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702B1 -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702B1
KR101827702B1 KR1020160135620A KR20160135620A KR101827702B1 KR 101827702 B1 KR101827702 B1 KR 101827702B1 KR 1020160135620 A KR1020160135620 A KR 1020160135620A KR 20160135620 A KR20160135620 A KR 20160135620A KR 101827702 B1 KR101827702 B1 KR 10182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unit
information
oper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근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60N2002/026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트는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부; 복수 개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검출부; 복수 개의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 및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Seat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위를 이동하는 기계로,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와, 주행 중 노면의 충격이 차량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은 주행을 위한 전자장치 외에도,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안전 장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블루투스 장치 및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외부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외부의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길 안내 기능(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부가 장치들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의 전자장치들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 가능하며,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 측면은 자율 주행 장치 및 경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자율 주행 장치 및 경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중 조향 명령을 입력받으며, 위험 상황 발생 시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가 마련된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외부의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전력 송출부를 가지는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는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부; 복수 개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검출부; 복수 개의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 및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의 복수 개의 조작부는, 제 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조작부와, 제1조작부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제2조작부와, 제1조작부의 타 측면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제3조작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는 외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선이 연결되고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복수 개의 장치 중 확인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외부의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치에 동작 명령이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복수 개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의 통신 선은, 외부에 마련된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의 출력부는, 제어부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고,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의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시트의 출력부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트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수행 중인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입출력 장치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입출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부와, 복수 개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검출부와,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는 출력부와, 구동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복수 개의 검출부 중 어느 하나의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구동 장치에 동작 명령이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구동 장치의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기초하여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출력부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통신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와의 통신 감도를 확인하고 통신 감도에 기초하여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 및 자기 유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통신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효율이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효율과 기준 충전 효율을 비교하고 수신된 충전 효율이 기준 충전 효율 미만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에서 자기 공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복수 개의 조작부는, 제 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1조작부와, 제1조작부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좌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2조작부와, 제1조작부의 타 측면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우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3조작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트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수행 중인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입출력 장치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고, 자율 주행 모드 수행 시 검출된 속도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제어하고, 자율 주행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입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자율 주행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입출력 장치는, 제 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출력부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트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및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 상황이면 경보 정보를 출력하고, 위험 발생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험 발생 위치의 정보를 입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고, 입출력 장치는, 헤드 레스트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출력부와, 위험 발생 위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위험 발생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입출력 장치는, 제 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1조작부와, 제1조작부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좌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2조작부와, 제1조작부의 다른 측면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우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3조작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좌측 조향 또는 우측 조향 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향각 이하로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경보 장치는,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인식하는 졸음 경보 장치를 포함하고, 입출력 장치의 제어부는, 졸음 경보 장치로부터 졸음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경보 장치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 사각 지대 경보 장치, 전후방 충돌 경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입출력 장치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와의 통신 감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통신 감도에 기초하여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 및 자기 유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입출력 장치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효율이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효율과 기준 충전 효율을 비교하고 수신된 충전 효율이 기준 충전 효율 미만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에서 자기 공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입출력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자율 주행 장치 및 경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 장치들간에 연결(Connectivity)을 통한 시너지를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출력장치를 가진 시트 및 그를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시트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마련된 입출력 장치(140)의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입출력 장치의 조작부와 검출부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입출력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자율 주행 장치의 연동 구성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차로 이탈 경보 장치의 연동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졸음 경보 장치의 연동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시트의 예시도이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 100)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5)과,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21)는 차량 내부의 공간에 탑승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앉을 수 있도록 만든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시트는 배치에 따라 운전석, 동승석, 뒷좌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트는 모양에 따라 긴 의자 형태의 와, 각각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로 분류될 수 있다.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콘솔박스를 기준으로 나뉘어지는 방식으로 주로 승용차에 배치된다.
벤치 시트(bench seat)는 세 사람이 나란히 앉을 수 있게 배열된 방식으로 소형 트럭에 배치된다.
