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86B1 -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86B1
KR101325786B1 KR1020110048763A KR20110048763A KR101325786B1 KR 101325786 B1 KR101325786 B1 KR 101325786B1 KR 1020110048763 A KR1020110048763 A KR 1020110048763A KR 20110048763 A KR20110048763 A KR 20110048763A KR 101325786 B1 KR101325786 B1 KR 10132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apartment
doorway
entrance
resid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660A (ko
Inventor
윤은수
전명숙
Original Assignee
전명숙
윤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숙, 윤은수 filed Critical 전명숙
Priority to KR102011004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8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로서, 각각의 개별 출입구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거 공간; 상기 복수의 주거 공간을 서로 구분하는 복수의 내벽; 및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1 단위 세대 아파트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도록, 상기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내에 가변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에 따르면, 가변 출입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를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시킴으로써,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출입구의 설치만으로 주거 공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분리 공간의 범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시로 임대 상황에 따라 아파트 구조를 변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구조물의 원형을 해하지 않고 가변 출입구의 위치만을 변경함으로써, 구조물 안전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파트 구조를 임대 용도에 따라 변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APARTMENT STRUCTURE HAVING VARIABLE DOORWAY AND METHOD FOR MODIFYING APARTMENT STRUCTURE USING VARIABLE DOORWAY}
본 발명은 아파트 구조 및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서, 복수 층의 건물을 층마다 복수의 세대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살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다. 1 단위 세대 아파트는 독립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거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한 건물 안에 입구, 계단 또는 복도 등을 복수의 세대가 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파트는, 최근의 주택난 해소를 위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생활이 편리하고 주변 환경이 깨끗하여 선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이 아파트로 재건축되는 재개발 사업이 활발해지면서, 하나의 다가구 주택이 1 단위 세대의 아파트가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나의 주택을 다가구에 임대하는 다가구 주택의 경우는, 재개발로 인하여 1 세대 아파트로 되어버리면, 다가구 임대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아파트와 같은 집단 주거용 건축물은, 대체로 세대마다 같은 면적과 같은 구조의 실내 공간이 제공되는데, 그 구조상 1 단위 세대 아파트의 출입구가 하나이어서, 어느 한 가구에 임대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이 분리되는 것이 어려운바, 따라서 1 단위 세대당 1가구에 임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임대 방식이었다.
드물게는, 아파트의 구조를 개별적으로 개조하여 다가구가 거주하기도 하였으나, 아파트 구조물의 안전성 문제로 구조 변경에는 한계가 있었고, 구조 변경에 사용되는 비용도 과다하여 임대 상황에 따라 구조를 수시로 변경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한편, 입주자의 필요에 따라 내부 구조를 바꿀 수 있도록 설계된 가변형 아파트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기존 콘크리트 벽체 대신 합판 석고 보드 등으로 만든 패널이나 수납형의 조립식 벽체를 사용해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 설치, 변경,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변형 아파트는, 내부 공간 변경을 위해 사용하는 벽체가 기존의 콘크리트 벽체 등에 비하여 안전성이 떨어지고 소음 차단 효과가 부족한 문제 등이 있고, 1 단위 세대 아파트에 1가구가 사는 경우에 그 내부 구조를 취향에 맞게 변경할 수 있는 것에 그칠 뿐으로 출입구 및 주거 공간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변 출입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를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시킴으로써,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할 수 있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출입구의 설치만으로 주거 공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분리 공간의 범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여 임대 상황에 따라 수시로 아파트 구조를 변형할 수 있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아파트 구조물의 원형은 변경하지 않고, 가변 출입구의 위치만을 변경함으로써, 구조물 안전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파트 구조를 임대 용도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는,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로서,
각각의 개별 출입구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거 공간;
