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576B1 - 수지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수지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576B1
KR101322576B1 KR1020117013517A KR20117013517A KR101322576B1 KR 101322576 B1 KR101322576 B1 KR 101322576B1 KR 1020117013517 A KR1020117013517 A KR 1020117013517A KR 20117013517 A KR20117013517 A KR 20117013517A KR 101322576 B1 KR101322576 B1 KR 10132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union nut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831A (ko
Inventor
료 이마니시
마사테루 야마다
가즈키요 데시마
다케히로 나카무라
다카유키 기시모토
아키히로 마스다
다케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06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2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07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5202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16L47/041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the plastic pipe end being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관이음매 부분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있고, 또한 소음 상황 하에 있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도, 유니온 너트가 조임 종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의 확인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작업성이나 취급성에 뛰어나도록 개선된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한다. 그 때문에, 내부 통(4)에 튜브(3)가 외부에서 끼워지고 직경 확대부(3A)를 생기게 하는 상태에서의 암나사(8)와 수나사 (5)의 나사 결합에 의한 유니온 너트(2)의 나사전진에 의해, 직경확대 변화영역(9)이 시일용 압압부(10)로 압압되는 구성의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1)의 볼록부(20)와 유니온 너트(2)의 오목부(19)가, 시일용 압압부(10)가 직경확대 변화영역(9)을 압압한 유니온 너트(2)의 나사전진 종료 바로 앞 부근으로부터의 체결 회전에 수반해서 볼록부(20)의 축심 P방향으로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끼워맞춤 및 이탈되는 토크 변동부(26)가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지관 이음매{RESIN PIPE JOINT}
본 발명은 유체 이송로로서의 튜브를 직경 확대(플레어)시켜 접속시키는 구조의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고, 자세하게는 반도체 제조나 의료/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화학 공업 등의 각종 기술 분야의 제조 공정에서 취급되는 고(高)순도액이나 초(超)순수의 배관에도 적합하며, 펌프, 밸브, 필터 등의 유체 기기나 유체 이송로인 튜브의 접속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수지관 이음매로서는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개시되는 튜브 이음매가 알려져 있다. 즉, 합성 수지제의 튜브(1)를 이음매 본체(4)의 끼워맞춤 통(5)에 강제적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특허문헌 1의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미리 튜브 단부(2)를 직경 확대시켜 끼워맞춤 통(5)에 끼워 넣거나 한다. 그것으로부터, 미리 튜브에 끼워 만들어져 있는 유니온 너트(6)를 이음매 본체에 나사 결합시키고, 체결 조작해서 이음매 본체(4)의 축심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튜브(1)의 직경 확대를 갖는 근원 부분(2a)을 에지부(6a)에서 축심방향으로 강하게 압압(押壓)하여, 튜브(1)와 끼워맞춤 통(5)의 사이를 시일(seal)하는 구조이다.
상술의 구조와 동등한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2의 도 8, 도 9에 있어서 개시된 수지관 이음매도 알려져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도 5나 특허문헌 3에 있어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링에 직경 확대되어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튜브 단을 이음매 본체의 끼워맞춤 통에 내부에서 끼우고, 유니온 너트의 조임에 의해서 튜브에 있어서의 내부 링으로의 직경 확대부를 압압해서 시일시키는 구조의 수지관 이음매도 있다. 결국, 튜브 단을 직경 확대(플레어)시키고 유니온 너트의 조임으로 시일시키는 구조이다. 튜브의 선단을 끼워맞춤 통부 외부에서 끼워 너트 고정하는 전자의 구조의 것에서는 이음매 본체와 유니온 너트의 2부품으로 경제적으로 관이음매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내부 링을 이용하는 후자의 구조의 것에서는 확실하게 누설을 회피할 수 있어 안정된 성능이 얻어지고, 또한 신뢰성에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들과 같이 여러 가지의 뛰어난 장점을 갖는 수지관 이음매의 실제의 시공에 있어서, 유니온 너트의 조임 종료 시점을 알기 어렵다고 하는 만성적인 주요 개선 항목이 있었다. 원래, 수지제의 이음매에 있어서는 그 재료의 특성상, 유니온 너트의 회전 조작에 대해 조임 토크가 점증되므로, 금속 재료와 같이 조임 토크가 급격하게 커지는 것에 의한 조임감이 떨어지고, 감각적으로 조임 종료를 알기 어렵다. 조임이 부족하면 누설의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조이면 이음매를 손괴시킬 우려가 있다. 수지제이기 때문에 그들의 부적합이 일어나 쉬우므로, 정확하게 유니온 너트의 조임을 끝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완전히 시인(視認)할 수 있는 상태로 관이음매가 노출 배비되어 있는 경우라면, 유니온 너트의 체결에 수반하는 나사전진 상태의 위치 확인에 의해서 조임 종료 상태가 된 것,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가 되는 것을 아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는 하다. 그런데, 관이음매의 배치 장소는 다른 장치류의 사이의 좁은 장소이든가 천장 뒤쪽의 숨겨진 개소라고 하는 상태로, 시인을 실행할 수 없거나 또는 곤란한 상황으로 되는 일이 많으며, 손으로 더듬는 것으로의 유니온 너트 조임 작업으로 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시인할 수 없어도 유니온 너트의 조임 종료 또 종료가 근접한 것을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 작업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3에 있어서, 이음매 본체(1)에 캔틸레버 상태로 축심방향으로 돌출설치시킨 돌편(15)과, 유니온 너트(2)의 축심방향 단부에 융기 형성된 돌기(23)가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종료 직전이 되면 둘레방향으로 접근 간섭해서 맞닿고, 그때에 돌편(15)이 발하는 튕겨짐음에 의해, 작업자는 조임 종료 또는 그것에 근접한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소리에 의해서 작업자에게 조임 종료 상태를 알리는 음발생 수단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304189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7-2727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11-230463호 공보
상기 음발생 수단에 의해, 관이음매 부분이 보이지 않아도 유니온 너트 조작에 의한 조임 종료 상태의 소리 인식에 의한 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일정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되었다. 그런데, 실제의 배관 작업 현장은 정적(靜寂) 상황인 것은 드물고, 가동중의 공장내라던가, 다른 공사나 시공이 함께 실행되는 상황에서의 작업 등, 흔히 어느 정도의 소음 상황하에서 실행되게 된다. 따라서, 수지제 돌편이 튕기는 소리 정도로는 작업자에게는 들리지 않는 일이 많고, 유니온 너트의 조임 종료를 알리는 수단, 즉 조임종료 인지수단으로서는 한층 더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실정에 감안해서, 관이음매 부분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있고, 또한 소음 상황하에 있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도, 유니온 너트가 조임 종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의 확인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작업성이나 취급성에 뛰어나도록 개선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합성 수지제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시켜 끼워맞춤 장착 가능한 끼워맞춤 통(4)과, 수나사(5)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수나사(5)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8)와, 상기 튜브(3)의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押壓部)(10)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2)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통(4)에 상기 튜브(3)가 끼워맞춤 장착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8)를 상기 수나사(5)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9)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10)에서 상기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어 시일부 S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축심 P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20)와 이것에 끼워넣음 가능하게 축심 P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9)가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외주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축심방향 단부의 외주부에 분배되어 배비되고, 상기 시일용 압압부(10)가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9)을 압압한 상기 유니온 너트(2)의 나사전진 종료 직전부터의 체결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볼록부(20)와 상기 오목부(19)가 그들 한쪽의 축심 P방향으로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끼워맞춤 및 이탈되는 토크 변동부(26)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0)가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외주 플랜지(1A)에, 또한 상기 오목부(19)가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암나사 형성측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20) 및 상기 외주 플랜지(1A)가 축심 P방향으로 휨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0)에, 상기 외주 플랜지(1A)의 외주면(1b)보다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0B)가 형성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오목부(19)에 축심 P방향에서 인접하는 부분에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설치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0) 및 상기 오목부(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니온 너트(2)가 1회전 되는 동안에 상기 끼워맞춤 및 이탈이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20) 및 상기 오목부(19) 적어도 어느 하나가 둘레방향에서 상기 축심 P에 관한 균등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유니온 너트(2)가 불소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합성 수지제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시켜 끼워맞춤 장착 가능한 끼워맞춤 통(4)과, 수나사(5)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수나사(5)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8)와, 상기 튜브(3)의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10)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2)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통(4)에 상기 튜브(3)가 끼워맞춤 장착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8)를 상기 수나사(5)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9)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10)에서 상기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어 시일부 S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축심 P방향 단부의 둘레면에 요철을 둘레방향으로 소정량 연속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제 1 거친 둘레면(24)이 설치되고, 상기 이음매 본체(1)의 외주부의 둘레면에 요철을 둘레방향으로 소정량 연속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제 2 거친 둘레면(20)이 설치되고, 상기 시일용 압압부(10)가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9)을 압압한 상기 유니온 너트(2)의 나사전진 종료 직전부터의 체결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제 1 거친 둘레면(24)과 상기 제 2 거친 둘레면(20)이 그들 한쪽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강제적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슬라이딩 끼워맞춤부(26)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친 둘레면(24, 20)이 모두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한 널(knurl)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친 둘레면(24)이 상기 유니온 너트(2)의 암나사 형성측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친 둘레면(20)이 상기 이음매 본체(1)의 플랜지(1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친 둘레면(24)이 형성되는 상기 암나사 형성측 단부가 둘레방향에서 복수로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수지관 이음매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1) 및 상기 유니온 너트(2)가 불소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실시형태의 항에서 설명하지만, 유니온 너트의 체결 회전에 수반하는 토크 변동부의 작용, 즉 볼록부와 오목부가 그들의 어느 한쪽의 축심방향으로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끼워맞춤 및 이탈하는 것에 의한 토크 변동이 크게 되고, 유니온 너트를 회전시키는 공구(스패너, 렌치 등)를 통해 그 토크 변동을 명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임 종료 또는 종료가 근접하면 큰 토크 변동이 생기므로, 조작 감각으로써 유니온 너트의 조임 종료 또는 대략 종료인 것을 인식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관이음매 부분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있고, 또한 소음 상황하에 있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도, 유니온 너트가 조임 종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의 확인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고, 조립 작업성이나 취급성에 뛰어나도록 개선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와 같이, 볼록부를 이음매 본체의 외주 플랜지에, 오목부를 유니온 너트의 암나사 형성측의 단부에 각각 형성하고, 볼록부 및 외주 플랜지가 축심방향으로 휨변위 가능하게 하여 합리적으로 토크 변동부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3과 같이, 볼록부에 있어서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오목부의 축심방향측에 있어서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설치부를 설치하면, 손가락으로 만지는 것에 의한 감촉에 의해서 돌출부와 돌출 설치부가 둘레방향으로 맞추어져 있는지 맞추어져 있지 않은지, 축심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는지 접근하고 있지 않은지, 즉 조임 종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의 확인을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와 같이, 볼록부나 오목부를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유니온 너트의 1회전중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및 이탈이 반복되도록 구성하면, 상술한 큰 토크 변동의 빈도가 늘어나 더욱 감각 인식이 명확하게 되고,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한 상기 효과가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청구항 5와 같이, 볼록부나 오목부를 둘레방향으로 균등 각도마다 형성하면, 상기 끼워맞춤 및 이탈이 복수 중복되고 토크 변동이 더욱 현저화되어, 바람직하다.
