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727B1 -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727B1
KR101550727B1 KR1020130109058A KR20130109058A KR101550727B1 KR 101550727 B1 KR101550727 B1 KR 101550727B1 KR 1020130109058 A KR1020130109058 A KR 1020130109058A KR 20130109058 A KR20130109058 A KR 20130109058A KR 101550727 B1 KR101550727 B1 KR 10155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present
acid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970A (ko
Inventor
류종성
손정태
안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4005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Polygalacic acid)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자외선 등 유해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어,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피부 노화, 염증 개선뿐만 아니라 미백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방법, 피부 염증을 개선하는 방법 및 미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polygalacic acid for improving skin aging and inflammation}
본 발명은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Polygalacic acid)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등 피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노화를 개선하고 미백 효과를 갖는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젊고 아름다운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 같은 소망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 내적인 요인과 피부 외적인 요인 등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는다. 피부 노화는 자외선 등 다양한 외부 유해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광노화와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노화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노화 현상은 공통적으로 피부에 주름을 발생하거나 기미, 색소침착 등 다양한 노화 현상을 유발하여 외형적인 피부의 아름다움을 손상하여 나이가 들어 보이게 한다.
내적으로는 피부 세포의 활성이 저하되어 피부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자외선, 황사, 유기용매, 열 등과 같은 유해요인에 의해 건조, 주름, 탄력저하, 피부 처짐, 피부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피부노화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외부 유해 물질 중에서 특히, 자외선은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피부를 노화시킬 뿐 아니라 노화를 촉진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유해산소종 생성, 유전자 손상, 세포 괴사 등 다양한 작용경로를 통해 피부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왔으며 최근까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노화 발생 메커니즘 현상 및 원인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피부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원료들을 개발하였으나 단순히 자외선을 차단, 흡수하는 일시적이고 물리적인 성분들이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메커니즘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물질에 대한 개발은 진행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노화를 유발하는 다양한 메커니즘 중 특히,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노화 원인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노화개선 및 미백효과가 있는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갈락산이 자외선에 의해 피부세포를 보호하고 노화를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고 안정성이 좋으며 우수한 노화 개선 및 미백 효과도 나타냄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방법, 피부 염증을 개선하는 방법 및 피부 미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극지 자연계에 존재하며 한방이나 민간 요법으로 많이 사용하는 약재들 중에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노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피부에 자극이 없고 안전하며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피부노화 원인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새로운 피부 노화 개선 소재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갈락산이 피부 노화 개선 및 염증개선 뿐만 아니라 피부 미백에 있어 강력한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폴리갈락산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보호가 우수하고 염증성사이토카인 생성의 억제에 의한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원료 자체의 안전성 면에서도 매우 월등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갈락산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갈락산의 양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피부노화 방지, 항염증 효과 및 미백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는 비용대비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이거나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피부 미백용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 및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개선 또는 예방용이거나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피부 미백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세정제 조성물은 기능성 화장료 및 기능성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일 경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연고, 팩, 패취, 분무제,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폴리갈락산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거나 앞으로 개발될 성분으로서 피부와의 접촉 시 인체에 유해한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99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한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성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일 경우, 그 약리 효과는 피부 노화 개선, 염증 개선 및 미백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폴리갈락산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99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첨가제는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국소 투여 방식으로 피부에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 도고제, 로션, 연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내지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이 세정제 조성물일 경우,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 기재에 폴리갈락산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세정제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워터 클리징 크림 또는 로션, 비누, 스프레이,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는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 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세정제 기재는 일반적으로 세정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50 내지 99.999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내지 2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노화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염증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자외선 등 유해환경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어,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피부 노화, 염증 개선뿐만 아니라 미백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방법, 피부 염증을 개선하는 방법 및 미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및 2, 및 비교예 1> 폴리갈락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인체를 대상으로 피부 노화 개선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원료 중 1~7의 원료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하여 물 파트로 하고, 원료 8~14를 70℃에서 용해하여 오일파트로 하였다. 오일파트를 물 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 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고, 원료 15를 첨가하여 점증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영양화장수 제형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글리세린 8.0 8.0 8.0
3. 부틸렌글리콜 4.0 4.0 4.0
4.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5.0 5.0
5. 베타글루칸 7.0 7.0 7.0
6. 카보머 0.1 0.1 0.1
7. 폴리갈락산 0.001 0.002 -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8.0
9. 스쿠알란 5.0 5.0 5.0
1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 1.5 1.5
11.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 0.4 0.4
12.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1.0
13.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4. 향 적량 적량 적량
15.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시험예 1> 피부세포 보호 시험
본 발명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효과를 검정하는 피부 증식도를 피부 표피에 존재하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인 하켓(HaCaT)세포의 배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하켓(HaCaT)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에 1×104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척버퍼인 포스페이트버퍼드살린(PBS; Pho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포를 세척하고 폴리갈락산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 Gibco)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100uL 첨가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후 다시 혈청이 함유되지 않는 디엠이엠 배지를 첨가하여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1으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 배지만 첨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군2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았다.