시트는 측면에 마련된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레버를 당기고 밀거나, 뒤로 젖힘으로써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시트는 전동 펌프에 의한 유압 또는 전기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위치를 위, 아래 또는 앞, 뒤로 조절할 수 있는 파워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시트는 내부에 마련된 팬을 포함하고, 이 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주는 통풍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시트는 내부에 마련된 열선을 포함하고, 이 열선을 이용하여 탑승자와의 접촉 부분를 보온으로 유지시켜주는 열선 시트일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가 닿는 패드부(121a)와,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는 지지부(121b)와, 지지부(121b)의 상측에 마련되고 사고 발생 시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게 막아주면서 베개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 레스트(head rest, 121c)와, 지지부(121b)와 헤드 레스트(121c) 사이에 마련되고 헤드 레스트(121c)의 높이를 조절하는 폴대(121d)를 포함한다.
여기서 폴대(121d)는 두 개일 수 있다.
시트(121)는 좌우에 마련되고 탑승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암 레스트(arm rest)와, 지지부(121b)의 양 측에 마련되어 탑승자의 옆구리를 받쳐주는 럼버 서포트(lumber suppo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123)는 표시부(123a)를 포함하고, 이 표시부(123a)는 입출력 장치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3a)는 자율 주행 모드의 온오프, 좌측 조향, 우측 조향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헤드 유닛(125)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각종 기능의 동작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내비게이션 정보, 음악 재생 정보, 외부의 도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130)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복수 개의 차륜(131)과, 차량의 내부로 연결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132)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33)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34)을 포함할 수 있다(도1, 2 참조).
차량의 차대(130)는 전후좌우 차륜에 구동력과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등의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 발생 장치는 엔진, 연료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 전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운전자가 사고의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위험한 상황 시에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장치(Warning System)와, 자 차량의 전방에 자 차량과 일정 거리 이내인 타 차량이 위치하면 제동 장치를 동작시키고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켜 비상 제동을 수행하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AEBS: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를 포함하고,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TPMS)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장치는 자 차로의 이탈을 알리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와, 운전자가 졸음 상태임을 알리는 졸음 경보 장치, 자 차로의 좌우 차로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사각지대 경보 장치(Blind Spot Warning System: BSW, BSA 또는 BSD), 자 차로의 전후방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충돌 경보 장치(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S, Back Warning System: BW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자율 주행 장치(Automatic Driving System), GPS 수신기, 블루투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자율 주행 장치는, 일정 속도로 자율 주행하는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주변의 차량을 인식하여 속도를 조절하면서 자율 주행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주변의 차량을 인식하여 속도를 조절하면서 자율 주행하고 자동으로 정지 및 출발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dvanced Smart Cruise contr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내 각종 장치들은 미리 설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차량은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마련된 입출력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140)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마련된 입출력 장치(140)의 예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입출력 장치의 조작 예시도이다.
이러한 입출력 장치(140)는 운전자의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운전석 시트의 헤드레스트(121c)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121)의 커버 중 운전자의 머리가 접촉하는 면은 운전자가 입출력 장치(140)의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반대 면은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장치(140)는 운전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40a)와,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며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부(140b)를 포함한다.
입력부(140a)는 운전자의 머리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되는 힘으로 인해 이동하는 제1조작부(141), 제2조작부(142) 및 제3조작부(143)를 포함한다.
제1조작부(141)는 운전자의 머리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되는 힘으로 인해 운전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전후로 이동한다.
제1조작부(141)는 하측 단부를 축으로 하여 상측 단부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조작부(141)는 운전자의 힘이 인가되지 않으면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제2, 3 조작부(142, 143)는 한 쌍의 폴대(121d)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조작부(141)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되어 제1조작부(14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운전자의 머리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되는 힘으로 인해 운전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한다.
제2, 3조작부(142, 143)는 후방 단부를 축으로 하여 전방의 단부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3조작부(142, 143)의 후방 단부는, 제2, 3조작부(142, 143)의 면 중 폴대(121d)와 인접한 면일 수 있다.
제2, 3조작부(142, 143) 또한 운전자의 힘이 인가되지 않으면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제1조작부는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제2, 3 조작부는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 이동한다.
