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865A -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865A
KR20180015865A KR1020160099412A KR20160099412A KR20180015865A KR 20180015865 A KR20180015865 A KR 20180015865A KR 1020160099412 A KR1020160099412 A KR 1020160099412A KR 20160099412 A KR20160099412 A KR 20160099412A KR 20180015865 A KR20180015865 A KR 20180015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keratinoc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924B1 (ko
Inventor
김세희
염명훈
안수미
성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래
Priority to KR102016009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울금 추출물, 병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각질층 및 피부 장벽을 구성하는 골격 성분인 각질세포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하고, 둘째, 각질세포를 둘러싸서 피부장벽을 완성시키는 구성성분인 지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장벽의 강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부수적으로는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 발생의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표피 분화가 불완전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피부 건조 증상, 아토피 증상, 접촉성 피부염 증상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장벽이 손상된 후의 회복 또한 촉진하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BABY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본 발명은 복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보습 효능이 뛰어나며, 특히, 유아에게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 (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J. Invest. Dermatol. 1983; 80: 44-49).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 (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 (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여러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인간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 (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활환경 중에 인간에 대한 위해요인이 점점 증가하고, 노령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over rate)가 늦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즉 피부장벽기능이 와해된 상태의 피부를 갖고 있는 인간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제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보유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만으로는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지금까지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피부분화 촉진물질은 개발된 것이 없고, 다만, 피부장벽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세포간 지질(skin lipid) 성분인 세라마이드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효과나 가격 면에서의 단점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표피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하여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정상적인 각질층의 생성과 탈락을 유도하고,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 및 유지를 강화시켜 피부건조증과 이에 수반하는 아토피 등의 건조피부질환을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피 내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다. 첫째, 각질층 및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골격 성분인 각질세포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하고, 둘째, 각질세포를 둘러싸서 피부장벽을 완성시키는 구성성분인 지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장벽의 강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부수적으로는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 발생의 감소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울금 추출물, 병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울금 추출물, 병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첫째, 각질층 및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골격 성분인 각질세포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하고, 둘째, 각질세포를 둘러싸서 피부장벽을 완성시키는 구성성분인 지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장벽의 강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부수적으로는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 발생의 감소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표피 분화가 불완전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피부 건조 증상, 아토피 증상, 접촉성 피부염 증상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장벽이 손상된 후의 회복 또한 촉진하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알로에베라 (Aloe vera)의 잎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백꽃 추출물은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의 꽃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이인 추출물은 율무 (Coix lacryma - jobi var. ma-yuen Stapf)의 종자의 겉겨를 제거한 것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의이인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보카도 추출물은 아보카도 (Persea Americana)의 열매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보카도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카모마일 추출물은 마트리카리아 카모밀라 (Matricaria chamomilla), 로만 카모마일 (Chamaemelum nobile) 또는 저먼 카모마일 (Matricaria recutica)의 꽃, 줄기, 잎, 또는 전초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녹차 추출물은 차나무 (Camellia sinensis)의 잎 또는 이를 건조하여 발효시킨 것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울금 추출물은 온울금 (Curcuma wenyujin Y. H. Chen et C. Ling.), 강황 (Curcuma longa Linne) 광서아출 (Curcuma kwangsiensis S. G. Lee et C. F. Liang) 또는 봉아출 (Curcuma phaeocaulis Val.)