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375B1 -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화폐 계수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화폐 계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375B1
KR101322375B1 KR1020117024406A KR20117024406A KR101322375B1 KR 101322375 B1 KR101322375 B1 KR 101322375B1 KR 1020117024406 A KR1020117024406 A KR 1020117024406A KR 20117024406 A KR20117024406 A KR 20117024406A KR 101322375 B1 KR101322375 B1 KR 10132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ing
unit
banknote
identifica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277A (ko
Inventor
하지메 모리노
도시오 누마타
신지 마츠우라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4Hand- or motor-driven devices for counting co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있어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입력부(32, 53)에 의해 입력되고, 입력부(32, 53)에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제어부(50)로 보내진다. 그리고, 출력부(32p, 34, 52, 38)에 의해,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이 행하여진다. 또, 화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박스체(12)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에 대하여,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식별 및 계수를 행하고, 또,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부(32, 53)에 의해 입력하며,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32, 53)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부(32p, 34, 52, 38)에 의해 출력한다.

Description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화폐 계수 방법{BANKNOTE RECOGNITION AND COUNTING MACHINE AND MONEY COUNTING METHOD}
본 발명은,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폐의 계수를 행하기 위한 화폐 계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로서, 여러가지 타입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폐 식별 계수 장치는, 박스체와, 지폐가 재치(載置)되고, 이 재치된 지폐가 박스체의 내부로 1매씩 조출(繰出)되는 재치부와, 박스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재치부로부터 박스체의 내부로 조출된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 및 계수가 행하여진 지폐가 보내져서 집적되는 집적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러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에는, 식별 계수부로부터 지폐의 계수 결과가 보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부에 의해,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식별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출력되게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출력부로서, 예를 들면, 프린터가 사용되어,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식별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더 구체적으로는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된 지폐의 금종마다의 매수 또는 합계 금액을, 프린터에 의해 인쇄하게 되어 있다.
또,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준비하여,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동전 식별 계수 장치를 각각 외부 장치에 접속하고, 지폐 식별 계수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보내짐과 함께 동전 식별 계수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보내짐으로써, 이 외부 장치로부터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7269279호(US7,269,279B)나 일본 특공평6-36207호 특허공보(JP6-36207B2)에 개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7269279호 공보에는, 지폐 계수부에 의해 지폐의 계수를 행함과 함께, 동전 저울에 의해 동전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동전의 계수를 행하는 화폐 처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공평6-36207호 특허공보에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동전 식별 계수 장치를 구비하여,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의해 지폐의 계수를 행함과 함께, 동전 식별 계수 장치에 의해 동전의 계수를 행하는 화폐 입금기가 개시되어 있다.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준비하여,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동전 식별 계수 장치를 각각 외부 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가 되어,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특공평6-36207호 특허공보에 개시되는 화폐 입금기에서도, 이 일본 특공평6-36207호 특허공보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의 식별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동전의 식별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는, 화폐 입금기와는 별개로 설치된 텔러머신으로 보내지게 되어 있고, 이 텔러머신의 표시장치나 인자(印字)장치에, 지폐 및 동전의 식별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본 특공평6-36207호 특허공보에 개시되는 화폐 입금기에서도, 텔러머신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장치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가 되어,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미국 특허 제7269279호 공보에 개시되는 화폐 처리기에서는, 동전의 계수를 행하기 위해 동전 저울을 설치해야 하여, 이 동전 저울의 설치에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 지폐 및 동전 양쪽의 계수를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지폐의 매수가 동전의 매수보다 많아, 계수를 행해야 할 동전의 매수가 적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적은 매수의 동전의 계수를 행하는데 동전 저울을 설치하는 것은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동전은 금종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경우에, 동전의 계수를 행하는데 동전 저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전을 일단 수작업으로 선별할 필요가 있어,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한 화폐 계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는,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당해 박스체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에 접속되어, 당해 식별 계수부로부터 지폐의 계수 결과가 보내지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보내지게 되어 있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의하면,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고, 입력부에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제어부에 보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부에 의해,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박스체의 