또, 청구항 6과 같이, 이음매 본체 및 유니온 너트를 내약품성 및 내열성에 뛰어난 특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하면, 유체가 약액이라던가 화학 액체라도, 또는 고온 유체라도 이음매 구조부분이 변형되어 누설되기 쉬워지는 일이 없고, 양호한 시일성이나 내인발(인발; 뽑아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불소계 수지는 고온에서도 안정되고, 발수(撥水, 물을 튀겨냄)성에 뛰어나며, 마찰 계수가 작고, 내약품성도 극히 높으며, 전기 절연성도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상세하게는 실시형태의 항에서 설명하지만, 제 1 거친 둘레면과 제 2 거친 둘레면이 한쪽의 휨으로 강제로 끼워 맞추어지는 슬라이딩 끼워맞춤부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음과 토크 증대(토크 변동)의 쌍방으로써 조임 종료 상태에 근접한 것, 또는 조임 종료 상태가 된 것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귀로부터 들리는 소리와 손가락끝으로 느끼는 토크 변동의 2종류의 감각으로써 조임 종료 상태 등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작업 현장의 소음 상황의 여하에 관계없이, 유니온 너트가 조임 종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의 확인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 작업성이나 취급성에 뛰어나도록 개선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과 같이, 일반 기술인 널링 가공에 의해서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하면, 염가이고, 또한 대량 생산을 향한 실용적인 수지관 이음매를 구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9와 같이, 외부에서 끼워지는 측이 되는 제 1 거친 둘레면을 이음매 본체에 덮이는 유니온 너트에 형성하고, 내관(內觀)측이 되는 제 2 거친 둘레면을 이음매 본체에 설치하도록 하면, 구조 간단하고 합리적으로 슬라이딩 끼워맞춤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과 같이, 수나사 형성측 단부를 둘레방향에서 복수로 분단하면, 휨 변위되기 쉬운 제 1 거친 둘레면이 복수 설치되어 조임 종료 상태의 인식이 잘 기능하는 수지관 이음매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르면, 이음매 본체 및 유니온 너트를 내약품성 및 내열성에 뛰어난 특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고, 유체가 약액이라던가 화학 액체라도, 또는 고온 유체라도 이음매 구조부분이 변형되어 누설되기 쉬워지는 일이 없고, 양호한 시일성이나 내인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불소계 수지는 고온에서도 안정되고, 발수성에 뛰어나며, 마찰 계수가 작고, 내약품성도 극히 높으며, 전기 절연성도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이음매 본체의 플랜지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유니온 너트의 단부를 나타내고, 도 3의 (a)는 축심방향도, 도 3의 (b)는 부분 저면도.
[도 4] 도 1의 이음매의 조립 작용을 나타내고, 도 4의 (a)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이간되어 있는 상태, 도 4의 (b)는 유니온 너트 선단이 외주 플랜지에 맞닿은 상태, 도 4의 (c)는 오목부에 볼록부가 끼워 넣어진 조립 상태.
[도 5] 잔존 둘레부에 눌려 외주 플랜지가 휘는 상황을 나타내는 작용도.
[도 6] 실시예 2의 수지관 이음매의 조립 작용을 나타내고, 도 6의 (a)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이간되어 있는 상태, 도 6의 (b)는 유니온 너트 선단이 외주 플랜지에 맞닿은 상태, 도 6의 (c)는 오목부에 볼록부가 끼워 넣어진 상태.
[도 7] 도 6에 있어서의 이음매 본체의 플랜지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도 6에 있어서의 유니온 너트의 오목부를 나타내는 축심방향도.
[도 9] 실시예 3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도 9의 수지관 이음매의 평면도(조립 완료 상태).
[도 11] 도 9의 수지관 이음매의 조립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도 9의 수지관 이음매의 재차 체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 제 1 및 제 2 거친 둘레면의 맞물림 상황을 나타내는 축심방향도.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5는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도면이고, 도 6∼도 8은 실시예 2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도면이다. 또, 도 9∼도 13은 실시예 3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에 관한 도면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 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 (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의 튜브(3)를 펌프, 밸브 등의 유체 기기나, 다른 직경 또는 동일 직경의 튜브에 연통 접속하는 것이고, 불소 수지 (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의 이음매 본체(1)와 불소 수지 (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 유니온 너트(2)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유니온 너트(2)를 소정량 체결한 조임 종료 상태(조립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음매 본체(1)는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해서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일단의 내부 통(끼워맞춤 통의 일례)(4)과, 내부 통(4)의 안쪽측 부분의 외주측에 직경 확대된 튜브(3) 선단의 들어옴을 허용하기 위해 축심 P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홈 m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6)와, 사다리꼴 나사로 이루어지는 수나사(5)와, 축심 P를 갖는 원기둥 공간 형상의 유체 경로(7)를 구비하는 통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4)은 튜브(3)를 서서히 직경 확대시키는 선단 축소 통부(4A)와, 선단 축소 통부(4A)의 대직경측에 계속해서 형성되는 직동(直胴; straight barrel) 통부분(4B)을 갖는 테이퍼(끝이 가늘어짐) 스트레이트형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둘레 홈 m은, 그 직경 내측의 둘레면인 외주면은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 (4b)이고, 그 직경 외측의 둘레면인 외주면은 커버 통부(6)의 내주면(6a)이다. 둘레 홈 m의 안쪽 둘레면(21)으로부터 축심 P방향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개소에 외주 플랜지(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 플랜지(1A)의 대략 근원 부위로부터 커버 통부(6)의 단부의 외주면에 걸쳐 수나사(5)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4)의 선단면은 직경방향에서 내측만큼 안쪽측(축심 P방향에서 안쪽)에 접근하는 역 테이퍼의 각도가 실시되는, 즉 선단만큼 대직경으로 되는 커트면(16)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 (3)의 내주면이 직경 확대부(플레어부)를 향해 확대 변위하는 것에 의한 액체 고임 둘레부(17)의 형상을 내주측 확대 형상으로 해서, 그 유체가 액체 고임 둘레부(17)에 정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커트면(16)은 그 최대 직경이 자연 상태의 튜브(3)의 내경과 외경의 대략 중간값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그것에는 구애되지 않는다. 또, 플랜지 (1A)의 축심 P방향에서 수나사(5)와 반대측에는 축심 P방향으로 일정의 폭을 갖는 조작용의 육각 너트부(23), 및 그것에 계속하는 둥근 파이프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플랜지(1A)에는 도 1,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20)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0)는 외주 플랜지(1A)의 수나사측의 측둘레면(1a)에서 축심 P방향으로 돌출된 주요 볼록부분(20A)과, 외주 플랜지(1A)의 외주면(1b)보다 직경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보조 볼록부분(돌출부의 일례)(20B)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정도의 폭 d를 갖고 있다. 이 볼록부(20)는 축심 P에 관한 90도의 균등 각도마다의 4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2)는 도 1,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5)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8)와, 튜브(3)의 내부 통(4)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둘레 에지(시일용 압압부의 일례)(10)와,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 일정의 직동 통부분(4B)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13)와,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계속해서 튜브(3)를 축심 P방향의 소정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둘러싸는 가이드 통부(14)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그 내경이 튜브(3)의 외경에 대략 동등하고, 그 압압면(10a)은 축심 P에 직교하는 측둘레면으로 되어 있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 (11)는 그 내주면의 직경이 내부 통(4)의 최대 직경인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 (4b)보다 대직경이고, 또한 튜브(3)의 두께를 더한 직경, 즉 누름 내주부(13)의 직경보다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아(예: 외주면(4b)보다 소직경)도 좋고,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작용하면 좋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압압면(11a)도 축심 P에 직교하는 측둘레면이다.