의 덩이뿌리 또는 이를 주피를 제거하거 쪄서 말린 것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은 병풀 (Centella asiatica)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병풀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금잔화 추출물은 금잔화 (Calendula)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금잔화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은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광과감초 (Glycyrrhiza glabra Linne) 또는 창과감초 (Glycyrrhiza inflata Batal.)의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그 주피를 제거한 것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종래에 사용되어진 어떠한 용매로도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또는 핵산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식물의 추출방법 예를 들어, 열수 추출, 감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 발생의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손상 회복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층 및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골격 성분인 각질세포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구성 성분 함량 (중량%)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6
동백꽃 추출물 6
의이인 추출물 6
아보카도 추출물 6
카모마일 추출물 6
녹차 추출물 6
울금 추출물 6
병풀 추출물 6
금잔화 추출물 6
감초 추출물 6
부틸렌글라이콜 40
<시험예 1> 인간의 피부세포주의 트랜스 글루타미네이즈(transglutaminase)의 발현 효과
인간의 피부세포주를 96웰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부착시킨 피부세포주에 시험물질을 처리한 후, 2일이 지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20 ℃의 온도에서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동결-해동(Freeze-thawing)을 2회 반복하여 하기 표 1의 대조군 및 실시예 1에 따라 각각 해당 물질을 처리한 후, 피부세포주를 파괴시키고, -20 ℃의 온도에서 보관한 아세톤:에탄올(1:1, v/v)을 처리하여 4분 내지 30분간 방치하고 세포를 고정시켰다. 그 후, 실온에 방치하여 유기용매가 증발되게 하고, 블록킹(1% 소혈청알부민),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항체(primary antibody), HRP 안티-마우스 항체(secondary)를 수행하고, 발색은 OPD (o-phennyldiamine)를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발현량은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보정은 630nm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를 측정하여 수행하였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 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각 시험군의 음성대조군의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발현량을 기준으로 한 상대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발현량을 백분율로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발현량 (%)
음성대조군 Low Ca2 +(0.03 mM) 100
양성대조군 Hign Ca2 +(1.2 mM) 135
실시예 1 10 ppm 120
100 ppm 155
1000 ppm 20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두 배 정도의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 발현량 증가 양상을 보였고, 양성 대조군보다도 많은 양이 발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트랜스글루타미네이즈의 발현 향상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인간 피부에서 표피지질(총 세라마이드) 생성량 증가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이 실제 인간 피부에서의 지질 합성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물질 조성은 Carbopol ETD 2020 0.5%, TEA 0.45 중량%, 각 시험군 해당 물질 5 중량%, 그리고 잔량은 탈이온화된 물로 채웠다. 12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팔뚝에 50 mL 폴리프로필렌 코르니컬 튜브(polypropylene cornical tube)의 직경만큼의 영역을 표시한 후 매일 2회씩 대조군들과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20 μL 씩 도포하면서 피검자를 2군으로 나누어 3일째와 11일째 생성 지질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질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각 피험자의 팔뚝을 수돗물을 이용하여 씻은 후 3M사의 상품명 Scotch 810 Magic tape으로 1회 테입 스트립핑(tape stripping)을 한 후, 잘라낸 50 mL 폴리프로필렌 코르니컬 튜브를 저장소(reservoir)로 사용하여 1 mL의 사이클로핵산/에탄올 (cyclohexane/ethanol) (4:1)을 첨가한 후 약 1분간 섞어 준 뒤 이를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다시 1 mㅣ의 사이클로핵산/에탄올 (cyclohexane/ethanol) (부피비 1:1)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 후 튜브에 모았다. 이 후 이를 50 ℃의 온도에서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500 μL의 클로로포름/메탄올 (chloroform/methanol) (부피비 2:1)에 녹인 후 각 시료들을 CAMAG사의 상품명Automated TLC sampler-4를 이용하여 Silicagel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판에 점적하고, AMD(Automated Multiple Development)를 이용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비의 전개 용매로 전개하였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아세트산 헥산 디에틸에테르 퍼트롤리움 에테르 용매이동거리
(cm)
1차 40 10 1 - - - - 3.0
2차 190 9 - 1 - - - 6.5
3차 - - - 2 12 3 - 7.5
4차 - - - - - - 100 Top
TLC 판을 전개시킨 후 TLC Scanner-II(CAMAG 사: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각 밴드(band)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무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100%로 환산한 각 시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시험군 처리 후 3일 후와 11일 후로 나누어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처리후 3일 (%) 처리후 11일 (%)
음성대조군 무처리군 100 100
Vehicle 105 99
양성대조군 글리세린 (5%) 103 97
