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342B1 -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342B1
KR101884342B1 KR1020160092611A KR20160092611A KR101884342B1 KR 101884342 B1 KR101884342 B1 KR 101884342B1 KR 1020160092611 A KR1020160092611 A KR 1020160092611A KR 20160092611 A KR20160092611 A KR 20160092611A KR 101884342 B1 KR101884342 B1 KR 10188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glucopyranoside
quercetin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389A (ko
Inventor
노경백
정은선
박덕훈
이정아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도되는 히스타민의 유리와 프로스타글린딘E2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알레르기, 부종, 발적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PAR-2와 TRPV1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가려움증 및 통증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pollution of skin comprising quercetin-3-o-glucopyranoside}
본 발명은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린딘E2, 프로테아제 활성화수용체-2, 바닐로이드 수용체-1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오염물질로 인해 민감해진 피부 개선 또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산업화되면서 환경오염과 스트레스 그리고 생활환경의 변화로 피부는 쉽게 자극받게 되고 피부손상에 대해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또한 많이 저하되어 있다.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손상은 피부의 노화를 가져오는 일차적인 원인으로, 환경오염에 따른 피부자극이 피부노화를 가속화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이를 지연 또는 예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피부노화는 25세를 전후하여 진행되기 시작하여 40세를 전후한 시기에 본격적으로 피부노화가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대의 피부노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환경오염을 꼽았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빈번한 접촉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고 피부장벽에 손상을 주어 이러한 자극에 민감한 피부상태를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자극에 민감한 피부는 신경학적 반응의 과도한 증가, 면역반응의 증가 등으로 인해 피부염과 작열감 그리고 소양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막으로서 외부의 유해물질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오존층이 파괴되고,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증가와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의 유입, 대기오염으로 인한 스모그, 담배연기 등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환경적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노화는 외인적 피부노화 과정이라고 한다. 외인적 피부노화에 잘 알려진 환경적 요소는 자외선 노출과 흡연 등이다. 최근 역학적 연구에서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오염인자의 잦은 피부노출이 주름과 색소, 반점의 증가와 피부장벽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되는 피부노화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은 모낭을 통해 깊숙이 침투하여 그 표면에 흡착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를 방출하여 피부세포 기능에 영향을 주어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ierkotter et al., J Invest Dermatol., 2010;130:2719-26). 이는 PAH가 연소되어 미세먼지의 표면에 빈번히 붙기 때문에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오염물질에의 노출이 피부 손상으로 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황사 속에는 산업화의 찌꺼기인 실리콘과 알루미늄, 칼륨, 칼슘 등이 많이 섞여있고, 또 대기 중 화학반응에 의해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을 생성하여 피부에 달라붙게 되면 가려움증과 따가움을 가져올 수 있고, 심하면 발진이나 발열, 부종을 동반하는 피부 트러블을 일으킨다. 특히, 봄이 되면서 피지 분비가 왕성해지는데 피지가 황사 속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 세균 등과 섞이면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생기거나 심각해지기 쉽다.
