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758B1 -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758B1
KR101481758B1 KR20130020573A KR20130020573A KR101481758B1 KR 101481758 B1 KR101481758 B1 KR 101481758B1 KR 20130020573 A KR20130020573 A KR 20130020573A KR 20130020573 A KR20130020573 A KR 20130020573A KR 101481758 B1 KR101481758 B1 KR 10148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ppm
present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255A (ko
Inventor
윤봉식
이인경
기대원
이승웅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2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7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or with ring systems containing such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79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은,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DNA SSB(single strand breakage) 억제활성을 우수하게 나타내어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므로, 항산화제 및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에 대한 예방·치료, 피부손상, 내지는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의약품, 화장품 소재,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Novel compound having antioxidant activity isolated from mycelial culture of Coprinus echinosporus and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는 인간의 몸에서는 호기성 대사과정으로부터 생성되며, 이 중 약 5% 정도가 자유라디칼(유리기의 전자를 가지는 원자나 분자의 총칭)의 형태로 변형된다. 이런 라디칼은 대식세포(Macrophage), 호중구(neutrophil) 등과 같은 면역세포에서 생성되어서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균을 죽이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강하여 세포 내 구성성분인 단백질, 지질분자 뿐만 아니라, 유전정보를 함유한 DNA에까지 산화적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그 결과,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는 암을 비롯한 염증, 빈혈, 심근경색, 뇌성마비, 동맥경화증, 당뇨, 류머티즘성 관절염, 파킨슨씨 병, 피부손상, 및 자가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노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alliwell et al., 1999; Diolock et al., 1998; Wickens, et al, 2001). 체내에는 이러한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기구로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함께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항산화물질이 존재하여 스스로를 보호하지만, 방어기구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각종 물리적, 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이 생체방어계의 용량을 초과 하게 될 경우에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피할 수 없게된다.
최근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항산화 물질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및 보고되고 있는데(Diolock et al., 1998; Mandade et al., 2011), 그 중에서도 합성 항산화제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들은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어 알러지와 종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고온에 약하여 열을 가하면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약 및 건강기능 식품 등에 폭넓게 이용 가능한 안전하고 생체 내에서 안정적인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에 필요와 선호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Liu et al., 2012; Guo et al., 2012; Li et al., 2012; Ramaratham et al., 1995). Saito et al., 2003).
한편, 버섯은 베타글루칸 등의 다당체를 풍부하게 포함하여 면역력 강화, 항산화, 항종양,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 강하, 항바이러스, 항혈전 및 비만 억제 작용 등 매우 다양하고 폭넓은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Coprinus 속에 속하는 버섯들은 항염, 항산화, 항종양,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뿐만 아니라 뇌 혈류 장애 개선 활성을 나타낸다는 등 다양한 유용성을 지니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Coprinus 속에 속하는 버섯 중 멍게먹물버섯(Coprinus echinosporus)은 백색을 띠며 갓 표면은 담회색, 담황갈색의 거친 섬유상 인편으로 빽빽이 덮여 있다. 포자는 13∼18 × 7∼8 ㎛의 타원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흑색이다. 봄부터 가을에 풀밭, 밭, 정원 등 부식질이 많은 땅 위에 군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멍게먹물버섯(Coprinus echinosporus)의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화학식 1 또는 2의 신규한 화합물들을 분리 및 정제하였고, 이 화합물들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DPPH 라디칼 소거활성, DNA SSB(single strand breakage) 억제활성 및 환원력 검정을 실시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및 정제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은,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DNA SSB(single strand breakage) 억제활성을 우수하게 나타내어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므로, 항산화제 및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에 대한 예방·치료, 피부손상, 내지는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의약품, 화장품 소재,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1의 (a)1H NMR 스펙트럼(600 MHz, CD3OD) 및 (b)13C NMR 스펙트럼(150 MHz, CD3OD)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2의 (a)1H NMR 스펙트럼(600 MHz, CD3OD) 및 (b)13C NMR 스펙트럼(150 MHz, CD3OD)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 3의 (a)1H NMR 스펙트럼(600 MHz, CD3OD) 및 (b)13C NMR 스펙트럼(150 MHz, CD3OD)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 4의 (a)1H NMR 스펙트럼(600 MHz, CD3OD) 및 (b)13C NMR 스펙트럼(150 MHz, CD3OD)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 1 내지 4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 1 내지 4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 1 내지 4의 DNA 보호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H, OH, 또는 C1~C10의 알콕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2
