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398A -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398A
KR20030023398A KR1020010056572A KR20010056572A KR20030023398A KR 20030023398 A KR20030023398 A KR 20030023398A KR 1020010056572 A KR1020010056572 A KR 1020010056572A KR 20010056572 A KR20010056572 A KR 20010056572A KR 20030023398 A KR20030023398 A KR 2003002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palm cactus
composition
external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855B1 (ko
Inventor
손의동
남개원
박원석
김수정
이창훈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5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의 건조증상을 개선시키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의 전초나 열매를 물, 또는 적절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시킨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피부 각질 형성세포(keratinocyte)의 정상적인 분화(differentiation)를 촉진하고, 추후에 피부에서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로 변환되는 필라그린(filaggrin)의 피부내 발현을 촉진하며, 피부의 수분유지에 필수적인 세포간지질의 일종인 세라마이드(ceramide)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수분함유능력 증강, 피부 건조의 방지, 그리고 아토피(atopy) 및 접촉성 피부염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containing Opuntia ficus-indica extract}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손바닥선인장 (Opuntia ficus-indica)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의 건조증상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손바닥선인장의 전초나 열매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시켜, 피부에 도포했을 때 피부 각질 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differentiation)를 정상적으로 환원/유지시킴으로써, 표피분화가 불완전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피부건조 증상, 아토피 증상 및 접촉성 피부염 증상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 예컨대 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 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유지될 수 있다. 문헌(J. Invest. Dermatol. 1983; 80: 44-49)에 의하면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 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혹은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에 각질 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 위해 요인들이 늘어난 최근에 들어서는 건조피부 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활환경 중에 사람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하고, 노령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over rate)가 늦어지고, 각질 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즉 피부 장벽기능이 와해된 피부를 갖고 있는사람들도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제반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보유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만으로는 단지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 있을 뿐이고,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표피세포분화조절물질로는 고지혈증 치료제이며, 퍼옥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알파(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alpha, PPAR-alpha) 활성 물질인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가 보고되어 있으나(J. Invest. Dermatol. 2000; 114: 681-687), 암 유발가능성이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며,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피부분화촉진물질은 개발된 것이 없고, 다만,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세포간지질(skin lipid) 성분인 세라마이드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효과나, 가격 면에서의 단점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특허출원 제1999-022102호는 분말형태의 손바닥선인장을 함유한 투명비누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상기 특허출원은, 손바닥선인장을 함유한 투명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당성분을 첨가하여 선인장 특유의 점질성을 제거한 분말형태의 손바닥선인장을 투명비누 베이스에 첨가하여 투명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미용비누와 선인장 특유의 색과 향이 가미된 캐릭터 제품의 관광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비누의 제조방법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비누의 근본적인 특성상 피부의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킨다거나,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는 등의 특수한 용도로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보유능, 피부의 유연성 및 견고성을 높이고,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부여하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함으로써 건조피부나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건조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의 발생도 감소시키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에 의한 표피세포 분화촉진 효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에 의한 사람 각질 형성세포의 각화 외피(Cornified Envelope, CE) 형성 촉진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노화피부에서의 피부 장벽의 회복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젊은 피부에서의 피부 장벽의 회복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젊은 피부에서의 피부수분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과 대조군들의 면역조직 화학염색 수행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과 대조군들의 표피지질 생성량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건조된 손바닥선인장의 줄기나 열매에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구성되는 추출용매 가운데 1종 이상 선택하여 5배 내지 15배 부피비율로 가한 후 추출 또는 분획하는 단계(a); 및 상기 단계(a)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b)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피부각질 형성세포를 분화시키고, 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키며,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성 또는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피부 보습기능 강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표피분화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이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음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또한 필라그린의 발현 및 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의 합성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용제 제형을 제조하여 동물 및 사람의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확실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손바닥선인장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경작되는 선인장 중에서 오푼티아 피커스-인디카(Opuntia ficus-indica L. var. saboten Makino) 학명을 갖는 식물로 백년초라고도 불리며, 매년 4-5월경에 작고 파란 열매를 맺고 꽃이 피며, 이 꽃이 지면서 11월경에 열매를 맺어 수확한다.