외면(外面)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지령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혹은, 상기 입력부는,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동전 식별 계수 장치에 통신 접속되어, 당해 동전 식별 계수 장치로부터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보내지는 동전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에,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 금액과 관련되는 정보 및/또는 합계의 금종마다의 매수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부는,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에 더하여,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을 행할 수 없었던 지폐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때에,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부분과,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인쇄하는 인자부, 또는, 외부 장치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보내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외부의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억 매체 기록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화폐 계수 방법은,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폐의 계수를 행하기 위한 화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박스체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에 대하여,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공정과,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부에 의해 입력하는 공정과,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화폐 계수 방법에 의하면,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박스체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에 대하여,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 및 계수를 행하고, 또,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부에 의해 입력하고,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집적부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셔터가 퇴피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집적부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를 셔터가 폐지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조작 표시부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할 때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a)∼도 6(f)는, 각각,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인자부에 의해 인쇄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7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 1a 및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조작 표시부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4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또, 도 5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할 때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 도 6(a)∼도 6(f)는, 각각,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7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인자부에 의해 인쇄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는, 박스체(12)와, 계수가 행하여져야 할 복수의 지폐(P)가 적층 상태로 재치되는 재치부(14)와, 재치부(14)에 재치된 적층 상태의 지폐(P) 중 최하층에 있는 지폐(P)를 박스체(12)의 내부에 1매씩 조출하기 위한 조출부(16)와, 조출부(16)에 의해 박스체(12)의 내부에 조출된 지폐(P)를 1매씩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반송부(22)에는, 재치부(14)로부터 박스체(12)의 내부에 조출된 지폐(P)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식별 계수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조출부(16)는, 재치부(14)에 적층 상태로 재치된 복수의 지폐(P) 중 최하층에 있는 하나의 지폐(P)의 표면에 맞닿는 키커 롤러(16a)와, 지폐(P)의 조출 방향에 있어서 키커 롤러(16a)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당해 키커 롤러(16a)에 의해 차내진 지폐(P)의 박스체(12)의 내부로의 조출을 행하는 피드 롤러(16b)를 가지고 있다. 또, 피드 롤러(16b)에 대향하여 게이트 롤러(역전 롤러)(16c)가 설치되어 있고, 피드 롤러(16b)와 게이트 롤러(16c) 사이에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키커 롤러(16a)에 의해 차내진 지폐(P)는 게이트부를 통과하여 1매씩 박스체(12) 내의 반송부(22)로 조출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계수부(24)보다 하류측의 부분에 있어서 반송부(22)는 2개의 반송로로 분기되고 있고, 일방의 반송로에는 집적부(26)가 접속되어 있으며, 타방의 반송로에는 리젝트부(30)가 접속되어 있다.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식별 및 계수가 행하여진 지폐(P)는, 반송부(22)에 의해 집적부(26) 또는 리젝트부(30)에 선택적으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집적부(26)의 전면(도 2에 있어서의 우측 면)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어, 조작자는 이 개구를 통해 집적부(26)에 집적된 지폐(P)를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리젝트부(30)의 전면에도 개구가 설치되어 있어, 조작자는 이 개구를 통해 리젝트부(30)에 집적된 지폐(P´)를 취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22)에 있어서의 2개의 반송로로 분기되는 부분에는, 분기 부재와 그 구동부(도시 생략)로 이루어지는 분기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분기부(31)에 의해, 당해 분기부(31)의 상류측으로부터 보내진 지폐(P)가, 분기된 2개의 반송로 중 어느 한쪽의 반송로로 선택적으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집적부(26)는, 박스체(12)의 배면측의 위치[도 2의 집적부(26)에 있어서의 좌측의 위치]에 있어서 스태킹 휠식 집적 기구(28)를 가지고 있다. 이 스태킹 휠식 집적 기구(28)는, 스태킹 휠(28a)과 그 구동부(도시 생략)로 이루어지고, 스태킹 휠(28a)은, 도 2의 지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의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스태킹 휠(28a)에는, 외주면(外周面)으로부터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의 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28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날개(28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태킹 휠(28a)의 외주면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태킹 휠식 집적 기구(28)의 스태킹 휠(28a)은,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동작 중, 구동부에 의해 항상 도 2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이 스태킹 휠(28a)에는, 반송부(22)로부터 지폐(P)가 1매씩 보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태킹 휠(28a)은, 반송부(22)로부터 보내진 지폐(P)를 2매의 날개(28b) 사이에 받아들여서 이 날개(28b) 사이에 받아들여진 지폐(P)를 집적부(26)로 보내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집적부(26)에는 스태킹 휠(28a)로부터 지폐(P)가 1매씩 보내져, 이 집적부(26)에 있어서 복수의 지폐(P)가 집적된다.