입출력 장치(140)는 제1조작부(141), 제2조작부(142) 및 제3조작부(143)의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144)를 더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144)는 한 쌍의 폴대(121d) 중 적어도 하나의 폴대에 마련되고 제1조작부(141)의 이동에 대응하는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144a)와, 제2 조작부(142)의 주변에 마련되고 제2 조작부(142)의 회전에 대응하는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144b)와, 제3 조작부(143)의 주변에 마련되고 제3 조작부(143)의 회전에 대응하는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3검출부(144c)를 포함한다.
제1조작부(141)는 운전자(즉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운전자의 머리 뒤쪽으로 이동하고 폴대(121d)에 마련된 제1검출부(144a)에 접촉된다. 이때 제1검출부(144a)는 검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검출부(144a)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전자 스위치일 수 있고, 또는 접촉 센서, 근접 센서,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제2조작부(142)는 운전자(즉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운전자의 머리 왼쪽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때, 제2조작부(142)의 주변에 마련된 제2검출부(144b)는 제2조작부(142)의 회전량에 대한 검출 정보를 출력한다.
제3조작부(143) 및 제 3검출부(144c)의 경우, 제2조작부(142) 및 제2검출부(144b)와 동작 구성이 동일하다.
여기서 제2검출부(144b)와 제 3검출부(144c)는,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홀 센서, 엔코더, 6축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출력부(140b)는 헤드 레스트(121c)에 마련되고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부(145)와, 헤드 레스트(121c)에 마련되고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경보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46)와, 헤드 레스트(121c)의 측면에 마련되고 외부 디바이스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송출하는 전력 송출부(147)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부(145)와 사운드 출력부(146)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헤드 레스트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146)는 헤드 레스트의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헤드 레스트의 양 측면에 출력부(140b)가 마련된 경우, 입출력 장치는 자 차량의 왼쪽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면 헤드 레스트의 왼쪽에 마련된 출력부를 통해 경보 정보를 출력하고, 자 차량의 으론쪽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면 헤드 레스트의 오른쪽에 마련된 출력부를 통해 경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송출부(147)는 제1조작부(141)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전력 송출부(147)는 제1조작부(141)의 전면에 마련되되 전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전력 송출부(147)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는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헤드레스트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차량에 마련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잇다.
입출력장치(140)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 및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해당 장치에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전송한 피드백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정보 및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8)와 통신부(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8)는 동작 정보 및 피드백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진동 세기, 진동의 발생 시간, 사운드의 세기, 사운드의 종류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8a)는 제어부(148)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입출력장치(140)는 전력선 및 통신선(149a)을 통해 헤드 레스트(121c)의 외부에 마련된 제어부(148)에 복수 개의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송신하고 출력부(140b)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40b)를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출력부(140)가 마련된 차량의 제어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로,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6), 입출력장치(140), 자율 주행 장치(150), 경고 장치(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내비게이션 모드 수행 시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고 지도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자율 주행 장치와 연동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모드 수행 시 자 차량 주변의 도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경보 장치(16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졸음 방지 모드 수행 시 졸음 상태에 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충돌 경보 모드 수행 시 자 차량의 전방과 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 상태에 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차로 이탈 경보 모드 수행 시 차로 이탈에 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각 지대 경보 모드 수행 시 자 차량의 좌우 방향의 장애물과의 충돌 상태에 대한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영상의 표시 색상을 변경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외부의 디바이스 충전 시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6)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입출력장치(140)는 운전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40a)와,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40b)를 포함한다.
입력부(140b)는 제1, 2, 3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144)를 포함한다.
검출부(144)는 제1조작부(141)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144a)와, 제2 조작부(142)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2검출부(144b)와, 제3 조작부(143)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제3검출부(144c)를 포함한다.
출력부(140b)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45)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146)와, 전력을 송출하는 전력 송출부(147)를 포함한다.
진동부(145)와 사운드 출력부(146)는 위험 상황이 해소될 때까지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 송출부(147)는 코일을 포함하고, 제어부(148)에 명령에 기초하여 자기 유도 모드 또는 자기 공명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자기 유도 모드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때 디바이스는 내부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이 전자기장에 의해 코일에 유도 전류가 발생되며 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자기 공명 모드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진동(공명)하면서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고 코일에서 발생된 에너지가 일정 거리의 디바이스의 코일까지 흘러가게 하는 모드이다.