예로부터 손바닥선인장은 민간에서 종기, 화상, 부종, 기관지 천식, 가래, 백일해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변비와 궤양 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당뇨억제, 체내 포도당의 안정성 유지, 콜레스테롤의 감소 목적으로 식용되고 있으며, 멕시코에서는 당뇨치료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밖에, 이 식물은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이나 골다공증(Osteophorosis)의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다량의 비타민 C를함유하고 있어 노화방지나 피부 미용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중약대사전, 본초강목). 최근에는 손바닥선인장 성분이 상처치유(Fitoterpia, 2001; 72: 165~167)나 항염증 효과(Fitoterpia, 2001; 72: 288~290)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손바닥선인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손바닥선인장 분말차나 꿀차 등은 제주도 특산 농산물로도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보습효과가 탁월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기 위해,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질층과 피부 장벽을 정상적으로 형성시키고, 천연보습인자를 생성하는 필라그린의 표피내 발현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동결건조한 손바닥선인장의 열매나 전초를 하기에 기술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 또는 분획한 후, 농축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분말상의 건조된 손바닥선인장 단위 중량에 대하여 물, 저급 알코올, 에칠아세테이트(Ethylacetate) 또는 노르말 헥산(n-Hexane)을 중량비 1~15 배로 가한 후, 50℃ 내지 100℃ 에서 3~24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 내지 25℃에서 3-4일간 침적시켜 그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 적정량의 물과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헥산 등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방치하여 층을 분리시킨 후 상층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은 감압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 건조시킨 후 물이나 에탄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매에 녹여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 및 제조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발명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물을 이용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손바닥선인장 200 g을 분쇄하여 중량비 10 배의 물을 넣고 잘 저어주면서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지를 통해 여과한 여액에 에탄올 4 kg을 가하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여과하여 얻은 침전물을 증류수 2 kg에 녹인 후 재여과한 여액을 감압증발기로 농축하였다. 동결 건조한 손바닥선인장 줄기와 열매 분말은 북제주군 농업 기술센터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2: 에탄올을 이용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동결 건조한 손바닥선인장 줄기와 열매 분말 200 g에 중량(Kg)비 10 배량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였다.
<실시예 3: 메탄올을 이용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동결 건조한 손바닥선인장 줄기와 열매 분말 200 g에 중량(Kg)비 10 배량의 메탄올을 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였다.
<실시예 4: 헥산 및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3의 메탄올 추출물에 물과 헥산을 1:1로 섞은 혼합용매를 20 배량 가하여 완전히 혼탁시킨 후, 상온에서 하루 동안 방치시켜 층을 분리한다. 상층액인 헥산층만을 분리하여 감압증발기로 감압 농축시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헥산층 분획을 얻었다. 하층액인 물층에 에칠아세테이트 용매를 2배량 첨가하여 진탕한 후, 상온에서 하루 동안 방치시켜 층을 분리시켰다. 상층액인 에칠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여 감압증발기로 감압 농축시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을 얻었다.
<실시예 5: 부탄올층 분획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4의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 과정 중의 하층액인 물층에 부탄올 2배량을 첨가하여 실시예 4와 같이 수행하여 부탄올층 분획을 얻었다.
<실시예 6: 물층 분획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5에서 나온 최종의 물층을 감압증발기에서 농축하였다.
손바닥선인장 줄기와 열매 추출물에 대한 수율은 하기 표 1에 기술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분리되거나 더 나아가 농축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30% 수용액, 1,3-부틸렌글리콜에 5%(W/W) 녹인 용액 또는 에탄올에 10%(W/W) 녹인 용액으로 만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료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시험예 1: 사람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유도 시험>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 시 생성되는 각화 외피(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세포분화촉진효과를 시험하였다. 일차배양한 사람의 각질 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하기 표 2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비롯한 시험물질들을 표 2에 제시한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뒤, 2%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와 20 mM농도의 디티오스레이톨(Dithiothreitol, DTT)을 함유한 10 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에 현탁시켜 34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분화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는다. 저칼슘(0.05mM) 처리군과 고칼슘(1.5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 농도에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세포 형태의 사진으로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포들의 외형이 바뀌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시험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손바닥선인장 줄기(전초) 추출물이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의 추출물들보다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를 더 촉진하였다(결과는 제시하지 않음).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의 줄기와 열매 추출물에 대한 시험결과만을 대표적으로 나타내었다(이하, 손바닥선인장 줄기 추출물을 손바닥선인장으로 표기함).