도 1b나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는, 집적부(26)의 전면에 설치된 개구를 폐지하기 위한 셔터(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셔터(40)에 의해 집적부(26) 전면의 개구가 선택적으로 폐지되게 되어 있다. 이 셔터(40)는, 당해 셔터(40)의 구동을 행하는 셔터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집적부(26) 전면의 개구로부터 퇴피하여 당해 개구를 개방하는 개구 위치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집적부(26) 전면의 개구를 폐지하는 폐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셔터(40)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구 위치에 있을 때에는, 셔터(40)는 집적부(26) 전면의 개구로부터 퇴피하여 당해 개구는 개방되게 되어, 조작자는 집적부(26)에 집적된 지폐(P)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셔터(40)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폐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집적부(26) 전면의 개구는 셔터(40)에 의해 폐지되어, 조작자는 집적부(26)에 집적된 지폐(P)에 액세스할 수 없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개구 위치에 있을 때의 셔터(40)를 실선으로, 폐지 위치에 있을 때의 셔터(40)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셔터(4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40)에 의해 집적부(26) 전면의 개구를 폐지한 경우에는, 스태킹 휠식 집적 기구(28)의 스태킹 휠(28a)의 회전에 의해 조작자를 향하여 먼지가 뿜어 나오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또, 셔터(40)가 집적부(26) 전면의 개구를 폐지함으로써,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가 작동하고 있을 때의 장치 내부의 소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는 여러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치부(14)에는, 당해 재치부(14)에 지폐(P)가 잔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반사식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재치부 잔류 지폐 검출 센서(6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부(22)에 있어서의 분기부(31)의 상류측에는,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분기용 타이밍 센서(64)가 설치되어 있다. 분기부(31)의 분기 부재는, 지폐(P)가 분기용 타이밍 센서(64)에 의해 검출된 타이밍으로, 지폐(P)를 집적부(26)로 보내는 위치 또는 리젝트부(30)로 보내는 위치 중 어느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분기부(31)의 분기 부재는 지폐(P)를 집적부(26)로 보내는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부(22)에 있어서 반송되어 분기용 타이밍 센서(64)에 의해 검출된 지폐(P)는, 분기부(31)에 의해 2개의 반송로 중 어느 반송로로 선택적으로 보내지게 된다.
또, 분기부(31)가 설치된 부분에서 분기되는 2개의 반송로 중 집적부(26) 측의 반송로에는, 당해 반송로로 보내진 지폐(P)의 검출을 행하는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지폐 통과 검출 센서(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폐 통과 검출 센서(66)에 의해, 분기부(31)에 의해 지폐(P)가 집적부(26) 측의 반송로로 보내진 것이 검출된다. 또, 집적부(26)에는, 당해 집적부(26)에 지폐(P) 집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집적부 지폐 검출 센서(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젝트부(30)에는, 당해 리젝트부(30)에 지폐(P´)가 집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리젝트부 지폐 검출 센서(7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는, 당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0)에는, 조출부(16), 반송부(22), 식별 계수부(24), 스태킹 휠식 집적 기구(28)를 포함하는 집적부(26), 및 분기부(31) 등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식별 계수 결과가 제어부(50)로 보내짐과 함께, 제어부(50)는 조출부(16), 반송부(22), 집적부(26), 및 분기부(31) 등에 지령 신호를 보내 이들 구성 요소의 제어를 행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부(50)에는, 재치부 잔류 지폐 검출 센서(62), 분기용 타이밍 센서(64), 지폐 통과 검출 센서(66), 집적부 지폐 검출 센서(68), 리젝트부 지폐 검출 센서(70)가 각각 접속되어 있어, 이들 센서(62∼70)로부터 검출 결과가 각각 보내지게 되어 있다.
