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297B1 -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297B1
KR101316297B1 KR1020110097588A KR20110097588A KR101316297B1 KR 101316297 B1 KR101316297 B1 KR 101316297B1 KR 1020110097588 A KR1020110097588 A KR 1020110097588A KR 20110097588 A KR20110097588 A KR 20110097588A KR 101316297 B1 KR101316297 B1 KR 10131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iver
vibration
fixe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727A (ko
Inventor
정태욱
김용선
이승훈
배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2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62D1/105Non-rotatable hubs, e.g. the central part of the steering wheel not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험경고장치는 진동발생용 액추에이터(12)가 조향휠(1)의 하단 스포크(4a,4b)쪽 공간으로 내장되어 액추에이터(12)의 진동을 하단스포크(4a,4b)부위로 전달받음으로써, 운전자는 주행중 항상 손으로 잡고 있는 조향휠(1)의 하단부위를 통해 느껴지는 진동으로 위험상황임을 신속히 인식할 수 있고, 특히 시트벨트를 이용한 가슴부위 진동시 느끼는 감성느낌저하가 방지되어 상품성도 크게 높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운전자 위험경고장치{Driver Recognized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휠을 이용해 차량의 위험상태를 촉감으로 알리면서 이를 인식하는 운전자의 감성품질도 높일 수 있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중인 차량이 항상 마주치는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운전자의 개인적인 능력에만 의존하기엔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는데 크게 미흡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운전자가 주행중인 차량으로부터 위험상황에 경고를 받게 되면, 운전자의 개인적인 능력과 관계없이 마주치는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크게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도 8은 차량에서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인 차량이 레이다나 초음파신호를 이용해 전방의 위험상황발생(A)을 감지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이용해 차선이탈(B)을 감지한 경우, 이에 대해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경고등(100)을 점멸하거나 또는 청각으로 알 수 있도록 경고음(200)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촉각으로 알 수 있도록 시트벨트진동(300)을 발생시켜주는 예를 나타낸다.
국내특허공개 특2003-0080842(2003.10.17)은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도 2내지 도 4및 3쪽 16줄 내지 4쪽 3줄 참조.
하지만, 위험상황을 시각이나 청각을 이용해 인식하는 것은 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의 집중력 분산을 가져와 또 다른 위험성을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시트벨트진동을 가슴부위로 느끼는 방식은 운전자의 감성측면에서 상당한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불편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위험상태를 촉감을 이용해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주되 운전자의 손부위를 이용함으로써, 시각이나 청각을 이용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운전중인 운전자의 집중력 분산이 없고 특히 시트벨트를 이용한 가슴부위 진동시 느끼는 감성느낌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전자 위험경고장치는 원형 테두리인 림과, 상기 림의 중앙공간을 점유한 허브커버와, 상기 림에서 상기 허브커버의 허브코어로 이어진 다수의 스포크를 갖춘 조향휠과;
상기 다수의 스포크중 상기 허브커버를 기준으로 그 하단부위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커버로 이어진 2개의 하단스포크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허브커버로 가려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 판단된 위험상황에 따른 제어신호로 구동되어 상기 하단스포크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진동수단;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수단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제공된 제어신호를 받은 제어기를 통한 구동으로 진동을 발생시켜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허브커버에 내장되는 다수 부품에 대해 상기 2개의 하단스포크쪽으로 더 내려와 상기 조향휠의 무게중심균형을 유지하는 레이아웃을 갖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어기로 제어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와, 상기 모터를 상기 허브커버의 허브코어부위를 이용해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연결시켜주는 마운터로 구성된다.