자외선 조사는 VILBER LOURMAT를 이용하여 자외선 B를 세포가 사멸하기 시작하는 30mJ/cm2가 되게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은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Laboratories)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자외선을 처리한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0uL씩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 1시간 30분 동안 배양 한 후 ELISA reader (SPECTRA MAX 190,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폴리갈락산의 세포 생존 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 2 대비 흡광도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에 상기 물질의 세포 생존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세포 생존율(%)
대조군1 82.3
대조군2 100
10ppm 폴리갈락산 115.7
20ppm 폴리갈락산 109.6
<시험예 2> 하켓(HaCaT) 세포를 이용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효과
하켓(HaCaT)세포를 이용하여 폴리갈락산을 처리하여 염증성사이토카인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하켓(HaCaT)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에 1×104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세척버퍼인 포스페이트버퍼드살린(PBS; Phophate Buffered Saline)으로 세포를 세척하고 폴리갈락산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 Gibco)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100uL 첨가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후 다시 혈청이 함유되지 않는 디엠이엠 배지를 첨가하여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 배지만 첨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VILBER LOURMAT를 이용하여 자외선 B를 세포가 사멸하지 않는 20mJ/cm2가 되게 처리하였다.
시간대별로 배지를 수거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석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인터루킨 1알파 리셉터 안타고니스트(IL-1ra; Interleukin-1α receptor antagonist), 인터루킨 6(IL-6; Interleukin-6), 시디40(CD40), 인터페론 감마(IFN-γ; Interferon-γ)를 각각 Quantikine ELISA Human IL-1ra, IL-6, CD40, IFN-γ (R&D Systems)를 이용하여 정량 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율은 하기 표 3, 4, 5 및 6에 각각 IL-1ra 억제율(%), IL-6 억제율(%), CD40 억제율(%) 및 IFN-γ 억제율(%)을 시간대별로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자외선 조사 1시간 후 자외선 조사 6시간 후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 자외선 조사 48시간 후
10ppm 폴리갈락산 10.1 12.4 10.5 -
20ppm 폴리갈락산 9.6 13.9 11.1 -
시험물질 자외선 조사 1시간 후 자외선 조사 6시간 후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 자외선 조사 48시간 후
10ppm 폴리갈락산 - - 26.2 10.5
20ppm 폴리갈락산 - - 45.0 12.9
시험물질 자외선 조사 1시간 후 자외선 조사 6시간 후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 자외선 조사 48시간 후
10ppm 폴리갈락산 - - - 84.9
20ppm 폴리갈락산 - - - 92.6
시험물질 자외선 조사 1시간 후 자외선 조사 6시간 후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 자외선 조사 48시간 후
10ppm 폴리갈락산 - - - 35.1
20ppm 폴리갈락산 - - - 43.3
상기 표 3, 4, 5 및 6으로부터, 폴리갈락산은 자외선에 의한 노화원인 물질인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및 염증억제 효과
건강한 25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 팔뚝 부위에 직경 1.5cm의 구멍 4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실시예 1 및 2> 와 <비교예 1> 의 화장수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각 피검자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배에서 2 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였다. 자외선으로부터 유도되는 피부의 홍반과 흑화 정도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Chromameter CR300 (Minolta, Japan)에서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홍반의 정도는 피부의 붉은 기를 나타내는 "a" 값을 구하여 결정하였다.
