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066B1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066B1
KR101327066B1 KR1020107002489A KR20107002489A KR101327066B1 KR 101327066 B1 KR101327066 B1 KR 101327066B1 KR 1020107002489 A KR1020107002489 A KR 1020107002489A KR 20107002489 A KR20107002489 A KR 20107002489A KR 101327066 B1 KR101327066 B1 KR 10132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tape
tape member
wound
clea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812A (ko
Inventor
오기로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시바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8/05780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011159A1/ja
Publication of KR2010004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Adhesive Tap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점착 테이프에 절단용 미싱코를 형성한 점착 롤을 구비한 청소 용구의 사용 후의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하고, 청소 용구는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며,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이 타단 부분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먼지, 실밥, 모발 등의 티끌을 점착하는 점착 테이프를 구비한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길이가 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외측으로 하여 권심(卷芯)에 감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청소 용구가 존재하며,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등록 출원 공개 소화 63년 제76258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청소 용구의 길이가 긴 점착 테이프에는 사용 완료된 부분을 벗겨 떼어내기 위한 미싱코나 사이드컷의 절단 부분이 권심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점착 테이프에 형성된 미싱코나 사이드컷의 절단 부분은 시각에 의해 판별하기 어렵고, 또한 반드시 미싱코 등의 단으로부터 잘라내기 시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 완료된 부분을 잘라 떼어내는 작업이 번잡했다.
또한, 미싱코 등의 잘라내는 라인에 걸쳐 머리카락 등이 부착된 경우에는 머리카락 등이 점착 테이프를 잘라 떼어내는 작업에 지장을 주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를 떼어내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점착 테이프가 머리카락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후자는 소형·경량화나 저비용을 위해 점착 테이프를 가급적 얇은 종이로 구성하는 경우에 현저히 나타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청소 용구는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로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의 점착면의 원주 방향(도 2 등에서 X 방향)의 일단 부분 또는 양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의 점착면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감아 부착하여 사용하는 청소 용구로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는 점착면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이 타단 부분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점착부는 점착면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에 띠형상의 종이 조각을 포개어 합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점착 테이프의 사용 완료된 부분을 절단하기 위하여 「미싱코」등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로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의 점착면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 또는 양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미싱코 등의 가공이 불필요하고, 또한 미싱코 등을 따라서 사용 완료된 부분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사용 완료된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절단 부분이 되는 점착 테이프 부재의 단 부분에 비점착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손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벗겨 떼어내는 부분을 판별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미싱코 등을 형성한 종래 기술에서는 절단 시작이 되는 촘촘한 미싱코의 단부를 시각에 의해 식별할 필요가 있어 절단 작업이 번잡해지는 바, 본 발명과 같이 미싱코를 형성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 부재의 단 부분에 띠형상의 비점착부를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 부재의 단 부분의 어디서부터라도 벗겨 떼어내기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이른바 유니버셜 디자인으로서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점착 시트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점착 시트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점착 시트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점착 시트 부재의 부분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점착 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 또는 양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또한,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방향)의 일단 부분이 타단 부분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또한, 상기 비점착부(12)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에 띠형상의 종이 조각(121)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또한,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복수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로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T)를 권심(S)에 감은 청소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T)는 복수로 분할된 점착 테이프 부재(10)로 이루어지고, 권심(S)에 감겨 내측(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와 외측(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과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박리 처리면이 대향하여 점착함으로써 박리 가능하게 감기 방향(X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점착 테이프(T)이고,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감기 방향(X 방향)의 일단 또는 양단에 비점착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또한, 상기 비점착부(12)는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감기 방향(X 방향) 단변을 접어 이루어진 비점착부(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감기 방향(X 방향) 양 단변을 각각 접어 비점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를 실시예로서 나타내는 각 도면(도 1 내지 도 14)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다. 도 1은 복수의 점착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구성되는 점착 테이프(T)를 권심(S)에 감은 상태에서 일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점착 테이프(T)를 구성하는 한개의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사시도, 도 3은 복수의 점착 테이프 부재(10)에 의해 구성되는 점착 테이프(T)를 권심(S)에 감은 상태에서 일부를 전개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사용 완료된 가장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를 비점착부(12)에서 떼어내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권심(S)에 점착 테이프(T)를 감아 이루어진 점착 롤(R)을 유지 부재(H)에 장착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 1은 복수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로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T)를 권심(S)에 감은 청소 용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두꺼운 종이 등으로 구성된 원통 형상의 권심(S)의 외주면에 대해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원통의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여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이다.
