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224B1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224B1
KR101319224B1 KR1020137018481A KR20137018481A KR101319224B1 KR 101319224 B1 KR101319224 B1 KR 101319224B1 KR 1020137018481 A KR1020137018481 A KR 1020137018481A KR 20137018481 A KR20137018481 A KR 20137018481A KR 101319224 B1 KR101319224 B1 KR 10131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exhaust
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286A (ko
Inventor
츠요시 야마구치
겐이치 마에가이토
요시타카 마츠기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909Regeneration

Abstract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이것들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소자(41)는 세로 유로(F3)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C, 41D)이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소자(42)는 세로 유로(F4)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D, 42D)이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와,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의 사이에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가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믹싱 유로(M1)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기 흡입구로부터 케이스 안으로 흡입된 실외 공기와 배기 흡입구로부터 케이스 안으로 흡입된 실내 공기 사이에서 전열(현열과 잠열)을 교환시키는 전열 교환 소자를 구비한 환기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케이스 내에 2개의 전열 교환 소자(제1 소자와 제2 소자)가 병설된 환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환기 장치를 설치하는 천장 뒤쪽 등의 설치 공간이 좁은 경우, 특허문헌 1과 같은 환기 장치로는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치수가 커지기 쉽기 때문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기 장치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558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환기 장치는, 케이스(21)와,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1)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주판(22, 23) 및, 대향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주판(22, 23)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판(24, 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상기 한 쌍의 측판(24, 25)끼리가 대향하는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병설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에서 전열 교환시킨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유로(F1, F2)와, 상기 주판(22, 23)끼리가 대향하는 주판 대향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유로(F3, F4)를 구비한 직교류식이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이것들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소자(41)는 세로 유로(F3)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C, 41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소자(42)는 세로 유로(F4)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C, 42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가로 유로(F1)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가로 유로(F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소자(41)와 상기 제2 소자(42)가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믹싱 유로(M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며, (C)는 그 우측면도이며, (D)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환기 장치의 케이스의 천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B)는 (A)의 IIB-IIB선 단면도이며, (C)는 (A)의 IIC-IIC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환기 장치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케이스의 저판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기 환기 장치의 케이스 내에 배치된 2개의 전열 교환 소자(제1 소자 및 제2 소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환기 장치의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급기 패스 및 배기 패스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상기 환기 장치의 설치예 1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상기 환기 장치의 설치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상기 환기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의 환기 장치의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급기 패스 및 배기 패스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11)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환기 장치(11)는 케이스(21)와,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와, 팬(92, 93)과, 스위치 박스(9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케이스(21)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주판(22, 23)(저판(22) 및 천판(23))과, 이것들의 주판(22, 23)의 단부끼리를 연결시키는 4개의 측판(24, 25, 26, 27)을 포함한다. 측판(24)과 측판(25)은 방향(D1)에 대향하고 있다. 저판(22)과 천판(23)은 방향(D2)(케이스(21)의 두께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측판(26)과 측판(27)은 방향(D1) 및 방향(D2)에 직교하는 방향(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케이스(21)는 방향(D2)의 치수가 방향(D1)의 치수 및 상기 직교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편평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소자(41), 제2 소자(42) 및 팬(92, 93)은 케이스(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91)는 케이스(21)의 측판(27)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고, 팬(92, 93)의 제어 등을 행하는 도시를 생략한 제어부를 갖고 있다.
케이스(21)는 외기 흡입구(61), 배기 흡입구(63), 실내 급기구(62) 및 배기 분출구(64)를 갖고 있다. 외기 흡입구(61) 및 배기 흡입구(63)는 측판(24)에 설치되어 있고, 실내 급기구(62) 및 배기 분출구(64)는 측판(25)에 설치되어 있다. 측판(24, 25)의 길이 방향은,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측판(24)에 있어서, 외기 흡입구(61)는 측판(24)의 길이 방향의 한쪽(방향(D3))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고, 배기 흡입구(63)는 측판(24)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방향(D4))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측판(25)에 있어서, 실내 급기구(62)는 방향(D4)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고, 배기 분출구(64)는 방향(D3)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각 흡입구(61, 63) 및 각 분출구(62, 64)에는 덕트 접속용 조인트(94)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외기 흡입구(61)로부터 실내 급기구(62)에 이르는 급기 패스(P1)를 흐르는 실외의 공기와, 배기 흡입구(63)로부터 배기 분출구(64)에 이르는 배기 패스(P2)를 흐르는 실내의 공기 사이에서 열 및 수분 중 적어도 한쪽을 수수(교환)시킨다(도 5 참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파형판형상 핀(71)과 칸막이판(72)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이 길이 방향이 방향(D3, D4)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케이스(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소자(41)는 제2 소자(42)보다도 측판(24)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소자(41)는 측판(24)을 따르도록 측판(24)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적층 방향에 인접하는 칸막이판(72, 72) 사이에는, 파형판형상 핀(71)에 의해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층 방향에 인접하는 파형판형상 핀(71, 71)은, 서로의 유로의 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소자(41)는,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유로(F1)와,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유로(F3)를 갖고 있다. 제2 소자(42)는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유로(F2)와,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유로(F4)를 갖고 있다.
도 2의 (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소자(41)는, 가로 유로(F1)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A, 41B) 중, 가로 유로(F1)의 입구측의 면(41A)이 측판(24)측에 위치하고, 제2 소자(42)는 가로 유로(F2)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A, 42B) 중, 가로 유로(F2)의 입구측의 면(42A)이 측판(24)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소자(41)는 세로 유로(F3)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C, 41D) 중, 세로 유로(F3)의 입구측의 면(41C)이 천판(23)측에 위치하고, 제2 소자(42)는 세로 유로(F4)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C, 42D) 중, 세로 유로(F4)의 입구측의 면(42D)이 저판(22)측에 위치하고 있다. 가로 유로(F1, F2)의 각 대향면은, 측판(24)에 대략 평행하다. 세로 유로(F3, F4)의 각 대향면은 천판(23) 및 저판(22)에 대략 평행하다.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의 입구측의 면(41A)에는 필터(81)가 장착되어 있고, 제2 소자의 세로 유로(F4)의 입구측의 면(42D)에는 필터(82)가 장착되어 있다.
