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701B1 -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701B1
KR101310701B1 KR1020100092099A KR20100092099A KR101310701B1 KR 101310701 B1 KR101310701 B1 KR 101310701B1 KR 1020100092099 A KR1020100092099 A KR 1020100092099A KR 20100092099 A KR20100092099 A KR 20100092099A KR 101310701 B1 KR101310701 B1 KR 10131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urethane
paper
sheet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952A (ko
Inventor
손명준
Original Assignee
손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명준 filed Critical 손명준
Priority to KR102010009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7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01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커버재, 인테리어 시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면재 시트에 관한 기술로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물성을 갖는다. 일 예에 따르면, 10 ~ 60 중량%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1~40 중량%의 아크릴 수지 및 0.1 ~ 10 중량%의 실리콘 오일이 혼합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Polyurethane-based Covering Sheet and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PVC, Poly Vinyl Chloride) 수지는 저가이고 열에 강하며, 연성 및 강성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어서, 바닥재, 의료장비, 자동차시트 커버, 전선 절연체, 인테리어 시트, 데코레이션 시트, 간판 또는 실내외 장식시트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PVC 제품은 소각시 다량의 다이옥신을 방출한다. 다이옥신은 1992년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유전 가능한 1급 발암물질로 규정되었고, 세계야생보호기금에 의해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된 물질로서, 보통 염소나 브롬을 함유하는 산업공정에서 화학적인 오염물로서 생성되고, 염소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태울 때 발생한다. 또한, 다이옥신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인체에 누적되면 분해되거나 다른 물질과 쉽게 결합되지 않아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고,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이 있어서 소변이나 배설물로는 잘 배출되지 않으며, 지방에는 잘 녹기 때문에 사람이나 동물의 지방조직에 쌓이게 되고, 소량을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축적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무색의 발암물질로서 청산가리에 비해 만 배, 사카린에 비해 천 배의 독성을 가진다.
이러한 PVC 제품의 인체 유해성으로 인해, 각 국가별로 PVC 제품에 대한 규제가 가해지고 있어, PVC 제품이 설 자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2003년 7월부터 포름알데히드(HCHO) 방출기준에 적합한 건자재 사용을 의무화 하였으며 판매 및 수입 시에도 같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 권고기준 설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을 확정 및 공포하여 시행하는 등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와 규제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특히 건자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PVC를 대체할 상품에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PVC를 대체하는 친환경적인 표면재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이옥신 등 환경 유해물질을 포함하거나 분해하지 않는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으로 된 표면재 시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50 ~ 60 중량%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30 ~ 40 중량%의 아크릴 수지 및 0.1 ~ 10 중량%의 실리콘 오일이 혼합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상기 표면재 시트는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기 페이퍼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층; 및 10 ~ 60 중량%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1~40 중량%의 아크릴 수지 및 0.1 ~ 10 중량%의 실리콘 오일이 혼합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적층구조일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은 폴리졸 1 ~ 18.9 중량%, 또는 경탄 1 ~ 18.9 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은 발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따른 표면재 시트는 앨범커버, 아트북커버, 바인더표지 커버, 브로셔 커버, 박스포장용 커버, 시디 커버, 다이어리 또는 성경책 커버 등 다양한 분야의 커버재로사용될 수 있다. 또는, 인테리어 시트, 데코레이션 시트(decoration sheet)로서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가전, 가구, 목재, 철판, 금속판, 플라스틱, 유리에 합판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벽지, 건자재, 바닥재, 자동차 시트커버, 전선 절연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면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수성우레탄 20 ~ 40 중량%, 물(H2O) 10 ~ 30 중량%, 아크릴 1 ~ 20 중량%, 소광제 및 발광제 1 ~ 15 중량%, 수성실리콘 오일 0.1 ~ 5 중량%, 폴리졸 10 ~ 30 중량%, 수성잉크 0 ~ 10 중량%, 및 증점제 0 ~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일 수 있다.