누름 내주부(13)는 이것과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직경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직경 확대부(3A)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압입(壓入)(압접되어 외부 끼움)되는 값으로 설정되고 빠짐 방지 수단 N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해, 튜브(3)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기 위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축심방향으로 죄어들도록 압압하지만, 그 압압력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직경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빠져나감 변형할 수 없도록 하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의 협동에 의한 내인발력을 높여서 얻기 위한 것이다.
유니온 너트(2)의 암나사측단에 도 1,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1)의 볼록부(20)에 끼워넣음 가능하게 축심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9)가 배비되어 있다. 암나사측단에는 유니온 너트(2)의 외경과 동일 값의 외경과 암나사(8)의 나사 밑바닥의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축심 P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원호 돌기(18)가, 축심 P에 관한 균등 각도(45도)마다의 합계 8군데에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원호 돌기(18)끼리의 사이가 오목부(19)에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19)는 축심 P에 관한 45도의 균등 각도마다의 8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또, 유니온 너트(2)의 외주면(2A)에는 오목부(19)와 동일한 폭(둘레방향 길이)으로 축심방향으로 길고, 또한 직경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 설치부(24)가, 오목부(19)에 축심방향에서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8군데에 형성되어 있다〔도 3의 (a) 참조〕.
다음에, 튜브(3)의 단부를 내부 통(4)에 외부 끼움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온 하에서 강제적으로 튜브(3)를 밀어 넣어 직경 확대시켜 장착하거나, 열원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해서 팽창 변형하기 쉽도록 하고 나서 밀어 넣거나, 또는 직경 확대기 (도시 생략)를 이용해서 미리 튜브 단을 직경확대 시켜놓고 나서 내부 통(4)에 밀어 넣거나 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단(3t)이 커버 통부(6)의 단벽 (15)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삽입한다. 내부 통(4)에 외부 끼움 장착되는 직경 확대부(3A)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축소 통부 (4A)의 외주면(4a)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변화영역(9)과,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로 이루어진다.
즉,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통(4)에 튜브(3)가 외부 끼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암나사(8)를 수나사(5)에 나사 결합시킨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전진에 의해,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누름 내주부(13)가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있어서의 내부 통(4)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 되는 부분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서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이 시일용 둘레 에지(10)에서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튜브(3)의 유체 이송로(3W)의 직경과 유체 경로(7)의 직경은 원활한 유체의 흐름으로 하기 위해 서로 동일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서로 달라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내주부(13)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의 직경방향에는 간극이 없고, 직동 통부분(4B)과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에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압접되어 끼워져 있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다. 또,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이 선단 축소 통부(4A)에 덮이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직경확대 변화영역(9)은 서서히 확대되는 테이퍼 관의 상태이고,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는 축심 P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 관계에 있지만, 선단 축소 통부(4A)의 외주면(4a)의 축심 P에 대한 각도가 급격하게 되면 될수록,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축심 P방향의 거리는 접근한다. 또,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내부 통 (4)의 선단은 축심 P방향에서 조금 떨어져 있지만(도 2 등 참조), 상기 외주면(4a)의 각도가 급격하게 되면 그 이간 거리는 확대되고, 평온해지면 그 이간 거리는 축소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관 이음매 A의 소정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을 축심 P방향으로 압압하므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외주면(4a)의 소직경측 단과, 그 개소에 접하는 튜브(3)의 내주면이 강하게 압접되어 시일부 S가 형성된다. 이 내부 통(4)의 선단 개소에서의 시일부 S에 의해, 내부 통(4)과 직경 확대부(3A) 사이에 세정액, 약액 등의 유체가 들어오는 일 없이 튜브(3)와 이음매 본체(1)가 양호하게 시일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통(4)에 압입적으로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 확대부(3A)의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과 누름 내주부(13)로 둘러싸여 있어, 우선 팽창 변형할 수 없도록 홀딩되어 있고, 또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대략 그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죄어들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 즉 실질적으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죄어들도록 누르는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걸림에 의해서 직경 확대부(3A)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는 동시에,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를 기점으로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인발력에 의해서 직경방향으로 팽창 변형할 수 있는 것에 기인하여 직경 확대부(3A)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이 견제 저지되게도 된다.
직경 확대부(3A)가 축심 P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움직이면, 시일부 S에 있어서의 시일 포인트도 어긋나서 시일 기능이 불확실화 될 우려가 있지만, 그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된다. 따라서, 직경 확대부(3A)가 축심 P방향에서 내부 통(4)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이동이 강고하게 규제되는 빠짐 방지 수단 N이 구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뛰어난 내인발력이 실현되고 있다. 그 결과, 이음매 본체(1)와 유니온 너트(2)로 이루어지는 플레어형의 수지관 이음매 A를, 튜브가 내부 통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너트 조작에 의해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성에 뛰어난 동시에, 시일부 S에 의한 뛰어난 시일성과 빠짐 방지 수단 N에 의한 뛰어난 내인발력의 양립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것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덧붙여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 의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된 후에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의한 직경확대 변화영역 (9)의 소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 즉 압압 시차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나 효과도 있다. 즉, 유니온 너트(2)를 회전시켜 체결해(나사전진 시켜)가면, 우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먼저 직경확대 변화영역(9)(자세하게는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맞닿고, 그때는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직경확대 변화영역(9)에 아직 도달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만이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 더욱 자세하게는 직동 통부분(4B)보다 대직경으로 되는 부분을 축심 P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내부 통(4)의 더욱 안쪽측으로 밀어 넣으려고 하는 작용이 생긴다.
직동 통부분(4B)에 압입되어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는 누름 내주부(13)에도 압접되지만, 그 압접력이 비교적 약할 경우에는 직경 확대부(3A)를 어긋나게 움직여서 내부 통(4)의 더욱 안쪽측에 삽입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튜브를 이음매 본체(1)에 삽입시킨다던가, 그것에 부가해서 축심 P방향으로 눌려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축심 P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려운 것에 기인해서 직경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여, 더욱 압접력이 높아져 확실히 끼워지는 작용이 생긴다고 하는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압접력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축심 P방향으로 눌려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축심 P방향으로 우선 움직일 수 없는 것에 의해서 직경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강한 작용이 생기고, 내부 통(4)과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에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더욱 한층 강고하게 홀딩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결국 시일용 둘레 에지(10)가 직경 확대부(3A)에 박힘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직경 확대부(3A)를 축심 P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직동 통부분(4B)과 누름 내주부(13)에 의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 (12)의 압접 홀딩력이 강화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직경 확대부 (3A)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로 눌려지는 부분이 직경 외측으로 유동해서 압압면(11a)과 누름 내주부(13)로 이루어지는 모서리각 공간부가 메워진다고 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압압 시차 수단에 의해, 튜브(3)의 내부 통(4)에 대한 압접 홀딩력도 내인발력도 한층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통(4)의 안쪽측과 커버 통부(6)에서 형성되는 둘레 홈 m, 및 투시 가능한 불소 수지로 형성되는 유니온 너트(2)에 의해, 튜브(3)가 정확하게 내부 통(4)에 삽입되어 있는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지를 목시(目視) 체크 가능한 인디케이터 수단 B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누름 내주부(13)의 안쪽측이고, 또한 암나사(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골짜기형상 내주면 (22)을 통과하는 라인에서의 목시에 의해,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확대 단부(3t)가 보이지 않는 정상 상태라면, 튜브(3)가 내부 통(4)에 정확하게 외부 끼움 장비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확대 단부(3t)도 보이는 삽입 불량 상태, 또는 직경 확대부(3A) 자체가 보이지 않는 삽입 부족 상태라면, 튜브(3)의 삽입이 아직 규정량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는 상기 정상 상태를 목시할 수 있을 때까지 튜브 (3)를 더욱 밀어 넣는 조작을 실행하게 된다.
인디케이터 수단 B는 유니온 너트(2)가 투명 또는 반투명(유백색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에 있는 물체를 목시 시인 가능하다. 특히, 누름 내주부(13)의 안쪽측이고, 또한 암나사(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을 통과하는 라인에서의 목시이며, 유니온 너트(2)의 두께가 적은 부분만의 투시에 의해서 직경 확대부(3A)를 비교적 확실하게 시인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것에 대해,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의 부위보다 두께가 두꺼운 누름 내주부(13)의 부위에서는 직경 확대부(3A)의 시인도가 뒤떨어지고, 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3)의 단부가 들어오기 가능한 둘레 홈 m의 부분에서는 유니온 너트(2)와 커버 통부(6)이 겹쳐져 있으므로, 이음매 본체(1)도 투시 가능하다고 해도, 두께가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의 부분보다 두꺼워진 다음, 수나사(5)와 암나사 (8)의 겹쳐짐에 의한 경계면에서의 굴절률의 변화도 더해져, 직경확대 단부(3t)가 어디에 있는지의 시인은 우선 무리한 상태가 된다. 또, 이음매 본체(1)가 착색되어 있는 등의 투시 불가의 경우에는, 커버 통부(6)의 단벽(15)보다 안쪽측에 있어서는 말할 것도 없고 직경 확대부(3A)나 직경확대 단부(3t)를 볼 수는 없다.