이때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공명하도록 조율된 코일을 통해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아울러 디바이스의 코일까지 전송되지 못한 에너지는 다시 전력 송출부의 코일로 흡수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는 복수 개의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명령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48)와, 차량에 마련된 장치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명령을 차량에 마련된 장치에 전송하며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9)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제어부(148)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제어부(148)의 구성과 출력부(140b)의 구성을 연관지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48)는 제1검출부(144a)로부터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 명령을 자율 주행 장치(15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1검출부(144a)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검출 정보가 미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의 오프 동작 명령을 자율 주행 장치(15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검출부(144a)의 검출 정보는 온 신호일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8)는 자율 주행 모드가 오프된 상태에서 제1검출부(144a)로부터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 명령을 자율 주행 장치(15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자율 주행 모드가 온 된 상태에서 제1검출부(144a)로부터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의 오프 동작 명령을 자율 주행 장치(15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8)는 제2검출부(144b)로부터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조향각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향각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확인된 조향각의 정보와 조향 방향의 정보를 조향 장치에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148)는 제3검출부(144c)로부터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조향각을 확인하고 확인된 조향각만큼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확인된 조향각의 정보와 조향 방향의 정보를 조향 장치에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3 조작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최대 조향각은,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향각을 초과하지 못한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향각은, 차량 조향 시 차량의 방향을 안전하게 변경할 수 있는 조향각으로, 자율 주행 장치에서 피드백 받은 정보일 수 있다.
즉 제어부(148)는 제2검출부(144b)와 제3검출부(144c)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되, 차량의 조향 장치의 조향각을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향각 이하로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의 갑작스러운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차량이 차로를 과도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8)는 자율 주행 장치(150)로부터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고, 자율 주행 장치(150)로부터 자율 주행 모드의 오프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의 오프 동작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한다.
이때 출력부의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는,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에 대한 피드백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운드를 출력한다.
제어부(148)는 졸음 경보 장치로부터 졸음 상태에 대한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운전자의 졸음을 깨우기 위한 경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출력부의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는, 운전자의 졸음 상태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운드를 출력한다.
제어부(148)는 충돌 경보 장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충돌 발생에 대응하는 경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출력부의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는, 전방 또는 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운드를 출력한다.
아울러 사운드 출력부는 충돌 발생 방향에 대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8)는 사각지대 경보 장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 정보가 수신되면 충돌 발생에 대응하는 경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48)는 사각 지대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에 대응하여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동작 제어 시, 충돌 발생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돌 발생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의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는, 사각 지대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운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는 자 차로의 우측 방향으로 차로를 이탈하면 헤드 레스트의 우측 방향에 위치한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경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우측방향으로 차로 이탈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2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차량의 조향 방향이 좌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8)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로부터 차로 이탈 정보가 수신되면 차로 이탈에 대응하는 경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48)는 차로 이탈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차로 이탈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의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는, 사각 지대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사운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는 우측 방향의 사각지대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헤드 레스트의 우측 방향에 위치한 진동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경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우측의 사각 지대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운전자는 제2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차량의 조향 방향이 좌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8)는 외부의 디바이스(2)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전원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전력 송출부(147)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148)는 외부의 디바이스(2)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 디바이스(2)의 통신 감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통신 감도에 기초하여 전력 송출부와 디바이스와의 거리를 예측하고, 예측된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로 제어하고, 예측된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8)는 외부의 디바이스(2)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 디바이스(2)의 통신 감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통신 감도가 기준 감도 이상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로 제어하고, 예측된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로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148)는 외부의 디바이스(2)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로 제어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효율의 정보를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효율과 기준 충전 효율을 비교하고 수신된 충전 효율이 기준 충전 효율 미만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로 전환 제어하고, 충전 효율이 기준 충전 효율 이상이면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로 유지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8)는 외부의 디바이스(2)로부터 충전 완료의 정보가 수신되면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력 송출부(147)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하고, 진동부 및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충전 완료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48)는 외부의 디바이스(2)에 충전 효율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8)는 디바이스(2)에서 요청한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전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류가 발생되도록 전원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48a)는 제1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 제2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동작 명령, 제3검출부의 검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저장하고, 각 동작 명령을 전송해야 하는 장치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명령은, 자율 주행 모드의 온오프 명령, 좌측 조향 명령, 우측 조향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8a)는 디바이스의 충전 완료에 대응하는 진동 정보 및 사운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8a)는 피드백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정보 및 사운드 정보를 저장하고, 경보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정보 및 사운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진동 정보는 진동의 세기, 진동의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사운드 정보는 사운드의 발생 시간, 사운드의 세기(볼륨) 및 사운드의 종류(예, 멜로디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진동의 세기 정보는,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을 피드백하기 위한 제1 세기, 충돌을 알리기 위한 제2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의 정보는, 졸음 상태를 알리는 제1안내음성, 전후방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2안내음성,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을 피드백하기 위한 제1벨소리, 좌우 방향의 장애물과의 충돌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2벨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48a)에 저장된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정보 및 사운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는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변경할 수 있다.