점착 테이프(T)를 구성하는 복수의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 내지 사각형 형상의 기재의 표면에 점착면(11)을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종이제의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것이다. 기재의 이면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점착제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기 방향의 선단(원통 형상에 있어서 원주 방향, 도 2에서 X 방향의 일단)에 비점착부(12)가 형성된다. 비점착부(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으로부터 후방(XB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접는선을 형성하고,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한변을 상기 접는선에 의해 접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비점착부(12)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이면(박리 처리면)을 표면측에 노출시켜 형성된다. 또한, 비점착부(12)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부의 전체 폭(권심(S)의 축 방향의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점착부(12)의 축방향 폭이나 감기 방향 내지 원주 방향 길이는 벗겨 떼어낼 때 잡기 쉬운 것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권심 축방향의 양단에도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3)를 구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된다.
또한,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기재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종이 외에 플라스틱 필름, 천 그외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부(11)에 도포되는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고무계나 아크릴계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표면 전체에 도포되거나 부분적으로 도포되어도 좋다.
또한,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박리 처리면에 실시되는 처리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불소계 수지나 실리콘계 수지로 이루어진 박리 처리이다.
직경 방향으로 적층되어 인접하는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한쪽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내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과, 다른쪽 점착 테이프 부재(10)(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박리 처리면이 대향 점착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로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T)를 감은 청소 용구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권심(S)의 외주면에 감아 원통 형상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형성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권심(S)에 감은 상태에서 추가로 그 외측에 다른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동일하게 감아 적층한다. 또한, 동일한 공정을 거쳐 순차적으로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감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직경 방향으로 복수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적층한 청소 용구가 구성된다.
또한,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권심(S)의 약 1 원주분의 길이(감기 방향 길이 내지 원주 방향 길이)를 갖는다. 또한,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권심(S)에 대해 감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순차적으로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감아가면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두께에 의해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므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만큼 길이가 커지도록 설정된다.
실시예 1은 종래 기술의 점착 테이프의 사용 완료된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미싱코」등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의 점착면(11)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 또는 양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를 형성했으므로 미싱코 등의 가공이 불필요하고, 또한 미싱코 등을 따라서 사용 완료된 부분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사용 완료된 점착 테이프 부재를 감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벗겨 떼어내는 부분이 되는 점착 테이프 부재의 단 부분에 비점착부를 형성했으므로 손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벗겨 떼어내는 부분을 판별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미싱코 등을 형성한 종래 기술에서는 절단 시작이 되는 촘촘한 미싱코의 단부를 시각에 의해 식별할 필요가 있어 절단 작업이 번잡한 바, 본 발명과 같이 미싱코를 형성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 부재의 단 부분에 띠형상의 비점착부를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 부재의 단 부분의 어디서부터라도 벗겨 떼어내기 시작할 수 있으므로, 이른바 유니버셜 디자인으로서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비점착부를 「접는 것」에 의해 형성하여 「두께」를 갖게 하므로 점착 테이프를 잡기 쉬워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청소 후에 권심 방향으로 형성된 미싱코에 걸치도록(교차하도록) 머리카락 등이 부착하는 경우」에도 두께에 의해 강도적으로 보강되므로 「점착 테이프가 머리카락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찢어지는」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여 용이하게 찢어지지 않는다.
