 관찰되었고, 13C-NMR 스펙트럼에서 글루코스에 해당하는 δ 62.6의 메틸렌 피크를 비롯하여 104. 1 (C-1"), 78.4 (C-3"), 87.1 (C-5"), 75.7 (C-2"), 71.4 (C-4")의 5개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상으로 화합물 2의 구조는 캄페롤 글리코시드로 추정하고 기존 문헌 [Do JC, Yu YJ, Jung KY, and Son KH. (1992a)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Polygala japonica. Kor. J. Pharmacogn. 23. 9-13] 및 [Do JC, Jung KY, and Son KH. (1992b) Flavonoid glycosides from the frods of Pyrrosia lingua. Kor. J. Pharmacogn. 23. 276-269]에 발표된 자료와 비교하여 캄페롤-3-O-글루코피라노시드(아스트라갈린)으로 확정하였다.
캄페롤-3-O-글루코피라노시드(아스트라갈린): 1H-NMR (400MHz, CD3OD) δ 8.04 (2H, d, J = 8.8 Hz, H-2', 6'), 6.88 (2H, d, J = 8.8Hz, H-3', 5'), 6.38 (1H, d, J = 2.0Hz, H-8), 6.19 (1H, d, J = 2.0Hz, H-6), 5.24 (1H, d, J = 7.6Hz, H-1"). 13C-NMR (100MHz, CD3OD) δ 179.5 (C-4), 166.3 (C-7), 163.1(C-5), 161.6 (C-4'), 159.1 (C-9), 158.5 (C-6), 135.5 (C-7), 132.3 (C-2', 6'), 122.8 (C-1'), 116.1 (C-3', 5'), 105.7 (C-10), 104. 1 (C-1"), 100.0 (C-6), 94.8 (C-8), 78.4 (C-3"), 87.1 (C-5"), 75.7 (C-2"), 71.4 (C-4"), 62.6 (C-6").
[참고예 2] 재료
1. 시약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 PGE2), 인터루킨-4(IL-4), IL-13,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E, IgE) 등의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와 항마우스 CD3, 항마우스 CD28은R&D Systems(Minneapolis, U.S.A.)사로부터 구입했다. RPMI 1640 배지,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은 Gibco BRL사(Grand Islang, NY,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또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ride, LPS), 화합물 48/80, 히스타민, 세로토닌, 물질 P, NG-모노메틸-라르기닌(NGMMA) 및 기타 사용된 모든 시약은 분석등급으로 Sigma-Aldrich와 Merck(Darmstadt,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2. 실험동물
6주령의 암컷 무모(hairless) 마우스는 Orient Bio Inc.(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구입 후 1주일 동안 환경에 적응 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낮과 밤의 주기를 12시간씩 고정하여 사료(중앙실험동물㈜)와 멸균된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였고, 온도와 습도를 각각 22±1℃, 60±5%로 유지하면서 사육한 후 전주대학교 실험동물위원회의 실험 규정에 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3] 통계처리
모든 실험값은 평균 ± 표준오차로 표시했으며, 통계분석은 ANOVA와 student's t-test로 처리하였으며, 유의성 한계는 p < 0.05로 정하였다.