또, 제어부(50)에는 조작 표시부(32)가 접속되어 있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표시부(32)는 박스체(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표시부(32)에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의한 지폐(P)의 처리 상황,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계수된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나 합계 금액 등의 정보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또,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여러가지 지령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 표시부(3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표시부(32)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장방형 형상인 것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는, 예를 들면, 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2p)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부(32p)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의한 지폐(P)의 처리 상황,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동작 모드,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계수된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나 합계 금액 등의 정보, 혹은 에러 정보 등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 표시부(32p)의 우측에는, SHUTTE(셔터) 키(32a), SHIFT(시프트) 키(32b), START/STOP(개시/종료) 키(32c), C(클리어) 키(32d), ACCEPT(확정) 키(32e)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 표시부(32p)의 좌측에는, MENU(메뉴) 키(32f), START/STOP(개시/종료) 키(32g), C(클리어) 키(32h), ACCEPT(확정) 키(32i)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표시부(32p)의 우측 옆에는, F1(제1 펑션) 키(32j), F2(제2 펑션) 키(32k), F3(제3 펑션) 키(32l), F4(제4 펑션) 키(32m)가 각각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하부 영역에는, 리젝트 램프(32s), ADD(추가) 램프(32t), RIGHT(우측) 램프(32u), ADD(추가) 램프(32v), LEFT(우측) 램프(32w)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F1(제1 펑션) 키(32j)∼F4(제4 펑션) 키(32m)는, 표시부(32p)에 있어서 이들 키의 좌측 옆에 표시된 여러가지 지령을 행할 때에 누르게 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의 SHUTTE(셔터) 키(32a)를 누르면, 셔터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셔터(40)가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구 위치로부터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폐지 위치로, 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폐지 위치로부터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SHUTTE(셔터) 키(32a)를 누를 때마다, 셔터(40)의 개폐가 행하여진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제어부(50)에는, 예를 들면, 프린터로 이루어지는 인자부(3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인자부(34)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박스체(1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박스체(12)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제어부(50)에는 기억부(36)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36)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기억부(36)는 박스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36)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계수된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나 합계 금액 등의 정보를 기억하게 되어 있다. 또, 제어부(50)에는 외부 인터페이스(52) 및 동전 인터페이스(53)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외부 인터페이스(52)를 거쳐, 호스트 컴퓨터 등의 상위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제어부(50)는, 동전 인터페이스(53)를 거쳐,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동전 식별 계수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제어부(50)에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와는 별개로 설치된 기억 매체에 여러가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억 매체 기록부(38)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USB 메모리, CD-ROM, DVD 등의 공지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기억 매체는 기억 매체 기록부(38)에 대하여 착탈 자유롭게 되어 있다. 기억 매체 기록부(38)는,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드라이브, USB 메모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 DVD 드라이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기억 매체 기록부(38)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박스체(1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박스체(12)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동작은, 제어부(50)가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최초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기본적인 동작(지폐의 계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는, 계수가 행하여져야 할 지폐(P)를 재치부(14)에 적층 상태로 재치한다. 그 후,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 START/STOP 키(32c, 32g)를 누름으로써, 지폐(P)의 계수 개시의 지령을 제어부(50)에 대하여 주면, 재치부(14)에 적층 상태로 재치된 지폐(P)는, 최하층에 있는 지폐(P)로부터 순서대로 1매씩 조출부(16)에 의해 박스체(12) 내의 반송부(22)로 조출되고, 이 반송부(22)에 의해 반송된다. 이때에,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지폐(P)의 금종, 진위, 정손 등의 식별 및 계수가 행하여지고,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식별 결과나 계수 결과는 제어부(50)로 보내진다.