팬(92, 93)은 소자(41, 42)보다도 측판(25)측에 위치하고, 측판(25)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팬(92, 93)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익 팬 등의 원심 팬을 사용할 수 있다. 팬(92, 93)은 천판(23) 및 저판(22)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공기의 흡인구와, 측판(25)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공기의 토출구를 각각 갖고 있다. 팬(92)의 토출구는, 배기 분출구(64)에 접속되어 있고, 팬(93)의 토출구는, 실내 급기구(62)에 접속되어 있다. 팬(92)은 배기 패스(P2)의 공기의 흐름을 만들고, 팬(93)은 급기 패스(P1)의 공기의 흐름을 만든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 패스(P1)의 흡입구인 외기 흡입구(61)는, 측판(24)에 있어서, 제1 소자(41)에 대해 그 길이 방향인 방향(D3)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배기 패스(P2)의 흡입구인 배기 흡입구(63)는 측판(24)에 있어서, 제1 소자(41)에 대해 그 길이 방향인 방향(D4)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도 2의 (A) 내지 (C),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 내에는, 제1 안내판(51), 제2 안내판(52), 칸막이 부재(45 내지 48) 및 칸막이 부재(53 내지 59)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안내판(51, 52), 칸막이 부재(45 내지 48) 및 칸막이 부재(53 내지 59)는, 케이스(21)의 내벽면과 함께 급기 패스(P1)의 유로 및 배기 패스(P2)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팬(92, 9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급기 패스(P1)에서는, 실외의 공기(OA)(외기 흡입(OA))는, 외기 흡입구(61),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 제1 믹싱 유로(M1),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 팬(93), 실내 급기구(62)의 순서로 케이스(21) 안을 흐르고, 실내 급기구(62)로부터 실내로 실내 급기(SA)로서 급기된다.
배기 패스(P2)에서는, 실내의 공기(배기 흡입(RA))는, 배기 흡입구(63),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 제2 믹싱 유로(M2),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 팬(92), 배기 분출구(64)의 순서로 케이스(21) 안을 흐르고, 배기 분출구(64)로부터 실외로 배기 분출(EA)로서 배기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 패스(P2)는, 배기 흡입구(63)로부터 케이스(21) 안으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소자(41)를 통과하지 않는 후술하는 우회로(B)(도 3 참조)를 경유해서 제1 소자(41)보다도 측판(25)측으로 흘러서 제2 소자(42)를 먼저 통과한 후, 제2 믹싱 유로(M2)를 측판(24)측으로 흐르고, 또한 제1 소자(41)를 통과해서 배기 분출구(64)에 이르는 선회한 경로(도 2의 (B) 및 도 5 참조)를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믹싱 유로(M1)는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와,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가로 유로(F1)와 가로 유로(F2)를 접속하고 있다. 이 제1 믹싱 유로(M1)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가 방향(D1)으로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서 배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이것들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믹싱 유로(M1)는, 상기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일정한 폭을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소자(41)의 면(41B)과 제2 소자(42)의 면(42A)의 거리는, 상기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거의 일정하다. 제1 믹싱 유로(M1)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이다.
제1 믹싱 유로(M1)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사이에 예를 들어 칸막이 부재(45, 46, 47, 48)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칸막이 부재(45)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상부(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상부)의 간극을 막고 있다. 칸막이 부재(46)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하부의 간극을 막고 있다. 칸막이 부재(47)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방향(D3)의 간극을 막고 있다. 칸막이 부재(48)는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방향(D4)의 간극을 막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믹싱 유로(M2)는, 천판(23)과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믹싱 유로(M2)는, 천판(23)의 내면과, 제1 소자(41)의 면(41C), 제2 소자(42)의 면(42C) 및 칸막이 부재(45)의 사이의 공간이다. 제2 믹싱 유로(M2)는,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와,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의 사이에 위치하고, 세로 유로(F3)와 세로 유로(F4)를 접속하고 있다.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방향(D2)에 있어서 저판(22)보다도 천판(2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와 천판(23)의 거리(L1)는,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와 저판(22)의 거리(L2)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주판과 소자의 거리가 작은 쪽에 제2 믹싱 유로(M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시를 간략화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는 3열의 관통 구멍(F11, F12, F13)을 갖고,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는 3열의 관통 구멍(F21, F22, F23)을 갖고,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는 3열의 관통 구멍(F31, F32, F33)을 갖고,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는 3열의 관통 구멍(F41, F42, F43)을 갖고 있다.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F11, F12, F13)을 통과한 각 공기는,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로 유입되기 전에, 제1 믹싱 유로(M1)에 있어서 혼합되며, 그 후,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의 관통 구멍(F21, F22, F23)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F41, F42, F43)을 통과한 각 공기는,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로 유입되기 전에, 제2 믹싱 유로(M2)에 있어서 혼합되며, 그 후,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의 관통 구멍(F31, F32, F33)으로 유입된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56)는 급기 패스(P1)에 있어서 외기 흡입구(61)로부터 흡입된 외기 흡입(OA)과, 배기 패스(P2)에 있어서 배기 흡입구(63)로부터 흡입된 배기 흡입(RA)이 혼합되지 않도록,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의 입구측의 면(41A)과 측판(2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56)의 일단부는, 제1 소자(41)의 방향(D4)의 단부 근방에 고정되고, 칸막이 부재(56)의 타단부는 측판(24)에 근접 또는 접촉한 위치에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57)는 제1 소자(41)의 방향(D3)의 단부와 측판(2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56)와 칸막이 부재(57)는, 일체의 판상 부재이며, 외기 흡입구(61)의 영역에 외기 흡입(OA)이 통과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58) 및 칸막이 부재(59)는, 급기 패스(P1)에 있어서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를 통과한 공기(외기 흡입(OA))를 팬(93)으로 안내함과 함께, 그 공기가 배기 패스(P2)를 흐르는 공기와 혼합되지 않도록 급기 패스(P1)와 배기 패스(P2)를 칸막이하기 위한 것이다. 칸막이 부재(58)는,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의 출구측의 면(42B) 중 방향(D3)측의 영역을 덮고 있다. 칸막이 부재(59)는, 팬(92)과 팬(93)의 사이에 세워 설치된 판상 부재이다. 칸막이 부재(59)의 일단부는, 칸막이 부재(58)의 방향(D4)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칸막이 부재(59)의 타단부는 측판(25)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B), (C)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내판(51)은 저판(22)과, 제1 소자(4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안내판(51)은 내면이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의 출구측의 면(41D)에 대면하고, 외면이 저판(22)에 대면하고 있다. 제2 안내판(52)은 저판(22)과, 제2 소자(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안내판(52)은 내면이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의 입구측의 면(42D)에 대면하고, 외면이 저판(22)에 대면하고 있다.
