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102B1 -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102B1
KR100975102B1 KR1020080037153A KR20080037153A KR100975102B1 KR 100975102 B1 KR100975102 B1 KR 100975102B1 KR 1020080037153 A KR1020080037153 A KR 1020080037153A KR 20080037153 A KR20080037153 A KR 20080037153A KR 100975102 B1 KR100975102 B1 KR 10097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outdoor air
indoor
ventilator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506A (ko
Inventor
이돈형
오원호
정준환
윤성서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1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의 내부에 결합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온도차가 줄어들도록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환기장치의 내측에 결합되고, 각각 분리되어 통과되는 실내공기및 실외공기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실내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내공기 유로와, 실외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외공기 유로가 교번되어 적층 형성되되, 상기 실내,외공기 유로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 잠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잠열 열교환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현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현열 열교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되어 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실내의 냉난방 온도 손실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환기장치, 환기시스템, 열교환기, 잠열, 현열

Description

환기장치용 열교환기{The heat exchanger for the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장치의 내부에 결합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의 온도차가 줄어들도록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의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개폐가능한 창문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근래의 건축환경에 의해 환기장치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하우징(100)의 내측에 흡기팬(101)의 작동 압력에 의해 실내공간(40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기공간부(102)와 제2흡기공간부(103)가 형성되어 지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배기팬(105)의 압력에 의해 실내로 끌어들여 토출시키도록 하는 제1배기공간부(106)와 제2배기공간부(107)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제1흡기공간부(102)와 제2흡기공간부(103) 및 제1배기공간부(106)와 제2배기공간부(107)의 사이에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 사이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200)가 구비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흡기팬(101)의 작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배기팬(105)의 작동에 의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며, 열교환기(200)에서 실내,외의 온도차를 줄여 실내 온도의 급격한 변화가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장치는 열교환기가 모두 금속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열전도에 의한 현열 열교환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만 잠열 열교환 능력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면적에 따라 열교환기의 용량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열교환기를 별도로 추가 제작해야 함에 따라, 열교환기의 제작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잠열 열교환 및 현열 열교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잠열 열교환부의 중량이 최소화되면서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의 시설 용량에 따라 열교환기의 용량을 증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와 덕트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기장치의 내측에 결합되고, 각각 분리되어 통과되는 실내공기및 실외공기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실내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내공기 유로와, 실외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외공기 유로가 교번되어 적층 형성되되, 상기 실내,외공기 유로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 잠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잠열 열교환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현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현열 열교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열 열교환부;는 상기 실내,외 공기 유로의 내측 격벽이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현열 열교환부와, 그 양측에 결합된 잠열 열교환부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실내공기 유로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실외공기 유로의 입구 및 출구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잠열 열교환 및 현열 열교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를 제공함으로서,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되어 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실내의 냉난방 온도 손실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잠열 열교환부의 격벽을 종이로 형성하여 잠열 열교환부의 중량이 최소화되면서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중량이 낮아져 열교환기의 설치와 이동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제작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열 열교환부와 잠열 열교환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환기장치의 시설 용량에 따라 열교환기의 용량을 증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설 용량에 따라 열교환기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의 고장이 발생될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 유로의 입구와 출구가 실외공기 유로의 입구 및 출구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열교환기와 덕트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덕트의 배치가 간결해져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더욱 증대됨과 동시에 덕트와 환기장치의 설치 및 결합 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환기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공기 유로(2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외공기 유로(22)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입시켜 실내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기장치(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20)가 잠열 열교환 및 현열 열교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환기장치용 열교환기(2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환기장치(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11)의 외측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각각 분리되어 흐르도록 하는 환기용 덕트가 연결되는 유입구(12a)(12b) 및 배출구(13a)(13b)가 각각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케이스(11)로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고,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14a)(14b)을 구비하여 원활한 환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20)는 덕트를 통해 순환하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서, 실외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외공기 유로(22)와, 실내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내공기 유로(21)가 순차적으로 교번되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분리되어 흐르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내공기 유로(21)와 실외공기 유로(22)는 내측에 다수의 격벽(211)(221)을 형성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기(20)와 맞닿는 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 유로(21)와 실외공기 유로(22)의 양 단부에 형성된 입구측 및 출구측에는 잠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열 열교환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잠열 열교환부(23)의 사이에는 현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열 열교환부(24)를 형성하여 하나의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잠열 및 현열 열교환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열 열교환부(23)를 형성하는 실내공기 유로(21) 및 실외공기 유로(22)의 내부 격벽(211)(221)은 천연펄프나 한지 등의 종이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잠열 열교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20)의 전체적인 중량이 더욱 줄어들게 되어 열교환기(20)의 설치 및 이동 작업이 더욱 간편 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현열 열교환부(24)는 통상의 열교환기(20)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열전도에 의한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외공기 유로(22)의 입구측에 실내공기 유로(21)의 출구가 함께 설치되도록 하되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실외공기 유로(22)의 출구측에 실내공기 유로(21)의 입구가 함께 설치되도록 하되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환기장치(10)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환기용 덕트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잠열 열교환 및 현열 열교환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환기장치용 열교환기(20)의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되고, 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실내의 냉난방 온도 손실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로서, 상술한 잠열 열교환부(23)와 현열 열교환부(2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잠열 열교환부(23)와 현열 열교환부(2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실내공기 유로(21)와 실외공기 유로(22) 및 이에 형성된 격벽(211)(221)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느 일측의 잠열 열교환부(23) 또는 현열 열교환부(24)가 파손되었을 경우 해당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면적에 따라 현열 열교환부(24)의 갯수를 증감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기(20)의 용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환기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공기 유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외공기 유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환기장치의 일 예를 보인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기장치
11 : 케이스 12a,12b : 유입구
13a,13b : 배출구 14a,14b : 송풍팬
20 : 열교환기
21 : 실내공기 유로 22 : 실외공기 유로
211, 221 : 격벽 23 : 잠열 열교환부
24 : 현열 열교환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환기장치(10)의 내측에 결합되고, 각각 분리되어 통과되는 실내공기및 실외공기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20)는 실내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내공기 유로(21)와, 실외공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실외공기 유로(22)가 교번되어 적층 형성되되, 상기 실내,외공기 유로(21)(22)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 잠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잠열 열교환부(23)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현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현열 열교환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잠열 열교환부(23)는 상기 실내,외공기 유로(21)(22)의 내측 격벽(211)(221)이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현열 열교환부(24)와, 그 양측에 결합된 잠열 열교환부(23)는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실내공기 유로(21)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실외공기 유로(22)의 입구 및 출구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4. 삭제
KR1020080037153A 2008-04-22 2008-04-22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KR10097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53A KR100975102B1 (ko) 2008-04-22 2008-04-22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53A KR100975102B1 (ko) 2008-04-22 2008-04-22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06A KR20090111506A (ko) 2009-10-27
KR100975102B1 true KR100975102B1 (ko) 2010-08-11