시험물질을 도포하여 미백에 효과가 있는 경우는 시험 시작 전 L값과 흑화가 완전히 형성된 후 L값의 차이인 델타 L(△L) 값이 작을수록,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경우는 시험 시작 전 a값과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붉어지며 염증이 발생한 후 a값의 차이인 델타 a(△a) 값이 작을수록 효과가 있다. △L 값, △a 값의 변화는 하기 표 7 및 8에 나타내었다. 비교 부위는 시료를 도포하지 않는 부위로 하였다.
시험물질 미백효과(△L)
대조군 8.23
실시예 1 0.97
실시예 2 0.74
비교예 1 1.34
시험물질 염증억제 효과(△a)
대조군 7.66
실시예 1 1.05
실시예 2 1.22
비교예 1 1.97
상기 표 7 및 8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리갈락산을 함유한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들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현상 중 하나인 멜라닌에 의한 색소 침착현상을 예방하는 효과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억제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폴리갈락산의 인체 누적 첩포 시험을 통한 안전성 검증
<실시예 1 및 2>의 화장수 조성물과<비교예 1>의 화장수 조성물들의 피부 안전성 검증을 위해 인체 피부 누적자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건강한 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한다. 첩포 방법은 핀 체임버(Finn chamber) 혹은 유사한 종류의 체임버(chamber)를 이용하는데, 체임버(chamber)당 15㎕의 조성물을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고,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는 4점(최고점수)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술하였으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 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한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반응자수 X 반응도/총피검자수 X 최고점수 X 100) ÷ 총 검사횟수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시예1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실시예2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비교예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피검인원 20 20 20 20 20 20 20 20 20
상기 표 9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의 모든 조성물은 비교예 1의 모든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폴리갈락산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노화 현상을 억제하고 개선할 뿐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의 근본적인 원인인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억제함으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현상을 억제하고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함으로 피부노화 개선 효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도 우수하여, 독성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우수한 물질로서,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갈락산(polygalac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갈락산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폴리갈락산(polygalac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갈락산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폴리갈락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갈락산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109058A 2012-10-30 2013-09-11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 KR101550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1561 2012-10-30
KR1020120121561 2012-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70A KR20140055970A (ko) 2014-05-09
KR101550727B1 true KR101550727B1 (ko) 2015-09-07

Family

ID=5088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058A KR101550727B1 (ko) 2012-10-30 2013-09-11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143B1 (ko) * 2015-09-15 2017-03-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바스피린 펩타이드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712A (ja) * 1999-01-06 2000-07-18 Rashi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712A (ja) * 1999-01-06 2000-07-18 Rashi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ng-Hwan Nam et al., Korean J. Plant. Res., 20(3), pp226-233,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70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4141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WO2015002393A1 (ko) 감귤 미성숙과 추출물, 또는 시네프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55155A (ko) 자외선 등 피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염증 또는 노화를 개선하는 물질 살리드로사이드
KR102017619B1 (ko)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1663576B1 (ko) 플로레틴 술폰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8111042A2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0727B1 (ko)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폴리갈락산 함유 조성물
KR20070103173A (ko)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425902B1 (ko) 하이드록삼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4117A (ko) 진세노사이드 Ro(ginsenoside Ro)를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105623A (ko)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102046566B1 (ko) 피부 가려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8825B1 (ko) 자외선 등 피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염증 또는 노화를 개선하는 물질 아미그달린
KR100924060B1 (ko) 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KR20140055969A (ko) 피부 염증 및 노화를 개선하기 위한 테트라메틸피라진 함유 조성물
KR101161738B1 (ko) 진센노사이드 알에이치2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95515B1 (ko)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55156A (ko) 자외선 등 피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염증 또는 노화를 개선하는 물질 시토스테린
KR20150043028A (ko) 소포리딘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050121397A (ko) 피부자극 완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천문동 추출물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14975B1 (ko) 이소오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101155695B1 (ko) 진센노사이드 알지3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09082185A1 (ko) 플라티코딘-디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