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426B1 - 캠 장치 - Google Patents

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426B1
KR101312426B1 KR1020117028721A KR20117028721A KR101312426B1 KR 101312426 B1 KR101312426 B1 KR 101312426B1 KR 1020117028721 A KR1020117028721 A KR 1020117028721A KR 20117028721 A KR20117028721 A KR 20117028721A KR 101312426 B1 KR101312426 B1 KR 10131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il spring
rod
cam slid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336A (ko
Inventor
다다시 사사하라
다카유키 미야지
야스히로 사루가쿠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21D19/043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for flanging edges of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상하이동이 자유로운 상형(2)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경사면(3)을 가진 캠 드라이버(4), 캠 드라이버(4)의 경사면(3)에 접촉하여 B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5), 캠 슬라이드(5)를 A 및 B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 캠 슬라이드(5)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7), 캠 슬라이드(5)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5)의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에의 격돌을 방지하는 탄성 스토퍼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캠 장치{Cam device}
본 발명은, 캠 드라이버에 의해 캠 슬라이드를 슬라이딩시켜 캠 슬라이드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박판 등의 피가공물(워크)에 구멍뚫기, 절곡 등의 가공을 실시하는 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캠 장치는 통상 캠 드라이버, 이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 이 캠 슬라이드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복귀 기구는 로드와 이 로드를 둘러싸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로드의 각 단부가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으로서의 예를 들면 하형(下型) 기부(基部)에 앵글 부재 등을 개재하여 장착되어 사용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4-314149호 공보
그런데, 복귀 기구에서 로드의 각 단부를 앵글 부재 등을 개재하여 하형 기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앵글 부재 등의 설치용 오목개소를 하형 기부에 형성하게 되어, 캠 슬라이드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면이 좁아져 캠 슬라이드의 내하중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하형 기부와 다른 앵글 부재 등은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비교적 커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캠 슬라이드에 대해 많은 복귀 기구를 설치할 수 없어지는 데다가, 많은 부품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이상의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에는, 캠 슬라이드의 내하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보다 많은 복귀 기구를 캠 슬라이드에 대해 설치할 수 있어 강력한 복귀력을 캠 슬라이드에 부여할 수 있는 데다가, 부품수의 삭감과 더불어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캠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제안의 캠 장치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만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인데,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 기재된 캠 장치에서는, 로드를 둘러싸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될 때에 코일 스프링의 내주측의 부위가 로드에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 로드에 마모, 깍여들어감, 갉아먹음을 발생시키고, 이들에 기인하는 마모 가루, 절삭 가루이 캠 장치의 슬라이딩부에 들어가 슬라이딩부에 갉아먹음을 발생시켜 슬라이딩부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동작시에서의 코일 스프링의 로드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마모 가루, 절삭 가루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캠 장치는 캠 드라이버, 이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 이 캠 슬라이드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복귀 기구는, 일단부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한쪽의 돌기부에, 타단부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다른 쪽의 돌기부에 각각 고착된 로드, 이 로드를 둘러싸서 배치된 코일 스프링, 로드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 이 한쪽의 스프링 받침과 협동하여 코일 스프링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탄성 신장력을 캠 슬라이드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함과 동시에 로드의 축심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을 구비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캠 장치에 의하면, 한쪽 및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 각각이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동작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로드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접촉에 기인하는 마모 가루, 절삭 가루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예로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른 바람직한 예로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의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른 바람직한 예로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수용하도록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의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캠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로드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한쪽의 돌기부에 접촉하여 해당 한쪽의 돌기부에 의해 걸려 있어도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C링을 통해 또는 나사결합되어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형 기부는 상형(上型) 기부 및 하형 기부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형 기부가 하형 기부인 경우, 한 쌍의 돌기부는 하형 기부의 오목개소에 있어서 하형 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형 기부가 상형 기부인 경우, 한 쌍의 돌기부는 상형 기부의 오목개소에 있어서 상형 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늘어뜨려져 있으면 되며, 이와 같이 형 기부가 상형 기부인 경우에는, 캠 장치는 캠 슬라이드가 상형 기부에 매달린 이른바 현수식 캠 타입의 것으로서 구성하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달 수단은, 바람직한 예로는, 로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로드의 타단부로 향하는 방향의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의 이동을 금지하여 코일 스프링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하도록 로드에 고착된 금지 부재와, 한쪽에서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 쪽에서는 캠 슬라이드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을 개재하여 캠 슬라이드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예의 경우, 전달 부재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로드를 걸치는 두 갈래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두 갈래부를 개재하여 전달 부재를 설치할 수 있어 캠 슬라이드의 조립,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금지 부재는 스프링 받침과 마찬가지로 C링 등을 개재하여 로드에 고착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로드에 용접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되어 고착되어 있다.