또한, 가장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측(XF측·원주 방향의 선단측)의 일단에 띠형상의 비점착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의 후단측(XB측·원주 방향의 후단측)의 타단을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에 겹치도록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은 구성이므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 및 후단이 카펫트 등의 청소 바닥면에 대해 점착되지 않으므로(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은 비점착부이고, 후단은 상기 점착 테이프 부재의 내측에 겹치도록 감겨져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청소 바닥면에 대해 점착되지 않음.), 청소 용구를 사용할 때 바로 앞 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반물현상(反物現像)」 내지 「레일 현상」(점착 테이프 부재가 카펫트 등의 청소면에 부착하여 인출되는 현상)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점착부(12)는 직사각형 형상의 종이 조각인 기재의 표면 중, 감기 방향의 선단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한다. 실시예 1의 비점착부(12)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감기 방향(X 방향) 측의 단변을 접어 구성되지만, 실시예 2에서는 비점착부를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띠형상의 종이 조각으로 이루어진 비점착부(121)로 하고, 비점착부(121)를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감기 방향(X 방향)의 단부(선단부)에 부착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1)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121 부근)이 타단 부분(101E 부근)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비점착부(12)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제가 도포된 표면(외측면)의 선단 부분에 부착되고, 띠형상의 종이 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표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재이다.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기재의 표면 전체(감기 방향의 양단을 포함한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점착제를 통해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 부분(XF 방향)에 띠형상의 비점착부(121)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에 비점착부(121)를 겹쳐 형성함으로써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에 「두께」를 갖게 하여 점착 테이프를 잡기 쉬워 떼어내는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청소 후에 권심 방향으로 형성된 미싱코에 걸치도록(교차하도록) 머리카락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두께에 의해 강도적으로 보강되므로 「점착 테이프가 머리카락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찢어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여 용이하게 찢어지지 않는다.
또한, 비점착부(121)의 색을 청색이나 황색으로 이루어진 다른 색지로 형성하는 등 점착면(11)의 색과 다른 색으로 하면 손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넘김 부분(=비점착부)」을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에 의해서도 판별이 가능해져 보다 명확히 판별할 수 있는 유니버셜 디자인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점착부(121)에는 벗겨 떼어내는 방향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벗겨 떼어내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예를 들면 화살표)를 인쇄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점착제 등이 도포된 표면과 같이 인쇄 공정이 어려운 문제가 없고, 제조 공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판매 촉진 용구 등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비점착부(121)에 회사명이나 상품명을 나타내는 문자 등을 인쇄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적층되어 직경 방향에 인접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에 관해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후단과,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비점착부)이 밀접한 상태로 적층되면, 사용 완료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내기 시작할 때,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후단의 벗겨올림에 끌려 내측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이 벗겨 올라갈 가능성이 있으므로(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점착제와,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점착제가 융합하여 서로 부착되는 경우가 있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적층하여 인접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101)의 후단(101E)과, 내측 테이프 부재(102)의 선단(102S)이 소정 간격(T1)을 통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후단과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비점착부)이 밀접한 상태로 적층되면,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 근처에 「박리 처리면과 비점착부가 적층하는 비점착 부분」이 형성된다. 즉, 외측의 점착 시트 부재의 이면(박리 처리면)과, 이에 적층되는 내측의 점착 시트 부재의 비점착부가 겹쳐지므로 어느 하나에도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구성 부분들이 적층되어 점착이 약한 부분이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떼어내기 시작하는 부분」근처에 형성되므로 청소 중에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가 떼어지기 쉬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의미에서도 직경 방향으로 적층되어 인접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101)의 후단(101E)과,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102)의 선단(102S)가 소정 간격(T1)을 두고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후단과,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비점착부)이 밀접한 상태로 복수 적층되면 사용 완료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내기 시작할 때 잘못해서 내측 테이프 부재를 감을 가능성이 있으므로(점착 테이프 부재가 2장 함께 감길 가능성이 있음), 직경 방향으로 적층하여 인접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외측 테이프 부재(101)의 비점착부(12)의 후단(121E)과, 내측 테이프 부재(102)의 비점착부(12)의 선단(102S)이 소정 간격을 두고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 등의 소정 간격(T1)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와 내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의 직경 방향 사이에 공간이 있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이며, 실제로는 각 점착 테이프 부재는 기재의 유연성에 의해 거의 직경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실시예 3