한편, 최근 피부노화와 환경오염간의 상관성이 발표되면서 다핵방향족탄화수소(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s), 담배연기, 자외선 오존 등 환경오염(environmental toxin) 인자에 의해 유도되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을 억제하는 것이 피부노화 연구의 타겟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환경오염인자에 의해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이 활성화되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이 증가하여 이로 인해 콜라겐 분해가 이루어져 피부노화가 가속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인자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노화를 막을 수 있는 소재를 "피부 오염 방지물(anti-pollutant)"로 정의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Tsai MJ et al., J Mol Med (Berl). 2014 Jun;92(6):615-28.; Ono Y et al., Exp Dermatol. 2013 May;22(5):349-53), 아직까지 뚜렷한 연구 성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비만세포는 세포질내에 과립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세포로서 외부 자극에 의한 유발되는 피부의 가려움증, 발진 등에 관여하는 매개체를 생산 분비하게 된다. 대표적인 매개체로 비만세포의 과립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가 자극이 주어졌을 때 세포가 파괴되어 방출되는 히스타민 (histamine), 세린프로테아제(serine protease) 등이 있고, 자극을 받은 후 새롭게 생성되어져서 유리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 류코트리엔(leukotrien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등이 있다. 특히 히스타민의 경우 혈관 내피세포와 결합하면 혈관세포의 수축이 일어나서 혈액 속의 플라즈마(plasma)를 조직으로 삼출시키며, 내피세포는 혈관 근육세포를 이완시키는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과 산화질소(Nitric oxide)와 같은 물질의 합성을 유도하여 혈관 팽창을 유발하여 부종, 발적, 가려움의 피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Yano et al., J Clin Invest., 1989;84:1276-86). 또한 류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의 경우 염증세포의 침윤을 유도하며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을 유도함으로써 피부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매개체를 조절하는 것은 외부자극으로 부터의 피부손상을 막아줄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Ahn et al., Korean J Pediatr., 2004;47:1137-41).
또한, 피부 가려움증 타겟으로 프로테아제 활성화 수용체-2(protease activated receptor 2, PAR-2)를 들 수 있는데, 각질형성세포, 비만세포 및 신경세포 등에 존재하는 G단백질 결합수용체(G-protein-coupled receptor)로서 세린프로테아제(serine protease)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는 외부자극에 의해 피부장벽이 손상되면 각질층 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급격히 증가되고, 이를 통해 PAR-2가 활성화됨으로 인해 피부 트러블 및 가려움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Steinhoff et al., J Neurosci., 2003;23:6176-80).
한편, 바닐로이드 수용체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oid type 1, TRPV1)은 칼슘 투과성을 지닌 비 선택적 양이온 채널로 각종 유해 화학 및 열 자극을 감지한다. 바닐로이드 수용체1의 활성을 통한 세포 내 Ca2+ 이온의 유입은 피부장벽의 회복을 저해하며, 피부 콜라겐을 분해하고 깊은 피부주름 형성에 원인이 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1 (MMP-1)의 분비 및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J Cell Physiol., 2006;219:766-75)
또한,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정상피부를 가진 사람들에 비해 약 3배 이상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오염물질에 자극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Kamide et al., J Dermatol., 2013;40:177-81), 아토피 피부염 환자 및 민감성 피부환자의 피부 트러블과 작열감, 소양감을 줄여줄 수 있는 소재의 개발도 환경오염물질로 인한 피부손상 방지 가운데 하나의 타겟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오염 방지물(anti-pollutant)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던 중,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quercetin-3-o-glucopyranoside)가 피부 오염 방지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오염물질로부터 유발되는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매개체의 생산, 분비 및 활성화를 저해함으로 인해 피부를 보호하고, 더 나아가 피부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의 오염 방지(anti-pollution)"는 자연적 요인(내인성 노화) 또는 환경오염인자(다핵방향족탄화수소, 담배연기, 자외선,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 등)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거나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환경오염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손상 방지는 피부상태의 모든 형태의 호전 및 양호화를 의미하며, 피부가려움증, 피부발진, 부종, 주름, 민감성 피부 또는 피부 질환(아토피, 여드름 등) 등을 호전 및 양호화시키거나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서 이소퀘세틴이라고도 불리며, 다른 이름으로는 허수트린이라고도 한다.
Figure 112016070952251-pat00001
본 발명의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옥수수(Zea mays), 오디(Morus alba), 쇠뜨기(Equisetum arvense), 해당화(Rosa rugosa), 머루(Vitis coignetiae)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용매 추출물 뿐 아니라 추가적인 정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분획물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이다.