제1 안내판(51)의 일단부변(51a)은 제1 소자(41)에 있어서의 방향(D4)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안내판(51)의 타단부변(51b)은 일단부변(51a)보다도 방향(D3)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안내판(51)은 일단부변(51a)으로부터 제1 소자(41)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안내판(51)은 일단부변(51a)으로부터 타단부변(51b)을 향함에 따라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의 출구측의 면(41D)과의 거리가 커지도록 제1 소자(4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안내판(52)의 일단부변(52a)은 제2 소자(42)에 있어서의 방향(D3)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안내판(52)의 타단부변(52b)은 일단부변(52a)보다도 방향(D4)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안내판(52)은 일단부변(52a)으로부터 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안내판(52)은 타단부변(52b)으로부터 일단부변(52a)을 향함에 따라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의 입구측의 면(42D)과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안내판(51)은 그 일단부변(51a)이 제1 소자(41)의 방향(D4)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안내판(52)은 그 일단부변(52a)이 제2 소자(42)의 방향(D3)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안내판(51) 및 제2 안내판(52)은, 예를 들어 저판(2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안내판(51)은 일단부변(51a) 및 타단부변(51b)과, 이들의 사이에 연장되는 한쪽 측변(51c) 및 다른 쪽 측변(51d)을 갖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판상의 부재이다. 한쪽 측변(51c)은 흡입구측(측판(24)측)에 위치하고, 다른 쪽 측변(51d)은 분출구측(측판(25)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안내판(52)은 일단부변(52a) 및 타단부변(52b)과,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한쪽 측변(52c) 및 다른 쪽 측변(52d)을 갖는 판상의 부재이다. 한쪽 측변(52c)은 흡입구측(측판(24)측)에 위치하고, 다른 쪽 측변(52d)은 분출구측(측판(25)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안내판(51)의 타단부변(51b)과 제2 안내판(52)의 타단부변(52b)은 방향(D1)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보아 서로 근접한 위치에 있다.
상기한 경사 자세로 제1 안내판(51)이 배치됨으로써 생기는 한쪽 측변(51c)과 제1 소자(41)의 사이의 간극은, 칸막이 부재(53)에 의해 막혀 있고, 다른 쪽 측변(51d)과 제1 소자(41)의 사이의 간극은, 칸막이 부재(54)에 의해 막혀 있다.
칸막이 부재(53)는 제1 소자(41)에 있어서의 저판(22)측이면서 측판(24)측의 가장자리부(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의 근방으로부터 측변(51c)을 향해서 세워 설치되고, 제1 안내판(51)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는 판상의 부재이다. 칸막이 부재(53)는 제1 소자(41)의 방향(D4)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제1 안내판(51)의 타단부변(51b)을 초과한 부근(제1 소자(41)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초과한 부근)까지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53)는 제1 안내판(51)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으며, 이 가장자리부가 제1 안내판(51)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다.
칸막이 부재(54)는 제1 소자(41)의 방향(D4)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방향(D3)의 단부 근방까지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칸막이 부재(54)에 있어서의 방향(D4)의 약 절반의 영역은, 제1 안내판(51)의 측변(51d)과 제1 소자(41)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방향(D3)의 약 절반의 영역은 제2 안내판(52)의 측변(52c)과 제2 소자(42)의 사이의 간극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칸막이 부재(54)는 제1 소자(41)에 있어서의 저판(22)측이면서 제2 소자(42)측의 가장자리부(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의 근방으로부터 제1 안내판(51)의 측변(51d) 및 제2 안내판(52)의 측변(52c)을 향해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54)는, 제1 안내판(51)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으며, 이 가장자리부가 제1 안내판(51)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54)는 제2 안내판(52)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으며, 이 가장자리부가 제2 안내판(52)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54)는, 제1 안내판(51)의 경사 및 제2 안내판(52)의 경사를따르고 있으므로, 흡입구측으로부터 방향(D1)으로 측면에서 보면, 저판(22)측으로 볼록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안내판(52)의 측변(52d)과 제2 소자(42)의 사이의 간극은, 칸막이 부재(55)에 의해 막혀 있다. 이 칸막이 부재(55)는 제2 소자(42)에 있어서의 저판(22)측이면서 측판(25)측의 가장자리부(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의 근방으로부터 측변(52d)을 향해서 세워 설치되고, 제2 안내판(52)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는 판상의 부재이다.