또한, 도 10에 실시예 3을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것은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비점착부가 형성된 선단과 후단을 히트시일(heatseal)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아 형성한 점이다.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1)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122S 부근)이 타단 부분(122B 부근)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도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점착부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과 후단을 박리 가능하게 열용착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비점착부(122S, 122B)를 구성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 부재(10)에서 비점착부(122S)는 비점착부(122B)의 선단 부분(O)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즉, 비점착부(122S)는 비점착부(122B)와는 조금 어긋나 겹쳐지고, 떼어내는 부분이 되는 간격인 선단 부분(O)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사용 완료된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내기 쉽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를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다.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1)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123S 부근)이 타단 부분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3S)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일단(원주 방향의 선단)에 굴곡 자유로운 플라스틱제 필름으로 이루어진 비점착부(123S)를 형성하고, (도 11에서) 상기 일단 부분에 대향하는 타단 부분에는 타단으로부터 소정 간격(T2)을 통해 플라스틱제 필름으로 이루어진 비점착부(123B)를 형성한 것이다.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의 원주 방향(X 방향)의 일단 부분에 굴곡 자유로운 띠형상의 비점착부(123S)를 형성하고, 또한 타단 부분에 띠형상의 비점착부(123B)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비점착부(123S)와 상기 비점착부(123B)가 직경 방향에 대향하여 겹쳐지거나 적층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점착부(123S)는 점착 테이프 부재(10)와 겹쳐 고착된 부분(123S2)과, 점착 테이프 부재(10)와는 겹치지 않고 선단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123S1)을 가진다. 즉,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측 표면에 표리면 모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띠체인 비점착부(123S)를 상기 선단 부분(123S1)이 기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후단측에는 후단으로부터 소정 간격(T2)을 통해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띠체인 비점착부(123B)를 형성하고, 이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권심(S)에 감은 상태에서, 도 12의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점착부(123S)의 선단부(123S1)의 하측(직경 방향 내측)에 비점착부(123B)가 위치하도록 적층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선단에 비점착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효과 외에 비점착부(123S)의 선단 부분(123S1)이 청소 용구의 회전에 의해 도 12의 (a), (b) 및 (c)와 같은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선단부(123S1)는 비점착부(123B) 등을 점착하지 않기 때문에(도 12의 (a)에서는 선단부(123S1)는 비점착부(123B)와 대향 접촉하므로 점착하지 않고, (c)에서는 선단부(123S1)는 후단부(123S2)와 대향 접촉하므로 점착하지 않음), 도 12의 (b)와 같이, 선단부(123S1)는 약간 감아 올라간 상태가 되어 외측의 점착 테이프 부재를 벗겨 떼어내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를 도 14에 도시한다. 실시예 2에서 점착 시트 부재(10)의 기재에 절개부(C)를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이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한 점착 테이프 부재의 선단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띠형상의 종이 조각으로 이루어진 비점착부(121)를 부착하고, 또한 기재의 선단(비점착부(121)가 부착된 부분)에 소정 형상으로 절개한 한개 또는 복수의 절개부(C)를 형성한 것이며, 점착 테이프 부재의 이면측에 비점착부(121)의 이면을 노출시킨 것이다.
이와 같으면 점착 테이프 부재를 권심(S)을 감을 때, 점착 테이프 부재의 이면에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다(절개부에 의해 노출되는 비점착 부재(121)의 이면에는 박리 처리는 실시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전면적으로 박리 처리가 실시된 경우에 비교하여 직경 방향에 인접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 상호간의 점착의 정도가 높아지고, 이른바 상기 반물 현상 내지 레일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을 도 6 및 도 7에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의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실시예 1에서 감기 방향(X 방향)의 양단에 띠형상의 비점착부를 구비한 것이다. 감기 방향의 선단에 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 비점착부(12)를 설치하고, 또한 후단(선단에 형성된 비점착부(12)와 대향하는 측)에도 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 비점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비점착부(14)는 인접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들이 점착제 등에 의해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 테이프 부재(10) 한장만을 확실히 찢도록 한다.
또한, 비점착부(12, 14)는 접는 것에 의해 형성하지 않고, 띠형상의 종이 조각을 부착하여 형성해도 좋다.