실시예 1 110 12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은 처리 3일 후에 음성대조군 (무처리군/비히클) 대비 5 내지 10% 정도의 증가 상태를 보였으며, 양성대조군(글리세린) 보다는 7%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11일 후에는 지질 생성능이 음성대조군 대비 20 내지 21% 정도,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23% 정도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세라마이드의 생성 향상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알로에 추출물의 제조
보습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알로에 100 g를 세척하고 건조한 후 분쇄하였다. 이를 정제수 1000 L에 넣고 교반장치로 160 rpm에서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것을 여과(0.4 μm)하여 최종적으로 알로에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3> 인체에서의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피부건조증을 나타내는 8살 미만의 유아 남녀 10명을 2개조로 나누어, 하나의 시험조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나머지 시험조에는 비교예 1에 따른 알로에 추출물을 각각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 대비 도포 처리 후 일정 기간 경과 시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실시예 1 34 41 42 33
비교예 1 (알로에 추출물) 30 34 34 15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 1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해서 피부수분량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시험물질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 즉 피부수분을 측정한 6주 경과 후의 수치가, 1주 내지 2주 경과 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피부수분을 측정한 6주 경과 후의 수치가, 1주 내지 4주 경과 후의 수치보다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교예 1의 사삼 추출물과는 달리, 시험물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는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 도포에 의하여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울금 추출물, 병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용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손상 회복용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9412A 2016-08-04 2016-08-04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12A KR102500924B1 (ko) 2016-08-04 2016-08-04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12A KR102500924B1 (ko) 2016-08-04 2016-08-04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65A true KR20180015865A (ko) 2018-02-14
KR102500924B1 KR102500924B1 (ko) 2023-02-21

Family

ID=6122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12A KR102500924B1 (ko) 2016-08-04 2016-08-04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9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1537A (zh) * 2019-03-05 2019-08-20 德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皮肤屏障的护理乳液及其制备方法
KR20190119320A (ko) 2018-04-12 2019-10-22 (주)화니핀코리아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9321A (ko) 2018-04-12 2019-10-22 (주)화니핀코리아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 수딩패치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739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584820A (zh) * 2018-11-28 2021-03-30 株式会社Sd生命工学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EP3993633A4 (en) * 2019-07-02 2023-09-06 Mars Incorporated FOOD COMPOSITION FOR ANIM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1435A1 (en) * 2003-02-14 2004-08-19 Gupta Shyam K. Skin Firming Anti-Aging Cosmetic Mask Compositions
KR20130025539A (ko) * 2011-09-02 2013-03-12 김주원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1435A1 (en) * 2003-02-14 2004-08-19 Gupta Shyam K. Skin Firming Anti-Aging Cosmetic Mask Compositions
KR20130025539A (ko) * 2011-09-02 2013-03-12 김주원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320A (ko) 2018-04-12 2019-10-22 (주)화니핀코리아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9321A (ko) 2018-04-12 2019-10-22 (주)화니핀코리아 초정광천수를 함유하고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저자극성 유아 수딩패치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739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584820A (zh) * 2018-11-28 2021-03-30 株式会社Sd生命工学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CN110141537A (zh) * 2019-03-05 2019-08-20 德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皮肤屏障的护理乳液及其制备方法
EP3993633A4 (en) * 2019-07-02 2023-09-06 Mars Incorporated FOOD COMPOSITION FOR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924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924B1 (ko) 보습 효능을 갖는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CN111700853B (zh) 一种具有抗敏修复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CN113332181A (zh) 一种可修复皮脂膜及角质层受损的精华油及其制备方法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2606B1 (ko) 주름 및 아토피 개선과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4053181A (zh) 一种抗皱组合物及其在护肤品中的应用
KR101670776B1 (ko)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23645B1 (ko) 갯강활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7502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018B1 (ko)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5397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