따라서, 골짜기형상 내주면(22)으로부터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확대 단부(3t)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 정상 상태를 시인할 수 있는지 없는지 라고 하는 인디케이터 수단 B의 기능에 의해서, 유니온 너트(2)를 조임 조작한 후의 조립 상태에서 목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편리하며 사용성에 뛰어난 수지관 이음매 A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 수단 B를 구성하기 위한 둘레 홈 m 및 커버 통부(6)의 존재에 의해, 튜브(3)를 내부 통(4)에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로서도 기능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즉, 튜브(3)를 플레어 한 내부 통(4)으로의 삽입량이 소정량이 되어 있는지 되어 있지 않은지의 확인을 할 수 있다. 즉, 내부 통(4)에 삽입된 직경 확대부(3A)로서의 단부(3t)가 단벽(15)보다 안쪽에 있으면 좋고, 그 좋고 나쁨을 튜브(3)의 내부 통(4)으로의 조립시에 있어서 시인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이점이 있다.
이 수지관 이음매 A는 튜브(3)를 삽입해서 유니온 너트(2)로 조임 고정한다고 하는 조립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종료 또는 종료가 근접한 것을 조작 감각을 가지고 작업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한 조임종료 인지수단 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임종료 인지수단 C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1)의 플랜지(1A)에 형성되는 상술의 볼록부(20)와, 유니온 너트(2)의 선단측(암나사(8)측단)에 형성되는 상술의 오목부(19)로 이루어지는 토크 변동부(2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4군데의 볼록부(20)가 대응하는 4군데의 오목부(19)에 축심 P방향에서의 소정 길이 들어온 관이음매로서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지면(紙面)에 있어서의 축심 P로부터이며 하측에는 외주 플랜지(1A)의 측둘레면(1a)과 원호 돌기(18)가 대치하는 개소를 표현하고 있다. 이 조립 상태에서는, 원호 돌기(18) 선단의 측둘레면(18a)과 외주 플랜지(1A)의 측둘레면(1a)의 사이에는 축심 P방향에 간극을 갖고 있는 동시에, 그 간극보다 축심 P방향의 길이가 큰 간극이 볼록부(20)와 오목부(19)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토크 변동부(26)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음매 본체(1)에 나사장착되어 있는 유니온 너트(2)를 회전시켜 나사전진 시켜가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차 원호 돌기(18)가 외주 플랜지(1A)에 근접해 간다. 유니온 너트(2)의 조임 회전을 계속하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군데 중의 4개의 원호 돌기(18)의 선단면(18a)이 대응하는 4군데의 볼록부(20)의 맞닿음면 (20a)(주요 볼록 부분(20A)의 측둘레면)에 완만한 입사 각도(수나사(5) 및 암나사 (8)의 피치에 기인하는 각도)로써 맞닿도록 된다.
또한 유니온 너트(2)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원호 돌기(18)가 볼록부(20)를 축심 P방향으로 눌러 볼록부(20) 및 외주 플랜지(1A)를 휨 변형시키는(도 5 참조) 것에 의해, 원호 돌기(18)가 볼록부(20)를 앞서가게 할 수 있고, 다음의 오목부(19)에 다다르는 볼록부(20)가 원래의 자세로 복원 변위할 수 있고,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오목부(19)에 들어오는 상태를 가져온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부의 캔틸레버 상태인 것 같고, 비교적 변형되기 쉬운 외주 플랜지(1A)가 축심 P방향의 힘을 받는 볼록부(20)와 함께 뒤로 젖히도록, 육각 너트부(23)측에 휨 변위하고, 그것에 의해서 볼록부(20)와 원호 돌기(18)의 간섭을 주고 받아 앞서가게 하고,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0)와 대응하는 4군데의 오목부(19)가 서로 끼워 넣는 것이다.
즉, 오목부(19)를 형성하기 위한 8군데의 원호 돌기(18)와 4군데의 볼록부 (20)가 유니온 너트(2)의 회전 조작에 수반해서 간섭하는 것이, 볼록부(20) 및 그 부위의 외주 플랜지(1A)의 축심 P방향으로의 휨 변위에 의해서 주고 받게 하는 것이고, 그를 위한 볼록부(20) 및 그 부위의 외주 플랜지(1A)의 축심 P방향으로의 휨 변위(도 5 참조), 및 그것에 계속되는 볼록부(20)와 오목부(19)의 끼워맞춤, 즉 볼록부(20) 및 그 부위의 외주 플랜지(1A)의 복원 변위가 이후 반복되는 것으로 된다. 원호 돌기(18)가 볼록부(20)에 간섭할 때에는 각 에지(10, 11)가 어느 정도 직경 확대부(3A)에 죄어들어간 상태, 즉 수지관 이음매 A의 조립이 종료되기 위해 유니온 너트(2)를 회전시킨 조임(나사전진)이 대략 종료되어 있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4군데의 볼록부(20) 및 그 부위의 외주 플랜지(1A)가 축심 P방향으로 쓰러지도록 휨 변위할 때의 저항이 유니온 너트(2)의 강렬한 회전 운동 저항으로 되고, 그 토크 변동(토크 증가)이 육각 너트부(2b)를 조작하는 스패너나 렌치 등의 공구를 통해 명확하게 손가락에 전해져 오도록 된다. 그리고, 유니온 너트 (2)를 회전시켜 넣는 것에 따라, 볼록부(20)와 오목부(19)의 축심 P방향에서의 끼워맞춤 길이가 늘어나고(원호 돌기(18)와 볼록부(20)의 축심 P방향에서의 간섭량이 늘어나고), 원호 돌기(18)와 볼록부(20)의 간섭을 주고 받기 위한 볼록부(20) 및 그 부위의 외주 플랜지(1A)의 휨 변위가 현저화되어, 명확한 토크 변동 자체가 점증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2)의 체결 조작 종료 또는 종료에 근접한 것을 작업자는 감각적으로 확실하게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음매 본체(1)의 플랜지(1A)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축심 P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20)와, 유니온 너트(2)의 축심 P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축심 P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9)가, 시일용 압압부(10)가 직경확대 변화영역(9)을 압압한 유니온 너트(2)의 나사전진 종료 직전부터의 체결 회전에 의해, 볼록부(20) 및 그 부위의 외주 플랜지(1A)의 축심 P방향으로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끼워맞춤 및 이탈되는 토크 변동부(26)가 구성되어 있고, 그 토크 변동부(26)의 존재에 의해서 조임종료 인지수단 C가 구성되어 있다.
토크 변동부(26)에 있어서는, 외주 플랜지(1A)의 외주면(1b)보다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 볼록 부분(20B)이 볼록부(20)에 형성되고, 유니온 너트(2)의 오목부(19)에 축심 P방향에서 인접하는 부분에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설치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관이음매 A가 잘 보이지 않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손가락으로 만지는 것에 의한 감촉에 의해, 보조 볼록 부분(20B)과, 이것과 동일 직경의 돌출 설치부(24)가 둘레방향으로 맞추어져 있는 상태〔도 4의 (c)의 상태〕인지 아닌지, 축심 P방향으로 극히 접근하고 있는지 접근하고 있지 않은지를 인식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오목부(19)와 볼록부(20)가 끼워 맞춘 조립 상태인지 아닌지를 손가락끝의 감각으로의 확인이 그들 보조 볼록 부분(20B)과 돌출 설치부(24)가 없는 경우보다 얻기 쉬운 이점이 있다.