상기모터는 탄성재질의 스무더로 감싸여진다.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납된 상기 모터를 감싸는 탄성재질의 스무더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상기 모터를 감싸는 상기 스무더가 삽입되는 댐퍼홈을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댐퍼홈의 내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스무더와 접촉되어진다.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다른 1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다른 2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는 상기 모터의 양쪽측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각각에 모터가 고정되고, 각각이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된다.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로 각각 고정되는 다른 2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중 하나는 상기 1개의 브릿지와 한쪽으로 위치된 하단스포크에 사선으로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1개의 브릿지와 반대쪽으로 위치된 다른 하단스포크에 사선으로 고정된다.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른 2개의 브릿지와, 상기 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를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또 다른 1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전자 위험경고장치는 원형 테두리를 이루는 림의 중앙공간을 점유한 허브커버의 하단부위로 이어진 한쌍의 하단스포크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허브커버로 가려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 판단된 위험상황에 따른 제어신호로 구동되어 상기 하단스포크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갖춘 조향휠과;
주행중인 차량 전방을 촬영하고 차선검출과 물체를 감지하는 카메라 및 레이더와;
디스플레이로 영상신호를 뿌려 운전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레이더를 통해 감지된 주행차량의 상황조건과, 상기 상황조건에 따라 처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판단조건과, 상기 판단조건에 따른 각 출력신호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진동조건에 대한 로직을 갖춘 컨트롤러;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조건은 주행중인 차량의 좌측차선이탈시 및 우측차선이탈시와 같은 상기 카메라에 기반한 상황조건과,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위험상황시와 충돌위험발생후 해제시와 같은 상기 레이더에 기반한 상황조건이고;
상기 진동조건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온과 오프주기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차선이탈과 관련된 진동모드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온과 오프주기를 달리하여 다른 느낌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충돌위험과 관련된 또 다른 진동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항상 잡고있는 조향휠의 진동을 이용해 주행중인 차량의 위험상태를 촉감을 알려줌으로써 시각이나 청각을 이용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운전중인 운전자의 집중력 분산이 없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항상 잡고있는 조향휠의 진동을 손으로 느껴 차량의 위험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시트벨트를 이용한 가슴부위 진동시 느끼는 감성느낌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조향휠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액추에이터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댐핑(Damping)을 구현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에 적용된 제어기의 작동로직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진동모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액추에이터 설치 변형례이고, 도 8은 종래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위험경고장치는 운전중 운전자가 잡고있는 조향휠(1)에 내장되어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진동수단(10)과, 주행중인 차량(V)의 전방과 그 주변상황의 감지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영상으로 제공하고 더불어 감지된 정보로 판단된 위험상황시 진동수단(10)을 작동시키는 위험판단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험판단수단은 차량 전방을 촬영하고 차선을 감지하는 카메라(40)와, 차량 주위 물체를 감지하는 레이더(50)와, 운전자에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60)와, 전송된 신호를 받아 처리하여 영상신호로 전환하고 특정상황에서 판단된 위험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ECU(Engine Control Unit)나 ACU(Airbag Control Unit)등을 이용하여 준다.
상기 조향휠(1)은 원형의 림(2)의 안쪽으로 에어백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허브커버(5)가 구비되고, 림(2)과 허브커버(5)사이는 한쌍의 상단스포크(3a,3b)와 함께 또 다른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연결된다.
상기 허브커버(5)의 내부로는 골격을 이루는 허브코어(5a)를 구비하고, 외부로는 운전자가 눌러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도록 버튼(30,30')과 같은 여러 편의 조작수단이 더 구성된다.
상기 허브코어(5a)는 조향휠(1)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이어진다.
상기 진동수단(10)은 위험판단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기(11)와, 제어기(11)를 통해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액추에이터(1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11)는 별도의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차량의 ECU(Engine Control Unit)나 ACU(Airbag Control Unit)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11)와 액추에이터(12)는 운전자가 느끼는 진동감성을 좌우할 뿐만아니라 자체 중량으로 인해 조향휠(1)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즉,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깨뜨리지 않는 레이아웃(Layout)도 중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12)는 조향휠(1)의 중앙을 이루어 에어백등을 장착한 허브커버(5)를 기준으로 할 때, 조향휠(1)의 하단부위에서 대칭으로 이루면서 허브커버(5)부위로 이어진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사이로 장착되는 레이아웃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액추에이터(12)가 조향휠(1)의 허브커버(5)와 이에 이어지는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부위로 설치됨으로써, 액추에이터(12)의 진동은 운전자가 주로 잡고 있는 조향휠의 하단부위인 림(2)과 하단스포크(4a,4b)부위로 집중될 수 있어 운전자의 위험상태 인식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자는 손의 진동을 이용하므로 시트벨트를 이용한 가슴부위 진동시 느끼는 감성느낌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는 제어기(11)의 제어로 동작되는 모터(13)와, 모터(13)를 통해 조향휠로 전달되는 진동을 일으키도록 모터(13)에 결합된 진동자(14)와, 모터(13)를 조향휠의 허브커버(5)부위를 이용해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연결되도록 장착된 마운터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터는 모터(13)를 보호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15)과, 하우징(15)의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한쌍의 체결단(15a)과, 조향휠의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에 이어진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되는 브릿지(16)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17,18)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17)는 브릿지(16)의 체결홀(16a)을 관통해 한쌍의 체결단(15a)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5)과 브릿지(16)를 결합하고, 또 다른 볼트(18)는 브릿지(16)의 양끝단을 이용해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에 이어진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됨으로써 브릿지(16)와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결합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댐핑(Damping)을 구현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가)와 같이, 액추에이터(12)에는 하우징(15)의 내부로 수납된 모터(13)를 감싸는 탄성재질의 스무더(20)가 더 구비되고,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5)의 내주면으로 댐퍼홈(15b)이 형성됨으로써 스무더(2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댐퍼홈(15b)은 하우징(15)의 내주면 전체에 파여진 1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로 간격을 두고 3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댐퍼홈(15b)의 내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15c)를 돌출시켜 진동시 스무더(20)에 대한 변형을 유도하도록 댐핑작용을 보다 높여주게 된다.