[시험예 1]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 측정
KU812 세포(인간의 호염구 백혈병 세포주, human basophilic leukemia cells)는 10% FBS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에서 습기를 충분하게 하고 95% 공기와 5% CO2 존재 하에서 37℃를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 KU812 세포는 히스타민 방출 완충액(30mmol/L TRIS-HCl [pH 7.6], 120mmol/L NaCl, 5mmol/L KCl, 1mmol/L CaCl2, 1mmol/L MgCl2, 및 0.03% BSA)을 주입하였다. KU812 세포(105/mL) 100μL의 첫번째 배양은 퀘세틴(5, 10, 20μg/mL), 아스트라갈린(5, 10, 20μg/mL), 또는 퀘세틴(5μg/mL)과 아스트라갈린(5μg/mL)을 동시에 주입하고 30분 동안 빙욕(ice bath)에 방치하였다. 그 후 4℃에서 5분간 3,000rpm으로 원심하고 히스타민 방출 완충액을 200μL 주입하며 항-FcεRIα mAb(15μg/mL)를 주입하고 30분간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부유액을 5분 동안 3,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고, 세포용출액은 세포용균 완충액[20mM Tris-HCl(pH 7.5), 150mM NaCl, 1mM Na2EDTA, 1mM EGTA(ethylene glycol tetraacetic acid), 1% 트리톤(Triton), 2.5mM 피로인산나트륨(sodium pyrophosphate), 1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 1mM Na3VO4, 1μg/ml 류펩틴(leupeptin)]으로 세포를 용해하여, 상층액과 세포 용출액을 히스타민 ELISA 분석 키트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항-FcεRIα mAb로 자극하지 않은 히스타민의 양을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은 항-FcεRIα mAb로 자극한 히스타민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 모두 10μg/mL 및 20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유의한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저농도인 5μg/mL 처리군에서는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가 미약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스타민 방출 억제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없는 저농도(5μg/mL)의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하여 활성물질의 최종 처리 농도를 10μg/mL로 한 경우, 퀘세틴 또는 아스트라갈린을 각각 10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 가려움증과 관련된 히스타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일산화질소 억제 효과 측정
1. 복강 대식세포의 분리 및 배양
건강한 수컷 생쥐에 티오글리콜레이트 배양액(Brewer's thioglycollate broth) 2mL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복강내로 주입하고 3일 후 마우스를 후경골탈추법으로 즉사시킨 다음 헤파린(5U/mL)이 첨가된 HBSS 10mL를 복강에 주입하고 복강을 잘 마사지하였다. 마사지 후 26케이지 10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으로 유입된 세포를 얻은 후 2회 원심 세척하였다. 분리된 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 부유시켜 배양접시에 접종한 후 37℃와 5%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대식세포외 다른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냉각 HBSS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세척하였다. 부착된 생쥐 복강 대식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여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일산화질소 농도의 측정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기질인 L-아르기닌은 L-시트룰린과 일산화질소로 변하는데, 이는 빠르게 안정된 이산화질소, 아질산염, 질산염으로 변한다. 그리스 시약(Griss reagent: 0.5%의 설파닐아미드, 2.5%의 인산 및 0.5%의 나프틸에틸렌아민)은 아질산염과 화학반응하여 보라색의 아조염을 형성하고 이것은 일산화질소의 농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아조염의 농도로부터 아질산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540nm에서 그 최대 흡수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마우스로부터 분리된 복강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성능에 미치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한 복강 대식세포(5×105/mL)를 퀘세틴(5, 10, 20μg/mL), 아스트라갈린(5, 10, 20μg/mL), 또는 퀘세틴(5μg/mL)과 아스트라갈린(5μg/mL)을 동시에 처리하였으며, 또한 대조군으로서 공지된 PGE2 생성 억제 물질인 NGMMA(5μM)를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여러 가지 농도의 약물을 전처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RPMI 1640 배지로 3번 세척한 다음 LPS(1μg/mL)로 자극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얻어 일산화질소 생성양을 측정하였다. 즉, 상기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각 세포 상층액 100μL씩을 96웰 플레이트에 주입하고 100μL 그리스 시약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샘플 빛의 흡수는 분광광도계(MD, U.S.A.)로 540nm에서 측정하였다. 아질산산염의 농도 정도는 아질산염의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결과는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을 보면, LPS로 자극한 복강 대식세포에서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 모두 10μg/mL 및 20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유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저농도인 5μg/mL 처리군에서는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가 미약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없는 저농도(5μg/mL)의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하여 활성물질의 최종 처리 농도를 10μg/mL로 한 경우, 퀘세틴 또는 아스트라갈린을 각각 10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제로 잘 알려진 NGMMA의 효과와 유사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 가려움증과 관련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프로스타글란딘 E2 억제 효과 측정
1. 복강 대식세포의 분리 및 배양
건강한 수컷 생쥐에 티오글리콜레이트 배양액(Brewer's thioglycollate broth) 2mL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복강내로 주입하고 3일 후 마우스를 후경골탈추법으로 즉사시킨 다음 헤파린(5U/mL)이 첨가된 HBSS 10mL를 복강에 주입하고 복강을 잘 마사지하였다. 마사지 후 26케이지 10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으로 유입된 세포를 얻은 후 2회 원심 세척하였다. 분리된 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 부유시켜 배양접시에 접종한 후 37℃와 5%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대식세포외 다른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냉각 HBSS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세척하였다. 부착된 생쥐 복강 대식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여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2.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활성 측정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한 복강 대식세포(5×105/mL)를 퀘세틴(10μg/mL), 아스트라갈린(10μg/mL), 또는 퀘세틴(5, 10, 20μg/mL), 아스트라갈린(5, 10, 20μg/mL), 또는 퀘세틴(5μg/mL)과 아스트라갈린(5μg/mL)을 동시에 처리하였으며, 또한 대조군으로서 공지된 PGE2 생성 억제 물질인 인도메타신(5μM)을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여러 가지 농도의 약물을 전처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LPS(100ng/mL)로 자극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얻어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들 물질의 정량은 24시간 동안 축적된 량을 측정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측정방법은 R&D사(Minneopolis, U.S.A.)가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결과는 도 5 및 6에 나타내었다.