[화학식 1-2]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3
[화학식 1-3]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5
본 발명의 화학식 1-1 내지 1-3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금속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염; 알루미늄염 등이 있고, 적합한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있다. 또한, 적합한 무기산과의 염의 예로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있으며, 적합한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적합한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알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적합한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으로는, 화합물이 그 내에 산성 관능기를 가지는 경우,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등과 같은 무기염, 및 암모늄염과 같은 유기염이 있으며, 화합물이 그 내에 염기성 관능기를 가지는 경우,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 같은 유기산과의 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생약재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얻을 수 있으며, 통상적인 유기합성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의 추출 및 분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PDB 배지에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분양받은 멍게먹물버섯(Coprinus echinosporus, KACC 52101) 균주를 접종한 후 27℃에서 한 달간 배양한다. 배양된 균주의 균사체를 잘게 분쇄한 후 아세톤에 1 내지 3일 동안 침지하여 추출한다.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은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아세톤을 제거한다. 농축된 추출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 추출한 후 유기 용매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한다.
이어서,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메탄올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분획 중 분리가 쉬운 부분은 50% 메탄올을 사용하여 HPLC를 행하여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순수한 화합물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본 발명의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은 ABTS와 과황화칼륨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ABTS 양이온 라디칼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에서 농도의존적인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환원력 검증 실험 결과, 양성대조군과 비교할만한 환원능력, 및 DNA 손상을 억제하는 능력을 우수하게 나타내었으므로, 항산화제로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및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으로는 암, 염증, 빈혈, 심근경색, 뇌성마비, 동맥경화증, 당뇨, 류머티즘성 관절염, 파킨슨씨 병, 및 자가면역질환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합물과 함께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1~1000 ㎎/㎏, 바람직하게는 약 50~50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및 개선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합물은 활성산소의 축적을 예방하거나 발생한 활성산소를 제거할 목적으로 건강식품,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료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에서 분리한 화합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물, 생리식염수, 글리세롤,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등 피부외용 부형제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의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고제(ointment), 크림(cream),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로션), 에멀젼, 아스트린젠트,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서스펜션,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의 함량은 항산화 또는 노화방지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및 이로부터의 화합물 1 내지 4의 분리 및 정제
1.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
1 L 크기의 플라스크에 400 mL 의 PDB 배지를 넣고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분양받은 멍게먹물버섯(Coprinus echinosporus, KACC 52101) 균주를 접종한 후, 27℃에서 30일간 배양하였다. 멍게먹물버섯의 균사 총 14 L 를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상기 1에서 배양한 균주의 균사체를 잘게 분쇄한 후 아세톤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추출액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아세톤을 제거하였다. 농축된 추출액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한 뒤 혼합하여 분획하고,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5 L 를 얻었다.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3 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 사용하였다.
3. 화합물 1 내지 4의 분리 및 정제
상기 2에서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 g을 메탄올로 녹인 뒤 분자 크기별로 분리하기 위해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분획들은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이용한 용매 조건으로 실리카겔 TLC로 정제의 정도를 확인하였고, TLC를 이용하여 나눈 분획들은 10%∼100%로 순차적으로 메탄올을 증가시키는 농도구배 조건을 이용하여 분석용 HPLC를 실시하였다. 분획들 중 분리가 용이한 분획들은 50% 메탄올을 3 mL/min 로 흘려주면서, HPLC (Cosmosil, Rp-18, 10 x 150 mm, Japan)를 실시하여 순수한 화합물 1 (4.1 mg), 2 (6.7 mg), 3 (1.3 mg), 및 4 (3.4 mg)를 얻었다.