로드는 그 각 단부에서 용접 등에 의해 대응의 돌기부에 각각 고착되어 있어도 되지만,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에의 장착 및 분리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로드의 각 단부는 나사를 개재하여 대응의 돌기부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시에서의 코일 스프링의 로드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마모 가루, 절삭 가루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예의 정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일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일부의 정면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일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른 예의 일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또 다른 예의 일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또 다른 예의 일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 및 그 실시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 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예의 하부설치 타입의 캠 장치(1)는 상하이동이 자유로운 상형(2)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경사면(3)을 가진 캠 드라이버(4), 캠 드라이버(4)의 경사면(3)에 접촉하여 B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5), 캠 슬라이드(5)를 A 및 B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 캠 슬라이드(5)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7), 캠 슬라이드(5)의 초기 위치에의 복귀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5)의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에의 격돌을 방지하는 탄성 스토퍼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상형(2)은 유압 램 등에 연결되어 있고, 캠 드라이버(4)는 유압 램 등의 작동으로 상형(2)을 개재하여 상하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A 및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캠 슬라이드(5)는 캠 슬라이드 본체(11)와, 캠 슬라이드 본체(11)의 경사면(12)에 한쪽 면에서 고착된 저마찰판(웨어 플레이트)(13)을 가지고 있고, 캠 드라이버(4)의 하강으로 저마찰판(13)의 다른 쪽 면(14)에 캠 드라이버(4)의 경사면(3)이 접촉하게 되어 있고, 캠 슬라이드 본체(11)의 전면(前面; 15)에 펀치 등의 공구가 장착되게 되어 있다.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은 형 기부, 본 예에서는 하형 기부(21), 하형 기부(21)에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된 한 쌍의 돌기부(22, 23), 하형 기부(21)에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된 전벽부(24) 및 후벽부(25), 후벽부(25)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캠 드라이버(4)의 하강에 있어서 캠 드라이버(4)의 후면(35)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는 저마찰판(웨어 플레이트)(26), 전벽부(24) 및 후벽부(25)를 교락(橋絡)하는 한 쌍의 측벽부(27, 28)를 구비하고 있고, 한 쌍의 돌기부(22, 23)는 하형 기부(21)의 오목개소(29)에서 하형 기부(21)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측벽부(27, 28)의 상면(30, 31)에 캠 슬라이드(5)의 바닥면(32)이 A 및 B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여 캠 슬라이드(5)는 A 및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캠 슬라이드(5)는, 그 A 및 B방향의 이동에 있어서 한 쌍의 측벽부(27, 28)의 상면(30, 31)으로부터 부상하지 않도록 한 쌍의 측벽부(27, 28)에 나사 등에 의해 장착된 저마찰판(웨어 플레이트)(33, 34)에 의해 A 및 B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복귀 기구(7)는, 일단부(41)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의 한쪽의 돌기부(22)에, 타단부(42)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의 다른 쪽의 돌기부(23)에 각각 나사(43)를 개재하여 고착된 로드(44), 로드(44)를 둘러싸서 로드(44)와 동심으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45), 로드(44)의 일단부(41)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는 스프링 받침(47), 스프링 받침(47)과 협동하여 코일 스프링(45)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탄성 신장력을 캠 슬라이드(5)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49)을 구비하고 있다.