10: 점착 테이프 부재 11: 점착면
12, 13, 14, 121, 122, 123: 비점착부
101:후단 102: 선단

Claims (3)

  1.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10)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로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에 권심(S)의 축방향의 폭에 걸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비점착부(12)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에 권심(S)의 축방향의 폭에 걸쳐 띠형상의 종이 조각을 포개어 합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 박리 처리한 박리 처리면과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면(11)을 가진 점착 테이프 부재(10)의 점착면(11)을 외측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진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를 직경 방향으로 복수 적층하고,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점착 테이프 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 떼어내어 사용하는 청소 용구로서,
    각 점착 테이프 부재(10)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이 타단 부분을 덮도록 원통 형상으로 감겨지고, 또한 상기 일단 부분에 권심(S)의 축방향의 폭에 걸쳐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비점착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비점착부(12)는 점착면(11)의 원주 방향의 일단 부분에 권심(S)의 축방향의 폭에 걸쳐 띠형상의 종이 조각을 포개어 합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3. 삭제
KR1020107002489A 2007-07-18 2008-04-23 청소 용구 KR101327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87169 2007-07-18
JP2007187169 2007-07-18
JPJP-P-2008-028906 2008-02-08
JP2008028906A JP5067559B2 (ja) 2007-07-18 2008-02-08 清掃用具
PCT/JP2008/057800 WO2009011159A1 (ja) 2007-07-18 2008-04-23 清掃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812A KR20100044812A (ko) 2010-04-30
KR101327066B1 true KR101327066B1 (ko) 2013-11-07

Family

ID=4044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489A KR101327066B1 (ko) 2007-07-18 2008-04-23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67559B2 (ko)
KR (1) KR101327066B1 (ko)
CN (1) CN101754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4395A (ja) * 2009-06-15 2010-12-24 Shibata Kogyo Kk 清掃用具
JP6100539B2 (ja) * 2013-01-25 2017-03-22 株式会社ニトムズ 有機質汚れ除去用粘着クリーナー
KR101384069B1 (ko) 2013-01-28 2014-04-21 이인주 이물질 제거용 접착식 청소기
CN105565044A (zh) * 2016-02-26 2016-05-11 吴江新劲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用布料卷取清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197A (ja) * 2003-03-12 2004-10-07 Mitsuko Maeda 掃除用粘着ロール
JP2006304912A (ja) * 2005-04-27 2006-11-09 Nitomuzu:Kk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80Y2 (ja) * 1989-12-08 1995-04-19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テープ巻回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197A (ja) * 2003-03-12 2004-10-07 Mitsuko Maeda 掃除用粘着ロール
JP2006304912A (ja) * 2005-04-27 2006-11-09 Nitomuzu:Kk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67559B2 (ja) 2012-11-07
CN101754712A (zh) 2010-06-23
CN101754712B (zh) 2012-09-05
KR20100044812A (ko) 2010-04-30
JP2009039505A (ja)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131B2 (en) One-piece label with integral tear strip
JP4261057B2 (ja) テープロールタブ貼付方法および物品
KR101327066B1 (ko) 청소 용구
JP2016148018A (ja) 粘着テープ、紙葉類の綴じ方法、テープの剥離方法、及び紙葉類の綴じ装置
JP4781293B2 (ja) ラベルシート
KR100454651B1 (ko) 롤타입 점착 클리너와 그 제조방법
US5153043A (en) Laterally tearing tape strip
JPH1173109A (ja) 円筒体用貼着ラベル
JP2010284395A (ja) 清掃用具
JP4460335B2 (ja) パンケーキ
JP5016402B2 (ja) 梱包構造
JP2001305963A (ja) ラベル
JP2579206Y2 (ja) 粘着ロールクリーナーのカバー体
JPH07258615A (ja) 巻取紙の紙継ぎ用両面粘着テープ
JPH0762307A (ja) 剥離紙付粘着テープ
JPH07101603A (ja) 巻取紙の紙継ぎ準備方法およびその連結用テープ
JP2823830B2 (ja) 粘着シート及び携帯用塵取り具
JP4060866B2 (ja) 易開封性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4060867B2 (ja) 易開封性バッグインカートン
JPH0734913Y2 (ja) 粘着テープ
JP2022131632A (ja) 粘着テープ
JP2005279301A (ja) ロール式粘着クリーナとその製造方法
WO2014024580A1 (ja) ラベルロール
US20200098289A1 (en) Label web with longitudinally-spaced arrays of double-sided adhesive labels
JP3045298B1 (ja) 紙製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