본 발명에서는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프로스타글란딘E2 생성저해 효과를 나타내며, 프로테아제 활성화 수용체-2(protease activated receptor 2, PAR-2) 활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바닐로이드 수용체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oid type 1, TRPV1)의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여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피부 오염 방지 및 그로 인한 피부 상태 개선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에 대한 피부누적 자극실시 결과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도되는 히스타민의 유리와 프로스타글린딘E2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알레르기, 부종, 발적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PAR-2와 TRPV1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환경오염인자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가려움증 및 통증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프로스타글란딘E2의 생성 저해효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in vitro 에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효과 측정
피부 알레르기 유도하는 주요인자인 히스타민에 대해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히스타민 유리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비만세포인 MC/9 세포(mouse mast cell line, ATCC)를 10% Rat T-STIM, 10% FBS, 0.05mM 2-mercaptoethanol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중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히스타민 측정 키트 (Histamine ELISA kit, Enzo, 미국)를 이용하여 유리되는 히스타민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실시방법은 Enzo사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유리되는 히스타민의 수치는 히스타민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양성대조군인 중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 처리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히스타민 유리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in vitro 에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프로스타글란딘E2 생성저해 효과 측정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농도별로 비만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프로스타글린딘E2 생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비만세포인 MC/9 세포(mouse mast cell line, ATCC)를 10% Rat T-STIM, 10% FBS, 0.05mM 2-mercaptoethanol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시험물질을 2시간동안 전처리한 다음 중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E2 ELISA kit(Enzo, 미국)를 이용하여 분비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실시방법은 Enzo사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비되는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수치는 프로스타글란딘E2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에서 보듯이,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양성대조군인 중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 처리군과 비교하여 우수한 프로스타글란딘E2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in vitro 에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PAR-2 활성 저해 효과 측정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농도별로 각질형성세포(HaCaT)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변화를 측정을 통해 PAR-2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96-웰 블랙 플레이트에 3 x 104 세포수/웰이 되도록 접종시킨 뒤 24시간동안 배양한다. 24시간 후, HBSS(Hanks' Blanced Salt Solution) 버퍼로 2회 워싱한 뒤 Fluo-4를 세포에 넣어주었다. 37℃에서 30분,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HBSS 버퍼로 2회 워싱하고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농도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5uM PAR-2 활성 펩타이드(SLIGKV-NH2)를 처리하고 60초간 세포내 Ca2+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494 nm의 파장으로 여기(excitation)시켰을 때, 516 nm의 파장으로 방출(emission)되는 형광으로 세포내 Ca2 + 농도를 측정하였다.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PAR-2 활성 펩타이드 (SLIGKV-NH2) 처리 후 60초간의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5uM PAR-2 활성 펩타이드(SLIGKV-NH2) 처리시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칼슘이온들의 세포내 유입에 대한 억제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물질 PAR-2 활성 저해율(%)
PAR-2 활성펩타이드 (양성 대조군) -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10uM) 15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50uM) 28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100uM) 46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PAR-2 활성 펩타이드에 의한 세포 내 칼슘 이온들의 유입이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처리에 따라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PAR-2를 매개로 하는 가려움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in-vitro 에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TRPV1 활성 저해 효과 측정
HEK293-TRPV1 세포주를 96-웰 블랙 플레이트에 3 x 104 세포수/웰이 되도록 접종시킨 뒤 24시간동안 배양한다. 24시간 후, HBSS(Hanks' Blanced Salt Solution) 버퍼로 2회 워싱한 뒤 Fluo-4를 세포에 넣어주었다. 37℃에서 30분,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HBSS 버퍼로 2회 워싱하고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농도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중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을 처리하고 60초간 세포내 Ca2+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494 nm의 파장으로 여기(excitation)시켰을 때, 516 nm의 파장으로 방출(emission)되는 형광으로 세포내 Ca2 + 농도를 측정하였다. 중금속혼합물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 처리 후 60초간의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중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 처리시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칼슘이온들의 세포내 유입에 대한 억제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물질 TRPV1 활성 저해율(%)
중금속혼합물+하이드로카본 복합물(대조군) -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10uM) 1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50uM) 23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100uM) 48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처리된 군에서 금속혼합물(ICP Multielement standard solution 5 for ICP, Sigma aldrich)과 하이드로카본 복합물질(bezopyren, benzen, Anthrancen, Xylen, naphtalen, toluen)에 의한 세포 내 칼슘 이온들의 유입이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처리에 따라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TRPV1을 매개로 하는 민감성 피부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부 안전성 검증을 위해 통상의 피부누적자극실험을 실시하였다.