원기둥 형상의 로드(44)의 일단부(41) 및 타단부(42) 각각에는 평탄면(61, 62)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41) 및 타단부(42)는 그 평탄면(61, 62) 각각에서 돌기부(22, 23) 각각의 평탄 꼭대기면에 접촉하여 돌기부(22, 23) 각각에 고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가 접촉하는 스프링 받침(47)은, 코일 스프링(45)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가 접촉하는 수용면(50)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51)와,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를 로드(44)의 축심(O)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52)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수단(52)은,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51)의 수용면(50)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받침(47)은, 스프링 받침 본체(51)가 로드(44)의 일단부(41) 측에 C링(63)을 개재하여 고착되어 배치되어 있는데, 이에 대신하여 스프링 받침 본체(51)가 로드(44)의 일단부(41) 측에 용접 등을 통해 또는 나사결합하여 고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로드(44)의 일단부(41) 측에 고착되지 않고 로드(44)의 일단부(41)로부터의 빠져나감이 돌기부(22)에 접촉하여 저지되도록 하여 일단부(41) 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달 수단(49)은,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함과 동시에 로드(44)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 즉 A 및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프링 받침(65), 로드(44)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로드(44)의 타단부(42)로 향하는 방향의 스프링 받침(65)의 이동을 금지하여 코일 스프링(45)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하도록 로드(44)에 고착된 금지 부재(66), 한쪽에서는 스프링 받침(65)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 쪽에서는 캠 슬라이드(5)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스프링 받침(65)을 개재하여 캠 슬라이드(5)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67), 스프링 받침(65)과 로드(44) 사이에 개재된 부시(68)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44)를 둘러싸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가 접촉하는 원환상의 스프링 받침(65)은, 코일 스프링(45)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가 접촉하는 수용면(80)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81)와,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를 로드(44)의 축심(O)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82)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수단(82)은,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81)의 수용면(80)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83)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83)를 포함하는 스프링 받침(65)의 내주면에는 원통형상의 부시(68)가 고착되어 있고, 스프링 받침(65)은 로드(44)의 외주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는 부시(68)를 개재하여 A 및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시(68)는, 원통부(83)를 포함하는 스프링 받침(65)의 내주면에 걸쳐 고착되어 있으므로 수압 면적이 커져 해당 로드(44)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 받침(65)의 A 및 B방향의 원활한 이동을 확보하기 위해, 부시(68)와 함께 또는 부시(68) 대신에 그리스 또는 고체 윤활제 등을 부시(68)와 로드(44) 사이 또는 스프링 받침(65)과 로드(44) 사이에 개재시켜도 되고, 그리스 또는 고체 윤활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로드(44)의 외주면 또는 스프링 받침(65)의 내주면에 그리스 축적 홈 또는 고체 윤활제 수용 홈을 설치하면 좋고, 또한 부시(68), 그리스 또는 고체 윤활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스프링 받침(65)과 로드(44)를 그 내외주면에서 서로 직접 접촉시키도록 하여 스프링 받침(65)을 로드(44)에 A 및 B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해도 된다.
금지 부재(66)는, 로드(44)의 타단부(42) 측에 나사결합하여 로드(44)에 고착된 한 쌍의 너트(71)를 구비하고 있고, 한 쌍의 너트(71)로 스프링 받침(65)이 로드(44)의 타단부(42)로 향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금지 부재(66)로서는, 이러한 로드(44)에 나사결합하는 너트(71) 대신에 로드(44)에 용접에 의해 고착된 스토퍼 부재이어도 된다.