<시험예 2: 손바닥선인장의 피부 장벽손상 후의 회복력 시험 (동물시험)>
노화피부의 장벽손상 후 회복에 미치는 손바닥선인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60주령의 무모생쥐(Hairless Mouse)를 사용하여 피부 장벽 회복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실험동물의 등에 단시간동안(5분) 아세톤을 반복적으로 도포하여 피부 장벽을 손상시키고, 아세톤 처치 30분 후에 스웨덴 서바메드(Servamed)사의 증발계(Evaporimeter)인 EP1으로 경피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한 다음, 비이클(Vehicle,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과 손바닥선인장(2%)을 함유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피부면적 5cm2당 200 ㎕ 씩 도포하고, 일정시간마다 TEWL을 측정하여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장벽손상 후, 물질을 도포하기 직전과 도포한 후 2, 5, 16, 24시간 경과 후에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와 같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는 비이클 처치군에 비하여 월등한 장벽손상 회복력을 보여 주었다.
<시험예 3: 젊은 피부에서의 손바닥선인장의 피부 장벽회복 및 보습력 시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장기간의 피부손상으로 인한 피부 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출생 후 8-10주가 경과한 젊은 무모생쥐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의 등 피부 장벽기능을 손상시킨 다음, 상기 증발계(Evaporimeter)로 TEWL을 측정하여 40g/㎡/hr 이상의 경피수분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만을 대상으로 비이클(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7:3), 클로피브레이트 및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2%를함유한 시험물질들 각각을 피부면적 5cm2당 200 ㎕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동안 연속 도포하면서 일정시간마다 TEWL을 측정하였다 (도 4).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손바닥선인장을 도포한 처리군이 비이클군에 비해 더 빠르게 장벽손상이 회복되어 노화된 피부를 이용한 급성장벽손상 (시험예 2)에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TEWL 측정시점에 코니오미터(Corneometer, 독일 Courage Khazaka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피부 수분량의 경우에도 손바닥선인장을 처치한 군의 피부수분량이 비이클 처치군보다 높았으며, 장벽손상회복과 더불어 피부수분량도 증가하였다(도 5).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시험예 4: 면역조직 화학염색 (Immunohistochemistry)>
무모생쥐를 이용하여 표피에서의 필라그린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손바닥선인장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3일 동안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클로피브레이트, 및 비이클로 처리한 실험동물의 피부 조직을 잘라내어 파라핀에 고정하고, 필라그린 항체를 이용하여 피부조직의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손바닥선인장을 도포한 군이 비이클군보다 필라그린의 발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시험 예 5: 지질 추출>
세포간지질의 구성 성분들 중 하나인 세라마이드의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3일 동안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클로피브레이트, 및 비이클로 처리한 실험동물의 피부 조직을 8mm 펀치로 절편하여 0.25% 트립신(Trypsin)을 함유한 PBS 용액이 담겨있는 페트리 디쉬 (Petri Dish)에 진피가 아래로 가도록 하여 담근 다음 상온에서 90 내지 120분 동안 방치하였다. 표피층을 조직에서 분리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한 뒤 중량을 측정하였다. 거의 건조된 각질을 블라이 다이어(Bligh-Dyer) 용액(메탄올:클로로포름:물=4:2:1.6) 5ml에 넣어 교반 후 하루 동안 방치한 다음, 부유액을 모으고, 다시 각질층을 포함하고 있는 침전물에 클로로폼과 메탄올 혼합용액(CHCl3:MeOH=2:1)을 4ml 첨가하여 교반한 후, 별도로 모아 둔 부유액과 함께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다시 증류수 6ml를 넣어 교반한 후, 2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하층액만을 취해 35℃에서 질소가스로 건조시키고 클로로폼과 메탄올 혼합용액(CHCl3:MeOH=2:1) 일정량에 녹여 보관하였다. 각 시료들을 카마그(CAMAG)사의 자동 티엘씨 샘플러-4(Automated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sampler-4)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TLC(Silicagel TLC) 판에 점적하고, 자동 다중 전개(Automated Multiple Development, AMD)를 이용하여 표 3과 같은 조성비의 전개 용매로 전개하였다.