토크 변동부(26)에 의한 큰 토크 변동에 의해, 스패너 등의 공구를 통해서도 작업자의 손가락끝에는 유니온 너트(2)의 회전 조작시에 있어서의 「까칠감 (unsmooth feeling)」, 즉 디텐트(detent) 기구에 의한 절도감에 상당하는 바와 같은 감촉이 명확하게 전해져 오는 것이고, 그것에 의해서 조임 종료가 근접한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오목부(19)가 8군데에 존재하는 실시예 1의 수지관 이음매 A에서는, 최초의 명확한 「까칠감」을 포함하는 6회의 「까칠감」을 인식하면 유니온 너트(2)의 회전 조작을 멈추게 하면 좋고, 그때에는 도 1이나 도 4의 (c)에 나타내는 조립 상태(조임 종료 상태)가 얻어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유니온 너트(2)의 재차 체결에 대해 설명한다. 수지관 이음매 A에서는 경시(經時)에 의한 튜브(3)의 홀딩력 저하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니온 너트(2)의 재차 체결이 약간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조립 상태〔도 1, 도 4의 (c) 참조〕에서는, 외주 플랜지(1A)의 측둘레면(1a)과 원호 돌기 (18)의 측둘레면(18a)에는 축심 P방향에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그 간극의 분은 유니온 너트(2)의 더욱 회전시켜 넣는 것에 의한 재차 체결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양측 둘레면(1a, 18a)이 맞닿으면, 그 이상은 유니온 너트(2)의 조임이 불가능하며 최종 재차 체결 상태로 된다. 최종 재차 체결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수나사(5)나 암나사(8)의 나사 튀어오름(screw skip), 나사목 파단 등의 관이음매 A로서의 파손 방지가 실행되는 이점이 있다. 또, 오목부(19)가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것〔도 3의 (b) 참조〕으로서, 볼록부(20)와의 끼워맞춤 상태를 목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호 돌기(18)와 외주 플랜지(1A)가 맞닿는 것보다 먼저 오목부(19)와 볼록부(20)가 축심 P방향으로 맞닿는 구조로 하면, 목시에 의해서 최종 재차 체결 상태를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 A는 토크 변동부(26)의 구조 이외는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 A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다른 토크 변동부(26)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토크 변동부(26)는 외주 플랜지(1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4군데의 볼록부(20)와, 직경 외측에는 관통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2)의 암나사측단에 형성되는 8군데의 오목부(19)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유니온 너트(2)에 있어서의 오목부(19)(도 3 등을 참조)가 축심 P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설치부(24)로 덮여진 바와 같은 형상이다. 따라서,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20)에 있어서의 오목부(19)에 들어온 부분은 바깥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된다(유니온 너트 (2)가 투시 가능한 수지 재료제라면 그렇지는 않다).
실시예 2의 수지관 이음매 A의 조립 작용도를 도 6의 (a)∼도 6의 (c)에 나타낸다. 도 6의 (a), (b)에 대해서는,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조임 종료 상태(조립 상태)에서는, 직경 외측에서는 보이지 않는 오목부(19)에 볼록부(20)의 축심 P방향에서의 선단부가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를 알아챌 수 있다. 또, 돌출 설치부(24)가 유니온 너트(2)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도 도 6에서 알아챌 수 있다.
〔실시예 1, 2에 관한 다른 실시예〕
오목부(19)의 수는 볼록부(20)의 수 이상 있으면 좋고, 볼록부(20)는 1개 이상 있으면 좋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외주 플랜지(1A)에 축심 P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가, 또한 유니온 너트(2)의 축심 P방향의 단부에 축심 P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각각 배비해서 이루어지는 토크 변동부(26)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을 내부 링을 이용해서 튜브 직경 확대부가 끼워맞춤 통에 내부에서 끼워지는 구조의 이음매, 즉 유니온 너트, 이음매 본체, 내부 링의 3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관 이음매에 적용해도 좋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 A는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소 수지(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의 튜브(3)를 펌프, 밸브 등의 유체 기기나, 다른 직경 또는 동일 직경의 튜브에 연통 접속하는 것이고, 불소 수지(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의 이음매 본체(1)와 불소 수지(PFA, PTFE 등으로 대표되는 합성 수지의 일례)제 유니온 너트(2)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유니온 너트(2)를 소정량 체결한 조임 종료 상태(조립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음매 본체(1)는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3)의 단부를 직경 확대해서 외부 끼움 장착 가능한 일단의 내부 통(끼워맞춤 통의 일례) (4)과, 내부 통(4)의 안쪽측 부분의 외주측에 직경 확대된 튜브(3) 선단의 들어옴을 허용하기 위해 축심 P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홈 m을 갖고 덮이는 커버 통부(6)와, 사다리꼴 나사로 이루어지는 수나사(5)와, 축심 P를 갖는 원기둥 공간 형상의 유체 경로(7)를 구비하는 통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4)은 튜브(3)를 서서히 직경 확대시키는 선단 축소 통부(4A)와, 선단 축소 통부(4A)의 대직경측에 계속해서 형성되는 직동 통부분(4B)을 갖는 테이퍼 스트레이트형의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둘레 홈 m은 그 직경 내측의 둘레면인 외주면은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 (4b)이고, 그 직경 외측의 둘레면인 외주면은 커버 통부(6)의 내주면(6a)이다. 둘레 홈 m의 안측 둘레면(21)으로부터 축심 P방향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개소에 외주 플랜지(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 플랜지(1A)의 대략 근원 부위로부터 커버 통부(6)의 단부의 외주면에 걸쳐 수나사(5)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4)의 선단면은 직경방향에서 내측만큼 안쪽측(축심 P방향에서 안쪽)에 접근하는 역 테이퍼의 각도가 실시되는, 즉 선단만큼 대직경으로 되는 커트면(16)이 형성되어 있고, 튜브 (3)의 내주면이 직경 확대부(플레어부)를 향해 확대 변위하는 것에 의한 액체 고임 둘레부(17)의 형상을 내주측 확대 형상으로 해서, 그 유체가 액체 고임 둘레부(17)에 정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커트면(16)은 그 최대 직경이 자연 상태의 튜브(3)의 내경과 외경의 대략 중간값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그것에는 구애되지 않는다. 또, 플랜지 (1A)의 축심 P방향에서 수나사(5)와 반대측에는 축심 P방향에 일정의 폭을 갖는 조작용의 육각 너트부(23), 및 그것에 계속되는 파이프부(접속부)(25)(도 11∼도 13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음매 본체(1)에는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 (2)의 축심 P방향의 단부(축단)에 형성되는 돌출 커버(19)(후술)의 압입적인 외부에서 끼움에 의한 덮임을 허용하는 외주 플랜지(1A)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플랜지(1A)는 육각 너트부(23) 및 수나사(5)보다 대직경이고, 또한 축심 P방향의 두께(폭)가 충분히 두껍고, 강도나 강성이 풍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외주 플랜지(1A)의 외주면은 미세한 요철을 둘레방향으로 소정량 연속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요철 외주면(20)(제 2 거친 둘레면의 일례)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철 외주면(20)은 구체적으로는, 널링 가공에 의한 널이 외주 플랜지(1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널로서, 실시예 1에서는 평평한 형태(스트레이트 패턴)을 채용하고 있지만, 사각형(크로스 패턴)이나 마름모형(다이아몬드 패턴)이라도 좋다.
유니온 너트(2)는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나사(5)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8)와, 튜브(3)의 내부 통(4)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둘레 에지(시일용 압압부의 일례)(10)와,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에 작용 가능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 직경 확대부(3A)에 있어서의 직경 일정의 직동 통부분(4B)에 외부에서 둘러싸이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외부 끼움 가능한 누름 내주부(13)와,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계속해서 튜브(3)를 축심 P방향의 소정 길이에 걸쳐 외부에서 둘러싸는 가이드 통부(14)를 구비해서 형성되어 있다.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그 내경이 튜브(3)의 외경에 대략 동등하고, 그 압압면(10a)은 축심 P에 직교하는 측둘레면으로 되어 있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 (11)는 그 내주면의 직경이 내부 통(4)의 최대 직경인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 (4b)보다 대직경이고, 또한 튜브(3)의 두께를 더한 직경, 즉 누름 내주부(13)의 직경보다는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아(예: 외주면(4b)보다 소직경)도 좋고,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작용하면 좋다.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압압면(11a)도 축심 P에 직교하는 측둘레면이다.
누름 내주부(13)는 이것과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직경방향의 간극이 없고, 또한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직경 확대부(3A)의 동반 회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압입(압접되어 외부 끼움)되는 값으로 설정되고 빠짐 방지 수단 N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해, 튜브(3)의 빠져나감을 저지하기 위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축심방향으로 죄어들도록 압압하지만, 그 압압력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직경 외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빠져나감 변형할 수 없도록 하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와의 협동에 의한 내인발력을 높여서 얻기 위한 것이다.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2)의 축심 P방향 단부인 암나사측단에는 그곳으로부터 축심 P방향으로 돌출된 원호 차양 형상이며, 외주 플랜지(1A)에 압입적으로 외부에서 끼워져 직경방향으로 덮임 가능한 돌출 커버(1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커버(19)는 유니온 너트(2)의 원통형상 축심방향 단부(암나사 형성측 단부)가 둘레방향에서 복수로 분단된 바와 같은 형상, 즉 축심 P방향시(視)에서 원호형상을 이루는 차양 또는 날밑형상의 것이며, 축심 P에 관한 균등 각도(45도)마다의 8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 커버(19)의 외경은 유니온 너트(2)의 외경이고, 그 내경은 외주 플랜지 (1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된다. 각 돌출 커버(19)의 내주면은 미세한 요철을 둘레방향으로 소정량 연속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요철 내주면(제 1 거친 둘레면의 일례)(24)에 형성되어 있다. 요철 내주면(24)은 구체적으로는, 널링 가공에 의한 널이 돌출 커버(19)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널로서, 실시예 1에서는 평평한 형태(스트레이트 패턴)을 채용하고 있지만, 사각형(크로스 패턴)이나 마름모형(다이아몬드 패턴)이라도 좋다.