저장부(148a)는 통신 감도, 기준 거리, 기준 충전 효율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저장부(148a)는 통신 감도에 대응하는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저장한다.
여기서 통신 감도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력 값으로, 수신 성능에 대응하는 수신감도(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수신 전계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이다. 이는 전력 송출부와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148a)는 충전 효율에 대응하는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8a)는 충전 가능한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디바이스(2)는 이동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스마트 글라스, 블루투스 헤드셋, 스마트 밴드,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컴퓨터, 가상현실 헤드셋, 홀로렌즈, 스마트웨어, 헬스케어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태블릿, 스마트 키나 스마트 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에 마련된 장치는,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191), 제동장치(192) 및 조향 장치(193) 등의 구동 장치(190)를 포함하며, 차량이 자율적으로 주행하도록 하는 자율 주행 장치와,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 상황이면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경보 장치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대해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입출력 장치(140)로부터 자율 주행 모드의 온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고, 입출력 장치(140)로부터 자율 주행 모드의 오프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자율 주행 모드를 해지시킨다.
이때 차량은 수동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자율 주행의 안전성을 위해 경보 장치(160)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경보 장치(160)는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 상황이면 경보 정보를 출력하며, 이 경보 정보를 입출력 장치(140)에 전송한다.
이러한 경보장치(160)는 자 차로의 이탈을 알리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161)와, 자 차로의 전후방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충돌 경보 장치(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S, Back Warning System: BWS, 162)와, 자 차로의 좌우 차로에 위치한 타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알리는 사각지대 경보 장치(Blind Spot Warning System: BSW, BSA 또는 BSD, 163)와, 운전자가 졸음 상태임을 알리는 졸음 경보 장치(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 장치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온 동작 되거나 오프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경보 장치는 온 동작되었을 때, 입출력 장치와 연동 가능하다.
차량은 자 차량의 전방에 자 차량과 일정 거리 이내인 타 차량이 위치하면 제동 장치를 동작시키고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켜 비상 제동을 수행하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AEBS: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구동력 및 제동력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동장치 및 조향 장치 등의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는 자율 주행 장치, 자동 비상 제동 장치에서 전송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고, 수동 주행 모드 시, 브레이크 페달, 엑셀러 레이터 페달, 스티어링 휠,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디바이스(2)는, 차량의 입출력 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아울러 디바이스는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의 통신부를 통해 입출력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바이스(2)는 사용자에 의해 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의 입출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의 입출력 장치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충전 모드를 제어한다.
즉, 디바이스는 차량의 입출력 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모드가 수신되면 충전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로 제어하고, 자기 공명 모드가 수신되면 충전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로 제어한다.
아울러 디바이스(2)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 미만이면 차량의 입출력 장치에 자동으로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바이스(2)는 충전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의 입출력 장치에 송신 전력의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으로부터 충전 효율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일정 시간 동안 충전된 전력과 송신 전력을 비교하여 충전 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전 효율의 정보를 차량에 전송한다.
디바이스(2)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완료의 정보를 차량의 입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충전 모드를 종료한다.