여기서,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정된 지폐(P)는, 반송부(22)에 의해 다시 반송되어 분기부(31)에 의해 집적부(26)로 보내진다. 이때에, 반송부(22)로부터 스태킹 휠(28a)로 지엽류(P)이 1매씩 보내지고, 이 스태킹 휠(28a)은, 반송부(22)로부터 보내진 지폐(P)를 2매의 날개(28b) 사이에 받아들여서 이 날개(28b) 사이에 받아들여진 지폐(P)를 집적부(26)로 보내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스태킹 휠(28a)에 의해 집적부(26)에 지폐(P)을 정렬 상태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 집적부(26)의 전면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이 개구를 통해 집적부(26)에 집적된 지폐(P)를 취출할 수 있다.
한편,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진권이 아니라고 판정된 지폐(P´)는, 반송부(22)에 의해 다시 반송되어 분기부(31)에 의해 리젝트부(30)로 보내진다. 이 리젝트부(30)의 전면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이 개구를 통해 리젝트부(30)에 집적된 지폐(P´)를 취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있어서는, 제어부(50)에 대하여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내는 것에 더하여, 입력부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부란, 조작 표시부(32)나 동전 인터페이스(53) 등을 말하나, 이들 구성 요소에 의한 제어부(50)에 대한 정보 입력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동전의 계수 결과란, 조작자가 수동으로 동전의 계수를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것, 혹은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와는 별개로 설치된 동전 식별 계수 장치에 의해 동전의 식별 및 계수가가 행하여짐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출력부에 의해,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제어부(50)에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부란, 조작 표시부(32)의 표시부(32p), 인자부(34), 외부 인터페이스(52), 혹은 기억 매체 기록부(38) 등을 말하나, 이들 구성 요소로부터의 정보 출력의 양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를 사용하여 지폐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및 도 6, 7에 나타내는 설명도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는, 계수가 행하여져야 할 지폐(P)를 재치부(14)에 적층 상태로 재치한다. 그리고,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의해, 지폐(P)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재치부(14)에 적층 상태로 재치된 지폐(P)는 10매씩 조출부(16)에 의해 박스체(12) 내의 반송부(22)로 조출되어,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거래하는 모든 지폐(P)의 금종, 진위, 정손 등의 식별 및 계수가 행하여진다(도 5의 STEP 1).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식별 결과 및 계수 결과는 제어부(50)로 보내진다. 그리고,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진권이라고 판정된 지폐(P)는, 반송부(22)에 의해 다시 반송되어 분기부(31)에 의해 집적부(26)로 보내진다. 한편,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진권이 아니라고 판정된 지폐(P´)는, 반송부(22)에 의해 다시 반송되어 분기부(31)에 의해 리젝트부(30)로 보내진다.
이러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의한 지폐(P)의 식별 및 계수가 행하여지면, 표시부(32p)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권이라고 판정된 지폐(P)의 계수 결과[구체적으로는, 계수된 지폐(P)의 합계 금액이, 예를 들면, 1,250유로이고, 지폐(P)의 매수(PCS)가, 예를 들면, 5매라는 정보], 및 지폐(P)의 발행국(유로와 같은 복수 국가의 연합을 포함)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6(a)∼6(f)에 있어서, 참조를 위해, 표시부(32p)의 우측 옆에 F1(제1 펑션) 키(32j), F2(제2 펑션) 키(32k), F3(제3 펑션) 키(32l), F4(제4 펑션) 키(32m)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또, 표시부(32p)에 있어서, F1 키(32j)∼F4 키(32m)의 좌측 옆 부분에는, 이들 키(32j∼32m)를 눌렀을 때에 실행되는 여러가지 지령(MODE, MANUAL, DISPLAY, BATCH, 혹은 상방향이나 하방향 등의 화살표 등)이 표시되어 있다.