Family

ID=4153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53A KR100975102B1 (ko) 2008-04-22 2008-04-22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47B1 (ko) 2013-01-03 2014-01-0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46B1 (ko) * 2011-05-02 2013-02-15 김계철 열교환기
CN106940064A (zh) * 2017-05-13 2017-07-11 昆山斯莱姆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吊顶式新风机
CN113237148B (zh) * 2021-03-26 2022-02-15 深圳通利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家用新风节能换气热回收式中央空调一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74A (ja) * 1992-07-15 1994-02-08 Hitachi Ltd 換気装置
JPH11325780A (ja) 1998-05-13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素子
JP2000146249A (ja) * 1998-10-30 2000-05-26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100655334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은성씨엔지 환기장치용 전열 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74A (ja) * 1992-07-15 1994-02-08 Hitachi Ltd 換気装置
JPH11325780A (ja) 1998-05-13 1999-11-26 Matsushita Seiko Co Ltd 熱交換素子
JP2000146249A (ja) * 1998-10-30 2000-05-26 Daikin Ind Ltd 換気装置
KR100655334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은성씨엔지 환기장치용 전열 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47B1 (ko) 2013-01-03 2014-01-02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06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8049A1 (en) Ventilation system
US20050257550A1 (en) Ventilating system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KR101133044B1 (ko) 열교환용 관부재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KR100975102B1 (ko)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JP2006125826A (ja) 換気装置
KR10061710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JP2015087058A (ja) 全熱交換器式換気扇
TWI490441B (zh) 資訊機房用空調裝置
KR100747802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WO2018173277A1 (ja) 換気装置
JP2018091498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0541247B1 (ko) 공기흐름전환식 공기조화기
US7445038B2 (en) Rotary total heat exchange apparatus
KR101784135B1 (ko)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환풍 시스템
US20060236713A1 (en) Total heat exchange air conditioner
CN210399238U (zh) 一种空调器室外机以及空调器
KR101431211B1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대향류 환기장치
KR20140113023A (ko) 대향류형 열교환기를 장착한 열회수 환기시스템
JP5247610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090077179A (ko) 급배기 일체형 팬 및 덕트를 이용한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KR100627878B1 (ko)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JP2015094502A (ja) 放熱器及びこれ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CN217441881U (zh) 双向流新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