개략 L자 형상의 전달 부재(67)는, 스프링 받침(65)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로드(44)를 걸치는 두 갈래부(72)와, 캠 슬라이드 본체(11)의 바닥면(32)의 오목개소(73)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 본체(11)에 나사(74)를 통해 고정된 고정부(75)를 가지고 있다.
복귀 기구(7)는, 캠 슬라이드(5)가 B방향으로 이동되어 전달 부재(67)의 두 갈래부(72)가 스프링 받침(65)에 접촉하여 걸어맞춤되고, 스프링 받침(65)을 B방향으로 이동시켜 코일 스프링(45)을 줄인 후에, 스프링 받침(65)이 수용하는 코일 스프링(45)의 A방향의 탄성 신장력을 전달 부재(67)를 개재하여 캠 슬라이드(5)에 전달하여 캠 슬라이드(5)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이상의 캠 장치(1)에 있어서, 유압 램 등의 작동으로 상형(2)을 개재하여 캠 드라이버(4)가 하강하면, 캠 드라이버(4)의 경사면(3)이 저마찰판(13)의 면(14)에 접촉함과 동시에 캠 드라이버(4)의 후면(35)이 저마찰판(26)에 접촉하여, 이 접촉 후, 캠 드라이버(4)의 하강과 함께 캠 드라이버(4)의 경사면(3)과 저마찰판(13)의 면(14)의 미끄럼을 수반하여 캠 슬라이드(5)는 B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 전달 부재(67)의 두 갈래부(72)가 스프링 받침(65)에 접촉하여 걸어맞춤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65)이 B방향으로 이동되어 코일 스프링(45)이 수축과 동시에 캠 슬라이드 본체(11)의 전면(15)에 나사 등에 의해 장착된 펀치 등의 공구가 전진되고, 이 전진으로 박판 등의 피가공물(워크)에 구멍뚫기, 절곡 등의 가공이 펀치 등의 공구에 의해 실시되며, 이 가공 후, 유압 램 등의 작동으로 상형(2)을 개재하여 캠 드라이버(4)가 상승하면, 수축된 코일 스프링(45)의 A방향의 탄성 신장력에 의해 전달 수단(49)을 개재하여 캠 슬라이드(5)가 A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이동으로 캠 슬라이드 본체(11)의 전면(15)에 장착된 펀치 등의 공구도 또한 후퇴되며,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슬라이드(5)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이 복귀에 있어서 캠 슬라이드 본체(11)가 탄성 스토퍼 부재(8)에 먼저 접촉하여 캠 슬라이드 본체(11)의 후벽부(25)에의 격돌이 탄성 스토퍼 부재(8)에 의해 방지된다.
그런데, 캠 장치(1)에 의하면, 스프링 받침(47, 65) 각각이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 및 타단부(48) 각각을 로드(44)의 축심(O)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원통부(53) 및 원통부(83) 각각을 가진 위치 결정 수단(52, 8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45)이 수축되는 동작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45)의 내주측의 로드(44)의 외주면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접촉에 기인하는 마모 가루, 절삭 가루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캠 장치(1)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45)에 둘러싸인 로드(44)의 일단부(41) 및 타단부(42)가 하형 기부(21)에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된 돌기부(22, 23) 각각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44)를 하형 기부(21)에 장착하기 위한 큰 설치 공간을 차지하는 특별한 앵글 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결과, 앵글 부재 등을 설치하기 위한 큰 오목개소를 하형 기부(21)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캠 슬라이드(5)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6)의 면인 측벽부(27, 28)의 상면(30, 31)을 넓게 할 수 있어 캠 슬라이드(5)의 내하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다가 보다 많은 복귀 기구(7)를 캠 슬라이드(5)에 대해 설치할 수 있어 강력한 복귀력을 캠 슬라이드(5)에 부여할 수 있는 데다가, 부품수의 삭감과 더불어 대폭적인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전달 부재(67)가 두 갈래부(7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갈래부(72)를 개재하여 전달 부재(67)를 설치할 수 있어 캠 슬라이드(5)의 조립, 분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캠 장치(1)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52, 82) 각각을 원통부(53) 및 원통부(83) 각각을 가지고 구성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를 수용하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51)의 수용면(50)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91)를 구비하여 위치 결정 수단(52)을 구성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를 수용하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81)의 수용면(80)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92)를 구비하여 위치 결정 수단(82)을 구성해도 된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4)의 일단부(41) 