5-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제조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인체 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으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였으며(물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에서 용해하였다(오일파트). 상기 오일파트를 물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을 최종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에 생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외용제 조성물 함량은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
대조군 시험군 1 시험군 2 시험군 3
정제수 72 71.9 71.5 71
글리세린 8.0 8.0 8.0 8.0
부틸렌글리콜 4.0 4.0 4.0 4.0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0 0.1 0.5 1.0
카프릴릭 카프리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5.0
세테아릴 글루쿠사이드 1.5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1.0 1.0
트리메탄올아민 0.1 0.1 0.1 0.1
총중량 100 100 100 100
5-2. 피부누적 자극 실험
상기 5-1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를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으며, 챔버에 상기 각 피부 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70952251-pat00002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수(명)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대조군 -/-/- -/-/- -/-/- -/-/- -/-/- -/-/- -/-/- -/-/- -/-/- 0.00
시험군1 -/-/- -/-/- -/-/- -/-/- -/-/- -/-/- -/-/- -/-/- -/-/- 0.00
시험군2 -/-/- -/-/- -/-/- -/-/- -/-/- -/-/- -/-/- -/-/- -/-/- 0.00
시험군3 -/-/- -/-/- -/-/- -/-/- -/-/- -/-/- -/-/- -/-/- -/-/- 0.00
피검인원 30 30 30 30 30 30 30 30 30 0.00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 0명 및 0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각각 0.00, 0.00, 0.00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이하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성분 중량%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성분 중량%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성분 중량%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성분 중량%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anti-pollution)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오염 방지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 담배연기, 자외선, 미세먼지 및 중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환경오염인자로부터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2611A 2016-07-21 2016-07-2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11A KR101884342B1 (ko) 2016-07-21 2016-07-2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611A KR101884342B1 (ko) 2016-07-21 2016-07-2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389A KR20180011389A (ko) 2018-02-01
KR101884342B1 true KR101884342B1 (ko) 2018-08-02

Family

ID=6123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611A KR101884342B1 (ko) 2016-07-21 2016-07-21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225A (ko) * 2004-01-20 2005-07-26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1327786B1 (ko) * 2011-04-27 2013-11-11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을 함유하는 항가려움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ese Journal of Natural Medicines, 2016. 6., 14(6), pp 407~412.
Inter. Conf. on Biomedi. and Biotech., 2012., pp. 981 ~ 98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389A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336B1 (ko) 적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JP2015131838A (ja) パッシフロラ・アラタ(Passifloraalata)の植物抽出物を調製するプロセス、並びに化粧品組成物及び医薬組成物における該抽出物の使用
KR20180015865A (ko)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3519B1 (ko)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EP2758382B1 (de) Heterocyclocarbonylaminothiazole, sie enthalten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und deren verwendung zur bekàmpfung und prophylaxe unerwünschter pigmentierung der haut
JP6077560B2 (ja) シロバナシマカンギク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619B1 (ko)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1611976B1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8694B1 (ko)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4342B1 (ko) 퀘세틴-3-o-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오염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33815A (ko) 퀴닉산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20140055155A (ko) 자외선 등 피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염증 또는 노화를 개선하는 물질 살리드로사이드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230135528A (ko)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902B1 (ko) 하이드록삼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3645B1 (ko) 갯강활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3147B1 (ko) 진세노사이드 Ro(ginsenoside Ro)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1550727B1 (ko)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
US20020039600A1 (en) Persicae flos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against UV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515B1 (ko)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68192A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102158464B1 (ko) 벤즈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