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189B1 -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189B1
KR101577189B1 KR1020140011531A KR20140011531A KR101577189B1 KR 101577189 B1 KR101577189 B1 KR 101577189B1 KR 1020140011531 A KR1020140011531 A KR 1020140011531A KR 20140011531 A KR20140011531 A KR 20140011531A KR 101577189 B1 KR101577189 B1 KR 10157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benoate
composition
preventing
allergy
mas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639A (ko
Inventor
임동순
최영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1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미자에서 분리된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가 항원에 노출된 비만세포에서 점액분비를 유도하는 β-헥소사미데이즈의 활성과 비만세포 내 [Ca2 +]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알러지를 유도하는 염증매개성 물질의 탈과립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알러지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llergy comprising α-cubebenoate}
오미자로부터 추출된 신규한 화합물인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미자는 러시아, 중국, 한국 및 일본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동양에서는 오미자의 건조 과육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전통의학에서 강장제로 사용하고 있다. 오미자에는 리그난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오미자 과육으로부터 30가지 이상의 리그난이 분리되어 졌다. 그중에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몇 가지의 C18 dibenzocyclooctadiene계 리그난 (lignan)은 항간염, 항산화, 항염증, 항암 및 항 HIV와 같은 유익한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신규한 물질인 α-이소-큐베베네는 내피세포 유착을 억제하는 효과와 사람 세포내 Ca 증가와 호중구(neutrophils)내 CXCL8 생성을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IgE 매개에 의한 비만세포 활성화는 호산구, 호염구 및 Th2 림프구의 집합에 의해 증폭되는 알러지의 핵심 염증반응의 연쇄반응을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비만세포는 염증성 매개물질을 함유하는 과립과 세포표면에는 IgE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만세포의 수용체에 결합된 IgE가 항원들과 교차결합되면 비만세포의 활성화가 시작되고 탈과립화가 진행되어 히스타민, 비만세포 키마제, 트립타제 및 세린에스테라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염증성 매개물질들이 과립으로부터 방출되고 세포 밖으로 분비하여 알러지 반응을 유발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004-0118510호
본 발명은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0.1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및 알러지성 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이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유도하는 세포내 [Ca2 +] 및 β-헥소사미데이즈(β-hexosamidase) 활성 증가를 억제하여 알러지 반응을 유발시키는 염증매개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억제를 통하여 항 알러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알러지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α-쿠베베노에이트의 구조로 A는 GC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며, B는 쿠베베노에이트의 구조, C는 α-쿠베베노에이트의 주요 HMBC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α-쿠베베노에이트가 항원에 의한 RBL-2H3 비만세포의 β-헥소사미데이즈 방출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DNP-IgE로 감작된 RBL-2H3 비만세포에 10, 30, 100 및 300ng/ml 농도와 1, 3, 10, 30 및 100μg/ml 농도의 α-쿠베베노에이트를 30분 동안 처리한 후 DNP 사람 혈청 알부민으로 자극시켜 비만세포에서 방출된 β-헥소사미데이즈 활성량을 측정하여 항원에 의한 탈과립화를 확인한 결과로, RBL-2H3 비만세포에서 α-쿠베베노에이트의 용량의존적 탈과립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α-쿠베베노에이트가 항원에 의해 RBL-2H3 비만세포내 증가된 [Ca2 +]i를 억제하는 효과를 푸라(fura)-2 AM 염색으로 확인한 결과로, 하룻밤 동안 DNP-IgE로 감작된 RBL-2H3 비만세포에 푸라(fura)-2 AM으로 45분간 염색 후 PBS로 두 번 반복 세척한 후 30, 50 또는 100 ㎍/ml α-쿠베베노에이트를 첨가하여 10분간 인큐베이션하고 DNP 사람 혈청 알부민으로 자극시켜 세포내 [Ca2 +]i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면의 화살표는 항원이 첨가된 시기를 나타낸 것이며, 항원 첨가 