TLC 판을 전개 시킨 후 TLC 스캐너-II(Scanner-II, CAMAG 사: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각 밴드(band)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비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을 100%로 환산한 각 처치군의 세라마이드 생성량은 도 7과 같다. 비처치군이나 비이클 처치군에 비해 각질층 분화를 촉진하는 양성대조군인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 처치군과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처치군에서는 세라마이드 생성량이 30% 내지 40%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인체에서의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하기 표 4에서처럼 제조하여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건조증을 나타내는 50-60대의 성인 남,녀 50명을 5개조로 나누어, 각 조에 비교예 1과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화장수를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후에 24℃의 항온, 상대습도 40%의 항습 조건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이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메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물질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서 피부수분량이 더 증가되었으며, 그 정도는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에 피부수분을 측정한 6주 경과 후의 수치가 1주 내지 2주 경과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도포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도포에 의해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제조하였다. 하기 표 6에 나타낸 설문조사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바닥선인장이 함유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를 도포할 경우 피부건조증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젼 제형을 하기 표 7에서처럼 제조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접촉성 피부염 개선효과는 20대-30대의 자원자 25명을 대상으로 홍반(Erythema) 발생정도로 측정하였다. 자원자의 전박부 5개소에 3% 소디움 로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phate, SLS) 용액을 24시간 폐쇄첩포하여 계면활성제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시키고, 첩포를 제거한 후, 각 자원자들에게 비교예 2와 제조예 5 내지 제조예 8을 홍반이 발생한 5개소에 매일 2회씩 1주간 도포하였다.홍반의 발생정도는 첩포를 제거한 직후와 도포시작 1, 2, 4, 7일 후에 육안으로 표 8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SLS에 의해 발생된 접촉성 피부염 증상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 처치에 의하여 더 빨리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8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
아토피 증상 개선효과 측정시험은 전부터 아토피 증상, 예컨대 가려움, 진무름, 심한 건조증이라 진단 받았거나, 육안관찰로 아토피 유사 증상을 보이는 10대-50대 사이의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의 비교예 2와 제조예 5 내지 제조예 8을 그룹당 10명에게 제공하고,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4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효능 평가는 4주 처치 후 설문 조사를 통해 개선정도를 본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손바닥선인장이 함유된 제형을 도포한 제조예 5 내지 제조예 8 처치군이 대조군인 비교예 2 처치군보다 전반적으로 가려움이나 짓무름 등의 아토피 증상이 더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표피 내에 존재하는 각질 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각질층 및 피부 장벽을 구성하는 골격성분인 각질세포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하고, 각질세포를 둘러싸서 피부 장벽을 완성시키는 구성성분인 지질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장벽의 강화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질세포가 보유하고 있는 천연보습인자들의 생성에 중요한 원천이 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견고성을 높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게 하며, 피부건조증은 물론 아토피나 접촉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을 예방하거나 그 증상을 개선시키고, 뿐만 아니라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의 발생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8)

  1.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건조된 손바닥선인장의 줄기나 열매에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구성되는 추출용매 가운데 1종 이상 선택하여 5배 내지 15배 부피비율로 가한 후 추출 또는 분획하는 단계(a); 및 상기 단계(a)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b)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피부각질 형성세포를 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접촉성 또는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기능 강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1-0056572A 2001-09-13 2001-09-13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3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72A KR100435855B1 (ko) 2001-09-13 2001-09-13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72A KR100435855B1 (ko) 2001-09-13 2001-09-13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398A true KR20030023398A (ko) 2003-03-19
KR100435855B1 KR100435855B1 (ko) 2004-06-12

Family

ID=2772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572A KR100435855B1 (ko) 2001-09-13 2001-09-13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85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699B1 (ko) * 2003-11-14 2006-11-03 김복현 항산화작용 및 항균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91856B1 (ko) * 2005-04-01 2007-03-12 김우헌 주방용 액체세제 조성물
KR100926073B1 (ko) * 2008-01-14 2009-11-1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DE112008002948T5 (de) 2007-11-06 2010-11-25 Finzelberg Gmbh & Co. Kg Extraktzubereitung von Opuntia ficus indica
KR101009767B1 (ko) * 2008-11-21 2011-01-20 (주)더페이스샵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5963B1 (ko) * 2008-12-01 2011-08-11 (주)더페이스샵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758B1 (ko) * 2013-09-12 2014-08-05 김태홍 한방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501538B1 (ko) * 2011-09-23 2015-03-12 (주)제주사랑농수산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99256B1 (ko) * 2015-08-11 2016-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10300009B2 (en) * 2015-12-18 2019-05-28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10426723B2 (en) 2014-12-03 2019-10-01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CN111228162A (zh) * 2018-11-28 2020-06-05 阿尔卑斯村庄营农组合法人 含有葫芦提取物的美白、抗氧化及保湿用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EP3815669A1 (de) * 2019-11-01 2021-05-05 Weleda AG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n extrakt aus opuntia ficus indica