둘레방향에서 이웃이 되는 돌출 커버(19, 19)의 사이는 창부(窓部)(18)로 되어 있다. 이 창부(18)는 요컨대 돌출 커버(19)가 없고 너트 단면(2a)이 직경방향의 전역에 걸쳐 노출되어 있는 개소이다. 그리고, 너트 단면(2a)은 유니온 너트 (2)의 나사전진에 수반해서 외주 플랜지(1A)에 축심 P방향으로 맞닿기 가능한 스톱퍼면이 되어 있다.
다음에, 튜브(3)의 단부를 내부 통(4)에 외부에서 끼워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온 하에서 강제적으로 튜브(3)를 밀어 넣고 직경 확대시켜 장착하거나, 열원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해서 팽창 변형하기 쉽도록 하고 나서 밀어 넣거나, 또는 직경 확대기(도시 생략)를 이용해서 미리 튜브 단을 직경 확대시켜 놓고 나서 내부 통 (4)에 밀어 넣거나 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단(3t)이 커버 통부(6)의 단벽(15)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삽입한다. 내부 통(4)에 외부 끼움 장착되는 직경 확대부(3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축소 통부(4A)의 외주면(4a)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변화영역(9)과,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로 이루어진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통(4)에 튜브(3)가 외부 끼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암나사(8)를 수나사(5)에 나사 결합시킨 유니온 너트(2)의 체결에 의한 이음매 본체(1)의 축심 P방향으로의 나사전진에 의해,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 (12)에 누름 내주부(13)가 외부에서 끼워지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있어서의 내부 통(4)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 되는 부분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서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고, 또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소직경측 부분이 시일용 둘레 에지(10)에서 축심 P방향으로 압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튜브(3)의 유체 이송로(3W)의 직경과 유체 경로(7)의 직경은 원활한 유체의 흐름으로 하기 위해 서로 동일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서로 달라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내주부(13)와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의 직경방향에는 간극이 없고, 직동 통부분(4B)과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에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압접되어 끼워져 있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다. 또,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이 선단 축소 통부(4A)에 덮이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직경확대 변화영역(9)은 서서히 확대되는 테이퍼 관의 상태이고,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는 축심 P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 관계에 있지만, 선단 축소 통부(4A)의 외주면(4a)의 축심 P에 대한 각도가 급격하게 되면 될수록,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축심 P방향의 거리는 접근한다. 또, 시일용 둘레 에지(10)와 내부 통 (4)의 선단은 축심 P방향에서 조금 떨어져 있지만, 상기 외주면(4a)의 각도가 급격하게 되면 그 이간 거리는 확대되고, 평온해지면 그 이간 거리는 축소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관 이음매 A의 소정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소직경측 단부분을 축심 P방향으로 압압하므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외주면(4a)의 소직경측 단과, 그 개소에 접하는 튜브(3)의 내주면이 강하게 압접되어 시일부 S가 형성된다. 이 내부 통(4)의 선단 개소에서의 시일부 S에 의해, 내부 통(4)과 직경 확대부(3A) 사이에 세정액, 약액 등의 유체가 들어오는 일 없이 튜브(3)와 이음매 본체(1)가 양호하게 시일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통(4)에 압입적으로 외부에서 끼워져 있는 직경 확대부(3A)의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직동 통부분(4B)의 외주면(4b)과 누름 내주부(13)로 둘러싸여 있어, 우선 팽창 변형할 수 없도록 홀딩되어 있고, 또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대략 그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죄어들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단부분, 즉 실질적으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에 죄어들도록 누르는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의 걸림에 의해서 직경 확대부(3A)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는 동시에,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를 기점으로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인발력에 의해서 직경방향으로 팽창 변형할 수 있는 것에 기인하여 직경 확대부(3A)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것이 견제 저지되게도 된다.
직경 확대부(3A)가 축심 P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움직이면, 시일부 S에 있어서의 시일 포인트도 어긋나서 시일 기능이 불확실화 될 우려가 있지만, 그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된다. 따라서, 직경 확대부(3A)가 축심 P방향에서 내부 통(4)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이동이 강고하게 규제되는 빠짐 방지 수단 N이 구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뛰어난 내인발력이 실현되고 있다. 그 결과, 이음매 본체(1)와 유니온 너트(2)로 이루어지는 플레어형의 수지관 이음매 A를, 튜브가 내부 통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너트 조작에 의해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성에 뛰어난 동시에, 시일부 S에 의한 뛰어난 시일성과 빠짐 방지 수단 N에 의한 뛰어난 내인발력의 양립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것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덧붙여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 의한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된 후에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의한 직경확대 변화영역 (9)의 소직경측 부분의 압압이 시작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 즉 압압 시차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나 효과도 있다. 즉, 유니온 너트(2)를 회전시켜 체결해(나사전진 시켜)가면, 우선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먼저 직경확대 변화영역(9)(자세하게는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에 맞닿고, 그때는 시일용 둘레 에지(10)는 직경확대 변화영역(9)에 아직 도달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만이 직경확대 변화영역(9)의 대직경측 부분, 더욱 자세하게는 직동 통부분(4B)보다 대직경으로 되는 부분을 축심 P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를 내부 통(4)의 더욱 안쪽측으로 밀어 넣으려고 하는 작용이 생긴다.
직동 통부분(4B)에 압입되어 외부에서 끼워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는 누름 내주부(13)에도 압접되지만, 그 압접력이 비교적 약할 경우에는 직경 확대부(3A)를 어긋나게 움직여서 내부 통(4)의 더욱 안쪽측에 삽입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튜브를 이음매 본체(1)에 삽입시킨다던가, 그것에 부가해서 축심 P방향으로 눌려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축심 P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려운 것에 기인해서 직경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여, 더욱 압접력이 높아져 확실히 끼워지는 작용이 생긴다고 하는 바람직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압접력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축심 P방향으로 눌려지는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축심 P방향으로 우선 움직일 수 없는 것에 의해서 직경방향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강한 작용이 생기고, 내부 통(4)과 누름 내주부(13)의 사이에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12)가 가일층 강고하게 홀딩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결국 시일용 둘레 에지(10)가 직경 확대부(3A)에 박힘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가 직경 확대부(3A)를 축심 P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직동 통부분(4B)과 누름 내주부(13)에 의한 직경확대 스트레이트부 (12)의 압접 홀딩력이 강화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직경 확대부 (3A)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로 눌려지는 부분이 직경 외측으로 유동해서 압압면(11a)과 누름 내주부(13)로 이루어지는 모서리각 공간부가 메워진다고 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압압 시차 수단에 의해, 튜브(3)의 내부 통(4)에 대한 압접 홀딩력도 내인발력도 한층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통(4)의 안쪽측과 커버 통부(6)로 형성되는 둘레 홈 m, 및 투시 가능한 불소 수지로 형성되는 유니온 너트(2)에 의해, 튜브(3)가 정확하게 내부 통(4)에 삽입되어 있는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지를 목시 체크 가능한 인디케이터 수단 B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누름 내주부(13)의 안쪽측이고, 또한 암나사(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을 통과하는 라인에서의 목시에 의해,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확대 단부(3t)가 보이지 않는 정상 상태라면, 튜브(3)가 내부 통(4)에 정확하게 외부 끼움 장비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확대 단부(3t)도 보이는 삽입 불량 상태, 또는 직경 확대부(3A) 자체가 보이지 않는 삽입 부족 상태라면, 튜브(3)의 삽입이 아직 규정량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는 상기 정상 상태를 목시할 수 있을 때까지 튜브(3)를 더욱 밀어 넣는 조작을 실행하게 된다.
인디케이터 수단 B는 유니온 너트(2)가 투명 또는 반투명(유백색 등)의 불소 수지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에 있는 물체를 목시 시인 가능하다. 특히, 누름 내주부(13)의 안쪽측이고, 또한 암나사(8)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을 통과하는 라인에서의 목시이며, 유니온 너트(2)의 두께가 적은 부분만의 투시에 의해서 직경 확대부(3A)를 비교적 확실하게 시인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것에 대해,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의 부위보다 두께가 두꺼운 누름 내주부(13)의 부위에서는 직경 확대부(3A)의 시인도가 뒤떨어지고, 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3)의 단부가 들어오기 가능한 둘레 홈 m의 부분에서는 유니온 너트(2)와 커버 통부(6)가 겹쳐져 있으므로, 이음매 본체(1)도 투시 가능하다고 해도, 두께가 골짜기형상 내주면(22)의 부분보다 두꺼워진 다음, 수나사(5)와 암나사 (8)의 겹쳐짐에 의한 경계면에서의 굴절률의 변화도 더해져, 직경확대 단부(3t)가 어디에 있는지의 시인은 우선 무리한 상태가 된다. 또, 이음매 본체(1)가 착색되어 있는 등의 투시 불가의 경우에는, 커버 통부(6)의 단벽(15)보다 안쪽측에 있어서는 말할 것도 없고 직경 확대부(3A)나 직경확대 단부(3t)를 볼 수는 없다.