4. 화합물 1 내지 4의 구조분석
화합물 1 내지 4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화합물 1 내지 4 각각의 분자량, EI-MS, UV 스펙트럼, 1H/13C NMR 스펙트럼, 및 HMBC 스펙트럼을 확인하였다.
(1) 화합물 1의 구조분석
완전히 분리 정제된 화합물 1은 메탄올과 DMSO에 잘 용해되는 흰색 분말의 물질로, 분자량 측정결과 [M]+m/z 246.1254 이었으며, 분자식은 HREI-MS에서 C15H18O3로 추정되었다. UV 스펙트럼에서 305.5, 204.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258.5 nm에서는 작은 어깨(shoulder) 형태의 흡광도가 관찰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메틸프로톤(0.92, 1.08, 2.15 ppm), 두 개의 방향족 메틴프로톤(6.51 ∼ 6.56 ppm), 오원환에 존재하는 2개의 메틸렌프로톤(2.54, 2.73 ppm과 2.38 ppm) 그리고 한 개의 메틴프로톤(4.11, 4.75 ppm)을 확인하였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케톤(218.1 ppm), 6개의 4차 탄소(41.3, 59.9, 126.6, 128.5, 150.9, 155.0 ppm), 2개의 메틸렌 탄소(50.0, 52.3 ppm), 퓨란의 메틸렌 탄소(79.0 ppm) 그리고 벤젠의 메틴 탄소 (109.0, 111.3 ppm)가 관찰되었다.
HMBC 스펙트럼에서는 0.98 ppm의 메틸프로톤은 52.2(C-2), 41.3(C-3), 59.7(C-4), 23.6(C-14) ppm의 탄소, 1.08 ppm의 메틸프로톤은 52.2(C-2), 59.9(C-3), 41.3(C-4), 22.1(C-15) ppm의 탄소 그리고 2.15 ppm의 메틸프로톤은 150.9(C-8), 126.6(C-9), 111.3(C-10)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long-rang coupling)이 관찰되었다. 또한, 2.38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18.1(C-1), 59.9(C-3), 41.3(C-4), 23.6(C-14), 22.1(C-15) ppm의 탄소, 2.54, 2.73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18.1(C-1), 59.9(C-3), 41.3(C-4), 128.5(C-6), 79.0(C-12) ppm의 탄소 그리고 4.11, 4.75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59.9(C-3), 41.3(C-4), 50.0(C-5), 128.5(C-6), 155.0(C-11)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6.51 ppm의 메틴프로톤은 109.0(C-7), 150.9(C-8) ppm의 탄소 그리고 6.56 ppm의 메틴프로톤은 126.6(C-9), 155.0(C-11), 15.3(C-13)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어 화합물1의 구조를 하기의 화학식 1-1과 같이 추정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6

상기 화합물은 벤조퓨란(benzofuran) 계열의 새로운 화합물로써, 5-hydroxy-2',2',6-trimethyl-2H-spiro[benzofuran- 3,1'-cyclopentan]-4'-one 으로 명명하였다.
(2) 화합물 2의 구조분석
완전히 분리 정제된 화합물 2는 메탄올과 DMSO에 잘 용해되는 흰색 분말의 물질로,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M]+m/z 262 이었으며, EI-MS에서 분자식이 C15H18O4로 추정되었다. UV 스펙트럼 결과, 303.5, 203.5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256.5 nm에서는 작은 어깨 형태의 흡광도가 관찰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메틸프로톤(0.92, 1.08, 2.15 ppm), 두 개의 방향족 메틴프로톤(6.51 ∼ 6.56 ppm), 오원환에 존재하는 2개의 메틸렌프로톤(2.49, 3.01 ppm과 2.32, 2.41 ppm) 그리고 한 개의 메틴프로톤(5.8 ppm)을 확인하였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케톤(218.0 ppm), 6개의 4차 탄소(41.3, 59.7, 126.6, 129, 149.1, 150.9 ppm), 2개의 메틸렌 탄소(42.8, 52.2 ppm), 퓨란(furan)의 메틴 탄소(102.4 ppm) 그리고 벤젠(benzene)의 메틴 탄소 (110.7, 111.3 ppm)가 관찰되었다.