IT202100020309A1 (it) * 2021-07-29 2023-01-29 Arterra Bioscience S P A Estratti derivati da olive e pale di fico d’India per l’uso nella prevenzione e nel trattamento della dermatite atopic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4828B1 (fr) * 2005-12-21 2008-01-18 Jean Alexis Grimaud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ologiques et/ou dermatologiques a base de derives de la proline et leurs utilisations
KR100830403B1 (ko) * 2006-09-28 2008-05-20 라호열 손바닥선인장 발효액과 포도씨추출물이 함유된 천연화장료조성물
JP2015205823A (ja) * 2014-04-17 2015-11-19 春日井商工会議所 サボテン抽出エキス、このエキスを含む保健食品等及び医薬
KR101958279B1 (ko) * 2018-05-29 2019-07-02 주식회사 에프지뷰티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760B1 (ko) 2019-08-28 2020-05-07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및/또는 미세 먼지 차단용 세륨옥사이드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4638B2 (ja) * 1993-03-18 2004-01-06 株式会社加美乃素本舗 サボテン類植物抽出物含有皮膚化粧料
FR2757863B1 (fr) * 1996-12-27 1999-03-26 Inovat Sarl Nouvelles substances a activite biologique, leur procede d'obtention et les compositions en renfermant
MY124001A (en) * 1999-04-23 2006-06-30 E Excel Int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dehydrated cactus fruit juice and ginseng berry juice
US6352685B2 (en) * 1999-12-24 2002-03-05 KOSé CORPORATIO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KR101103779B1 (ko) * 2009-09-01 2012-01-06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699B1 (ko) * 2003-11-14 2006-11-03 김복현 항산화작용 및 항균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91856B1 (ko) * 2005-04-01 2007-03-12 김우헌 주방용 액체세제 조성물
DE112008002948T5 (de) 2007-11-06 2010-11-25 Finzelberg Gmbh & Co. Kg Extraktzubereitung von Opuntia ficus indica
US10857193B2 (en) 2007-11-06 2020-12-08 Finzelberg Gmbh & Co. Kg Extract formulation of Opuntia ficus indica
KR100926073B1 (ko) * 2008-01-14 2009-11-1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7B1 (ko) * 2008-11-21 2011-01-20 (주)더페이스샵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5963B1 (ko) * 2008-12-01 2011-08-11 (주)더페이스샵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1538B1 (ko) * 2011-09-23 2015-03-12 (주)제주사랑농수산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5758B1 (ko) * 2013-09-12 2014-08-05 김태홍 한방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US11103445B2 (en) 2014-12-03 2021-08-31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US10426723B2 (en) 2014-12-03 2019-10-01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US11786453B2 (en) 2014-12-03 2023-10-17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US11179305B2 (en) 2015-08-10 2021-11-23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KR101599256B1 (ko) * 2015-08-11 2016-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190231675A1 (en) * 2015-12-18 2019-08-01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10870022B2 (en) 2015-12-18 2020-12-22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11690798B2 (en) 2015-12-18 2023-07-04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11684568B2 (en) 2015-12-18 2023-06-27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20220362142A1 (en) * 2015-12-18 2022-11-17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10300009B2 (en) * 2015-12-18 2019-05-28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US11419815B2 (en) 2015-12-18 2022-08-23 Mary Kay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CN111228162A (zh) * 2018-11-28 2020-06-05 阿尔卑斯村庄营农组合法人 含有葫芦提取物的美白、抗氧化及保湿用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063612A (ko) * 2018-11-28 2020-06-05 황준환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084136A1 (de) 2019-11-01 2021-05-06 Weleda Ag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n extrakt aus opuntia ficus indica
EP3815669A1 (de) * 2019-11-01 2021-05-05 Weleda AG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n extrakt aus opuntia ficus indica
IT202100020309A1 (it) * 2021-07-29 2023-01-29 Arterra Bioscience S P A Estratti derivati da olive e pale di fico d’India per l’uso nella prevenzione e nel trattamento della dermatite atop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5855B1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JP2008239493A (ja) 皮膚外用剤
KR102124400B1 (ko) 담자균류균사의 액상배양공정에 의한 천문동 및 대두배아의 생물전환산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0696B1 (ko)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JP2008184441A (ja) 細胞増殖促進用皮膚外用剤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48592A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7365A (ko) 엘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7908B1 (ko) 프럭토스 1,6-디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여피부 건조증상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17679A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42801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