따라서, 골짜기형상 내주면(22)에서 직경 확대부(3A)가 보이고, 또한 직경확대 단부(3t)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 정상 상태를 시인할 수 있는지 없는지 라고 하는 인디케이터 수단 B의 기능에 의해서, 유니온 너트(2)를 조임 조작한 후의 조립 상태에서 목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편리하며 사용성에 뛰어난 수지관 이음매 A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 수단 B를 구성하기 위한 둘레 홈 m 및 커버 통부(6)의 존재에 의해, 튜브(3)를 내부 통(4)에 삽입할 때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로서도 기능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즉, 튜브(3)를 플레어 한 내부 통(4)으로의 삽입량이 소정량이 되어 있는지 되어 있지 않은지의 확인을 할 수 있다. 즉, 내부 통(4)에 삽입된 직경 확대부(3A)로서의 단부(3t)가 단벽(15)보다 안쪽에 있으면 좋고, 그 좋고 나쁨을 튜브(3)의 내부 통(4)으로의 조립시에 있어서 시인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이점이 있다.
이 수지관 이음매 A는 튜브(3)를 삽입해서 유니온 너트(2)로 조임 고정한다고 하는 조립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종료(또는 종료가 근접한 것)를 슬라이딩음과 토크 변동의 쌍방으로써 인식 가능한 조임종료 인지수단 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임종료 인지수단 C는 도 9,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 본체(1)의 외주 플랜지(1A)의 요철 외주면(20)과, 유니온 너트(2)의 선단측(암나사(8)측단)에 형성되는 돌출 커버(19)의 요철 내주면(24)이 압입 상태가 되도록 강제로 끼워 맞추어져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끼워맞춤부(2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끼워맞춤부(26)는 시일용 둘레 에지(10)가 직경확대 변화영역(9)을 압압해서 시일부 S가 형성되는 유니온 너트(2)의 나사전진 종료 진전부터의 체결 회전에 수반해서, 요철 내주면(24)과 요철 외주면(20)이 요철 내주면(24), 즉 돌출 커버(19)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강제적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구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3의 수지관 이음매 A에 있어서는, 각 돌출 커버(19)의 선단면(19a)이 외주 플랜지(1A)의 폭, 즉 축심 P방향 폭의 대략 중앙에 위치할 때에, 유니온 너트 (2)의 조임 종료 상태(이음매 A로서의 조립 상태)로 되도록, 돌출 커버(19)를 갖는 유니온 너트(2)와 외주 플랜지(1A)를 갖는 이음매 본체(1)가 관계지어져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슬라이딩 끼워맞춤부(26)가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끼워맞춤부(26)의 작용을 설명하면, 육각 너트부(2b)에 공구를 작용시키는 등 해서 유니온 너트(2)를 조여가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2)가 나사전진해서 각 돌출 커버(19)가 외주 플랜지(1A)에 근접해 간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이음매 본체(1)와 유니온 너트(2)의 상대 위치 관계일 때에는, 각 둘레 에지(10, 11)는 아직 튜브(3)의 직경확대 변화영역(9)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 계속해서 유니온 너트(2)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각 돌출 커버(19)의 선단부가 직경 바깥방향으로 휘어 외주 플랜지(1A)에 강제로 외부에서 끼워지고, 직경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덮이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유니온 너트(2)가 조임 방향 회전되어 나사전진하면, 도 9,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 커버(19)의 선단면(19a)이 외주 플랜지(1A)의 폭방향(축심 P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한다.
돌출 커버(19)가 외주 플랜지(1A)에 외부에서 끼워지면, 요철 내주면(24)과 요철 외주면(20)이 슬라이딩 하면서(서로 스치면서) 상대 회전 운동 이동하여 연속해서 슬라이딩음을 발하는 동시에, 그것에 의한 토크 증대, 즉 유니온 너트(2)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토크가 급격하게 많이 필요하게 되는 상태를 가져온다. 즉, 슬라이딩 끼워맞춤부(26)에 기능에 의해, 소리와 토크 증대(토크 변동)의 쌍방으로써 조임 종료 상태에 근접한 것, 또는 조임 종료 상태가 된 것을 작업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되고, 그것에 의해서 조임종료 인지수단 C가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 환경에 있어서의 소음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니온 너트(2)의 조임 종료 상태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선단면(19a)이 외주 플랜지(1A)의 폭의 절반의 위치에 도달하면 시일부 S가 형성된 조임 종료 상태이고, 수지관 이음매 A로서의 조립 상태가 된다. 이 조립 상태에서는 시일용 둘레 에지(10)에 의한 시일 기능과, 빠짐 방지용 둘레 에지(11)에 의한 빠짐 방지 기능이 유효하게 발휘되는 상태를 가져올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의 조임 종료 상태는 돌출 커버(19)의 선단면(19a)이 외주 플랜지(1A)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의 목시에서도 인식 가능하다. 또, 선단면(19a)이 외주 플랜지(1A)의 요철 외주면(20)상에 있는 것의 손가락끝 감촉에 의해서도 인식 가능하다.
또, 둘레방향에서 이웃이 되는 돌출 커버(19, 19) 사이에는 창부(18)가 있기 때문에, 돌출 커버(19)의 외주 플랜지(1A)가 얼마나 겹쳐져 있는지 라던가, 선단면 (1a)이 외주 플랜지(1A)의 축심 P방향 폭에서의 어느 부근인지, 또는 수나사측의 측둘레면(1a)과 너트 단면(2a)의 축심 P방향의 간격이 어느 정도인지 라고 하는 겹침 상태를 창부(18)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수지관 이음매 A의 재차 체결에 대해 설명한다. 나사전진 종료상태 (조임 종료 상태)로부터의 유니온 너트(2)의 약간의 조임 조작에 의해, 너트 단면 (2a)과 외주 플랜지(1A)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한 나사전진 이동분이 재차 체결 가능한 것으로 된다. 즉, 도 9, 도 10이나 도 12에 나타내는 조임 종료 상태(조립 상태)로부터 유니온 너트(2)를 더욱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 단면(2a)이 외주 플랜지(1A)의 수나사측의 측둘레면(1a)에 맞닿는 것에 의해 조임 한계로 되고, 그때에는 돌출 커버(19)의 선단면 (19a)이 축심 P방향으로 외주 플랜지(1A)의 너트측의 측둘레면(1c)과 면일치(서로 동일한 위치)가 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최종 재차 체결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수나사(5)나 암나사(8)의 나사 튀어오름, 나사목 파단 등의 관이음매 A로서의 파손 방지를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실시예 1에 의한 수지관 이음매 A에서는 경시 변화 등에 의한 유니온 너트(2)의 느슨해짐을 보충하기 위한 재차 체결이 가능하게도 구성되어 있고, 그 경우는 돌출 커버(19)의 선단면(19a)이 외주 플랜지(1A)의 너트측의 측둘레면(1c)과 동일면으로 되는 것의 목시 또는 손가락끝의 감촉에 의해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임종료 인지수단 C에 의해서 그들 기능도 발휘된다.
〔실시예 3에 관한 다른 실시예〕
요철 내주면(24), 즉 돌출 커버(19)의 수나 축심 P방향의 돌출 길이, 또는 둘레방향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니온 너트(2)의 암나사측 단부를 통형상으로 해서 그 전체 내주면을 요철 내주면(24)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주 플랜지(1A)에 형성되는 요철 외주면(20)은 실시예 1에서는 전체 둘레에 형성되지만, 둘레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을 내부 링을 이용해서 튜브 직경 확대부가 끼워맞춤 통에 내부에서 끼워지는 구조의 이음매, 즉, 유니온 너트, 이음매 본체, 내부 링의 3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관 이음매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도시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유니온 너트의 축심방향 단부에 요철 외주면(제 2 거친 둘레면)을 갖는 외주 플랜지가 형성되고, 그 외주 플랜지에 강제로 끼워 맞추어지는 요철 내주면(제 1 거친 둘레면)을 갖고 덮임 가능한 돌출 커버가 이음매 본체에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수지관 이음매도 가능하다.