아울러 디바이스(2)는 입출력 장치와의 거리를 예측하여 충전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충전 모드를 차량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입출력 장치(140)와 연동하는 자율 주행 장치 및 경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180)와, 획득된 정보를 자율 주행 장치(150), 경보 장치(1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6)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통신부(186)를 포함한다.
정보 획득부(180)는, 도로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영상부(181)와, 차량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영상부(182)와, 차량의 주변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183)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184)와,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185)를 포함한다.
거리 검출부(183)는 자 차량의 전방과 후방의 좌우에서 주행하는 타 차량을 검출한다.
이러한 거리 검출부(183)는 라이더 센서를 포함한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는 레이저 레이다(Laser Radar) 원리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검출 센서이다.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센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물체의 표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는 단일레이저 펄스일 수 있다.
거리 검출부(183)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속도 검출부(184)는 복수의 차륜에 각각 설치된 휠 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휠 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휠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속도 검출부(184)는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부(186)는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장치(150)는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151)를 포함한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입출력 장치(140)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190)의 엔진(191), 제동장치(192) 및 조향장치(193)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조작 정보는, 입출력 장치(140)의 온, 오프 동작 정보, 입출력 장치(140)의 조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입출력 장치(140)의 온, 오프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를 온 동작시키거나, 자율 주행 모드를 오프 동작 시킨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입출력 장치(140)에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온 동작되었을 때, 자율 주행 모드가 온 동작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 정보를 입출력 장치에 전송하고, 입출력 장치(140)에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오프 동작되었을 때, 자율 주행 모드가 오프 동작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 정보를 입출력 장치(140)에 전송한다.
자율 주행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 엑셀러 레이터 페달로부터 조작 정보가 수신되면 자율 주행 모드를 해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차량은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물리적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리적 버튼에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선택되면 입출력 장치에 의한 자율 주행 모드의 온오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자율 주행 장치는 입출력 장치에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선택될 때에는, 물리적 버튼에 자율 주행 모드를 해지하도록 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자율 주행 모드 수행 시, 제1영상부의 제1영상정보, 거리 검출부의 거리 정보, 속도 검출부의 속도 정보, 조향각 검출부의 조향각 정보, 차로 이탈 경보 장치의 차로 이탈 정보를 수신하고, 자율 주행 속도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엔진, 제동 장치, 조향 장치를 제어한다.
자율 주행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자율 주행 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자율 주행 모드 수행 중 입출력 장치(140)의 우측 조향 정보가 수신되면 조향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자율 주행 모드 수행 중 입출력 장치(140)의 좌측 조향 정보가 수신되면 조향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이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입출력 장치(140)로부터 조향 정보가 수신되면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향각 이하로 조향장치의 조향각을 제어하고, 스티어링 휠이 조작되면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장치의 조향각을 제어한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차량의 속도, 차량의 요레이트, 차량의 조향각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입출력 장치(140)의 조향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장치가 제어되었을 때, 조향 장치가 동작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 정보를 입출력 장치(140)에 전송한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6)와 연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로의 영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자동 비상 제동 장치(미도시)와 연동하여 자 차량과 전방의 타 차량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제동 장치를 동작시키고 엔진의 출력을 저하시켜 비상 제동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자율 주행 장치(150)는 자동 비상 제동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자동 비상 제동 정보를 입출력장치(14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 장치(160) 중 차로 이탈 경보 장치(161)는 차로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161a)를 포함한다.
차로 이탈 경보 장치(161)는 제1영상부의 제1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자 차량이 자 차로를 이탈하였는지 판단하고, 자 차로를 이탈하였다고 판단되면 이탈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이탈 방향의 정보를 입출력 장치(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6)에 전송한다.
차로 이탈 경보 장치(161)는 자 차량이 정상 차로로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차로 이탈 정보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 장치(160) 중 졸음 경보 장치(164)는 제2영상부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운전자의 영상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164a)를 포함한다.
아울러 졸음 경보 장치(164)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 및 차로 이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졸음 경보 장치(164)는 운전자가 졸음 운전 상태라고 판단되면 졸음 정보를 입출력 장치(140)에 전송한다. 이때 입출력장치(140)를 통해 경보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졸음 운전 중임을 인지하도록 하고, 졸음에서 깰 수 있도록 한다.
