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78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378B1
KR101310378B1 KR1020080115179A KR20080115179A KR101310378B1 KR 101310378 B1 KR101310378 B1 KR 101310378B1 KR 1020080115179 A KR1020080115179 A KR 1020080115179A KR 20080115179 A KR20080115179 A KR 20080115179A KR 101310378 B1 KR101310378 B1 KR 10131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oltage
clock signal
input cloc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147A (ko
Inventor
장훈석
손민식
서승표
허준오
장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78B1/ko
Priority to TW098125328A priority patent/TWI419127B/zh
Priority to US12/461,382 priority patent/US8552956B2/en
Publication of KR2010005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클럭신호를 발생한 후에 제2 입력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를 쉬프트시키면서 게이트 하이전압,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보다 낮은 변조 전압, 및 상기 변조 전압보다 낮은 게이트 로우전압으로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멀티 스텝으로 폴링에지의 전압이 낮아지는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레벨 쉬프터; 및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들, 및 상기 레벨 쉬프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최소한의 클럭으로 게이트 펄스를 변조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셀에 충전되는 전압은 TFT(Thin Film Transistor)의 기생용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킥백전압(Kickback Voltage)(또는 Feed Through Voltage, △Vp)에 영향을 받는다. 킥백전압(△Vp)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79780250-pat00001
여기서, 'Cgd'는 게이트라인에 접속된 TFT의 게이트단자와 액정셀의 화소전극에 접속된 TFT의 드레인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용량이고, 'Von-Voff'는 게이트라인에 공급되는 게이트펄스의 게이트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의 차전압이다.
이러한 킥백전압으로 인하여 액정셀의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동되어 표시화상에서 플리커와 잔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최소한의 클럭으로 게이트 펄스를 변조하고, 플리커와 잔상을 줄이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클럭신호를 발생한 후에 제2 입력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를 쉬프트시키면서 게이트 하이전압,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보다 낮은 변조 전압, 및 상기 변조 전압보다 낮은 게이트 로우전압으로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멀티 스텝으로 폴링에지의 전압이 낮아지는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레벨 쉬프터; 및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들, 및 상기 레벨 쉬프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두 개의 입력 클럭신호만으로 폴링에지가 멀티스텝으로 떨어지는 출력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그 출력 클럭신호를 액정표시패널에 형성된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에 공급하여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되는 게이트 펄스의 폴링에지를 멀티스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플리커와 잔상을 줄여 표시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에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회로와 클럭신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콘트롤 보드(11) 및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12) 등을 구비한다. 도 2에서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그 구동회로는 생략되었다.
액정표시패널(1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 액정표시패널(10)의 액정셀들은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마다 형성된 TFT들, TFT에 접속되어 화소전극들(1)과 공통전극(2)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셀들(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등을 포함한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화소 어레이의 게이트라인들에 접속되는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가 형성된다.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는 화소 어레이의 제조공정시에 화소 어레이와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는 콘트롤 보드(11)로부터의 게이트 스타트펄스를 변조된 클럭펄스(CLK1~CLK6)에 따라 쉬프트시켜 게이트라인들에 변조된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2)이 형성된다. 공통전극(2)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유리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1)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상에는 광축이 직교하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계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콘트롤 보드(11)는 타이밍 콘트롤러와 레벨 쉬프터를 포함한다. 타이밍 콘트롤러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정렬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12)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는 소스 구동 IC들(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는 레벨 쉬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클럭신호(MCLK, GCLK)와,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될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회로를 포함한다. 레벨 쉬프터는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제1 및 제2 클럭신호(MCLK, GCLK)에 응답하여 폴링 에지에서 멀티스텝으로 전압이 낮아지는 클럭신호들(CLK1~CLK6)을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클럭신호들(CLK1~CLK6)은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된다. 이러한 레벨 쉬프터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들(RGB)을 수신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RGB)을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그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을 게이트 펄스에 동기되도록 액정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 상에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를 형성하여 액정표시패널(10)에 접속되는 게이트 구동회로를 간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킥백전압을 보상하여 플리커와 잔상을 줄일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2 개의 클럭신호만으로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되는 게이트 펄스의 폴링에지 전압을 멀티스텝으로 변조함으로써 수학식 1에서 'Von-Voff'를 작게 한다.