칸막이 부재(55)는 제2 소자(42)의 방향(D3)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제2 안내판(52)의 타단부변(52b)을 초과한 부근(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초과한 부근)까지 연장되는 경사 가장자리부와, 이 경사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 소자(42)의 방향(D4)의 단부 근방까지 더 연장되는 평행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다. 상기 경사 가장자리부는, 제2 안내판(52)의 경사 방향을 따라서 경사져 있고, 제2 안내판(52)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해 있다. 상기 평행 가장자리부는, 저판(22)에 대략 평행하며, 저판(22)과 함께 배기 패스(P2)의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내판(51)은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로 배기 패스(P2)를 흐르는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그 공기를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로 안내하는 우회로(B)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우회로(B)는 제1 안내판(51)의 외면(저판(22)측의 면)과 저판(22)의 내면의 사이의 영역과, 제1 소자(41)의 방향(D4)의 단부면과 측판(27)의 내면의 사이의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안내판(5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우회로(B)의 단면적(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내판(51)은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흐르는 배기 패스(P2)의 공기를 제1 소자(41)의 길이 방향인 방향(D3)의 영역에 많이 배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제1 소자(41)의 방향(D4)의 영역은, 제1 안내판(51)과의 거리가 작으므로, 세로 유로(F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흐를 때의 저항도 커진다. 따라서,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흐르는 배기 패스(P2)의 공기는, 제1 소자(41)의 길이 방향인 방향(D4)의 영역보다도 방향(D3)의 영역에 많이 배분된다. 제1 안내판(51)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배분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안내판(52)은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통과한 배기 패스(P2)를 흐르는 공기가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로 재유입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그 공기를 실내 급기구(62)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로(G)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안내판(52)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안내로(G)의 단면적(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설치예 1]
도 6은 환기 장치(11)의 설치예 1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맨션 등의 집합 주택의 방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 중 환기 장치(11)는 천장 뒤쪽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이 환기 장치(11)의 외기 흡입구(61), 배기 흡입구(63), 실내 급기구(62) 및 배기 분출구(6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환기 장치(11)는 공용 복도측의 일 벽면(87)과 베란다측의 다른 벽면(88)의 사이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1)의 측판(24)(도 2)이 일 벽면(87)측을 향하고, 측판(25)이 다른 벽면(88)측을 향하고 있다.
외기 흡입구(61)에 접속된 덕트(83)는, 건물의 일 벽면(87)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일 벽면(87)에는, 덕트(83)에 연결되는 흡입구(83a)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 분출구(64)에 접속된 덕트(84)는 일 벽면(87)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벽면(88)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다른 벽면(88)에는, 덕트(84)에 연결되는 분출구(84a)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급기구(62)에 접속된 덕트(85)는 베란다에 인접한 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방의 천장에는 덕트(85)에 연결되는 분출구(85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흡입구(61)가 측판(24)에 설치되어 있고, 배기 분출구(64)가 측판(24)에 대향하는 측판(2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83) 또는 덕트(84)를 유턴시키는 시공을 하지 않고 덕트(83) 및 덕트(84)를 거의 직선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설치예 2]
도 7은 환기 장치(11)의 설치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설치예 2에서는 환기 장치(11)의 외기 흡입구(61)가 설치된 측판(24)을 하방을 향해서, 실내 급기구(62) 및 배기 분출구(64)가 설치된 측판(25)을 상방을 향해서 배치하고 있다. 배기 흡입구(61)는 주판(22)(도 2의 저판(22))에 설치되어 있다. 주판(22)에 있어서 배기 흡입구(61)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는, 측판(24)의 근방의 위치이며, 구체적으로는, 제1 소자(41) 및/또는 제2 소자(42)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이 환기 장치(1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측판(24)의 배기 흡입구(63)는 막혀 있다. 환기 장치(11)는 외벽(96)과 방의 내벽(95)의 사이에 설치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방바닥(98)에 가까운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외기 흡입구(61)에 접속된 덕트(83)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벽(96)측으로 굴곡져서, 외벽(96)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벽(96)에는 덕트(83)에 연결되는 흡입구(83a)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급기구(62)에 접속된 덕트(85)는 내벽(95)과 외벽(96)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천장(97)을 초과하는 부근까지 상방으로 연장되고, 천장 뒤쪽 공간에서 천장(97)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천장(97)에는 덕트(85)에 연장되는 분출구(85a)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 분출구(64)에 접속된 덕트(84)는 내벽(95)과 외벽(96)의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천장(97)을 초과하는 부근까지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벽(96)측으로 굴곡져서, 외벽(96)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벽(96)에는 덕트(84)에 연결되는 분출구(84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흡입구(61)가 하방을 향한 측판(24)에 설치되어 있고, 배기 분출구(64)가 상방을 향한 측판(25)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83) 또는 덕트(84)를 유턴시키는 시공을 하지 않고 덕트(83) 및 덕트(84)를 거의 직선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흡입구(61) 및 배기 흡입구(63)가 측판(24)에 설치되고, 실내 급기구(62) 및 배기 분출구(64)가 측판(25)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급기구(62) 및 배기 흡입구(63)가 한쪽 측판(예를 들어 측판(24))에 설치되고, 외기 흡입구(61) 및 배기 분출구(64)가 상기 한쪽 측판에 대향하는 다른 쪽 측판(예를 들어 측판(25))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배기 패스(P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선회한 경로를 갖고 있지 않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로를 갖고 있다. 즉, 배기 패스(P2)에서는, 실내의 공기(배기 흡입(RA))는, 배기 흡입구(63),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 제2 믹싱 유로(M2),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 팬(92), 배기 분출구(64)의 순서로 케이스(21) 안을 흐르고, 배기 분출구(64)로부터 실외로 배기 분출(EA)로서 배기된다. 또한, 도 9에서는, 팬(92, 9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급기 패스(P1)에서는 실외의 공기(OA)(외기 흡입(OA))는, 외기 흡입구(61), 팬(93),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 제1 믹싱 유로(M1),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 실내 급기구(62)의 순서로 케이스(21) 안을 흐르고, 실내 급기구(62)로부터 실내로 실내 급기(SA)로서 급기된다.