삭제
또 다른 예에서, 유성우레탄 30 ~ 50 중량%, 소광제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 1 ~ 10 중량%, 경탄 1 ~ 20 중량%, 발포제 1 ~ 10 중량%, 우레탄 토너 1 ~ 20 중량%, 아크릴 1 ~ 20 중량%, 용제 1 ~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성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르면,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상기 예시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열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 상에 상기 예시에 따른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열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부직포 상에 상기 예시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열경화 단계; 및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하기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언급한 실시예들로만 한정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PVC 시트의 대체품으로 최근에는 TPO(Thermoplastic Olefin),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V(Thermoplastic Vulcanization)로 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0429660호는 폴리에틸렌수지에 환상올레핀코포리머를 소정량 혼합하여 종래의 PVC 시트의 물성, 100 내지 1000% 신장율, 4,000 내지 8,000g/in의 인장강도, 100 내지 400g/in 인열강도와 30 내지 44dyne/cm2의 표면장력을 구현함으로서 PVC 시트만큼의 내구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가공성, 유연성 그리고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나아가 PVC 시트가 가진 유해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환경호르몬의 배출이 없고 인체에 무해한 폴리올레핀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2006-0012072호는 PET 재질로 이루어지는 착색시트와,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PET 재질의 투명시트와, PET 재질의 투명시트 위에 형성되는 인쇄층과, 인쇄층 위에 형성되며 PET 재질의 투명상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 제0360252호는 폴리올레핀수지를 T-DIE 라미네이팅 하거나 접착제로 라미네이팅 또는 EVA를 T-DIE 샌드위치시켜 알루미늄박층에 적층함으로써, PVC 시트가 가진 내구성,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가공성 및 경제성 등을 확보함과 동시에 화재시 탄화막이 형성되어 폴리올레핀시트의 열에 의한 드롭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PVC 시트가 가진 유독성 문제를 해결하여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방염 인테리어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시트는 PVC 시트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유연성이 떨어지며 정전기가 발생되며,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및 표면코팅시 접착성 등에 문제점이 있다. 특히, PET는 결정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가공을 하면 결정화 때문에 백화현상이 발생되어 시트의 투명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이고 상술한 문제점이 없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기반한 표면재 시트를 제공하는 바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표면재 시트
일 예에 따른 표면재 시트는 50 ~ 60 중량%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30 ~ 40 중량%의 아크릴 수지 및 0.1 ~ 10 중량%의 실리콘 오일이 혼합된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면재 시트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기반하고 있는 바, 환경 유해물질인 다이옥신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국제 규격에 적합하다. 또한, 내열성, 내충격성, 투명성, 성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선형 폴리머로 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3차원 가교 폴리머로 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대별된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통상 주형 중합법 또는 리액션 주입 몰드(reaction injection mold)법으로 제조된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는 대부분 접착력이 없지만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는 접착제로서도 사용될 정도로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다.
본 발명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되는 바, 다양한 시판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 수지, 발포성 수지, 난연성 수지, 불연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비용상승이 초래되고, 점착성이 높고 터치감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함량이 너무 낮으면 충분한 강도 및 성형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바, 50 ~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조성물 내의 타 성분과 믹싱과정을 거쳐 중화시 유화제(乳化劑) 역할을 하고, 제품 경화 후 잔류 고형분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내충격성을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30 ~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윤활제로서 폴리우레탄 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점착성(tacky) 및 터치감 저하를 보완할 수 있고 비용 상승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0.1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재 시트는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기 페이퍼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층; 및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적층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 및 평활도가 높고 시트가 외부온도 및 내부의 화학 변화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층이 페이퍼로 이루어져 있어 수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공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에는 폴리졸 1 ~ 18.9 중량%, 또는 경탄 1 ~ 18.9 중량%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졸 (Polysol)은 유화제로서 실리콘 오일과 마찬가지로 점착성 및 터치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판 폴리졸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경탄은 석회석을 화학적 가공에 의해 생산된 경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으로서, 물리적 제조에 의한 중탄과 구별되고, 경탄, 합성탄산칼슘, 침강탄산칼슘, pcc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탄은 입자 크기에 따라 주상입자를 갖는 경질탄산칼슘과 초미립, 입방체 결정을 갖는 탄산칼슘으로 나눌 수 있는 것들을 경탄이라 한다.
경탄은 백색의 충진제로서 충진재, 보존성, 인쇄성, 물성개선 (보강성, 절연성, 유동성, 백색도) 등에 효과를 역할을 한다. 또한, 경탄은 체질안료로 이용되어 다른 체질안료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투명성, 광택도, 내열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은 발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에 소정량의 발포제를 첨가한 후 가열 건조 과정에서 발포됨으로써 발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로는 공지의 발포제, 예를 들어, 대기압에서 끓는점이 -40℃ 내지 120℃ 범위의 화합물, 기체 및/또는 액체 발포제,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알칸 및/또는 예를 들어, 이소부탄, 프로판, n-부탄 또는 이소부탄, 펜탄 및 사이클로펜탄과 같은 사이클로알칸, 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메틸 이소부틸 에테르, 및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에테르, 질소, 산소, 헬륨, 아르곤, 할로겐화 탄화수소, 부분-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복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기재층 상에는 필요에 따라 인쇄층, 평면무늬층, 입체무늬층, 투명/불투명 보호층, 하이그로시층 등 다양한 층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패턴, 무늬를 부여하기 위해, 인쇄층, 평면무늬, 입체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단색무무늬, 나뭇결 무늬, 벽돌(블럭) 무늬, 통나무 무늬, 격자 무늬 등의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 등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인쇄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평면무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Gravure)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스크린, 또는 다양한 무늬를 전사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무늬는 로터리 스크린(Rotary Screen, R/S)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엠보싱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가공은 양, 음각 요철무늬로 되어 있는 엠보롤을 사용하여 요철무늬를 성형 후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엠보롤의 양각부분은 벽지의 음각부분으로 성형되고 엠보롤의 음각무늬는 양각부분으로 성형된다.
