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16B1 -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16B1
KR101736916B1 KR1020160027032A KR20160027032A KR101736916B1 KR 101736916 B1 KR101736916 B1 KR 101736916B1 KR 1020160027032 A KR1020160027032 A KR 1020160027032A KR 20160027032 A KR20160027032 A KR 20160027032A KR 101736916 B1 KR101736916 B1 KR 10173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compound
phthal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좌섭
Original Assignee
오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좌섭 filed Critical 오좌섭
Priority to KR102016002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61K8/9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앝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Hexosaminidase assay)을 수행한 결과 탈과립 억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y dermatitis using phthalide derivative}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앝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는 유아기에 주로 발생하여 태열이라고도 하며, 주로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ceramides)의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그 원인이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면역 체계의 교란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각질층의 수분 유지 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건조하며, 피부 장벽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피부 알러지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소양감이 심하고, 반복적으로 재발되며, 각종 자극에 의해 쉽게 피부염이 유발된다.
많은 경우에 1 내지 2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악화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삼출을 동반한 홍반성 발진의 아급성 병변, 가죽과 같이 두꺼워진 태선화의 만성 병변으로 진행된다.
아토피 피부의 발생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서, 피부 보호막인 세포간 결합물질인 감마-리놀레인산(γ-linoleic acid; GLA)이 선천적으로 부족하여 피부 보호막이 약하고 피부 표면의 수분이 쉽게 소실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다른 원인은 환경적 원인으로서 건조한 생활환경, 활성 산소,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피부과학, 대한피부과학회 간행위원회, 여문각, 1992].
아토피피부염에 의해 비만세포는 세포 내 과립에서 히스타민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유도 물질이 방출되어 탈과립 상태를 나타낸다[Gao ZG, et al., Biochem Pharmacol. 2009. Nov 5]. 또한, 아토피 피부염은 알러지성 비염, 천식 등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알러지성 질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de Meer G, et al., Pediatr Allergy Immunol. 2009. Nov 13].
이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치료약에 관한 종래 기술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78351호에는 아토피성질환 치료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론 베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성 질환 치료약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이러한 치료약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피부증상을 유의하게 개선하고, 알레르기반응의 산생요인인 혈중호산구수를 분명하게 감소시키며, 효과가 빠르고 지속성이 있으므로, 아토피성질환 치료약으로서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70455호에는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및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대두 추출물 중량부 400 및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 중량부 100 및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 중량부 500을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에 우수한 보습효과 및 건조방지 효과 그리고 피부장벽의 회복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39965호에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주된 임상 양상인 피부 건조, 소양감 및 2차 미생물 감염, 예컨대, 여드름균, 무좀균, 비듬균 등에 의한 염증 등을 개선 및 완화시키는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이 수분 장벽 기능을 하는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효과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건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을 위한 특정 프탈라이드 유도체의 적용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특정 프탈라이드 유도체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또한 비만세포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가지는바, 아토피 피부염 개선을 위해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783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704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399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프탈라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5-Hydroxy-6,7dimethoxy phthal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건강식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Hexosaminidase assay)을 수행한 결과 탈과립 억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 용매분획 및 화합물 1의 분리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화합물 1의 1H 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화합물 1의 13C 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화합물 1의 COSY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화합물 1의 HSQC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화합물 1의 HMBC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화합물 1의 HR-MAS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RBL-2H3 세포로부터의 β-헥소사미니다제의 방출에 대한 화합물 1의 억제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통상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병 시기 또는 그 발명 대상에 따라 유아형 아토피 피부염, 소아형 아토피 피부염, 성인형 아토피 피부염 그리고 임산부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이러한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무작위로 선출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갖는 100명(총 4 그룹)의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 85 내지 95% 전후의 피검자에 대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작위로 선출된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에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 5-Hydroxy-6,7-dimethoxy phthal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6021829317-pat00001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프탈라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뿐만 아니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프탈라이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프탈라이드 유도체는 유기합성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 있거나,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추출물로부터 하기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분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조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에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단계 1);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메탄올/증류수 이동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 (단계 2); 얻어진 제1소분획을 메탄올-물 이동상으로 순차적 용리법으로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 (단계 3); 얻어진 제2소분획을 이동상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기울기 용리법으로 역상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 (단계 4); 얻어진 제3소분획을 MeOH 이동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단계 5);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아토피 피부염을 야기시키는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면역글로불린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Hexosaminidase assay)를 수행한 결과, 피부염 개선 효능에 대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법, 예를 들어 시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아토피 피부염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기간, 투여방법,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상기 투여 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 주사, 근육내 주사, 자궁내 경막 주사,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를 수행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피부염 개선 효능에 대해 우수하므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를 수행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피부염 개선 효능에 대해 우수하므로, 다양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 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투여기간,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를 수행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피부염 개선 효능에 대해 우수하므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를 수행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피부염 개선 효능에 대해 우수하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화학식 1의 화합물, 5- 하이드록시 -6,7- 디메톡시프탈라이드의 제조
건조 꽃송이버섯 (G60, Sparassis crispa) 1kg에 에탄올 1∼10ℓ를 가하고, 실온에서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회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메탄올/증류수 이동상 시스템 (30, 50, 75, 100% MeOH, CH2Cl2/MeOH 1:1, 50% 아세톤)을 이용하여 Diaion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4개의 제1소분획으로 나누었다(G60-1~4). 제1소분획 G60-2에 대하여 순차적 용리법(메탄올-물)으로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0개의 제2소분획으로 나누었다 (G60-2-1~10). (G60-2-4)에 대하여 역상컬럼 (RP-18) 크로마토그래피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기울기 용리법 (20, 40, 50, 60, 70, 80, 100% 아세토니트릴)으로 수행하여 10개의 제3소분획 (G60-2-4-1~10)을 얻었으며, (G60-2-4-9)분획에 대하여 Sephadex LH-20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0, 60, 70% MeOH 이동상 시스템)를 실시하여 화합물 1을 분리 정제하였다 (도 1 참조).