도 4(나)는 상기와 같이 스무더(20)로 모터(13)를 감싼 액추에이터(12)의 진동선도를 나타내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 단독인 A진동선도에 비해 스무더(20)로 감싼 모터(13)인 B진동선도가 진동을 더욱 저감시켜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에 적용된 제어기(또는 컨트롤러)의 작동로직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직은 카메라(40)와 레이더(50)등을 이용해 감지된 상황조건과, 상황조건에 따른 다양한 신호를 이용한 판단조건과, 판단조건에 따른 출력신호를 이용한 진동조건으로 구별되어진다.
상기 상황조건은 차선이탈시, 차선이탈후 차선복귀시, 차선이탈중 충돌위험시, 차선이탈중 충돌상황시, 충돌위험상황시와 충돌위험발생후 해제시(햅틱해제(OFF)) 또는 충돌위험발생후 PSB 당김으로서, 이는 하나의 일례로서 보다 다양한 상황조건들이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햅틱(Haptic)은 사용자로 하여금 힘을 느낄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하고, PSB는 Pre-Safe Seat Belt로서 프리세이프 시트벨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조건은 상황조건을 카메라(40)에 기반한 신호로 판단하는 3가지조건과, 레이더(50)에 기반한 신호로 판단하는 2가지조건으로 구별되어진다.
카메라(40)에 기반한 신호로 판단하는 3가지조건은 카메라(40)의 온/오프상태와 좌측차선이탈상태 및 우측차선이탈상태를 적용한다. 여기서, 카메라(40)는 차선이탈경고시스템인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례로, 카메라(40)가 온 상태에서 차선이탈인 경우 진동모드1로 구현되고, 차선이탈후 차선복귀인 경우 진동모드1을 중지하며, 차선이탈중 충돌위험인 경우 진동모드1에서 또 다른 진동모드2로 구현하여 준다.
반면, 레이더(50)에 기반한 신호로 판단하는 2가지조건은 레이더(50)를 통해 검출되는 충돌위험상황시와 충돌위험발생후 해제시(햅틱해제(OFF)) 또는 충돌위험발생후 PSB 당김을 적용한다.
일례로, 충돌위험상황인 경우 진동모드2로 구현되고, 충돌위험발생후 해제인 경우 진동모드2를 중지하여 준다. 도 5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진동판단로직(CAN신호)에서 3가지로 구분되는 CF_Ldws_SysStat(LDWS ON/OFF 상태)와 CF_Ldws_LHwarning(LH차선이탈신호) 및 CF_Ldws_ RHwarning(RH차선이탈신호)는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카메라(40)와 관련된 제어신호이고, 나머지 하나로 구분되는 CF_VSM_Beltcmd(PSB작동명령신호)는 레이더(50)와 관련된 제어신호이다. 이때, PSB 작동명령신호는 시트벨트를 당겨주기 위해 PSB를 작동시켜주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로부터, CF_Ldws_SysStat(LDWS ON/OFF 상태)와 CF_Ldws_LHwarning(LH차선이탈신호) 및 CF_Ldws_ RHwarning(RH차선이탈신호)에서 CF_Ldws_SysStat, CF_Ldws_LHwarning, CF_Ldws_ RHwarning는 각각 진동판단로직의 제어신호이고, CF_Ldws_SysStat는 LDWS 작동(ON) 또는 미 작동(OFF)을 구분하는 의미이고, CF_Ldws_LHwarning는 LH(좌측차선)의 차선이탈을 구분하는 의미이며, CF_Ldws_ RHwarning는 RH(우측차선)의 차선이탈을 구분하는 의미이다. 또한, CF_VSM_Beltcmd(PSB작동명령신호)는 진동판단로직의 제어신호이고, PSB작동명령신호는 시트 벨트를 당기기 위한 신호이므로 [햅틱 -> OFF or 당김]에서 [햅틱 -> OFF]는 햅틱이 중단됨을 의미하고 반면 [햅틱 -> 당김]은 햅틱에서 시트 벨트의 당김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진동모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드1은 카메라(40)에 기반한 신호중 차선이탈시에 따른 진동조건으로 구현되는 방식으로, 이는 액추에이터(12)의 온(On)주기에 비해 오프(Off)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게 구현된다.