측에서는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51)의 수용면(50)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53)를 구비하여 위치 결정 수단(52)을 구성하는 반면, 로드(44)의 타단부(42) 측에서는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를 수용하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81)의 수용면(80)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92)를 구비하여 위치 결정 수단(82)을 구성해도 되고, 이와는 반대로 로드(44)의 일단부(41) 측에서는 코일 스프링(45)의 일단부(46)를 수용하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51)의 수용면(50)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91)를 구비하여 위치 결정 수단(52)을 구성하는 반면, 로드(44)의 타단부(42) 측에서는 코일 스프링(45)의 타단부(4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81)의 수용면(80)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83)를 구비하여 위치 결정 수단(82)을 구성해도 된다.
1 캠 장치
2 상형
3 경사면
4 캠 드라이버
5 캠 슬라이드
6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
7 복귀 기구
44 로드
45 코일 스프링
47 스프링 받침
49 전달 수단
50 수용면
51 스프링 받침 본체
52 위치 결정 수단
53 원통부
80 수용면
81 스프링 받침 본체
82 위치 결정 수단
83 원통부

Claims (5)

  1. 삭제
  2. 캠 드라이버와, 이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와, 이 캠 슬라이드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과,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복귀 기구는, 일단부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한쪽의 돌기부에, 타단부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다른 쪽의 돌기부에 각각 고착된 로드와, 이 로드를 둘러싸서 배치된 코일 스프링과, 로드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과, 이 한쪽의 스프링 받침과 협동하여 코일 스프링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탄성 신장력을 캠 슬라이드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함과 동시에 로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을 구비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는,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과 더불어, 이 수용면에 연접하는 원통부의 외주면에도 접촉하고 있는 캠 장치.
  3. 캠 드라이버와, 이 캠 드라이버에 접촉하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캠 슬라이드와, 이 캠 슬라이드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과, 캠 슬라이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복귀 기구는, 일단부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한쪽의 돌기부에, 타단부에서는 캠 슬라이드 지지 수단의 다른 쪽의 돌기부에 각각 고착된 로드와, 이 로드를 둘러싸서 배치된 코일 스프링과, 로드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과, 이 한쪽의 스프링 받침과 협동하여 코일 스프링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 수용하는 탄성 신장력을 캠 슬라이드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 측으로부터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함과 동시에 로드의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을 구비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로드의 축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한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수용하도록 스프링 받침 본체에 형성된 원통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원통 오목부의 바닥면은 수용면에 의해 규정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는,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과 더불어, 이 수용면에 연접함과 아울러 원통 오목부의 외주면을 규정하는 한쪽의 스프링 받침의 측면에도 접촉하고 있는 캠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의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캠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 신장력을 수용하도록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가 접촉하는 수용면을 가진 스프링 받침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 쪽의 위치 결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수용하도록 다른 쪽의 스프링 받침의 스프링 받침 본체의 수용면을 바닥면으로 하여 형성된 원통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캠 장치.