< 실험예 1>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물리학적 및 분광학적 분석
상기 분리한 화합물 1에 대한 물리화학적 및 분광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흰색의 무정형 분말;
ESI-MS m/z, 233.1642 [M+Na]+;
1H-NMR (700 MHz, acetone- d6) δ 6.78 (1H, s, H-4), 5.14 (1H, d, J = 1.4 Hz, H-2), 4.06 (3H, s, H-7), 3.85 (3H, s, H-6).
13C-NMR (175 MHz, acetone-d6) δ 68.2 (C-2), 145.0 (C-3), 103.8 (C-4), 157.1 (C-5), 140.1 (C-6), 152.3 (C-7), 109.0 (C-8), 60.7 (OCH3), 61.6 (OCH3).
화합물 1은 흰색의 무정형 분말 형태로서 ESI-MS (233.1642 [M+Na]+) 로부터 분자식은 C10H10O5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21829317-pat00002
[화학식 1]
화합물명 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
화학식 C10H10O5
분자량 210
< 실험예 2>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 실험
RBL-2H3 세포주를 15% FBS, 100 유닛(unit)/ml의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MEM 배지와 37℃, 5% CO2 조건에서 24 웰 플레이트에 2×105/웰로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상등액을 제거 후 25 ng/ml 안티-DNP IgE가 포함된 MEM 배지를 넣고 4시간 배양 후 PIPES 완충제 500 ㎕로 두 번 세척하고, 4 mM MgCl2, 5.6 mM 글루코즈, 0.1% BSA를 포함시킨 PIPES 완충제를 180 ㎕ 넣고 10분 동안 배양하였다.
전 배양 후 실시예의 시료를 25, 50, 100 ㎍/ml의 농도로 20분간 처리 후 50 ng/ml DNP-BSA 20분간 반응시켰다. 얼음에 10분 방치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상등액을 25 ㎕씩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1mM P-니트로페닐-아세틸-β-D-글루코사 미니드를 25 ㎕ 넣은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정지 용액(stop solution)(0.1M NaHCO3, 0.1M Na2CO3) 을 넣고 반응을 종결시킨 후 405nm 파장대에서 ELISA 리더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케토티펜(ketotifen)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탈과립 억제 활성(EC50 (uM))
시료 EC 50 비고
화학식 1의 화합물 38.3
케토티펜(Ketotifen) 27.85 양성대조군
RBL-2H3 세포주를 이용하여 β-헥소사미니다제 검정(Hexosaminidase assay)를 수행한 결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7 참조).
<실험예 3>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 임상 실험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대한 임상실험을 위하여 하기에 기술된 성분 및 함량으로 영양 로션을 제조하였다.
영양 로션 성분 및 함량
실시예 1의 화합물 2.0 중량%
스테아린산 2.0 중량%
세틸알코올 2.0 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중량%
왁스 1.0 중량%
유동파라핀 4.0 중량%
스쿠알란 4.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부틸렌글리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정제수 잔량
상기 제조된 영양 로션을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의 영양 로션으로서는 상기 기술된 영양 로션의 성분 및 함량에서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인 실시예 1의 화합물 대신에 정제수가 동일 함량 포함된 영양 로션을 사용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은 5세 이상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갖고 있는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4 그룹으로 나눈 다음, 각 그룹에 본 발명의 영양 로션과 비교예의 영양 로션을 하루 2 내지 3회 8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8주가 지난 후에 SCORAD 지수(아토피 증상이 심할수록 높은 수치로 나타남), 경피수분손실량(이하 "TEWL", 아토피 증상이 심할수록 높은 수치로 나타남)(Tewameter TM300, C+K electronic GmbH. Germany), 및 수분 함유량 (아토피 증상이 심할수록 낮은 수치로 나타남)(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GmbH. Germany)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평균 ± 표준편차로로 아래의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내었다.