반면, 진동모드2는 레이더(50)에 기반한 신호중 위험상황시에 따른 진동조건으로 구현되는 방식으로, 이는 액추에이터(12)의 온(On)주기와 오프(Off)주기를 동일한 크기로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진동모드1과 진동모드2의 온오프주기를 달리함으로써 운전자는 조향휠(1)을 통해 느끼는 진동감성을 달리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느끼는 진동감성만으로도 현재 주행중인 차량(V)이 처한 위험상황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선이탈후 차선복귀시에 따른 진동조건은 진동모드1을 오프(Off)상태로 전환하고, 충돌위험발생후 해제시(햅틱해제(OFF)) 또는 충돌위험발생후 PSB 당김시에 따른 진동조건은 진동모드2를 오프(Off)상태로 전환하여 운전자의 진동느낌에 변화를 주는 방식을 적용하여 준다.
반면, 차선이탈중 충돌위험시에 따른 진동조건은 진동모드1에서 진동모드2로 전환함으로써 운전자의 진동느낌에 또 다른 변화를 주는 방식을 적용하여 준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선 조향휠(1)의 하단 스포크(4a,4b)쪽 공간으로 진동발생용 액추에이터(12)를 내장하고, 액추에이터(12)의 진동이 하단스포크(4a,4b)부위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는 주행중 항상 손으로 잡고 있는 조향휠(1)의 하단부위를 통해 느껴지는 진동으로 위험상황임을 신속히 인식할 수 있고, 특히 시트벨트를 이용한 가슴부위 진동시 느끼는 감성느낌저하가 방지되어 상품성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위험경고장치의 액추에이터 설치 변형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의 조향휠(1)에 대한 마운터 구조를 달리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를 통해 조향휠(1)로 전달되는 진동감성을 다양하게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가)는 기본모델로서, 본 실시예로서 기술된 바와 같이 1개의 액추에이터(12)와,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된 1개의 브릿지(16)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 7(나)는 1개의 액추에이터(12)와,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된 1개의 브릿지(16)와, 액추에이터(12)에서 조향휠의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쪽으로 이어진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를 더 적용한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16)와 더불어 허브코어(5a)를 통해 허브커버(5)로 이어진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를 더 구비함으로써, 운전자는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를 통해 액추에이터(12)의 진동을 느끼면서 동시에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로 인해 액추에이터(12)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다)는 1개의 액추에이터(12)와,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된 1개의 브릿지(16)와, 액추에이터(12)의 양쪽에서 조향휠의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쪽으로 이어진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더 적용한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1개의 브릿지(16-1a)와 상기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b)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16)와 더불어 허브커버(5)로 이어진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더 구비함으로써, 운전자는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를 통해 액추에이터(12)의 진동을 느끼면서 동시에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통해 액추에이터(12)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라)는 1개의 액추에이터(12)와,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된 1개의 브릿지(16)와, 액추에이터(12)의 양쪽에서 상기 1개의 브릿지(16)로부터 조향휠의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쪽으로 수직하게 이어진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와, 액추에이터(12)를 고정하고 상기 2개의 브릿지(16-1a,16-1b)사이를 연결한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c)를 더 적용한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브릿지(16-1a,16-1b)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c)는 상기 2개의 브릿지(16-1a,16-1b)사이를 수평하게 가로지르도록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16)와 더불어 허브커버(5)로 이어진 또 다른 3개의 브릿지(16-1a,16-1b,16-1c)를 더 구비함으로써, 운전자는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를 통해 액추에이터(12)의 진동을 느끼면서 동시에 또 다른 3개의 브릿지(16-1a,16-1b,16-1c)를 통해 액추에이터(12)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마)는 2개의 액추에이터(12-1a,12-1b)와,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된 1개의 브릿지(16)와, 1개의 액추에이터(12-1a)를 고정하고 상기 1개의 브릿지(16)와 1개의 하단스포크(4a)로 고정된 다른 1개의 브릿지(16-1a)와, 또 다른 1개의 액추에이터(12-1b)를 고정하고 상기 1개의 브릿지(16)와 또 다른 1개의 하단스포크(4b)로 고정된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b)를 더 적용한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1개의 브릿지(16-1a)는 1개의 하단스포크(4a)에 사선으로 고정되고,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b)도 또 다른 1개의 하단스포크(4b)에 사선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액츄에이터(12-1a,12-1b)를 갖추고,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16)를 기본으로 하고, 상기 1개의 브릿지(16)를 이용해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각각 고정되는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더 구비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a,12-1b)의 