도 2는 콘트롤 보드(11)의 레벨 쉬프터를 상세히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벨 쉬프터의 입/출력 파형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벨 쉬프터는 쉬프트 레지스터(21) 및 다수의 변조 제어회로(23)를 구비한다.
타이밍 콘트롤러는 제1 클럭신호(GCLK)를 발생한 후에, 그 제1 클럭시노(GCLK)로부터 소정시간 지연되는 제2 클럭신호(MCLK)를 발생한다. 제1 클럭신호(GCLK)의 라이징 타임은 레벨 쉬프터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CLK1~CLK6)의 라이징 타임과 실질적으로 동기되고, 제1 클럭신호(GCLK)의 폴링 타임은 제2 클럭신호(MCLK)의 폴링 타임과 실질적으로 동기된다. 제1 클럭신호(GCLK)의 펄스폭은 제2 클럭신호(MCLK)의 펄스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제1 클럭신호(GCLK)의 주기는 제2 클럭신호(MCLK)의 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쉬프터 레지스터(21)는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클럭신호(GCLK, MCLK)을 쉬프트시켜 제1 내지 제6 출력채널쌍들에 제1 및 제2 클럭신호(GCLK, MCLK)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변조 제어회로(23 ①~⑥) 각각의 클럭 입력단자쌍은 쉬프트 레지스터(21)의 출력채널쌍과 1:1로 접속된다. 변조 제어회로(23)의 제1 클럭 입력단자에는 제1 클럭신호(GCLK ①~⑥)가 입력되고, 변조 제어회로(23)의 제2 클럭 입력단자에는 제2 클럭신호(MCLK ①~⑥)가 입력된다. 변조 제어회로(23) 각각은 제1 클럭신호(GCLK ①~⑥)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될 클럭신호(CLK1~CLK6)를 게이트 하이전압레벨(VGH)로 발생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클럭신호(MCLK ①~⑥)가 입력되면 그 제2 클럭신호(MCLK ①~⑥)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될 클럭신호(CLK1~CLK6)의 전압을 변조 전압레벨(VGM)로 낮춘다. 변조 제어회로(23 ①~⑥)는 제1 및 제2 클럭신호(GCLK ①~⑥, MCLK ①~⑥)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될 클럭신호(CLK1~CLK6)의 전압레벨을 게이트 로우전압레벨(VGL)로 낮춘다. 따라서, 변조 제어회로들(23 ①~⑥)은 쉬프트 레지스터(21)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제1 및 제2 클럭신호(GCLK ①~⑥, MCLK ①~⑥)에 응답하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될 클럭신호(CLK1~CLK6)를 발생하고 그 클럭신호(CLK1~CLK6)의 폴링에지 전압을 게이트 하이전압레벨(VGH), 변조 전압레벨(VHM) 및 게이트 로우전압레벨(VGL)로 점진적으로 낮춘다.
게이트 하이전압(VGL)은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의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이며, 게이트 로우전압레벨(VGL)은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TFT들의 문턱 전압 미만의 전압레벨이다. 변조 전압(VGM)은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 사이의 전압이다.
변조 제어회로들(23 ①~⑥) 각각은 로직부(22),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T1~T3) 등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n 타입 MOS TFT(Metal Oxide Semiconductor TFT)로 구현되고, 제3 트랜지스터(T3)는 p 타입 MOS TFT로 구현된다.
로직부(22)는 D-플립플롭과 같은 지연소자와, 제1 및 제2 클럭신호(GCLK, MCLK)을 논리 연산하는 로직 게이트 소자들을 이용하여 제1 클럭신호(GCLK ①~⑥)의 라이징 에지에서 제1 트랜지스터(T1)를 턴-온시킨 후, 제2 클럭신호(MCLK ①~⑥)의 라이징 에지에서 제2 트랜지스터(T2)를 턴-온시킨다. 이어서, 로직부(22)는 제2 클럭신호(MCLK ①~⑥)의 폴링 에지에서 제3 트랜지스터(T3)를 턴-온시킨다.