도 5를 보면, LPS로 자극한 복강 대식세포에서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 모두 10μg/mL 및 20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유의한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저농도인 5μg/mL 처리군에서는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가 미약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에 대한 유의한 효과가 없는 저농도(5μg/mL)의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하여 활성물질의 최종 처리 농도를 10μg/mL로 한 경우, 퀘세틴 또는 아스트라갈린을 각각 10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제로 잘 알려진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의 효과와 유사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 가려움증과 관련된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Th2 사이토카인 억제에 대한 효과 측정
1. 비장세포의 분리
건강한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에테르에 마취시킨 다음 후경골탈추법으로 즉사 시킨 후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로 부드럽게 압착하여 단일 세포 부유액을 만든 다음 40㎛ 나일론 메시를 통과 시켰다. 세포는 Ca2+과 Mg2+가 들어 있지 않은 HBSS를 이용하여 2회 원심 세척하였다. 그 후 Ficoll-hypaque를 사용하여 림프구를 분리한 다음 RPMI 1640 배양액으로 3회 원심 세척하였다. 세포를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 부유시킨 후 0.4% 트립판 블루로 95%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고 혈구계산용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세포의 수를 산정한 후 배양하면서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2. 비장세포 상층액의 IL-4, IL-5 및 IL-13 사이토카인의 측정
비장세포(2.5×106/mL)를 퀘세틴(10μg/mL), 아스트라갈린(10μg/mL), 또는 퀘세틴(5μg/mL)과 아스트라갈린(5μg/mL)으로 처리하였으며, 또한 대조군으로서 공지된 PGE2 생성 억제 물질인 타크로리무스(Tacrorimus)를 (5μM)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여러 가지 농도의 약물을 전처리하고 2시간 경과한 후 항-마우스 CD3(1μg/mL)과 항-마우스 CD28(1μg/mL)로 동시에 자극하고 48시간 후에 배양 상층액을 얻어 IL-4와 IL-13 사이토카인의 양을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의 측정은 R&D사(Minneopolis, U.S.A.)가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보면, 퀘세틴과 이스트라갈린을 각각 10μg/ml을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IL-4와 IL-13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p<0.05), 특히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이들 성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IL-4와 IL-13의 생산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Th2 사이토카인 억제제로 잘 알려진 타크로리무스(Tacrorimus)의 효과와 유사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아토피 등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은 일반적으로 Th2 세포가 Th1 세포에 비해 편향적으로 발달된 면역학적 특징이 있으며, IL-4와 IL-13과 같은 사이토카인이 매우 높게 생산되고, 이를 통하여 B 세포가 활성화되어 결국 알레르기 질환을 야기하는 IgE 항체를 과다하게 분비하게 한다. 따라서 IL-4와 IL-13과 같은 Th2 사이토카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물질의 발굴이 가려움증을 야기하는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가려움증을 야기하는 피부질환을 치료 또는 개선하는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가려움증 유발 물질에 대한 가려움증 경감 효과 측정
실험을 시작 하기 전에 실험군당 5마리의 무모 마우스(7주령)를 각각 투명 아크릴 케이지(20×26×13cm)에 한 마리씩 넣고, 안정을 위해 30분 동안 동일한 실험 환경에 방치하였다. 가려움 증을 유발하기 전에 퀘세틴(10mg/kg(체중)) 또는 아스트라갈린(10mg/kg(체중)), 또는 퀘세틴(5mg/kg)과 아스트라갈린(5mg/kg)을 동시에 경구투여하고 대조군은 인산완충액 0.20ml를 경구투여한 후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약물인 화합물 48/80, 히스타민, 세로토닌 및 물질 P는 각각 생리식염수에 용해 또는 희석하여 마우스 양쪽 어깨 사이 높이에 피하주사(s.c injection)하였다. 이 때 각 실험군에 따라 화합물 48/80은 50μg/site, 히스타민은 100μg/site, 세로토닌은 100μg/site, 물질 P는 100μg/site 농도로 0.10μl 씩 사용하였다. 가려움증 유발 물질을 주사 한 마우스는 곧바로 Mihara의 방법(Kuraishi et al., Scratching behavior induced by pruritogenic but not algesiogenic agents in mice. Eur J Pharmacol., 275: 229-223, 1995)을 따라 초소형 카메라(micro-camera)(ONCCTV, 서울,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60분 동안 녹화하였으며, 뒷발을 사용하여 가려움증 유발 물질이 주입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이중맹검법으로 계수하여 평가하였다. 각 유발 물질에 따른 실험은 각각 다른 날에 진행되었으며 매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는 1회 사용되었다. 측정 결과는 도 8~11에 나타내었다.