또한, 전술한 구체적 실시 형태에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1) 본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는, 케이스(21)와,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1)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주판(22, 23) 및, 대향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주판(22, 23)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판(24, 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상기 한 쌍의 측판(24, 25)끼리가 대향하는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병설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에서 전열 교환시킨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유로(F1, F2)와, 상기 주판(22, 23)끼리가 대향하는 주판 대향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유로(F3, F4)를 구비한 직교류식이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이것들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소자(41)는 세로 유로(F3)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C, 41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소자(42)는 세로 유로(F4)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C, 42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가로 유로(F1)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가로 유로(F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소자(41)와 상기 제2 소자(42)가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믹싱 유로(M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제1 소자(41)는 세로 유로(F3)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C, 41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자(42)는 세로 유로(F4)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C, 42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직육면체 형상의 전열 교환 소자가, 특허문헌 1과 같이 대향하는 모퉁이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이 한쪽 주판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전열 교환 소자의 크기가 동일하더라도,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유로(F1, F2)와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유로(F3, F4)가 직교하고 있는 직교류식의 전열 교환 소자이므로, 복수의 관통 구멍에 있어서의 열교환의 정도는 일정하지 않아, 관통 구멍 사이에서 큰 치우침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제1 소자(41)에 있어서, 세로 유로(F3)의 입구측에 가까운 가로 유로(F1)의 관통 구멍(F11)은, 세로 유로(F3)의 출구측에 가까운 가로 유로(F1)의 관통 구멍(F13)보다도 세로 유로(F3)를 흐르는 공기와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공기가 열교환되기 쉽다. 따라서, 가령, 믹싱 유로를 갖고 있지 않고,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가 간극없이 병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소자(41)에 있어서 세로 유로(F3)의 입구측에 가까운 가로 유로(F1)의 관통 구멍(F11)을 통과한 공기는, 이 제1 소자(41)에 있어서 충분히 열교환이 이루어지면, 그 후, 제2 소자(41)의 가로 유로(F2)의 관통 구멍(F21)을 통과할 때 세로 유로(F4)를 흐르는 공기와의 온도차가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 유로(F2)의 상기 관통 구멍(F21)을 흐르는 공기와 세로 유로(F4)를 흐르는 공기 사이에서는 열교환이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아, 가로 유로(F2)의 상기 관통 구멍(F21)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가로 유로(F1)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가로 유로(F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소자(41)와 상기 제2 소자(42)가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믹싱 유로(M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믹싱 유로(M1)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에 있어서의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각 공기는,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로 유입되기 전에, 믹싱 유로(M1)에 있어서 혼합된다.
여기서,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사이에 간단히 믹싱 유로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소자(41)와 제2 소자(42)의 간격이 극단적으로 좁은 개소에 있어서는,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의 어느 관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이 관통 구멍의 근방에 있는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의 관통 구멍에 바로 도달해버린다. 이 때문에, 상기 관통 구멍을 흐르는 공기는, 믹싱 유로에 있어서 다른 관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된 공기와 충분히 혼합되기 전에, 온도차에 편차를 가진 상태 그대로 근방의 상기 관통 구멍으로 유입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이것들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믹싱 유로(M1)를 구성하는 상기 간극은, 상기 길이 방향에 걸쳐서 거의 일정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가로 유로(F1)의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된 각 공기가 믹싱 유로(M1)에 있어서 모조리 혼합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불필요한 관통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환기 장치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환기 장치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케이스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2) 상기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상기 주판 대향 방향(D2)에 있어서 한쪽 주판(22)보다도 다른 쪽 주판(2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세로 유로(F3)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세로 유로(F4)의 사이에는, 제2 믹싱 유로(M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믹싱 유로(M2)는 상기 다른 쪽 주판(23)과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의 사이의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직교류식의 전열 교환 소자이므로, 복수의 관통 구멍에 있어서의 열교환의 정도는 일정하지 않고, 관통 구멍 사이에서 큰 치우침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는,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세로 유로(F3)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세로 유로(F4)의 사이에 제2 믹싱 유로(M2)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류측에 위치하는 소자에 있어서의 세로 유로(도 5의 경우,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의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공기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소자의 세로 유로(도 5의 경우,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로 유입되기 전에, 제2 믹싱 유로(M2)에 있어서 혼합된다. 게다가, 이 제2 믹싱 유로(M2)는 다른 쪽 주판(23)과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믹싱 유로(M2)는 주판과 소자와의 간극이 작은 쪽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굳이 간극이 작은 쪽 공간을 제2 믹싱 유로(M2)로 함으로써, 상류측의 소자에 있어서의 세로 유로의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유출된 공기가 제2 믹싱 유로(M2)를 통과할 때에 간극이 큰 쪽 공간을 통과하는 경우에 비해 공기가 보다 혼합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하류측의 소자의 세로 유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불필요한 관통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환기 장치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개량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 흡입구, 배기 흡입구, 실내 급기구 및 배기 분출구가 케이스의 측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판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주판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측판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안내판 및 제2 안내판이 저판과 제1 소자 및 제2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제1 안내판 및 제2 안내판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안내판 및 제2 안내판은, 천판과 제1 소자 및 제2 소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패스(P2)가 선회한 경로를 갖고 있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급기 패스(P1)가 선회한 경로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의 (B)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패스(P1)가 케이스(21) 안을 측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으로 진행하는 경로(예를 들어 OA로부터 SA를 향해서 진행하는 경로)를 갖고, 다른 쪽 패스(P2)가 케이스(21) 안을 선회하는 경로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한쪽 패스(P1)의 상방에는, 다른 쪽 패스(P2)의 공기층(제2 믹싱 유로(M2))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 패스(P1)의 하방에는, 다른 쪽 패스(P2)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한쪽 패스(P1)를 흐르는 공기는, 상하가 공기층에 감싸져 있는 상태에 있어, 케이싱의 외부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참고예]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7-285584호 공보)과 같은 종래의 환기 장치에서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측판 중, 한쪽 측판에 외기 흡입구가 설치되고, 다른 쪽 측판에 배기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분출되는 배기 분출구는, 외기 흡입구와 동일한 상기 한쪽 측판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환기 장치와 같이, 외기 흡입구와 배기 분출구가 동일한 측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배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실내 공기의 일부를 외기 흡입구로부터 다시 흡입해버리는 쇼트 서킷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쇼트 서킷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기 흡입구에 접속되는 덕트 및 배기 분출구에 접속되는 덕트의 배치 위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기 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면 외기 흡입구와 배기 분출구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쇼트 서킷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쇼트 서킷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외기 흡입구에 접속되는 덕트 및 배기 분출구에 접속되는 덕트의 한쪽 또는 양쪽을 크게 구부려서 배치하고, 덕트끼리의 거리를 이격해서 시공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러한 시공은, 덕트를 구부려서 배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이 필요해지므로, 예를 들어 천장 뒤쪽 설치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많은 경우에는 부적합한다.