진동이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보다 강하게 전달되어 운전자의 진동감성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통해 액추에이터(12-1a,12-1b)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바)는 2개의 액추에이터(12-1a,12-1b)와,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로 고정된 1개의 브릿지(16)와, 1개의 액추에이터(12-1a)를 고정하고 상기 1개의 브릿지(16)와 조향휠의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로 고정된 다른 1개의 브릿지(16-1a)와, 또 다른 1개의 액추에이터(12-1b)를 고정하고 상기 1개의 브릿지(16)에 간격을 두고 조향휠의 허브커버(5)의 허브코어(5a)로 고정된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b)를 더 적용한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1개의 브릿지(16-1a)와 상기 또 다른 1개의 브릿지(16-1b)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액츄에이터(12-1a,12-1b)를 갖추고, 조향휠의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16)를 기본으로 하고, 상기 1개의 브릿지(16)를 이용해 허브커버(5)에 각각 고정되는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더 구비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a,12-1b)의 진동이 한쌍의 하단스포크(4a,4b)에 보다 강하게 전달되어 운전자의 진동감성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또 다른 2개의 브릿지(16-1a,16-1b)를 통해 액추에이터(12-1a,12-1b)가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2,12-1a,12-1b)는 브릿지(16,16-1a,16-1b)를 이용해 조향휠(1)에 내장됨으로써, 운전자는 액츄에이터(12,12-1a,12-1b)로 인한 조향휠(1)의 진동으로 위험상황에 대해 보다 강하게 인식하면서도 보다 향상된 감성으로 느낄수 있게 된다.
1 : 조향휠 2 : 림
3a,3b : 상단스포크 4a,4b : 하단스포크
5 : 허브커버 5a : 허브코어
10 : 진동수단 11 : 제어기
12,12-1a,12-1b : 액추에이터
13 : 모터 14 : 진동자
15 : 하우징 15a : 체결단
15b : 댐퍼홈 15c : 돌기
16,16-1,16-1a,16-1b,16-1c : 브릿지
16a : 체결홀
17,18 : 볼트 20 : 스무더
30,30' : 버튼 40 : 카메라
50 : 레이더 60 : 디스플레이

Claims (16)

  1. 원형 테두리인 림과, 상기 림의 중앙공간을 점유한 허브커버와, 상기 림에서 상기 허브커버의 허브코어로 이어진 다수의 스포크를 갖춘 조향휠과;
    상기 다수의 스포크중 상기 허브커버를 기준으로 그 하단부위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커버로 이어진 2개의 하단스포크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허브커버로 가려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 판단된 위험상황에 따른 제어신호로 구동되어 상기 하단스포크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진동수단; 포함하고,
    상기 진동수단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제공된 제어신호를 받은 제어기를 통한 구동으로 진동을 발생시켜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허브커버에 내장되는 다수 부품에 대해 상기 2개의 하단스포크쪽으로 더 내려와 상기 조향휠의 무게중심균형을 유지하는 레이아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어기로 제어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와, 상기 모터를 상기 허브커버의 허브코어부위를 이용해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연결시켜주는 마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모터는 탄성재질의 스무더로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수납된 상기 모터를 감싸는 탄성재질의 스무더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상기 모터를 감싸는 상기 스무더가 삽입되는 댐퍼홈을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댐퍼홈의 내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스무더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다른 1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다른 2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는 상기 모터의 양쪽측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각각에 모터가 고정되고, 각각이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1개의 브릿지에서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로 각각 고정되는 다른 2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중 하나는 상기 1개의 브릿지와 한쪽으로 위치된 하단스포크에 사선으로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1개의 브릿지와 반대쪽으로 위치된 다른 하단스포크에 사선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터는 상기 모터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고 한쪽 측면부위에서 돌출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단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허브코어에 이어진 상기 한쌍의 하단스포크로 고정되는 1개의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에서 상기 허브코어에 고정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른 2개의 브릿지와, 상기 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다른 2개의 브릿지를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또 다른 1개의 브릿지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5. 원형 테두리를 이루는 림의 중앙공간을 점유한 허브커버의 하단부위로 이어진 한쌍의 하단스포크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허브커버로 가려지고, 주행중인 차량에서 판단된 위험상황에 따른 제어신호로 구동되어 상기 하단스포크에 진동을 발생시켜주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갖춘 조향휠과;
    주행중인 차량 전방을 촬영하고 차선검출과 물체를 감지하는 카메라 및 레이더와;