그 후, 제어부(50)에 있어서, 당해 제어부(50)에 대하여 지폐(P)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도 5의 STEP 2). 더 구체적으로는, 리젝트부(30)에 지폐(P´)가 보내진 경우에는, 이 리젝트부(30)에 보내진 지폐(P´) 중 위권 이외의 지폐, 구체적으로는 반송 이상 또는 식별 이상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정되지 않은 지폐 등의 계수를 조작자가 수동에 의해 행하고, 이 수동에 의해 얻어지는 지폐의 계수 결과를 조작자는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입력하게 된다(도 5의 STEP 3). 더 구체적으로는,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F2 키(32k)를 누름으로써 메뉴얼 모드를 선택하면,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도 5의 STEP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어부(50)에 대하여 지폐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때에, 조작자가 F2 키(32k)를 누르는 것에 의해 메뉴얼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지폐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 입력의 선택이 있었다고 판정되게 되어 있다.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F1 키(32j) 또는 F2 키(32k)를 누름으로써 커서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커서가 각 금종[500, 200, 100, 50, 20, 10, 5(단위는 각각 유로)] 중 어느 하나의 금종의 표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자가 F3 키(32l)를 누르면,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얻어지는 지폐(P)의 계수 결과인,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에 대하여, 수동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를 금종마다 가산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F4 키(32m)를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는 화면에 있어서의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가 감산된다. 이렇게 하여,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지폐(P)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입력된다.
제어부(50)에 대하여, 지폐(P)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입력이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행하여지면, 다음으로, 제어부(50)에 있어서, 당해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계수 결과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도 5의 STEP 4). 그리고, 조작자가 동전의 계수를 수동으로 행한 경우 등에 있어서,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계수 결과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되면, 조작자는,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도 5의 STEP5). 더 구체적으로는,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이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SHIFT(시프트) 키(32b)를 누르면서 F1 키(32j)를 누름으로써[SHIFT(시프트) 키(32b)가 눌리면, F1 키(32j)의 좌측 옆에는 「COIN」이라고 표시된다], 동전 계수 결과의 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또한, 도 5의 STEP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계수 결과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때에, 조작자가 SHIFT(시프트) 키(32b)를 누르면서 F1 키(32j)를 누르는 것에 의해 동전 계수 결과의 입력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동전의 계수 결과 입력의 선택이 있었다고 판정되게 되어 있다.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이 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F1키(32j) 또는 F2키(32k)를 누름으로써 커서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커서가 각 금종[1, 0.5, 0.2, 0.1, 0.05, 0.02, 0.01(단위는 각각 유로)] 중 어느 하나의 금종의 표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F3 키(32l)를 누름으로써, 동전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를 금종마다 가산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F4 키(32m)를 누르면, 도 6(c)에 나타내는 화면에 있어서의 동전의 금종마다의 매수가 감산된다. 이렇게 하여,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50)에 대하여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자가 동전을 수동으로 계수하고, 이 동전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를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제어부(50)에 대하여 입력하는 것과 같은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동전 식별 계수 장치가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동전 인터페이스(53)에 접속되어, 동전 식별 계수 장치에 의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동전 인터페이스(53)를 거쳐 제어부(50)에 대하여 입력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가 표시부(32p)를 보면서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후, 조작자가 조작 표시부(32)에 있어서의 ACCEPT(확정) 키(32e, 32i)를 누르면, 표시부(32p)에는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CEPTED(거래 확정)」이라고 표시되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있어서의 1회의 거래가 확정된다(도 5의 STEP 6의 「YES」). 그 후,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입력된 지폐(P)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 및 조작 표시부(32) 등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출력이 행하여진다(도 5의 STEP 7). 이때에,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가 출력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 금액과 관련되는 정보 및/또는 합계의 금종마다의 매수와 관련되는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가 출력되는 대신, 단지,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동전의 계수 결과가 각각 출력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조작 표시부(32)의 표시부(32p)에 표시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32p)에는,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 및 지폐(P)와 동전의 합계 금액(T.TOTAL(TRANSACTION TOTAL : 거래 합계) 1,250.52유로)이 표시되고,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이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F1 키(32j)를 누름으로써 화면 전환 조작을 행하면 표시부(32p)에 있어서의 표시가 도 6(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면으로 전환되고, 표시부(32p)에는, 동전의 금종마다의 매수 및 지폐(P)와 동전의 합계 금액이 표시되게 된다. 또,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부(32p)에 표시되는 것에 더하여, 혹은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부(32p)에 표시되는 대신, 프린터 등의 인자부(34)에 의해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인자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P)의 금종마다의 매수 및 합계 금액, 동전의 금종마다의 매수 및 합계 금액, 및 지폐(P)와 동전의 합계 금액이 인쇄된다.