1; 이음매 본체 1A; 외주 플랜지
1b; 외주 플랜지의 외주면 2; 유니온 너트
3; 튜브 3A; 직경 확대부
4; 끼워맞춤 통 5; 수나사
8; 암나사 9; 직경확대 변화영역
10; 시일용 압압부 19; 오목부, 돌출 커버
20; 볼록부, 제 2 거친 둘레면 20B; 돌출부
24; 돌출 설치부, 제 1 거친 둘레면 26; 토크 변동부
C; 조임종료 인지수단 P; 축심
S; 시일부

Claims (11)

  1. 합성 수지제 튜브의 단부를 직경 확대시켜 끼워맞춤 장착 가능한 끼워맞춤 통과, 수나사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와, 상기 튜브의 직경 확대부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영역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통에 상기 튜브가 끼워맞춤 장착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를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이음매 본체의 축심방향으로의 나사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에서 상기 축심방향으로 압압되어 시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지관 이음매로서,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이것에 끼워넣음 가능하게 축심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가,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주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축심방향 단부의 외주부에 분배되어 배비되고, 상기 시일용 압압부가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을 압압한 상기 유니온 너트의 나사전진 종료 직전부터의 체결 회전에 수반해서,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그들 한쪽의 축심방향으로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끼워맞춤 및 이탈되는 토크 변동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주 플랜지에,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암나사 형성측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외주 플랜지가 축심방향으로 휨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상기 외주 플랜지의 외주면보다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오목부에 축심방향에서 인접하는 부분에 직경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니온 너트가 1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끼워맞춤 및 이탈이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둘레방향에서 상기 축심에 관한 균등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유니온 너트는 불소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7. 합성 수지제 튜브의 단부를 직경 확대시켜 끼워맞춤 장착 가능한 끼워맞춤 통과, 수나사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와, 상기 튜브의 직경 확대부에 있어서의 직경확대 변화영역에 작용 가능한 시일용 압압부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통에 상기 튜브가 끼워맞춤 장착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를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시킨 상기 유니온 너트의 상기 이음매 본체의 축심방향으로의 나사전진에 의해,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이 상기 시일용 압압부에서 상기 축심방향으로 압압되어 시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지관 이음매로서,
    상기 유니온 너트의 축심방향 단부의 둘레면에 요철을 둘레방향으로 소정량 연속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제 1 거친 둘레면이 설치되고, 상기 이음매 본체의 외주부의 둘레면에 요철을 둘레방향으로 소정량 연속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제 2 거친 둘레면이 설치되고, 상기 시일용 압압부가 상기 직경확대 변화영역을 압압한 상기 유니온 너트의 나사전진 종료 직전부터의 체결 회전에 수반해서, 상기 제 1 거친 둘레면과 상기 제 2 거친 둘레면이 그들 한쪽의 휨 변위에 의해서 서로 강제적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슬라이딩 끼워맞춤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거친 둘레면은 모두 널링 가공에 의한 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친 둘레면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암나사 형성측 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거친 둘레면은 상기 이음매 본체의 플랜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친 둘레면이 형성되는 상기 암나사 형성측 단부가 둘레방향에서 복수로 분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 본체 및 상기 유니온 너트가 불소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관 이음매.
KR1020117013517A 2008-12-01 2009-11-06 수지관 이음매 KR101322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6792A JP4885201B2 (ja) 2008-12-01 2008-12-01 樹脂管継手
JPJP-P-2008-306792 2008-12-01
JPJP-P-2008-307692 2008-12-02
JP2008307692A JP4885202B2 (ja) 2008-12-02 2008-12-02 樹脂管継手
PCT/JP2009/068964 WO2010064519A1 (ja) 2008-12-01 2009-11-06 樹脂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831A KR20110097831A (ko) 2011-08-31
KR101322576B1 true KR101322576B1 (ko) 2013-10-28

Family

ID=4223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517A KR101322576B1 (ko) 2008-12-01 2009-11-06 수지관 이음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1427B2 (ko)
EP (1) EP2372214B1 (ko)
KR (1) KR101322576B1 (ko)
CN (1) CN102232158B (ko)
TW (1) TWI495815B (ko)
WO (1) WO2010064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6364A1 (ja) * 2008-08-05 2010-02-1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管継手
CN103090130A (zh) * 2011-11-03 2013-05-08 江苏康诺医疗器械有限公司 氧气瓶快速接头
KR101181731B1 (ko) * 2012-04-25 2012-09-19 디케이락 주식회사 결합돌기가 형성된 튜브체결구
KR102094045B1 (ko) * 2013-01-28 2020-03-26 니혼삐라아코오교오카부시키가이샤 관 접속 장치
JP6175252B2 (ja) * 2013-03-01 2017-08-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管継手
JP5873833B2 (ja) * 2013-05-08 2016-03-0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JP5878143B2 (ja) 2013-05-08 2016-03-0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KR101384508B1 (ko) * 2013-06-07 2014-04-14 주식회사 한얼인터프론 유체공급배관 연결용 피팅기구
JP6240455B2 (ja) 2013-10-01 2017-11-2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JP5891537B2 (ja) * 2014-07-07 2016-03-23 Smc株式会社 管継手
US9781886B1 (en) * 2014-12-19 2017-10-10 Orbit Irrigation Products, Inc. Hand-securable sprinkler fitting
KR101808705B1 (ko) * 2016-05-16 2017-12-15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
KR101894895B1 (ko) * 2016-07-12 2018-09-04 주식회사 세바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US11306852B2 (en) * 2017-08-07 2022-04-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fitting
US11300234B2 (en) * 2017-08-07 2022-04-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fitting
CN108506608A (zh) * 2018-05-23 2018-09-07 广州嘉诺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密封形式接头
CN108869906B (zh) * 2018-07-12 2019-11-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管路连接装置及安装方法
US11092400B2 (en) * 2018-08-21 2021-08-17 Jess Briley Manufacturing Company Shotgun choke assemblies and firearm suppressor assemblies and methods connecting the same
US11274781B1 (en) 2018-12-01 2022-03-15 Orbit Irrigation Products, Llc Irrigation line couplings and irrigation manifolds including irrigation line couplings
US11518114B2 (en) 2019-06-07 2022-12-06 Fit-Lin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ssemble a high purity liquid distribution system
JP7243961B2 (ja) * 2019-09-30 2023-03-22 Smc株式会社 管継手用ナット、管継手、流体圧機器及び流体制御システムと、ナット回転用治具及び管継手用ナットの螺回方法
JP7344766B2 (ja) * 2019-11-15 2023-09-1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継手
US20230103727A1 (en) * 2020-03-12 2023-04-06 Hunting Energy Services Ltd. View Holes For Heavy Quick Union Collars
KR102323543B1 (ko) * 2021-02-18 2021-11-09 에스앤씨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GB2627665A (en) * 2021-12-29 2024-08-28 Systems IP Pty Ltd Universal connector
CN115163939A (zh) * 2022-07-07 2022-10-11 张李伟 一种快速安装固定的下水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091A (ja) * 1985-07-24 1987-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H07260068A (ja) * 1991-11-26 1995-10-13 Toshihiro Takada 新型非金属管用継手
JP2005344796A (ja) 2004-06-02 2005-12-15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流体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0551A (en) * 1970-10-01 1972-02-0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Coupling for plastic pipe
US4500118A (en) * 1982-12-30 1985-02-19 Colder Products Company Fitting apparatus for soft tubing
JPH0341899A (ja) 1989-07-07 1991-02-22 Ricoh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5215336A (en) * 1991-06-28 1993-06-01 Shur-Lok Corporation Coupling joint assembly with integral retention mechanism
JP2562784B2 (ja) 1993-07-07 1996-12-1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の管継手構造
JP2587449Y2 (ja) * 1993-08-04 1998-12-16 日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配管用継手機構
US6485063B1 (en) * 1996-05-15 2002-11-26 Huey P. Olivier Connection
US6022053A (en) * 1997-03-27 2000-02-08 Flowell Corporation Joint for coupling tubes
JP3044612B2 (ja) * 1997-09-19 2000-05-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JP2949577B2 (ja) 1998-02-20 1999-09-1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2961532B1 (ja) * 1998-03-27 1999-10-1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US6688651B2 (en) * 2002-02-21 2004-02-10 Dmt Co., Ltd. Device for locking cap nut for coupling
JP3947971B2 (ja) * 2002-11-25 2007-07-25 Smc株式会社 管継手
US7571937B2 (en) * 2004-09-10 2009-08-11 Sps Technologies, Llc Fluid coupling assembly with integral retention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091A (ja) * 1985-07-24 1987-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H07260068A (ja) * 1991-11-26 1995-10-13 Toshihiro Takada 新型非金属管用継手
JP2005344796A (ja) 2004-06-02 2005-12-15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流体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1427B2 (en) 2015-10-06
TW201037201A (en) 2010-10-16
CN102232158A (zh) 2011-11-02
US20110260450A1 (en) 2011-10-27
EP2372214A1 (en) 2011-10-05
EP2372214B1 (en) 2018-10-03
KR20110097831A (ko) 2011-08-31
TWI495815B (zh) 2015-08-11
EP2372214A4 (en) 2014-06-18
WO2010064519A1 (ja) 2010-06-10
CN102232158B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576B1 (ko) 수지관 이음매
TWI621796B (zh) 管連接裝置
JP5028394B2 (ja) 樹脂管継手
KR101945656B1 (ko) 오일 파이프 및 가스 파이프와 같은 파이프용 나사산 구비 연결부
JP2010223347A (ja) 樹脂管継手
JP4789999B2 (ja) 樹脂管継手
JP4885201B2 (ja) 樹脂管継手
JP4962849B2 (ja) 管継手
JP5124523B2 (ja) 樹脂管継手
JP4790035B2 (ja) 樹脂管継手
JP4789998B2 (ja) 樹脂管継手
JP4885202B2 (ja) 樹脂管継手
JP5028396B2 (ja) 樹脂管継手
JP4790034B2 (ja) 樹脂管継手
JP5075800B2 (ja) 樹脂管継手
JP2010261499A (ja) 樹脂管継手
JP4722198B2 (ja) 樹脂管継手
JP2010133449A (ja) 樹脂管継手
JP2010223291A (ja) 樹脂管継手
JP2010216493A (ja) 樹脂管継手
JP4324565B2 (ja) 二重管継手
JP4914910B2 (ja) 樹脂管継手
JP5690553B2 (ja) 樹脂管継手の組付構造及び樹脂管継手の組付方法
JP2010038273A (ja) 樹脂管継手
JP2009257446A (ja) 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