HMBC 스펙트럼에서는 0.98 ppm의 메틸프로톤은 52.2(C-2), 41.3(C-3), 59.7(C-4), 22.6(C-15) ppm의 탄소, 1.08 ppm의 메틸프로톤은 52.2(C-2), 41.3(C-3), 59.7(C-4), 23.6(C-14) ppm의 탄소 그리고 2.15 ppm의 메틸프로톤은 149.1(C-8), 124.8(C-9), 111.3(C-10)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long-rang coupling)이 관찰되었다. 또한, 2.32, 2.41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18.1(C-1), 41.3(C-3), 59.7(C-4), 23.6(C-14), 22.6(C-15) ppm의 탄소, 2.49, 3.01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18.1(C-1), 41.3(C-3), 59.7(C-4), 126.6(C-6), 102.4(C-12) ppm의 탄소 그리고 5.84 ppm의 메틴프로톤은 41.3(C-3), 59.7(C-4), 150.9(C-11), 22.6(C-15)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어 화합물 2의 구조를 하기의 화학식 1-2와 같이 추정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7
(3) 화합물 3의 구조분석
완전히 분리 정제된 화합물 3은 메탄올과 DMSO에 잘 용해되는 흰색 분말의 물질로, 분자량 측정결과 [M]+m/z 276.1358이었으며, 분자식은 HREI-MS에서 C16H20O4로 추정되었다. UV 스펙트럼에서 301.0, 204.5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258.0 nm에서는 작은 어깨 형태의 흡광도가 관찰되었다. UV 스펙트럼에서 303.5, 203.5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256.5 nm에서는 작은 어깨 형태의 흡광도가 관찰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메틸프로톤(0.89, 1.08, 2.14 ppm), 두 개의 방향족 메틴프로톤(6.48 ∼ 6.56 ppm), 오원환에 존재하는 2개의 메틸렌프로톤(2.44, 2.96 ppm과 2.38 ppm), 퓨란(furan)환에 존재하는 한 개의 메틴프로톤(5.46 ppm) 그리고 1개의 메톡시프로톤(3.54 ppm)을 확인하였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케톤(218.0 ppm), 6개의 4차 탄소(46.0, 60.0, 130.0, 132.0, 154.0, 156.0 ppm), 2개의 메틸렌 탄소(48.0, 52.0 ppm), 퓨란(furan)의 메틴 탄소(110.0 ppm) 그리고 벤젠의 메틴 탄소(112.0, 116.0 ppm)가 관찰되었다.
HMBC 스펙트럼에서는 0.89 ppm의 메틸프로톤은 48.0.(C-2), 46.0(C-3), 50.0(C-4), 28.0(C-14) ppm의 탄소, 1.08 ppm의 메틸프로톤은 48.0(C-2), 46.0(C-3), 50.0(C-4), 26.0(C-15) ppm의 탄소 그리고 2.14 ppm의 메틸프로톤은 154.0(C-8), 130.0(C-9), 116.0 (C-10)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었다. 또한, 2.36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18.0 (C-1), 46.0(C-3), 50.0(C-4), 28.0(C-14), 26.0(C-15) ppm의 탄소, 2.44, 2.96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18.0(C-1), 46.0(C-3), 50.0(C-4), 132.0(C-6), 110.0(C-12) ppm의 탄소 그리고 3.54 ppm의 메톡시프로톤은 110.0(C-12)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었다. 5.48 ppm의 메틴프로톤은 50.0(C-40), 52.0(C-5), 132.0(C-6), 156.0(C-11), 56.0(C-16) ppm의 탄소, 6.48 ppm의 메틴프로톤은 132.0(C-6), 154.0(C-8) ppm의 탄소 그리고 6.56 ppm의 메틴프로톤은 130.0(C-9), 156.0(C-11), 18.0(C-13)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어 화합물 3의 구조는 하기의 화학식 1-3과 같이 추정하였다.