상기 보호층 또는 하이그로시층은 시트의 표면 오염 및 스크레치를 방지하고 다양한 광택을 구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항균기능, 내열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 또는 하이그로시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경화시키거나,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아크릴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ETG),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복합체를 코팅한 후 UV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따른 표면재 시트는 앨범커버, 아트북커버, 바인더표지 커버, 브로셔 커버, 박스포장용 커버, 시디 커버, 다이어리 또는 성경책 커버 등 다양한 분야의 커버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인테리어 시트, 데코레이션 시트(decoration sheet)로서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가전, 가구, 목재, 철판, 금속판, 플라스틱, 유리에 합판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은 PVC, PE(LDPE, HDPE), PP, PS, ABS, PA(polyamide; nylon), PET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벽지, 건자재, 바닥재, 자동차 시트커버, 전선 절연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재 시트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표면재 시트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피착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들을 서로 합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재 시트는 접착제로서 유해한 유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수성풀을 사용하여 가공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표면재 시트를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접착층 등과 같은 다양한 층을 부가할 수도 있고, 표면재 시트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부가하여 목적에 맞게 개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개량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표면재 시트 제조용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면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수성우레탄 20 ~ 40 중량%, 물(H2O) 10 ~ 30 중량%, 아크릴 1 ~ 20 중량%, 소광제 및 발광제 1 ~ 15 중량%, 수성 실리콘 오일 0.1 ~ 5 중량%, 폴리졸 10 ~ 30 중량%, 수성잉크 0 ~ 10 중량%, 및 증점제 0 ~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일 수 있다.
삭제
또 다른 예에서, 유성우레탄 30 ~ 50 중량%, 소광제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 1 ~ 10 중량%, 경탄 1 ~ 20 중량%, 발포제 1 ~ 10 중량%, 우레탄 토너 1 ~ 20 중량%, 아크릴 1 ~ 20 중량%, 용제 1 ~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성 조성물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면재 시트 제조용 조성물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표면재 시트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조성물 내 성분의 성분비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 예시되지 않은 공지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도 있다.
표면재 시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르면,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상기 예시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열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페이퍼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1차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2차적으로 우레탄 조성물을 도포 후 릴리즈 페이퍼 (release paper, R/P)를 사용하여 엠보를 형성한다. 즉, 우레탄 조성물의 부착을 위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페이퍼 상에 직접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후 1회의 건조 공정 만으로 표면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은 강력한 접착력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페이퍼/부직포/폴리우레탄 기재층의 적층 구조로 된 표면재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 상에 상기 예시에 따른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열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부직포 상에 상기 예시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열경화 단계; 및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수성 표면재 시트 제조용 조성물
하기 표 1에서와 같은 성분 및 성분비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1]
Figure 112010060998490-pat00001
[실시예 2] 유성 표면재 시트 제조용 조성물
하기 표 2에서와 같은 성분 및 성분비로 조성물을 제조한다.
[표 2]
Figure 112010060998490-pat00002
[실시예 3] 표면재 시트의 제조
먼저 용도에 맞는 제지를 선택하여 그 위에 실시예 1 또는 2의 조성물을 브레이드 및 일자 나이프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1차 도포를 한 후 건식 방식과 유사한 건조라인이나 uv램프를 이용하여 실온 건조한다. 그런 다음 60~180도의 온도에서 적정시간 동안 가공라인을 통한 가열을 하여 열경화시킴으로서 표면재 시트를 제조한다.
[실시예 4] 표면재 시트의 제조
먼저 기능성 프라이머 처리가 된 부직포 위에 실시예 1 또는 2의 조성물을 브레이드 및 일자 나이프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1차 도포를 한 후 건식 방식과 유사한 건조라인이나 uv램프를 이용하여 실온 건조한다. 그런 다음 60~ 180도의 온도에서 적정시간 동안 가공라인을 통한 가공을 하여 열경화성 시트를 완성 한 후 본딩기를 이용하여 용도에 맞는 제지를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최종으로 종이를 본딩함으로서 완성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기 페이퍼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층; 및 수성우레탄 수지 20 ~ 40 중량%, 물(H2O) 10 ~ 30 중량%, 아크릴 수지 1 ~ 20 중량%, 소광제 및 발광제 1 ~ 15 중량%, 수성 실리콘 오일 0.1 ~ 5 중량%, 폴리졸 10 ~ 30 중량%, 수성잉크 0 ~ 10 중량%, 및 증점제 0 ~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성인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포함하는, 표면재 시트.