도 8~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48/80, 히스타민, 세로토닌, 물질 P 등으로 유발한 가려움증으로 인한 긁는 횟수가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각각 투여한 실험군보다는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을 동시에 투여한 실험군에서 훨씬 적으며, 이를 통해 퀘세틴과 아스트라갈린의 동시 사용에 의한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가려움증 경감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가려움증 경감에 사용되는 약물인 메티세르지드(methysergide)의 효과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려움증 경감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퀘세틴과 아르트라갈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이들을 동시에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훨씬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경감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외용제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외용제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제 약학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경감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제 약학 조성물.
  9.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경구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구용 식품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식품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경감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식품 조성물.
  13.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경구용 약학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경감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KR1020110039634A 2011-04-27 2011-04-27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KR10132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34A KR101327786B1 (ko) 2011-04-27 2011-04-27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34A KR101327786B1 (ko) 2011-04-27 2011-04-27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84A KR20120121684A (ko) 2012-11-06
KR101327786B1 true KR101327786B1 (ko) 2013-11-11

Family

ID=4750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634A KR101327786B1 (ko) 2011-04-27 2011-04-27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9600B (zh) * 2015-03-10 2016-07-06 沈阳东新药业有限公司 柿叶总黄酮的提取和纯化方法
KR101884342B1 (ko) * 2016-07-21 2018-08-02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2637B1 (ko) * 2018-12-07 2021-07-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74194B1 (ko) * 2020-02-14 2020-11-04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플라본-레스베라트롤 접합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FR3130609A1 (fr) 2021-12-21 2023-06-23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Combinaison de l’Astragaline et la Miquélianine pour inhiber l’activité de la lipase de S aure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941A1 (en) * 2006-12-15 2008-06-19 Biospectrum, Inc.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US20090028970A1 (en) * 2005-03-03 2009-01-29 Sapporo Breweries Limited Antiallerg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8970A1 (en) * 2005-03-03 2009-01-29 Sapporo Breweries Limited Antiallergic composition
WO2008072941A1 (en) * 2006-12-15 2008-06-19 Biospectrum, Inc.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684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deau et al. Rhealba® oat plantlet extract: evidence of protein-free content and assessment of regulatory activity on immune inflammatory mediators
KR101327786B1 (ko)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US8853261B2 (en) Nutraceutical composition from Garcinia mangostana
KR20120021959A (ko)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4907202B (zh) 花椒活性提取物、花椒多酚及其组合物的制备和应用
KR100815476B1 (ko)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100088634A (ko) 프락시누스 엑셀시어 종자 추출물 및 이것의 치료 용도
CN115215828A (zh) 马齿苋活性提取物、马齿苋活性多酚的制备及应用
JP2005213178A (ja) TNF−α産生抑制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及び皮膚外用剤
KR100926798B1 (ko) 페리너스 속 버섯 또는 이노노투스 속 버섯의 균사체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히스피딘 유사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조성물
KR102106131B1 (ko) 연산호 큰수지맨드라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4874213B (zh) 一种苦参生物碱、苦参提取物制备及抗炎、止痒应用
WO2022254868A1 (ja) 新規イソフラボン化合物
JP6263349B2 (ja) 抗アレルギー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CN111067924A (zh) 一种具有抑制醛糖还原酶活性的琼花果实总木脂素提取物及其活性成分和用途
KR101577189B1 (ko)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5133A (ko) 유동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18129B1 (ko) 강판귀로부터 분리된 디보사이드 에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9179B1 (ko) 허수테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397220B1 (ko) 3,4,5-트리카페오일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접촉성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20090095309A (ko) 사우치논 또는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삼백초 추출물을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041208A (zh) 枸杞根多酚衍生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20230052446A (ko) 남극 진균 균주 Pleosporales sp. SF-7343 유래 대사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874215A (zh) 苦参碱组合物的制备及其抗炎、止痒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