SCORAD 0주차 8주차
실시예 1 30.3±8.4 15.3±8.4*
비교예 32.4±6.1 29.5±5.5
* p<0.05
TEWL 0주차 8주차
실시예 1 23.22±11.85 13.50±3.96*
비교예 22.95±9.34 22.55±6.75
* p<0.05
수분 함유량 0주차 8주차
실시예 1 34.20±12.50 39.0±9.65*
비교예 34.78±12.05 35.2±11.20
* p<0.05
통계 처리
상기 임상실험의 결과 정리 및 분석을 위하여 Excel program과 통계 소프트웨어인 SPSS Window. version 10.1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의 유의성을 위하여 유의 수준 0.05를 설정하였고,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는 통계적 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 대응 표본 T-검정 해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상기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무작위로 선출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갖는 100명(총 4 그룹)의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 85 내지 95% 전후의 피검자에 대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작위로 선출된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에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형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1-6>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1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화장료 및 외용제의 제조
<2-1> 영양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2.0 중량%
스테아린산 2.0 중량%
세틸알코올 2.0 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중량%
왁스 1.0 중량%
유동파라핀 4.0 중량%
스쿠알란 4.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부틸렌글리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하여 영양 로션을 제조하였다.
<2-2> 유연화장수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중량%
카보머 0.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1 중량%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PEG-1500 0.5 중량%
에탄올 8.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2-3> 탄력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중량%
세틸아릴알코올 1.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1.0 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중량%
세틸옥타노에이트 6.0 중량%
스쿠알란 4.0 중량%
아프리코드커넬 오일 4.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카보머 0.1 중량%
크산탄검 0.03 중량%
아르기닌 0.1 중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 성분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하여 탄력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식품의 제조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0.5 내지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0.1 내지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실시예 1의 화합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실시예 1의 화합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형예 4> 음료의 제조
<4-1>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5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5-Hydroxy-6,7-dimethoxy phthal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21829317-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건조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에 에탄올을 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메탄올/증류수 이동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
    얻어진 제1소분획을 물-메탄올 이동상으로 순차적 용리법으로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
    얻어진 제2소분획을 이동상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기울기 용리법으로 역상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는 단계;
    얻어진 제3소분획을 MeOH 이동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0160027032A 2016-03-07 2016-03-07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73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32A KR101736916B1 (ko) 2016-03-07 2016-03-07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032A KR101736916B1 (ko) 2016-03-07 2016-03-07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916B1 true KR101736916B1 (ko) 2017-05-29

Family

ID=5905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032A KR101736916B1 (ko) 2016-03-07 2016-03-07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11B1 (ko) 2019-05-15 2019-11-05 김병천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2509B1 (ko) 2019-05-15 2019-12-06 김병천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200133063A (ko) 2019-05-15 2020-11-26 김병천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1707A (ko) 2020-02-10 2021-08-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드숨비 락토바실루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314A (ja) 2005-07-25 2007-02-08 Unitika Ltd アレルギー症状の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11116674A (ja) 2009-12-01 2011-06-16 Mie Univ 抗炎症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1314A (ja) 2005-07-25 2007-02-08 Unitika Ltd アレルギー症状の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11116674A (ja) 2009-12-01 2011-06-16 Mie Univ 抗炎症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 33(8) 1355─1359 (2010)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UME 2013, ARTICLE ID 982317, 9 PAG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11B1 (ko) 2019-05-15 2019-11-05 김병천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2509B1 (ko) 2019-05-15 2019-12-06 김병천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200133063A (ko) 2019-05-15 2020-11-26 김병천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1707A (ko) 2020-02-10 2021-08-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드숨비 락토바실루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562B1 (ko) 캠페롤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132833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36916B1 (ko) 프탈라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0589050B1 (ko) 황기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이소플라보노이드계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1946121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5-하이드록시-6,7-디메톡시프탈라이드를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과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976998B1 (ko)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046688B1 (ko) 아스퍼질러스 테리우스 추출물, 신규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25214B1 (ko)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6B1 (ko)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9B1 (ko)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69616A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02599B1 (ko) 각시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8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8465B1 (ko) 참오동나무 유래 신규한 토멘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3818B1 (ko)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0804720B1 (ko) 청국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8852A (ko)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US2022004748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s a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KR101247706B1 (ko) 신규한 페닐에스터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