따라서, 이하의 참고예의 목적은, 쇼트 서킷을 억제하기 위한 덕트의 배치가 용이하고, 게다가, 환기 성능이 우수한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참고예의 환기 장치는, 케이스(21)와,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1)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주판(22, 23) 및, 대향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주판(22, 23)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판(24, 25)을 포함하고, 외기 흡입구(61), 실내 급기구(62), 배기 흡입구(63) 및 배기 분출구(64)를 갖고 있다.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에서 전열 교환시킨다. 상기 외기 흡입구(61)는, 한쪽 측판(24)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분출구(64)는, 다른 쪽 측판(25)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소자(41)는, 상기 제2 소자(42)보다도 상기 한쪽 측판(24)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외기 흡입구(61)로부터 상기 실내 급기구(62)에 이르는 급기 패스(P1) 및 상기 배기 흡입구(63)로부터 상기 배기 분출구(64)에 이르는 배기 패스(P2) 중 한쪽 패스는 상기 외기 흡입구(61) 및 상기 배기 흡입구(63) 중 한쪽 흡입구로부터 케이스(21) 안으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소자(41)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소자(42)를 통과하는 경로를 갖고 있다. 다른 쪽 패스는, 상기 외기 흡입구(61) 및 상기 배기 흡입구(63) 중 다른 쪽 흡입구로부터 케이스(21) 안으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소자(41)를 통과하지 않는 우회로(B)를 경유해서 상기 제1 소자(41)보다도 상기 다른 쪽 측판(25)측으로 흘러서 상기 제2 소자(42)를 먼저 통과한 후, 상기 한쪽 측판(24)측으로 되돌아가 상기 제1 소자(41)를 통과하는 선회한 경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환기 장치에서는, 쇼트 서킷을 억제하기 위한 덕트의 배치가 용이하고, 게다가 환기 성능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우선, 쇼트 서킷을 억제하기 위한 덕트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 구성에서는, 한쪽 측판(24) 또는 그 근방에 외기 흡입구(61)를 설치하고, 이에 대향하는 다른 쪽 측판(25) 또는 그 근방에 배기 분출구(6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외기 흡입구(61)와 배기 분출구(64)를 동일한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외기 흡입구(61)와 배기 분출구(64)의 거리를 멀리 떼어 놓을 수 있으므로, 외기 흡입구(61)에 접속한 덕트 및 배기 분출구(64)에 접속한 덕트의 한쪽 또는 양쪽을, 서로의 거리를 이격하기 위해서 크게 구부려서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천장 뒤쪽 설치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많은 경우에도, 쇼트 서킷을 억제하기 위한 덕트의 배치가 용이해진다.
구체예로서, 외기 흡입구(61)에 접속한 덕트를 건물의 일 벽면까지 연장시키고, 배기 분출구(64)에 접속한 덕트를 상기 일 벽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벽면까지 연장시키는 시공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외기 흡입구(61)와 동일한 한쪽 측판(24)에 배기 분출구(64)를 설치하면, 배기 분출구(64)에 접속한 덕트를 상기 다른 벽면을 향하기 위해서 유턴시키는 시공이 필요한 반면에, 본 구성에서는, 덕트를 유턴시키는 시공을 하지 않고 각 덕트를 거의 직선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그런데, 흡입구(외기 흡입구(61) 또는 배기 흡입구(63)) 및 분출구(배기 분출구(64) 또는 실내 급기구(62))를 본 구성과 동일한 배치로 한 경우, 가령 이것들의 배치순을 따라 공기가 각 패스를 흐르는 패스 구조일 때에는, 급기 패스 및 배기 패스 모두, 공기가 제1 소자(41)를 먼저 통과하고, 제2 소자(42)를 나중에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류측의 제1 소자(41)에서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큰 반면에, 하류측의 제2 소자(42)에서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하류측의 제2 소자(42)에 있어서는 열교환량이 적어져 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패스 구조는, 환기 장치의 성능의 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고, 전열 교환 소자를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한 장점을 충분히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참고예의 본 구성에서는,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를 구비하고 있는 장점을 충분히 살려서 환기 장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다른 쪽 패스가 특징적인 경로를 갖고 있다. 즉, 급기 패스(P1) 및 배기 패스(P2) 중 외기 흡입구(61) 및 배기 흡입구(63) 중 한쪽 흡입구로부터 케이스(21) 안으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소자(41)를 통과한 후, 제2 소자(42)를 통과하는 경로를 갖고 있다. 다른 쪽 패스는, 외기 흡입구(61) 및 배기 흡입구(63) 중 다른 쪽 흡입구로부터 케이스(21) 안으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소자(41)를 통과하지 않는 우회로(B)를 경유해서 제1 소자(41)보다도 다른 쪽 측판(25)측으로 흘러서 제2 소자(42)를 먼저 통과한 후, 한쪽 측판(24)측으로 되돌아가 제1 소자(41)를 통과하는 선회한 경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쪽 패스에서는, 상기 우회로(B)를 설치하고, 게다가 선회한 경로로 함으로써 공기를 먼저 제2 소자(42)에 통과시키고, 그 후에 제1 소자(41)에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각 소자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극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를 구비하고 있는 장점을 충분히 살려서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2) 참고예의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한쪽 주판(22)과 상기 제1 소자(41)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안내판(51)과, 상기 한쪽 주판(22)과 상기 제2 소자(42)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안내판(52)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상기 한 쌍의 측판(24, 25)끼리가 대향하는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가로 유로(F1, F2)와, 상기 주판(22, 23)끼리가 대향하는 주판 대향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세로 유로(F3, F4)를 갖는 직교류식이며, 상기 제1 안내판(51)은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세로 유로(F3)로 상기 다른 쪽 패스를 흐르는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그 공기를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세로 유로(F4)로 안내하는 상기 우회로(B)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2 안내판(52)은 상기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통과한 상기 다른 쪽 패스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세로 유로(F4)로 재유입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그 공기를 상기 배기 분출구(64) 또는 상기 실내 급기구(62)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로(G)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가 상기와 같은 가로 유로(F1, F2)와 세로 유로(F3, F4)를 갖는 직교류식인 경우에 있어서, 한쪽 주판(22)과 제1 소자(41)의 사이에 제1 안내판(51)을 배치하고, 한쪽 주판(22)과 제2 소자(42)의 사이에 제2 안내판(52)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다른 쪽 패스에 있어서 전술한 선회한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3) 참고예의 상기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길이 방향이 상기 한쪽 측판(24)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한쪽 패스의 흡입구인 상기 외기 흡입구(61) 또는 상기 배기 흡입구(63)는, 상기 한쪽 측판(24)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고, 상기 다른 쪽 패스의 흡입구인 상기 배기 흡입구(63) 또는 상기 외기 흡입구(61)는, 상기 한쪽 측판(24)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타 방향(D4)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판(52)은 