제1 TFT(T1)는 로직부(22)의 제어 하에 제1 클럭신호(GCLK ①~⑥)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출력단자로 출력하며, 제2 클럭신호(MCLK ①~⑥)의 라이징에지 직전까지 게이트 하이전압(VGH)의 출력을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1 TFT(T1)의 게이트전극은 로직부(22)로부터 하이논리전압의 제어펄스가 출력되는 로직부(22)의 제1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제1 TFT(T1)의 소스전극은 게이트 하이전압원(VGH)에 접속되고, 제1 TFT(T1)의 드레인전극은 변조 제어회로(23 ①~⑥)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제2 TFT(T2)는 제2 클럭신호(MCLK ①~⑥)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변조 전압(VGM)을 출력단자로 출력하며, 제2 클럭신호(MCLK ①~⑥)의 폴링에지까지 변조 전압(VGM)의 출력을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2 TFT(T2)의 게이트전극은 쉬프트 레지스터(21)의 제1 클럭신호(MCLK ①~⑥)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제2 TFT(T2)의 소스전극은 변조 전압원(VGM)에 접속되고, 제2 TFT(T2)의 드레인전극은 변조 제어회로(23 ①~⑥)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제3 TFT(T3)는 로직부(22)의 제어 하에 제1 및 제2 클럭신호(GCLK ①~⑥, MCLK ①~⑥)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출력단자로 출력하며, 다음 제1 클럭신호(GCLK ①~⑥)가 입력될 때까지 게이트 로우전압(VGL)의 출력을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3 TFT(T2)의 게이트전극은 로직부(22)로부터 로우논리전압의 제어펄스가 출력되는 로직부(22)의 제2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제3 TFT(T3)의 소스전극은 게이트 로우 전압원(VGL)에 접속되고, 제3 TFT(T3)의 드레인전극은 변조 제어회로(23 ①~⑥)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제1 변조 제어회로(23 ①)는 제1 클럭신호(GCLK)에서 6k(k는 양의 정수)+1 번째 발생되는 클럭(GCLK ①, GCLK ⑦)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의 출력신호(CLK1)를 발생한 후,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1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①, MCLK ⑦)의 라이징에지에서 출력신호(CLK1)의 전압을 변조 전압(VGM)으로 낮춘다. 그리고 제1 변조 제어회로(23 ①)는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1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①, MCLK ⑦)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출력신호(CLK1)의 전압을 게이트 로우전압(VGL)로 낮춘다.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는 제1 클럭신호(GCLK)에서 6k+2 번째 발생되는 클럭(GCLK ②, GCLK ⑧)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레벨(VGH)의 출력신호(CLK2)를 발생한 후,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2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②, MCLK ⑧)의 라이징에지에서 출력신호(CLK2)의 전압레벨을 변조 전압(VGM)으로 낮춘다. 그리고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는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2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②, MCLK ⑧)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출력신호(CLK2)의 전압을 게이트 로우전압레벨(VGL)로 낮춘다.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는 쉬프트 레지스터(21)로부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②, MCLK ②)이 제1 변조 제어회로(23 ①)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①, MCLK ①)보다 늦기 때문에 제1 변조 제어회로(23 ①)의 출력신호(CLK1)보다 늦은 출력신호(CLK2)를 발생한다.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의 출력신호(CLK2)는 제1 변조 제어회로(23 ①)의 출력신호(CLK1)와 일부 중첩된다.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는 제1 클럭신호(GCLK)에서 6k+3 번째 발생되는 클럭(GCLK ③, GCLK ⑨)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의 출력신호(CLK3)를 발생한 후,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3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③, MCLK ⑨)의 라이징에지에서 출력신호(CLK3)의 전압을 변조 전압레벨(VGL)로 낮춘다. 그리고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는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3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③, MCLK ⑨)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출력신호(CLK3)의 전압을 게이트 로우전압(VGL)으로 낮춘다.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는 쉬프트 레지스터(21)로부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③, MCLK ③)이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②, MCLK ②)보다 늦기 때문에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의 출력신호(CLK2)보다 늦은 출력신호(CLK3)를 발생한다.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의 출력신호(CLK3)는 제2 변조 제어회로(23 ②)의 출력신호(CLK2)와 일부 중첩된다.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는 제1 클럭신호(GCLK)에서 6k+4 번째 발생되는 클럭(GCLK ④, GCLK ⑩)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의 출력신호(CLK4)를 발생한 후,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4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④, MCLK ⑩)의 라이징에지에서 출력신호(CLK4)의 전압을 변조 전압(VGM)으로 낮춘다. 