이후 항원에 의해 유도된 [Ca2 +]i증가를 α-쿠베베노에이트가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α-쿠베베노에이트의 용량의존적으로 RBL-2H3 비만세포내 증가된 [Ca2+]i 억제를 확인한 결과로, 하룻밤 동안 DNP-IgE로 감작된 RBL-2H3 비만세포에 푸라(fura)-2 AM으로 45분간 염색 후 PBS로 두 번 반복 세척한 후 10, 30, 50, 70 또는 100㎍/ml α-쿠베베노에이트를 첨가하여 10분간 인큐베이션하고 DNP 사람 혈청 알부민으로 자극시켜 세포내 [Ca2 +]i 변화를 확인한 것으로, 각각의 농도별 α-쿠베베노에이트에 의해 억제된 [Ca2 +]i 을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랫의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에 항원인 사람 디니트로페닐 알부민(DNP-hAb)을 노출시켜 탈화립화를 유도하고 오미자에서 추출한 α-쿠베베노에이트를 도 2와 같은 농도로 처리하고 비만세포의 점액 분비를 유도하는 β-헥소사미데이즈의 활성을 측정하여 α-쿠베베노에이트의 비만세포 탈과립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α-쿠베베노에이트는 농도의존적으로 β-헥소사미데이즈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였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항원에 노출된 비만세포는 [Ca2 +]의 농도를 증가시켜 탈과립화를 유발시키므로, α-쿠베베노에이트가 항원 노출에 의한 [Ca2 +]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지 푸라(fura)2-AM 형광 염색을 통하여 [Ca2 +]농도를 확인한 결과,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비만세포내 항원노출에 의해 증가했던 [Ca2 +]가 α-쿠베베노에이트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0.1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및 알러지성 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은 유효성분인 본 발명에 따른 α-쿠베베노에이트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α-쿠베베노에이트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오미자로부터 신규한 α- 쿠베베노에이트 (α- cubebenoate ) 추출
2010년 문경에서 수집한 건조 오미자 1.0 kg을 분쇄기로 완전히 분쇄한 후 실온에서 n-hexane, CHCl3 및 MeOH를 용매로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헥산 추출물 158g을 진공상태에서 탈수시켜 얻은 헥산 추출물 50g을 Diaion HP20(250-850μm; Sigma-Aldrich Korea Ltd, Yongin-city, Korea)이 충진된 40×8 cm 컬럼에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용매로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7개의 분획을 얻었다.
수득한 분획 중 첫 번째 분획인 17SCH1 22.95 g을 80×6.5 cm 실리카겔 컬럼에 넣고 0.5% 아세톤, 25% 아세톤 및 25% 메탄올이 혼합된 CHCl3을 순차적으로 흘려보내어 19개 분획을 수득하였다. 19개의 분획 중 세 번째 분획인 17SCH1IC 430.2 mg을 100×3.0 cm sephadex 컬럼에 50% 메탄올이 포함된 CHCl3 용매로 분리하여 21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21개 분획 중 두 번째 분획인 17SCH1ICIB, 161.9 mg을 60×2.0 cm 실리카겔 컬럼에 5% 아세톤이 포함된 CH2Cl2 용매로 분리하여 6개의 분획을 분리하여 수득하였다. 또한 얻어진 6개의 분획 중 세 번째 분획인 17SCH1ICIBIC, 130.4 mg을 100×3.0 cm sephadex 컬럼에 50% 메탄올이 포함된 CH2Cl2 용매로 분리하여 3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3개의 분획 중 첫번째 분획인 17SCH1ICIBICIA, 101.9 mg을 73×3.0 cm 실리카겔 컬럼에 50% CH2Cl2이 포함된 헥산 용매로 분리하여 α-쿠베베노에이트인 17SCH1ICIAIL, 20.8 m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α- 쿠베베노에이트 (α- cubebenoate ) 구조 분석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화합물을 1H, 13C, Dept, HSQC 및 HMBC NMR 스펙트라를 통하여 동정한 결과 α-cubebenoate의 분자 이온 시그날은 m/z 262였으며, 분자식은 C17H26O2로 확인되었다. 또한 1H, 13C 및 Dept NMR로 확인한 결과, 4개의 primary carbon (δC 19.19, 19.33, 19.55, 20.95), 4개의 secondary carbon (δC 21.79, 30.82, 36.35, 67.34), 6개의 tertiary carbon (δC 32.43, 39.87, 44.77, 45.05, 48.02, 122.78) 및 3개의 quaternary carbon (δC 39.30, 141.24, 170.98)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2중 결합을 확인하였으며, 분자식 C17H26O2의 구성 원소들을 볼 때 3개의 사이클링 링(tricyclic ring)에 4개의 불포화결합과 1개의 이중결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α-쿠베베노에이트의 1H NMR로부터 2.02, H-17인 하나의 메틸 단일선과 δH = 0.84 (H-12, H-13)과 d = 0.75 (H-14)인 세 개의 메틸 이중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δH = 5.62 (H-3)에서 흡수된 한 개의 올레피닉 프로톤(olefinic proton)를 확인하였으며, δH = 1.65 (H-6) 및 δH = 2.18 (H-5)에서는 두 개의 사이클로프로펜 프로톤(cyclopropane proton)이 확인되었다.