KR1020117028721A 2009-06-05 2010-05-25 캠 장치 KR101312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6703 2009-06-05
JP2009136703A JP2010279987A (ja) 2009-06-05 2009-06-05 カム装置
PCT/JP2010/003489 WO2010140316A1 (ja) 2009-06-05 2010-05-25 カ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336A KR20120015336A (ko) 2012-02-21
KR101312426B1 true KR101312426B1 (ko) 2013-09-27

Family

ID=4329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21A KR101312426B1 (ko) 2009-06-05 2010-05-25 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79987A (ko)
KR (1) KR101312426B1 (ko)
CN (1) CN102448635A (ko)
WO (1) WO2010140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1061A (ja) * 2013-05-28 2014-12-11 駿河ダイテック株式会社 ヘミング曲げ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CN103861953B (zh) * 2014-04-02 2015-07-2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斜楔机构
EP3377311B1 (de) 2015-11-20 2024-05-01 SMS Group GmbH Weggebundene presse mit kulissenstein
CN108188282A (zh) * 2018-03-30 2018-06-22 安徽协诚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拉条折弯防回弹改进模
WO2024009985A1 (ja) * 2022-07-05 2024-01-11 三協オイル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917A (ja) * 1994-08-31 1996-03-19 Kayaba Ind Co Ltd 緩衝器のリバウンドバネ構造
JP2002155979A (ja) 2000-11-17 2002-05-31 Fanuc Ltd ばね装置
JP2004084776A (ja) * 2002-08-27 2004-03-18 Kayaba Ind Co Ltd リバウンドスプリングおよび緩衝器
JP2004314149A (ja) * 2003-04-18 2004-11-11 Oiles Ind Co Ltd カ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204Y2 (ja) * 1991-02-13 1998-09-2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緩衝器
US5505676A (en) * 1994-01-25 1996-04-09 The Stanley Works Clutch torque control
JPH07280022A (ja) * 1994-04-08 1995-10-27 Toyota Motor Corp リバウンドスプリング構造
JP4221937B2 (ja) * 2002-03-07 2009-02-1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JP4539087B2 (ja) * 2003-12-02 2010-09-0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プレス金型用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917A (ja) * 1994-08-31 1996-03-19 Kayaba Ind Co Ltd 緩衝器のリバウンドバネ構造
JP2002155979A (ja) 2000-11-17 2002-05-31 Fanuc Ltd ばね装置
JP2004084776A (ja) * 2002-08-27 2004-03-18 Kayaba Ind Co Ltd リバウンドスプリングおよび緩衝器
JP2004314149A (ja) * 2003-04-18 2004-11-11 Oiles Ind Co Ltd カ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336A (ko) 2012-02-21
WO2010140316A1 (ja) 2010-12-09
CN102448635A (zh) 2012-05-09
JP2010279987A (ja)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426B1 (ko) 캠 장치
CN107020494B (zh) 圆柱面内壁工件的内撑式抓取与套模下压机械手
US6250177B1 (en) Cam apparatus
EP1767310B1 (en) Reaction device for forming equipment
JP2007330999A (ja) 防振ブッシュの外筒絞り加工装置
US5390903A (en) Variable force die spring assembly
US4930330A (en) Double action bottom former
JP4534429B2 (ja) カム装置
JP2019150844A (ja) ボールスクリュープレスマシン
US20230058802A1 (en) Stamping dies and guided retainer devices for use in same
US5918708A (en) Linearly decelerated powered slides and method
CA2828189C (en) Load-applying device, press-forming die, and press-forming method
JP2015003345A (ja) カム装置
US10870141B2 (en) Shock absorber and press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443614A (zh) 减震器上支撑及其制造方法
JP5463829B2 (ja) ブローチ盤
JP2007125619A (ja) プレス金型用カム
CN216575129U (zh) 一种可浮动管内冲孔装置
EP2672138B1 (en) Gas spring
CN213052279U (zh) 一种铝合金钣金件的冲压成型装置
CN214624786U (zh) 一种随动装置
SU997919A2 (ru) Узел Сучатова креплени штампа к ползуну пресса
JP6400813B1 (ja) カム装置
JP2009066643A (ja) カム装置およびプレス機械用の金型
SU1710350A1 (ru) Компенсатор неравномерности нагружени штам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