또,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외부 인터페이스(52)를 거쳐 호스트 컴퓨터 등의 상위 장치로 보내지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기억부(36)에 기억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기억부(36)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부분(36a)과, 조작 표시부(32) 등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부분(36b)으로 이루어지고,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는, 기억부(36)의 각 기억 부분(36a, 36b)에 각각 따로따로 기억되게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박스체(12)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2개의 하드 디스크 등이 설치되어 있고, 일방의 하드 디스크가 제1 기억 부분(36a)이며, 타방의 하드 디스크가 제2 기억 부분(36b)으로 되어 있다. 또, 기억 매체가 기억 매체 기록부(38)에 들어가 있을 때에,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기억 매체 기록부(38)에 의해 기억 매체에 기록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P)나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부(32p), 인자부(34), 외부 인터페이스(52), 기억 매체 기록부(38) 등에 의해 출력되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지폐(P)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 입력의 선택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단계(STEP 2), 및, 조작 표시부(32)에 의해 지폐(P)의 수동에 의한 식별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TEP 3)는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지폐(P)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한 후, 제어부(50)에 대해서는,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만 입력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에 의하면,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고, 입력부에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제어부(50)로 보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부에 의해,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이 행하여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화폐 계수 방법에 의하면,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의 박스체(12)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P)에 대하여,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식별 및 계수를 행하고, 또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부에 의해 입력하고,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나 화폐 계수 방법에 의하면, 지폐(P)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10)를 사용하여 지폐(P)뿐만 아니라 동전의 계수 결과를 출력함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박스체(12)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대하여 지령을 행하기 위한 조작 표시부(32)로 구성되어 있다. 혹은, 입력부는,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동전 식별 계수 장치에 통신 접속되어, 이 동전 식별 계수 장치로부터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보내지는 동전 인터페이스(53)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부로서는, 조작 표시부(32)나 동전 인터페이스(53) 이외의 다른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 출력부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2p), 또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 등의 인자부(34)로 구성되어 있다. 혹은, 출력부는, 외부 장치에 통신 접속되어,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상위 장치로 보내는 외부 인터페이스(52)이어도 된다. 또는, 출력부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외부의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억 매체 기록부(38)이어도 된다. 또한, 출력부로서는, 표시부(32p), 인자부(34), 외부 인터페이스(52), 기억 매체 기록부(38) 이외의 다른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 출력부는, 도 6(e), 도 6(f)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에, 출력부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의 합계 금액과 관련되는 정보[도 6(e), 도 6(f), 도 7의 「1,250.52유로」를 참조]나, 합계의 금종마다의 매수와 관련되는 정보(도 7 참조)를 출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출력부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대신, 단지,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를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5의 STEP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표시부(32) 등의 입력부는,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에 더하여, 식별 계수부(24)에 의해 식별을 행할 수 없었던 지폐(P´)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 및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기억부(36)에 기억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기억부(36)는, 식별 계수부(24)에 의한 지폐(P)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부분(36a)과,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부분(36b)으로 구성되어 있다.

Claims (10)

  1.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있어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당해 박스체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에 접속되어, 당해 식별 계수부로부터 지폐의 계수 결과가 보내지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보내지게 되어 있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의 출력을 행하는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박스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대하여 지령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동전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동전 식별 계수 장치에 통신 접속되어, 당해 동전 식별 계수 장치로부터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가 보내지는 동전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의 합계 금액과 관련되는 정보와 합계의 금종마다의 매수와 관련되는 정보의 하나 이상을 출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에 더하여,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을 행할 수 없었던 지폐의 수동에 의한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1 기억 부분과,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제2 기억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인쇄하는 인자부, 또는, 외부 장치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보내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외부의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억 매체 기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 장치.
  10. 지폐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기 위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를 사용하여 화폐의 계수를 행하기 위한 화폐 계수 방법에 있어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의 박스체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투입된 지폐에 대하여, 식별 계수부에 의해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공정과,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부에 의해 입력하는 공정과,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한 지폐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동전의 계수 결과와 관련되는 정보를 출력부에 의해 출력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폐 계수 방법.