[화학식 1-3]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8
상기 화합물은 화합물 2의 2번 위치에 수산기가 메톡시기로 치환된 벤조퓨란(benzofuran) 계열의 새로운 화합물로써, 5-hydroxy-2-methoxy-2',2',6-trimethyl-2H-spiro[benzofuran-3,1'-cyclopentan]-4'-one으로 명명하였다.
(4) 화합물 4의 구조분석
완전히 분리 정제된 화합물 4는 메탄올과 DMSO에 잘 용해되는 흰색 분말의 물질로, 분자량 측정결과 [M]+m/z 274.1201이었으며, 분자식은 HREI-MS에서 C16H18O4로 추정되었다. UV 스펙트럼에서 334.5, 263, 209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315, 233 nm에서는 작은 어깨 형태의 흡광도가 관찰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메틸프로톤(1.31, 1.34, 2.17 ppm), 두 개의 방향족 메틴프로톤(6.80 ∼ 7.51 ppm), 오원환에 존재하는 1개의 메틸렌프로톤(2.48 ppm), 피란(pyran)환에 존재하는 1개의 메틴 탄소(5.84 ppm) 그리고 1 개의 메톡시프로톤(3.51 ppm)을 확인하였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케톤(218.0 ppm), 7개의 4차 탄소(36.0, 116.0, 130.0, 134.0, 140.0, 146.0, 162.0 ppm), 1개의 메틸렌 탄소(50.0 ppm), 피란(pyran)의 메틴 탄소(96.0 ppm) 그리고 벤젠의 메틴 탄소 (110.0, 118.0 ppm)가 관찰되었다.
HMBC 스펙트럼에서는 1.31 ppm의 메틸프로톤은 50.0(C-2), 36.0(C-3), 162.0(C-4), 27.0(C-14) ppm의 탄소, 1.34 ppm의 메틸프로톤은 50.0(C-2), 36.0(C-3), 162.0(C-4), 26.5(C-15) ppm의 탄소 그리고 2.17 ppm의 메틸프로톤은 1146.0(C-8), 130.0(C-9), 118.0(C-10)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long-rang coupling)이 관찰되었다. 또한, 2.48 ppm의 메틸렌프로톤은 206.0(C-1), 36.0(C-3), 162.0(C-4), 26.5(C-15) ppm의 탄소, 3.51 ppm의 메톡시프로톤은 96.0(C-12) ppm의 탄소 그리고 5.84 ppm의 메틴프로톤은 162.0(C-4), 134.0 (C-5), 140.0(C-11), 54.0(C-16)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6.80 ppm의 메틴프로톤은 116.0(C-6), 146.0(C-8), 140.0(C-11) ppm의 탄소 그리고 7.51 ppm의 메틴프로톤은 134.0(C-5), 116.0(C-6), 130.0(C-9) ppm의 탄소와 먼 거리 결합이 관찰되어 화합물 4의 구조는 하기의 화학식 2와 같이 추정하였다. 13C NMR 및 HMBC 스펙트럼을 통해 162.0(C-4) ppm과 134.0(C-5) ppm은 이중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17228424-pat00009

상기 화합물은 화합물 2의 퓨란(furan)그룹 대신에 피란(pyran)그룹이 존재하는 새로운 화합물로써, 8-hydroxy-4-methoxy-3,3,7-trimethyl-2,3-dihydrocyclopenta[c]chromen-1(4H)-one으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화합물 1 내지 4의 항산화 활성 측정
1. ABTS 라디칼 소거활성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능의 측정은 과황화칼륨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자유라디칼이 추출물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Nagmoti et al,. 2012).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과정을 따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ABTS를 7 mM 농도로 용해시킨 후 ABTS 양이온 라디칼을 만들기 위해 2.45 mM의 과황화칼륨을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실온의 암실에서 보관하여 녹청색의 발색단을 생성시켰다. 생성된 ABTS 양이온 라디칼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가 약 0.7∼1.1이 되도록 준비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DMSO에 녹인 화합물 1 내지 4를 각 10 μL씩 넣고, ABTS 양이온 라디칼 용액을 190 μL씩 첨가하여 7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완료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BMG Labtech)를 통해 734 nm에서 광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를 넣지 않고 DMSO만 첨가해 확인하였으며, 양성 대조구로는 트로록스(trolox)와 BHA(Butylated hydroxyanisole)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1 내지 4는 농도의존적인 ATB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화합물 2, 3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트로록스, BHA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의 IC50 값은 각각 64.1±3.1 μM (1), 52.4±6.0 μM (2), 58.4±3.1 μM (3), 및 87.9±4.3 μM (4) 로 측정되었으며, 양성 대조구인 트로록스와 BHA는 각각 57.0±6.2, 45.3±2.3 μM의 농도에서 IC50 값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는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DPPH 라디칼 소거활성
DPPH 라디칼은 매우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 약 520 nm에서 진한 보라색을 띄는 화합물이다. 항산화제에 의해 탈색되므로 항산화 활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다(Zhang et al. 2012).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과정을 따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96-웰 플레이트에 DMSO에 녹인 시료를 10 μL씩 넣고 DPPH 용액 (150 μM, 에탄올)을 90 μL 첨가해 실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통해 517 nm에서 광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대조구는 시료를 넣지 않고 DMSO만 첨가해 확인하였으며, 양성대조구로는 트로록스와 BHA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1 내지 4는 농도의존적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화합물 2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의 IC50 값은 각각 226.9±36.5 μM (1), 125.8±5.9 μM (2), 335.7±15.8 μM (3), 및 834.3±93.5 μM (4)로 측정되었다. 양성 대조구인 트로록스와 BHA는 각각 103.1±3.2, 137.0±3.8 μM의 농도에서 IC50 값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는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환원력 검정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과정을 따라 환원력을 검정하였다.