그 일단부(52a)가 상기 제2 소자(42)에 있어서의 상기 일 방향(D3)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타단부(52b)가 일단부(52a)보다도 상기 타 방향(D4)에 위치하고, 타단부(52b)로부터 일단부(52a)를 향함에 따라 상기 제2 소자(42)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선회 경로를 갖는 다른 쪽 패스의 흡입구는, 한쪽 측판(24)에 있어서,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타 방향(D4)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으므로,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에는,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영역, 즉 제2 소자(4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타 방향(D4)의 영역으로 비교적 많은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다른 쪽 패스의 공기가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로 유입되는 양은, 제2 소자(42)의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을 향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제2 안내판(52)을 상기와 같이 경사진 자세로 배치함으로써, 공기의 유입량이 감소하는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을 향할수록 제2 안내판(52)의 내면과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의 입구와의 거리를 작게 하고 있다. 일 방향(D3)의 영역에서는, 제2 안내판(52)의 내면과의 거리를 작게 해도 압력 손실의 점에서의 악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그리고,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에 있어서는, 제2 안내판(52)의 내면과 제2 소자(42)의 거리를 작게 한 만큼, 제2 안내판(52)의 외면과 한쪽 주판(22)의 내면의 간격을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통과한 다른 쪽 패스의 공기가 분출구로 안내되는 안내로(G)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제2 안내판(52)을 상기와 같이 경사진 자세로 배치함으로써, 다른 쪽 패스에 있어서 공기가 흐르는 각 유로의 단면적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으므로, 다른 쪽 패스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4) 참고예의 상기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길이 방향이 상기 한쪽 측판(24)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한쪽 패스의 흡입구인 상기 외기 흡입구(61) 또는 상기 배기 흡입구(63)는, 상기 한쪽 측판(24)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고, 상기 다른 쪽 패스의 흡입구인 상기 배기 흡입구(63) 또는 상기 외기 흡입구(61)는, 상기 한쪽 측판(24)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에 대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타 방향(D4)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판(51)은, 그 일단부(51a)가 상기 제1 소자(41)에 있어서의 상기 타 방향(D4)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타단부(51b)가 일단부(51a)보다도 상기 일 방향(D3)에 위치하고, 일단부(51a)로부터 타단부(51b)를 향함에 따라 상기 제1 소자(41)와의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제1 소자(4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한쪽 패스의 흡입구는, 한쪽 측판(24)에 있어서,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으므로,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에는,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영역, 즉 제1 소자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 방향(D3)의 영역으로 치우쳐서 공기가 유입되기 쉽다.
따라서, 본 구성에서는, 제1 안내판(51)을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자세로 배치함으로써,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흐르는 다른 쪽 패스의 공기를, 세로 유로(F3)의 출구와 제1 안내판(51)의 거리가 작은 길이 방향의 타 방향(D4)의 영역보다도 일 방향(D3)의 영역에 많이 배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소자(41)에 있어서, 가로 유로(F1)를 흐르는 다른 쪽 패스의 공기와, 세로 유로(F3)를 흐르는 다른 쪽 패스의 공기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게다가, 길이 방향의 타 방향(D4)에 있어서 제1 안내판(51)의 내면과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의 입구의 거리를 작게 한 만큼, 제1 안내판(51)의 외면과 한쪽 주판(22)의 내면의 간격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우회로(B)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11 : 환기 장치
21 : 케이스
22 : 저판(한쪽 주판)
23 : 천판(다른 쪽 주판)
24 : 제1 측판(한쪽 측판)
25 : 제2 측판(다른 쪽 측판)
26 : 제3 측판
27 : 제4 측판
41 : 제1 소자(전열 교환 소자)
42 : 제2 소자(전열 교환 소자)
51 : 제1 안내판
52 : 제2 안내판
61 : 외기 흡입구
62 : 실내 급기구
63 : 배기 흡입구
64 : 배기 분출구
B : 우회로
D1 : 측판 대향 방향
D2 : 주판 대향 방향
D3 : 길이 방향의 한쪽
D4 : 길이 방향의 다른 쪽
F1, F2 : 가로 유로
F3, F4 : 세로 유로
G : 안내로
M1 : 제1 믹싱 유로
M2 : 제2 믹싱 유로
OA : 외기 흡입
SA : 실내 급기
RA : 배기 흡입
EA : 배기 분출

Claims (2)

  1.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주판(22, 23) 및, 대향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주판(22, 23)의 단부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판(24, 25)을 포함하는 케이스(21)와, 상기 한 쌍의 측판(24, 25)끼리가 대향하는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병설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에서 전열교환시키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소자(41) 및 제2 소자(42)를 구비한 환기 장치이며,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로 유로(F1, F2)와, 상기 주판(22, 23)끼리가 대향하는 주판 대향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로 유로(F3, F4)를 구비한 직교류식이며,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이것들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소자(41)는 세로 유로(F3)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1C, 41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소자(42)는 세로 유로(F4)가 개구되는 한 쌍의 대향면(42C, 42D)이 상기 한쪽 주판(22)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가로 유로(F1)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가로 유로(F2)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소자(41)와 상기 제2 소자(42)가 상기 측판 대향 방향(D1)으로 서로의 사이에 간극을 두어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 믹싱 유로(M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21)에 설치된 배기 흡입구(63)로부터 배기 분출구(64)에 이르는 배기 패스(P2)는, 상기 배기 흡입구(63)로부터 상기 케이스(21) 내로 흡입된 공기가 우회로(B)를 경유해서 제1 소자(41)보다도 안측에 있는 제2 소자(42)의 세로 유로(F4)를 먼저 통과한 후, 제1 소자(41)의 세로 유로(F3)를 통과하는 선회 경로를 갖고,
    상기 케이스(21)에 설치된 외기 흡입구(61)로부터 실내 급기구(62)에 이르는 급기 패스(P1)는, 제1 소자(41)의 가로 유로(F1) 및 제2 소자(42)의 가로 유로(F2)를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갖고,
    상기 급기 패스(P1)를 흐르는 공기는, 배기 패스(P2)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상하가 감싸져 있는,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는 상기 주판 대향 방향(D2)에 있어서 한쪽 주판(22)보다도 다른 쪽 주판(2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자(41)의 상기 세로 유로(F3)와, 상기 제2 소자(42)의 상기 세로 유로(F4)의 사이에는 제2 믹싱 유로(M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믹싱 유로(M2)는 상기 다른 쪽 주판(23)과 상기 제1 소자(41) 및 상기 제2 소자(42) 사이의 공간인, 환기 장치.