KR1020117024406A 2009-03-19 2009-03-19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화폐 계수 방법 KR101322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5470 WO2010106667A1 (ja) 2009-03-19 2009-03-19 紙幣識別計数装置および貨幣計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277A KR20110139277A (ko) 2011-12-28
KR101322375B1 true KR101322375B1 (ko) 2013-10-28

Family

ID=4273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406A KR101322375B1 (ko) 2009-03-19 2009-03-19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화폐 계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2189B2 (ko)
EP (1) EP2410498A4 (ko)
KR (1) KR101322375B1 (ko)
CN (1) CN102439636B (ko)
WO (1) WO2010106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5486A (zh) * 2009-02-19 2012-04-04 光荣株式会社 纸张计数装置
US9695005B2 (en) * 2009-02-19 2017-07-04 Glory Ltd. Paper-sheet counting machine
CN103426023B (zh) * 2012-05-25 2017-08-11 光荣株式会社 纸张计数机
CN105849784A (zh) * 2013-12-24 2016-08-10 光荣株式会社 有价介质处理系统以及有价介质处理方法
CN105374108A (zh) * 2014-08-27 2016-03-02 光荣株式会社 纸张处理装置
WO2016088235A1 (ja) * 2014-12-04 2016-06-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AU2022320805A1 (en) * 2021-07-28 2024-02-01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Multi-mode bulk banknote fee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776A (ja) 2005-08-29 2007-03-15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管理装置および現金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074B2 (ja) * 1983-04-04 1994-08-24 株式会社東芝 区分集積装置
JPH0636207B2 (ja) 1984-01-06 1994-05-1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貨幣入金機
JP2603943B2 (ja) 1987-05-20 1997-04-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入出金管理装置
US6736251B2 (en) * 1992-09-04 2004-05-18 Coinstar, Inc. Coin counter and vouche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JPH11306427A (ja) 1998-04-24 1999-11-05 Asahi Seiko Co Ltd 抜き取り検知付きの円板体放出装置
US7269279B2 (en) * 2002-03-25 2007-09-11 Cummins-Allison Corp. Currency bill and coin processing system
JP5060019B2 (ja) * 2004-09-29 2012-10-31 株式会社東芝 ヘッダーカードの処理システム
US7500568B2 (en) * 2005-06-16 2009-03-10 Traidis Standalone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epositing and dispensing ca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776A (ja) 2005-08-29 2007-03-15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管理装置および現金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277A (ko) 2011-12-28
EP2410498A4 (en) 2013-03-06
CN102439636A (zh) 2012-05-02
WO2010106667A1 (ja) 2010-09-23
EP2410498A1 (en) 2012-01-25
CN102439636B (zh) 2014-07-02
US8622189B2 (en) 2014-01-07
US20120006646A1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374B1 (ko)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지폐 식별 계수 방법
KR101322375B1 (ko) 지폐 식별 계수 장치 및 화폐 계수 방법
JP5322901B2 (ja) 紙幣取扱装置
US20110315760A1 (en) Banknote bundling device, banknote bundling method, and banknote bundling system
WO2014064775A1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仕分け装置及び紙葉類仕分けシステム
KR20080096368A (ko) 지폐정리장치
JP2014106791A (ja) 貨幣入出金装置及び貨幣入出金装置の貨幣管理方法
JP2010108160A (ja) 自動取引装置
CN105608783B (zh) 纸币处理装置
JP5583534B2 (ja) 自動取引装置
JP5760770B2 (ja) 紙葉類装填装置
JP5434286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7302418A (ja) 媒体集積装置
JP2017129971A (ja) 紙幣処理装置
JP2008052486A (ja) 自動取引装置
JP4972996B2 (ja) 紙幣取扱装置
EP3211608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JP6910212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JP5642607B2 (ja) 紙幣処理装置
WO2014147972A1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KR20130138510A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JP2014115762A (ja) 自動取引装置
WO2015015535A1 (ja) 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CN108885810B (zh) 货币处理装置
JP2015225442A (ja) 両替機および両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