먼저 0.2 M의 인산완충용액(pH 6.6) 50 μL에 페리시안화칼륨 50 μL와 시료 20 μL를 넣은 후, 50℃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10% TCA 용액 50 μL를 넣고, 3000 x g로 2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 100 μL 와 3차 증류수 100 μL, 0.1% 염화제이철(ferric chloride) 20 μL를 넣은 뒤에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구로는 트로록스와 BHA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합물(화학식) 환원력A(%)a 환원력B(%)b
1(1-1) 88.9±0.8 71.1±0.6
2(1-2) 116.4±12.6 93.1±10.1
3(1-3) 81.0±1.8 64.7±1.5
4(2) 53.8±1.5 43.0±1.2
a트로록스(Trolox)의 환원력을 100%로 했을때 얻어진 수치;
bBHA의 환원력을 100%로 했을때 얻어진 수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원력 검정결과 화합물 2은 트로록스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1, 3, 및 4는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는 낮았지만 우수한 정도의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는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4. DNA SSB ( single strand breakage ) 억제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의 DNA 손상억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pBR322 (Roche)의 수퍼코일링된 DNA를 10 mM Tris-HCl 완충액(pH 7.5)에 녹여 준비하였다. Tris-HCl 완충액 60 μL에 각기 다른 농도의 시료 20 μL, 0.25 mM의 황산철(ferrous sulfate) 40 μL, 1 mM의 H2O2 40 μL를 넣은 다음, 각각 16 μL 씩을 취하여 새로운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고 DNA 0.2 μg을 가한 뒤 30분간 반응시켰다. 30분 경과 후, 10 μL의 반응정지용액(4.0 M 요소, 50% 수크로오스, 50.0 mM EDTA, 0.1% 브로모페놀 블루)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시료 10 μL에 DNA 염료인 로딩 스타 2 μL를 첨가하고 TAE 완충액(40.0 mM Tris acetate, 2.0 mM EDTA, 20.0 mM sodium acetate)을 이용하여 1%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을 하였다. 펜튼반응(Fenton reaction)으로부터 유발된 수산화 라디칼(hydroxy radical)은 수퍼코일링된 DNA를 손상시켜, 풀려진 형태의 DNA로 전환시킨다(Lee et al., 2011; Han et al., 2010). 양성대조구로는 BHA, 트로록스, 및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철 킬레이터인 DFO(deferoxamine)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는 50 μM 농도에서 대조구인 트로록스 및 DFO와 유사하게 DNA SSB(DNA single strand breakage)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는 DNA의 손상으로 유발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는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DNA SSB(single strand breakage)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암을 비롯한 염증, 빈혈, 심근경색, 뇌성마비, 동맥경화증, 당뇨, 류머티즘성 관절염, 파킨슨씨 병, 자가면역질환 등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치료와 피부손상,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의약품, 화장품 소재,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2%(중량/부피)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의 산부가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부가염은 실시예에 의한 다른 염으로 대치시킬 수 있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유효성분 ················· 2 g
사카린 ················· 0.8 g
당 ················· 25.4 g
글리세린 ················· 8.0 g
향미료 ················· 0.04 g
에탄올 ················ 4.0 g
소르브산 ················ 0.4 g
증류수 ················ 정량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유효성분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3.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유효성분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브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를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를 0.001~10 중량%의 비율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를 0.001~10 중량%의 비율로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를 0.001~5.0 중량%의 비율로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를 0.001~5.0 중량%의 비율로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를 0.001~5.0 중량%의 비율로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를 0.001~10 중량%의 비율로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화학식 1-1 내지 1-3, 및 화학식 2)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페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4,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17228424-pat0001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멍게먹물버섯(Coprinus echinosporus)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삭제