상기 복수의 주거 공간을 서로 구분하는 복수의 내벽; 및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출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 출입구와 상기 외부 출입구는 일치 또는 불일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출입구와 일치하지 않는 상기 가변 출입구 사이 공간에 내부 복도가 생성되고,
상기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는, 상기 내부 복도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은, 각각의 주거 공간마다 화장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에는,
가변 출입구 구조물의 설치 또는 변경이 쉽도록 특정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변 출입구 구조물 설치 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은,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1 단위 세대 아파트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도록, 상기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내에 가변 출입구를 설치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에 따르면, 가변 출입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를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시킴으로써,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출입구의 설치만으로 주거 공간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분리 공간의 범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시로 임대 상황에 따라 아파트 구조를 변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구조물의 원형을 해하지 않고 가변 출입구의 위치만을 변경함으로써, 구조물 안전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아파트 구조를 임대 용도에 따라 변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가변 출입구와 외부 출입구가 일치하는 경우의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가변 출입구와 외부 출입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서, 2개의 주거 공간이 나머지 주거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변 출입구를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가변 출입구와 외부 출입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서, 3개의 주거 공간이 나머지 주거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변 출입구를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기준 층의 전체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아파트 구조는,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하나의 건물로 시공된다. 아파트 구조의 형태는 중앙 복도형, 편복도형 및 홀형이 있다. 중앙 복도형 또는 편복도형은, 복수의 단위 세대가 외부 복도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되어 외부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을 공용하도록 하는 건축 방식이다. 반면, 홀형은, 각 층마다 엘리베이터나 계단이 있는 홀이 있고, 복수의 단위 세대는 이 홀을 중심으로 둥글게 연접되도록 배치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고, 복도형, 홀형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는, 각각의 개별 출입구(110a, 110b, 110c, 110d, 이하 개별 출입구 모두를 지칭할 때는 110으로 한다.)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거 공간(100a, 100b, 100c, 100d, 이하 주거 공간 모두를 지칭할 때는 100으로 한다.), 각각의 주거 공간을 구분하는 복수의 내벽(200, 도면상 표시된 부분 외에도 공간을 구분하는 벽을 모두 지칭한다.), 및 가변 출입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출입구(400) 및 내부 복도(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분리된 주거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주거 공간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110) 및 가변 출입구(300)와 연결되는 복합 공간(6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변 출입구(30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주거 공간(100)이 필요에 따라 용이하고 안전하게 분리되어, 1 단위 세대 아파트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주거 공간(100)은,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내에서 내벽(200)으로 구분되는 독립된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주거 공간(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거 공간(100)은 개별 출입구(110)를 구비하는데, 이는 복합 공간(600)과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가변 출입구(300)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110)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는 경우에는, 복합 공간(600)과도 분리되고 내부 복도(500) 및 외부 출입구(400)로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이 가변 출입구(300)로 인해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어 임대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될 수 있는 주거 공간(100)은, 1가구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별도의 화장실(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벽(200)은, 복수의 주거 공간(100)을 서로 구분하는 것으로서, 복수 층으로 구성되는 아파트에서 위층의 하중을 받치는 골조로서의 역할도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내벽(200)에는, 가변 출입구 구조물의 설치 또는 변경이 쉽도록 특정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변 출입구 구조물 설치 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건축 당시에 가변 출입구 구조물 설치 틀을 장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가변 출입구(300)는, 1 단위 세대 아파트 내에서 