  2.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기 페이퍼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층; 및 유성우레탄 수지 30 ~ 50 중량%, 소광제 1 ~ 20 중량%, 실리콘 오일 1 ~ 10 중량%, 경탄 1 ~20 중량%, 발포제 1 ~ 10 중량%, 우레탄 토너 1 ~ 20 중량%, 아크릴 수지 1 ~ 20 중량%, 용제 1 ~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성인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포함하는, 표면재 시트.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은 발포층인, 표면재 시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 시트는 커버재, 포장재, 인테리어 시트, 데코레이션 시트, 벽지, 건자재, 바닥재, 자동차 시트커버, 및 전선 절연체 중 선택된 용도에 사용되는, 표면재 시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열경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재 시트의 제조방법.
  11.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프라이머 처리된 부직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 상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및 열경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재 시트의 제조방법.
  12. 부직포 상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 열경화 단계; 및 페이퍼 또는 릴리즈 페이퍼 상에 상기 폴리우레탄계 기재층이 형성된 상기 부직포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재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92099A 2010-09-17 2010-09-17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KR10131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99A KR101310701B1 (ko) 2010-09-17 2010-09-17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99A KR101310701B1 (ko) 2010-09-17 2010-09-17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52A KR20120029952A (ko) 2012-03-27
KR101310701B1 true KR101310701B1 (ko) 2013-09-25

Family

ID=4613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99A KR101310701B1 (ko) 2010-09-17 2010-09-17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68A (ko)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무진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접착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6665A (ko) 2015-07-09 2017-01-18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0870B (zh) * 2018-10-19 2020-01-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一種具有柔感的pet合成紙
CN113134132A (zh) * 2020-01-20 2021-07-20 烟台华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医疗留置针贴的离型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259A (ko) * 2003-01-15 2003-03-31 주식회사 쎈스 인쇄층과 보호코팅층을 일체로 대상물 표면에접착인쇄시키는 인쇄방법
KR200374210Y1 (ko) 2004-10-20 2005-01-27 박복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로 되는 투명소재 이면에합성수지재 무늬목시트지가 부착된 장식용 표면재
KR20050055566A (ko) * 2003-12-08 2005-06-13 진양화학 주식회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재
KR20070032583A (ko) * 2005-09-16 2007-03-22 (주)티피엠켐 광고 에어탑용의 열전사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259A (ko) * 2003-01-15 2003-03-31 주식회사 쎈스 인쇄층과 보호코팅층을 일체로 대상물 표면에접착인쇄시키는 인쇄방법
KR20050055566A (ko) * 2003-12-08 2005-06-13 진양화학 주식회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재
KR200374210Y1 (ko) 2004-10-20 2005-01-27 박복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로 되는 투명소재 이면에합성수지재 무늬목시트지가 부착된 장식용 표면재
KR20070032583A (ko) * 2005-09-16 2007-03-22 (주)티피엠켐 광고 에어탑용의 열전사 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68A (ko)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무진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접착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06665A (ko) 2015-07-09 2017-01-18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52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0300B (zh) 压花的和热熔层压的多层复合膜
JP5562974B2 (ja) 印刷可能な難燃性高分子フィルム
US9512622B2 (en) Decorative panel having an elastomer powder-modified substrate board
KR101310701B1 (ko)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JP2008080703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5998727B2 (ja) 発泡積層シート
KR200427573Y1 (ko)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KR100867980B1 (ko)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
JP2007291596A (ja) 壁装用化粧シート
JP5664091B2 (ja) 真空成形用化粧シート
KR101240679B1 (ko) 생분해성 시트의 합지와 엠보싱 동시 가공 방법
JP2014189979A (ja) 床用化粧材
JP5035440B2 (ja) 化粧シート
JP6534722B2 (ja) 実写印刷用ポリオレフィン系ターポリ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96422A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4904615B2 (ja) 壁紙の製造方法
JP6146958B2 (ja) 積層シート及び発泡積層シート
JP2007092197A (ja) 壁紙、及び壁紙用表面保護剤
KR200467511Y1 (ko) 친환경 데코레이션 시트
JP2002069859A (ja) 化粧シート
JP2004223823A (ja) 化粧材
KR101539701B1 (ko) 충격 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시트의 엠보싱 가공 방법
JP2006307412A (ja) 壁装用化粧シート原反及び壁装用化粧シート
KR20110055113A (ko) 피이티 시트가 구비된 인테리어용 엠보시트구조
KR100842367B1 (ko)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