그리고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는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4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④, MCLK ⑩)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출력신호(CLK4)의 전압을 게이트 로우전압(VGL)으로 낮춘다.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는 쉬프트 레지스터(21)로부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④, MCLK ④)이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③, MCLK ③)보다 늦기 때문에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의 출력신호(CLK3)보다 늦은 출력신호(CLK4)를 발생한다.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의 출력신호(CLK4)는 제3 변조 제어회로(23 ③)의 출력신호(CLK3)와 일부 중첩된다.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는 제1 클럭신호(GCLK)에서 6k+5 번째 발생되는 클럭(GCLK ⑤, GCLK ⑪)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의 출력신호(CLK5)를 발생한 후,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5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⑤, MCLK ⑪)의 라이징에지에서 출력신호(CLK5)의 전압을 변조 전압(VGM)으로 낮춘다. 그리고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는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5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⑤, MCLK ⑪)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출력신호(CLK5)의 전압을 게이트 로우전압(VGL)로 낮춘다.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는 쉬프트 레지스터(21)로부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⑤, MCLK ⑤)이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④, MCLK ④)보다 늦기 때문에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의 출력신호(CLK4)보다 늦은 출력신호(CLK5)를 발생한다.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의 출력신호(CLK5)는 제4 변조 제어회로(23 ④)의 출력신호(CLK4)와 일부 중첩된다.
제6 변조 제어회로(23 ⑥)는 제1 클럭신호(GCLK)에서 6k+6 번째 발생되는 클럭(GCLK ⑥, GCLK ⑫)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의 출력신호(CLK6)를 발생한 후,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6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⑥, MCLK ⑫)의 라이징에지에서 출력신호(CLK6)의 전압을 변조 전압(VGM)으로 낮춘다. 그리고 제6 변조 제어회로(23 ⑥)는 제2 클럭신호(MCLK)에서 6k+6 번째 발생되는 클럭(MCLK ⑥, MCLK ⑫)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출력신호(CLK6)의 전압을 게이트 로우전압(VGL)로 낮춘다. 제6 변조 제어회로(23 ⑥)는 쉬프트 레지스터(21)로부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⑥, MCLK ⑥)이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GCLK ⑤, MCLK ⑤)보다 늦기 때문에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의 출력신호(CLK5)보다 늦은 출력신호(CLK6)를 발생한다. 제6 변조 제어회로(23 ⑥)의 출력신호(CLK6)는 제5 변조 제어회로(23 ⑤)의 출력신호(CLK5)와 일부 중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및 제2 클럭신호들(GCLK ①~⑥, MCLK ①~⑥)의 시간차를 조정하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CLK1~CLK6)의 펄스폭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2 클럭신호들(GCLK ①~⑥, MCLK ①~⑥)의 펄스폭 및 듀티비를 조정하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들(CLK1~CLK6)의 폴링에지에서 변조 전압(VGM)의 지속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는 레벨 쉬프터로부터 도 3과 같은 파형으로 공급되는 클럭신호들(CLK1~CLK6)에 응답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시켜 화소 어레이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되는 게이트 펄스의 폴링에지를 VGH, VGM 및 VGL의 멀티 스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두 개의 입력 클럭신호(GCLK ①~⑥, MCLK ①~⑥)만으로 폴링에지가 멀티스텝으로 떨어지는 출력 클럭신호(CLK1~CLK6)를 생성하고, 그 출력 클럭신호(CLK1~CLK6)를 액정표시패널(10)에 형성된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하여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되는 게이트 펄스의 폴링에지를 멀티스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플리커와 잔상을 줄여 표시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13)에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레벨 쉬프트 회로의 구성과 클럭신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떠한 액정모드나 구동 방식에 관계없이 게이트펄스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 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 보드의 레벨 쉬프터를 상세히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벨 쉬프터의 입/출력 파형을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 21 : 쉬프트 레지스터
22 : 로직부 23 ①~⑥ : 변조 제어회로
T1~T3 : 트랜지스터

Claims (7)