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주거 공간(100)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110)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출입구(400)는,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에서 외부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1 단위 세대 아파트당 1개의 외부 출입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출입구(400)가 가변 출입구(300)와 일치할 수도 있고, 불일치하여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에서 2 이상의 출입구(외부 출입구(400) 및 가변 출입구(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아파트 구조에서는, 가변 출입구(3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주거 공간(10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 공간(100)이 4개이고, 복합 공간(600)이 1개인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에 있어서, 외부 출입구(400)를 일측에 배치하고, 외부 출입구(400)와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2개의 주거 공간(100a, 100b)을 연달아 배치하며, 2개의 연달아 배치된 주거 공간(100a, 100b)의 건너편에 역시 외부 출입구(400)와 바로 연결될 수 있는 또 다른 주거 공간(100c)을 배치할 수 있다. 나머지 1개의 주거 공간(100d)과 복합 공간(600)은 외부 출입구(400)와 가장 먼 쪽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변 출입구(300)는 2개의 내벽(200)을 좌우에 두고, 2개의 개별 출입구(110a, 110b)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내벽(200) 및 주거 공간(100)은, 가변 출입구(300)가 설치될 수 있는 지점을 고려하여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외부 출입구(400)와 가까운 쪽의 주거 공간(100)부터 차례로 나머지 공간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가변 출입구(300)의 설치 지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 경우로서, 제1 주거 공간(100a)의 개별 출입구(110a)와 제2 주거 공간(100b)의 개별 출입구(110b) 사이에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하여, 제1 주거 공간(100a) 및 그에 구비된 개별 출입구(110a)와 나머지 주거 공간(100b, 100c, 100d)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개별 출입구(110a) 자체도 분리되므로, 독립된 가구를 임대하여 생활하기에 적합하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적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가변 출입구(300) 설치 지점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가변 출입구와 외부 출입구가 일치하는 경우의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가변 출입구(300)와 외부 출입구(400)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반 1 단위 세대의 아파트와 유사한 형태의 아파트 구조로, 1가구가 거주할 수 있다.
반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가변 출입구와 외부 출입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2개의 주거 공간(100a, 100b)이 나머지 주거 공간(100c, 100d)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출입구(400)와는 별도로 가변 출입구(3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2 주거 공간(100b)의 개별 출입구(110b)와 제3 주거 공간(100c)의 개별 출입구(110c) 사이 지점에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함으로써, 제1 주거 공간(100a) 및 제2 주거 공간(100b), 그리고 각각의 개별 출입구(110a, 110b)가, 나머지 주거 공간(100c, 100d)과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2개의 주거 공간(100a, 100b)에 각각 다른 독립된 가구가 임대하여 생활할 수 있다. 도 4는, 3개의 주거 공간(100a, 100b, 100c)이 나머지 주거 공간(100d)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주거 공간(100c)의 개별 출입구(110c)와 제4 주거 공간(100d)의 개별 출입구(110d) 사이 지점에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함으로써, 제1 주거 공간(100a), 제2 주거 공간(100b) 및 제3 주거 공간(100c), 그리고 각각의 개별 출입구(110a, 110b, 110c)가, 나머지 주거 공간(100d)과 분리될 수 있어, 독립된 4개의 가구가 1 단위 세대 아파트 구조에서 독립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내부 복도(500)는, 외부 출입구(400)와 가변 출입구(300)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그 사이 공간에 생성될 수 있다. 가변 출입구(300)에 의해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110)는, 내부 복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내부 복도(500)는 1 단위 세대 아파트 내에 거주하는 복수의 가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외부 출입구(400)를 통해 외부로 출입하기 위하여 거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에서, 기준 층의 전체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아파트 구조의 형태 중의 하나인 홀 형의 아파트 구조에 있어서, 가변 출입구(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주거 공간이 배치된 1 단위 세대 아파트가, 복수 개 조합된 기준 층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홀형 이외에도 복도형의 아파트 구조에서, 가변 출입구(300)를 포함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은, 1 단위 세대 아파트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110)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도록,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내에 가변 출입구(3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1 단위 세대 아파트를, 앞서 설명한 가변 출입구(300)의 위치 변경만으로, 각 주거 공간(100)이 분리된 다가구 주거 아파트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제1 주거 공간 100b: 제2 주거 공간