KR1020137018481A 2010-12-20 2011-12-19 환기 장치 KR101319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3425 2010-12-20
JP2010283425 2010-12-20
PCT/JP2011/007080 WO2012086172A1 (ja) 2010-12-20 2011-12-19 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286A KR20130089286A (ko) 2013-08-09
KR101319224B1 true KR101319224B1 (ko) 2013-10-16

Family

ID=4631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481A KR101319224B1 (ko) 2010-12-20 2011-12-19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99309B2 (ko)
EP (1) EP2657621B1 (ko)
JP (1) JP5126406B2 (ko)
KR (1) KR101319224B1 (ko)
CN (1) CN103270374B (ko)
WO (1) WO2012086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8117B2 (ja) * 2010-12-20 2014-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US20130095744A1 (en) * 2011-10-17 2013-04-18 Lennox Industries Inc. Sensor mounting panel for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unit
JP5836914B2 (ja) * 2012-11-05 2015-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JP2014092333A (ja) * 2012-11-06 2014-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US9074789B2 (en) * 2013-03-04 2015-07-07 John P. Hanus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ventilation for a building
JP6377270B2 (ja) * 2015-05-29 2018-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型換気装置
EP3258181B1 (en) * 2015-05-29 2020-12-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type ventilation device
CN106016858B (zh) * 2016-05-12 2019-06-21 上海交通大学 空气调节装置
WO2019244204A1 (ja) * 2018-06-18 2019-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換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11B1 (ko) 2006-04-24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핀 피치가 다른 열교환부를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WO2009128150A1 (ja) 2008-04-16 2009-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5498A (en) * 1929-04-22 1931-09-29 Selmer F Wogan Unit for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ng system
US3666007A (en) * 1970-03-17 1972-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effecting continuous and simultaneous transfer of heat and moisture between two air streams
JPS5461350A (en) * 1977-10-25 1979-05-17 Teijin Ltd Full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JPS6110109Y2 (ko) * 1980-08-30 1986-04-01
US4550773A (en) * 1984-02-02 1985-11-05 Eer Products Inc. Heat exchanger
JPS63123940A (ja) * 1986-11-13 1988-05-27 Matsushita Seiko Co Ltd ダクト用空調換気扇
SE8900848L (sv) * 1989-03-10 1990-09-11 Sixten Persson Luftbehandlingsaggregat
CA2059195C (en) * 1992-01-10 1995-01-31 Rene Morissette Defrostable ventilation system
JPH05296512A (ja) * 1992-04-21 1993-11-09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US5458187A (en) * 1993-12-01 1995-10-17 Honeywell Inc. Dual core air-to-air heat exchanger
JP3453865B2 (ja) * 1994-08-26 2003-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SE512720C2 (sv) * 1995-11-17 2000-05-02 Air Innovation Sweden Ab Värmeväxlare innefattande paket av värmeväxlarelement
US5660228A (en) * 1995-12-12 1997-08-26 Altech Energy Modular air-to-air heat exchanger
JP3045136B2 (ja) 1998-04-10 2000-05-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エレメントのエレメント主体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ユニット
US6612365B1 (en) * 1999-09-17 2003-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ting-element accommodating-box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TE389857T1 (de) * 2002-12-02 2008-04-15 Lg Electronics Inc Wärmetauscher einer lüftungsanlage
KR100628058B1 (ko) * 2005-05-31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US8267164B2 (en) * 2005-11-02 2012-09-18 Air Tech Equipment Ltd. Energy recovery and humidity control
JP4872428B2 (ja) 2006-04-14 2012-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11B1 (ko) 2006-04-24 2007-10-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핀 피치가 다른 열교환부를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WO2009128150A1 (ja) 2008-04-16 2009-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70374A (zh) 2013-08-28
CN103270374B (zh) 2014-10-29
JP5126406B2 (ja) 2013-01-23
EP2657621A1 (en) 2013-10-30
WO2012086172A1 (ja) 2012-06-28
US20130281001A1 (en) 2013-10-24
EP2657621B1 (en) 2015-12-09
JP2012145321A (ja) 2012-08-02
KR20130089286A (ko) 2013-08-09
EP2657621A4 (en) 2014-07-09
US8899309B2 (en)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224B1 (ko) 환기 장치
KR20140137433A (ko) 열교환 소자 및 공기조화 장치
US20120196523A1 (en) High efficiency energy recovery core for ventilation
CN109990387A (zh) 空调组件
JP2016115514A (ja) バッテリ温調装置
JP5408117B2 (ja) 換気装置
KR100975102B1 (ko)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KR100803376B1 (ko) 열교환장치
JP6358534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JP2008122042A (ja) 換気装置
JP2013210170A (ja) 空調システム
JP3525624B2 (ja) 熱交換器付換気装置及び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枠体
JP2022167258A (ja) 空気浄化ユニット
JP35964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3245871A (ja) 熱交換気装置
JPWO2015155855A1 (ja) 空気調和機
KR100676258B1 (ko) 전열교환기
JP7121314B2 (ja) 換気装置
JP4391116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1362895B1 (ko)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JP2001263752A (ja) 熱交換換気装置
JP7126617B2 (ja) 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換気装置
CN104422030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及使用该室内机的空气调节器
JP7148818B2 (ja) 換気装置
KR20240060368A (ko) 전열교환기와 이를 이용한 열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