δH = 1.59 (2H, H-8), 1.73 및 1.61 (2H, H-9)에서 2개의 메틸렌기 부분의 고배율로 이동된 양성자 신호가 관찰되었으며, 상기 고배율로 이동된 신호를 통하여 사이클로프로펜 고리 구조에 이방성 범위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OCH2와 연결된 카르복실기가 δH = 4.49 및 4.39 (H-15)에서 공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H1H-COSY 데이터를 통하여 두 개의 메틸렌 양성자가 메틸렌기 부분에 인접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메틸렌기의 다른 양성자는 스펙트럼의 지방족 구역에서 발견되었는데, H-8은 2개의 메틴양성자(1.54-1.60 H-7/H-8b/H-9)와 함께 다중선에 위치해 있었으며, H-9은 δH = 1.73 및 1.61에 흡수되어 있었다.
하나의 메틸렌기에 속하는 두 개의 양성자(2H, H-2)는 이중선으로 δH = 2.26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작용기의 연결은 이차원 NMR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1H1H-COSY 데이터에서 H-7/H-8/H-11의 다중항과 교차 피크를 통하여 아이소프로필기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추가로 HMBC를 확인한 결과, 탄소 C-11이 H-12 및 H-13과 메틸 이중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탄소 C-7 역시 H-12 및 H-13과 메틸 이중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H-8 및 H-9와도 연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C-9는 메틴 양성자 H-10 및 메틸 이중선 H-14와 연결되어 6각형 고리를 형성하였다. 인접한 4개의 탄소와 연결된 C-1은 H-2, H-4, H-6, H-9, H-10 및 H-14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쿠베베네 세스퀴테르펜(cubebane sesquiterpene) 골격과 일치했다.
상기 결과로부터 도 1과 같은 신규한 화합물인 α-쿠베베노에이트의 구조가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세포배양
랫의 RBL-2H3 비만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VA)에서 구입하고 불활성화된 10% (v/v) 태아소혈청, 100 units/mL 페니실린, 50 ㎍/mL 스트렙토마이신, 2mM 글루타민 및 1mM 소디움 피루빈산염이 포함된 고 농도 글루코즈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조건으로 5% CO2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 실시예 4> α- 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의 항원에 의한 탈과립 억제 효과 확인
항원에 노출된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및 프로스타클란딘의 탈과립화는 알러지 반응의 중요한 단계로, α-쿠베베노에이트가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RBL-2H3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유도하는 β-hexosamidase 활성을 측정하여 α-쿠베베노에이트의 탈과립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RBL-2H3세포를 24-well 플레이트에 한 well 당 2×105 개의 세포로 접종하고 0.5㎍/ml 모노클로날 항-디니트로페닐 특이적 마우스 IgE(DNP-IgE, D8406, Sigma, St. Louis, MO)를 첨가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세포를 감작시켰다. 그 후 세포를 25 mM PIPES, 110mM NaCl, 5mM KCl, 5.6mM 글루코즈, 0.4mM MgCl2, 0.1% BSA 및 1mM CaCl2 이 포함된 pH 7.2의 PIPES buffer로 두 번 반복 세척하여 DNP-IgE를 제거한 후 PIPES buffer 500 μl로 인큐베이션하고, 도 2와 같이 10, 30, 100 및 300ng/ml 농도와 1, 3, 10, 30 및 100μg/ml 농도의 α-쿠베베노에이트를 각각의 well에 첨가하고 37℃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10㎍/ml의 사람 디니트로페닐 알부민(DNP-hAb, A6661 Sigma, St. Louis, MO)을 첨가하여 추가로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탈과립을 유도하였다. 그 후 배지를 50μl씩 96-well 마이크로플레이드에 분주하고, 1 mM 4-니트로페닐 N-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드 (N9376, Sigma, St. Louis)이 포함된 pH 4.5의 0.1 M 시트르산염 버퍼를 50μl씩 첨가하고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세포에 동일한 용량의 0.5% 트리톤 X-100을 사용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용해시켰다. 용해된 RBL-2H3 비만세포의 전체 β-헥소사미데이즈 활성을 동일한 속도로 측정하고 0.05M 소디움 카보네이트 버퍼(pH 10.0; 0.05 M Na2CO3/0.05 M NaHCO3) 250μl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흡광도(OD)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10nm에서 측정하였으며, 탈과립화는 감작된 세포의 전체 β-헥소사미데이즈 활성에서 방출된 β-헥소사미데이즈의 비율로 계산되었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탈과립화는 항원 노출 후 배지 내의 β-헥소사미데이즈 활성량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항원에 의해 유도된 β-헥소사미데이즈 활성은 α-쿠베베노에이트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 실시예 5> α- 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의 항원에 의한 [ Ca 2 + ] 농도 증가 억제 확인