100c: 제3 주거 공간 100d: 제4 주거 공간
110a: 제1 개별 출입구 110b: 제2 개별 출입구
110c: 제3 개별 출입구 110d: 제4 개별 출입구
200: 내벽 300: 가변 출입구
400: 외부 출입구 500: 내부 복도
600: 복합 공간 700: 화장실

Claims (6)

  1.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로서,
    각각의 개별 출입구를 구비하는 복수의 주거 공간;
    상기 복수의 주거 공간을 서로 구분하는 복수의 내벽; 및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는 외부 출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출입구는,
    상기 주거 공간을 복수 개로 분리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상기 외부 출입구와 일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을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두 개의 내벽을 좌우에 두고, 두 개의 개별 출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출입구와 상기 가변 출입구 사이 공간에 내부 복도를 생성하고, 상기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는 상기 내부 복도와 연결되며,
    상기 내벽 중에서 상기 가변 출입구가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은, 미리 장착되어 상기 가변 출입구를 용이하게 설치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출입구 구조물 설치 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은, 각각의 주거 공간마다 화장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5. 삭제
  6. 복수 개의 단위 세대가 조합되어 시공되는 집단 주거용 아파트에서,
    1 단위 세대 아파트를 다가구 주거 아파트로 이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 및 그에 구비되는 개별 출입구가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되도록, 상기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내에 가변 출입구를 설치하되,
    상기 1 단위 세대의 아파트 구조는 외부 출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출입구는,
    상기 주거 공간을 복수 개로 분리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상기 외부 출입구와 일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거 공간을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두 개의 내벽을 좌우에 두고, 두 개의 개별 출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출입구와 상기 가변 출입구 사이 공간에 내부 복도를 생성하고, 상기 나머지 주거 공간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출입구는 상기 내부 복도와 연결되며,
    상기 내벽 중에서 상기 가변 출입구가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벽에는, 상기 가변 출입구를 용이하게 설치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출입구 구조물 설치 틀이 미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KR1020110048763A 2011-05-23 2011-05-23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KR10132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63A KR101325786B1 (ko) 2011-05-23 2011-05-23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63A KR101325786B1 (ko) 2011-05-23 2011-05-23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60A KR20120130660A (ko) 2012-12-03
KR101325786B1 true KR101325786B1 (ko) 2013-11-08

Family

ID=4751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763A KR101325786B1 (ko) 2011-05-23 2011-05-23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069A (ja) 2000-06-08 2001-12-21 Toshihide Tsuji 共同住宅
KR20020029142A (ko) * 2000-10-12 2002-04-18 이기옥 독립현관을 갖는 주거공간의 결합구조
JP2004339740A (ja) 2003-05-14 2004-12-02 Sekisui House Ltd 賃貸借集合住宅と、その賃貸借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069A (ja) 2000-06-08 2001-12-21 Toshihide Tsuji 共同住宅
KR20020029142A (ko) * 2000-10-12 2002-04-18 이기옥 독립현관을 갖는 주거공간의 결합구조
JP2004339740A (ja) 2003-05-14 2004-12-02 Sekisui House Ltd 賃貸借集合住宅と、その賃貸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60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6266A (en) Buildings
KR101325786B1 (ko) 가변 출입구를 포함하는 아파트 구조 및 가변 출입구를 이용한 아파트 구조 변형 방법
JPH05263538A (ja) 集合住宅
KR20190090169A (ko) 공용주택
JP5913147B2 (ja) 集合住宅
US20160348385A1 (en) Multi-Story Residential Building
JP2005097849A (ja) 集合住宅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KR200267694Y1 (ko)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JP4216677B2 (ja) 集合住宅
KR200427840Y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JP2013204324A (ja) 集合住宅
JP2004250876A (ja) 集合住宅
KR100746765B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JP6741405B2 (ja) 多世帯住宅
JP5486274B2 (ja) 集合住宅
JP2005220685A (ja) 重層長屋構造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2004346705A (ja) 建物ユニット及びこの建物ユニットを用いた集合住宅
JP2016216925A (ja) 集合住宅
KR101239839B1 (ko) 개별주차장 및 통로를 갖는 건축물
JP2004108101A (ja) 建物
JP5411517B2 (ja) 3階建共同住宅
JP2555526B2 (ja) スキップ通路型中高層集合住宅の構造
JP2005240519A (ja) 集合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