    디스플레이로 영상신호를 뿌려 운전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레이더를 통해 감지된 주행차량의 상황조건과, 상기 상황조건에 따라 처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판단조건과, 상기 판단조건에 따른 각 출력신호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진동조건에 대한 로직을 갖춘 컨트롤러;를 포함해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허브커버에 내장되는 다수 부품에 대해 상기 2개의 하단스포크쪽으로 더 내려와 상기 조향휠의 무게중심균형을 유지하는 레이아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판단조건은 주행중인 차량의 좌측차선이탈시 및 우측차선이탈시와 같은 상기 카메라에 기반한 상황조건과,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위험상황시와 충돌위험발생후 해제시와 같은 상기 레이더에 기반한 상황조건이고;
    상기 진동조건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온과 오프주기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차선이탈과 관련된 진동모드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온과 오프주기를 달리하여 다른 느낌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충돌위험과 관련된 또 다른 진동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KR1020110097588A 2011-09-27 2011-09-27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KR10131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88A KR101316297B1 (ko) 2011-09-27 2011-09-27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88A KR101316297B1 (ko) 2011-09-27 2011-09-27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27A KR20130033727A (ko) 2013-04-04
KR101316297B1 true KR101316297B1 (ko) 2013-10-08

Family

ID=4843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88A KR101316297B1 (ko) 2011-09-27 2011-09-27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459A (ko) * 2017-01-04 2018-07-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4265A (ko) * 2017-08-31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이탈 경고 및 조향방향 안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724B1 (ko) * 2013-11-29 2017-03-31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핸들에 구비된 진동 경고장치
KR102125289B1 (ko) * 2018-11-19 2020-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13335182A (zh) * 2021-07-21 2021-09-03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车内安全系统及其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7A (ja) * 1993-06-28 1995-01-13 Isuzu Motors Ltd 警報器
JP2008068662A (ja) * 2006-09-12 2008-03-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注意喚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07A (ja) * 1993-06-28 1995-01-13 Isuzu Motors Ltd 警報器
JP2008068662A (ja) * 2006-09-12 2008-03-27 Toyota Motor Corp 車両用注意喚起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459A (ko) * 2017-01-04 2018-07-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4265A (ko) * 2017-08-31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이탈 경고 및 조향방향 안내 장치
KR102417530B1 (ko) * 2017-08-31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선이탈 경고 및 조향방향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27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5231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1316297B1 (ko) 운전자 위험경고장치
JP6342856B2 (ja) 車両制御装置
US9734699B2 (en) System for providing alerts to vehicle occupants
US8412390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JP5954901B2 (ja) 車両制御装置
JP4946807B2 (ja) 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JP2005088717A (ja) 自動車用警告装置
JP2010073134A (ja) 車両周辺認知支援システム
US20070000709A1 (en) Dashboard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dashboard
CN107209995B (zh) 驾驶辅助装置及驾驶辅助方法
JP6057957B2 (ja) 車両制御装置
WO2019186816A1 (ja) 鞍乗り型車両
WO2018091675A1 (en) Monitoring a blind spot area of a combination
EP1939061B1 (en) A tactile signaling arrangement for warning the driver of a vehicle, as well as a vehicle steering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such an arrangement
JP5035231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9155864A1 (ja) ストラドルドビークル用情報提示支援装置、及びストラドルドビークル用情報提示システム
KR20120044009A (ko) 자동차용 햅틱장치 및 햅틱 제어 시스템
CN107672555A (zh) 用于车辆的乘员保护装置
KR102017046B1 (ko) 전방 차량 출발 경보 시스템
JP5093603B2 (ja) 危険状況報知装置
KR101763412B1 (ko) 자전거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 및 단말기
EP1939062B1 (en) A tactile/acoustic signaling arrangement for warning the driver of a vehicle, as well as a vehicle steering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such an arrangement
JP7333185B2 (ja) 車両の接近警報装置
KR101827702B1 (ko)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