1: 차량 2: 디바이스
121c: 헤드 레스트 140: 입출력 장치
141: 제1조작부 142: 제2조작부
143: 제3조작부 144: 검출부
144a: 제1검출부 144b: 제2검출부
144c: 제3검출부 145: 진동부
146: 사운드 출력부 147: 전력 송출부
148: 제어부 149: 통신부

Claims (25)

  1.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부;
    상기 복수 개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검출부;
    상기 복수 개의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 및
    상기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작부는,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제2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타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제3조작부를 포함하는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선이 연결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장치 중 상기 확인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외부의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장치에 상기 동작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선은,
    외부에 마련된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통신선을 통해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8. 시트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수행 중인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상기 입출력 장치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부와,
    상기 복수 개의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복수 개의 검출부와,
    상기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는 출력부와,
    상기 구동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검출부 중 어느 하나의 검출부의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 장치에 상기 동작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 정보에 대응하는 기초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디바이스와의 통신 감도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 및 자기 유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효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충전 효율과 기준 충전 효율을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 효율이 기준 충전 효율 미만이면 상기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에서 자기 공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작부는,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좌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2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타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우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3조작부를 포함하는 차량.
  15. 시트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수행 중인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
    상기 입출력 장치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자율 주행 모드 수행 시 상기 검출된 속도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자율 주행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상기 입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자율 주행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제 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9. 시트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 레스트에 마련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위험 상황에 대응하는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위험 상황이면 경보 정보를 출력하고, 위험 발생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험 발생 위치의 정보를 상기 입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경보 장치; 및
    차륜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장치는,
    상기 헤드 레스트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 복수 개의 출력부와,
    상기 위험 발생 위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험 발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입출력 장치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자율적으로 주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자율 주행 모드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좌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2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다른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조작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며 우측 조향의 동작 명령을 지시하는 제3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조향 또는 상기 우측 조향 시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향각 이하로 조향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운전자의 졸음 여부를 인식하는 졸음 경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졸음 경보 장치로부터 졸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는,
    차로 이탈 경보 장치, 사각 지대 경보 장치, 전후방 충돌 경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디바이스와의 통신 감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통신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공명 모드 및 자기 유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갖는 전력 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충전 효율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충전 효율과 기준 충전 효율을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 효율이 기준 충전 효율 미만이면 상기 전력 송출부의 동작 모드를 자기 유도 모드에서 자기 공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135620A 2016-10-19 2016-10-19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KR10182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20A KR101827702B1 (ko) 2016-10-19 2016-10-19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20A KR101827702B1 (ko) 2016-10-19 2016-10-19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702B1 true KR101827702B1 (ko) 2018-02-12

Family

ID=6122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620A KR101827702B1 (ko) 2016-10-19 2016-10-19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128A (ja) * 2008-10-29 2010-05-13 Toyota Motor Corp 警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128A (ja) * 2008-10-29 2010-05-13 Toyota Motor Corp 警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8551B2 (en) Parking support apparatus
US1044997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773046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並びに移動体
KR101659034B1 (ko) 차량의 주행 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1612B1 (ko) 자율 주행 차량
JP6342856B2 (ja) 車両制御装置
JP6540663B2 (ja) 車両システム
KR10178236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8412390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JP5954901B2 (ja) 車両制御装置
CN107878460A (zh)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和服务器
JP6057957B2 (ja) 車両制御装置
CN103569134A (zh) 用于车辆的警示系统和方法
CN109484343B (zh) 车辆上安装的车辆控制设备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10377307B2 (en) Vehicle proximity condition detection and haptic notification system
US20160077688A1 (en) Vehicles with navigation unit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vehicles using the navigation units
JP2015212115A (ja) 車両制御装置
JP5666066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827702B1 (ko) 시트, 그를 가지는 차량
KR20140113030A (ko) 전동형 이동기기의 충돌예방 및 전복예방 안전장치
GB2617225A (en) Situation-based vehicle configuration
KR101916426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6589734B2 (ja) 乗員状態推定装置
KR20180027112A (ko)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3478A (ko) 차량용 대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