  6.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염증, 빈혈, 심근경색, 뇌성마비, 동맥경화증, 당뇨, 류머티즘성 관절염, 파킨슨병, 및 자가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된 활성산소가 과량 축적되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2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H, OH, 또는 C1~C10의 알콕시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3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4

    [화학식 1-2]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5

    [화학식 1-3]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6

  8.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7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H, OH, 또는 C1~C10의 알콕시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8

  9.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056329330-pat00029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H, OH, 또는 C1~C10의 알콕시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56329330-pat00030

KR20130020573A 2013-02-26 2013-02-26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8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573A KR101481758B1 (ko) 2013-02-26 2013-02-26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0573A KR101481758B1 (ko) 2013-02-26 2013-02-26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255A KR20140106255A (ko) 2014-09-03
KR101481758B1 true KR101481758B1 (ko) 2015-01-12

Family

ID=5175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573A KR101481758B1 (ko) 2013-02-26 2013-02-26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739A (ko) 2020-10-30 2022-05-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로리오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4481B (zh) * 2015-02-13 2016-04-20 天津中医药大学 中药复方中组分的抗氧化活性贡献程度的确定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ntibiotics, 54(6), 526-527 (2001년) *
Tetrahedron Letters, 46(41), 7029-7031 (2005년) *
Tetrahedron Letters, 46(41), 7029-7031 (2005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739A (ko) 2020-10-30 2022-05-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로리오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255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3324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657562B1 (ko) 캠페롤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976999B1 (ko) 복합 효소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736916B1 (ko)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1209574B1 (ko) 이고들빼기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1121590B1 (ko) 비타민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이소람네틴-3-글루코시드-7-람노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81758B1 (ko) 멍게먹물버섯 균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756020B1 (ko) 물오리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6998B1 (ko)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630782B1 (ko) 브로콜리 유래 글루코시놀레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197101B1 (ko) 미세조류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95572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685829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겨우살이 추출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629314B1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디아릴헵타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68013B1 (ko) (1r,4s,6s)-1,6-디하이록시-2-메텐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58465B1 (ko) 참오동나무 유래 신규한 토멘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129461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64406B1 (ko)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0806226B1 (ko) 콩뿌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7192B1 (ko) 16알파-하이드록시-17-아이소발러로일옥시-엔트-코란-19-오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