항원에 노출된 비만세포는 [Ca2 +]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탈과립화를 유발시키므로, α-쿠베베노에이트가 항원 노출에 의한 [Ca2 +]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RBL-2H3 비만세포를 트립신 소화하여 침강시키고 0.5㎍/ml 모노클로날 항-디니트로페닐 특이적 마우스 IgE(DNP-IgE, D8406, Sigma, St. Louis, MO)가 포함된 완전한 배지에서 37℃조건으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pH 7.4의 20 mM Hepes, 103 mM NaCl, 4.8 mM KCl, 1.2 mM KHPO, 1.2 mM MgSO, 0.5 mM CaCl2, 25 mM NaHCO3, 15 mM 글루코즈, 2.5 mM 프로베네시드 및 0.1%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fatty acid free)으로 구성된 Hepes 완충 배지로 RBL-2H3 비만세포를 재부유시키고, 5μm의 푸라(fura) 2-AM을 첨가하여 4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510nm 방출 파장과 340nm 및 380nm 두 개의 여기 파장으로 0.1초 마다 F4500 형광 분광 광도계(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푸라(fura) 2 형광 변화를 측정하여[Ca2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항원 노출에 의해 유도된 [Ca2 +]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α-쿠베베노에이트는 항원에 의한 [Ca2 +]증가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α-쿠베베노에이트의 탈과립화 억제는 전압의존성 Ca2 + 채널과 같은 Ca2 + 채널에 작용함으로써 비만세포내 [Ca2 +] 증가를 억제하고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여 항 알러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제예 1> 주사제의 제조
α-쿠베베노에이트 10 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mg, 메틸파라벤 0.8 mg, 프로필파라벤 0.1 mg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 ㎖이 되도록 제조한 후, 2 ㎖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α-쿠베베노에이트 10 mg, 유당 100 mg, 전분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α-쿠베베노에이트 10 mg,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α-쿠베베노에이트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조예 1> 건강식품의 제조
α-쿠베베노에이트 1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건강음료의 제조
α-쿠베베노에이트 1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는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0.1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및 알러지성 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삭제
  6. α-쿠베베노에이트(α-cubebeno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1020140011531A 2014-01-29 2014-01-29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31A KR101577189B1 (ko) 2014-01-29 2014-01-29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31A KR101577189B1 (ko) 2014-01-29 2014-01-29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39A KR20150090639A (ko) 2015-08-06
KR101577189B1 true KR101577189B1 (ko) 2015-12-14

Family

ID=5388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531A KR101577189B1 (ko) 2014-01-29 2014-01-29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483A (ko) 2016-07-29 2018-0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라릭스 시비리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483A (ko) 2016-07-29 2018-0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라릭스 시비리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39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562B1 (ko) 캠페롤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0609492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예방용 기능성 식품
KR101415167B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736916B1 (ko)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1577189B1 (ko)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6134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4760B1 (ko) 포볼 타입의 디테르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108796A (ko) 등심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효과를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49575B1 (ko) 테뉴폴리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1457B1 (ko) 씀바귀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6773B1 (ko) 벼 뿌리 유래의 다이터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70054315A (ko)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81758B1 (ko)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70021409A (ko) 신규한 트리신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KR102074575B1 (ko) 세스퀴테르펜 계열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418164B1 (ko) 자외선을 처리한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84760B1 (ko) 젖버섯아재비로부터 신규한 세스퀴테르핀계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면역강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52233B1 (ko) 로즈허브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2600557B1 (ko) 나한송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26467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9450B1 (ko) 독활에서 유래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항염증성 조성물
KR10237311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