  1. 제1 입력 클럭신호를 발생한 후에 상기 제1 입력 클럭신호로부터 소정 시간 지연된 제2 입력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를 쉬프트시키며, 상기 제1 입력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게이트 하이전압, 상기 제2 입력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며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보다 낮은 변조 전압, 및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며 상기 변조 전압보다 낮은 게이트 로우전압으로 단계적으로 낮아지는 멀티 스텝으로 폴링에지의 전압이 낮아지는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레벨 쉬프터; 및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들, 및 상기 레벨 쉬프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쉬프터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및 상기 멀티 스텝으로 폴링에지의 전압이 낮아지는 상기 클럭신호들을 발생하는 변조 제어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은 상기 제1 입력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발생되고, 상기 변조 전압은 상기 제2 입력 클럭신호의 라이징 에지에 동기되어 발생되며, 상기 게이트 로우전압은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제어회로는,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이 공급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변조 전압이 공급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게이트 로우전압이 공급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키는 로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로직부의 제어 하에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상기 로직부에 입력되는 상기 제1 입력 클럭신호의 라이징에지에 동기되도록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을 출력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상기 로직부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입력 클럭신호의 라이징에지 직전까지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의 출력을 유지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상기 로직부에 입력되는 상기 제2 입력 클럭신호의 라이징에지에 동기하여 상기 변조 전압을 상기 출력단자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입력 클럭신호의 폴링에지까지 상기 변조 전압의 출력을 유지하며,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상기 로직부의 제어 하에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를 경유하여 상기 로직부에 입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클럭신호의 폴링에지에 동기하여 상기 게이트 로우전압을 상기 출력단자로 출력하며, 다음 제1 입력 클럭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게이트 로우전압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로직부의 제1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하이전압을 발생하는 제1 전압원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변조 제어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제1 입력 클럭신호 출력단자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상기 변조 전압을 발생하는 제2 전압원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변조 제어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트랜지스터는,
    상기 로직부의 제2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로우 전압을 발생하는 제3 전압원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변조 제어회로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80115179A 2008-11-19 2008-11-19 액정표시장치 KR10131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179A KR101310378B1 (ko) 2008-11-19 2008-11-19 액정표시장치
TW098125328A TWI419127B (zh) 2008-11-19 2009-07-28 液晶顯示裝置
US12/461,382 US8552956B2 (en) 2008-11-19 2009-08-10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179A KR101310378B1 (ko) 2008-11-19 2008-11-19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147A KR20100056147A (ko) 2010-05-27
KR101310378B1 true KR101310378B1 (ko) 2013-09-23

Family

ID=4217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179A KR101310378B1 (ko) 2008-11-19 2008-11-1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52956B2 (ko)
KR (1) KR101310378B1 (ko)
TW (1) TWI4191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61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펄스 변조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0549U (en) * 2008-04-01 2008-09-11 Richtek Technology Corp Apparatus for decreasing internal power loss in integrated circuit package
KR20110077868A (ko) * 2009-12-30 201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DE102010007351B4 (de) * 2010-02-09 2018-07-12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Pegelschieber zur Verwendung in LCD-Anzeige-Anwendungen
US20110273430A1 (en) * 2010-05-05 2011-11-10 Intersil Americas Inc. Voltage level shifting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20120050114A (ko) * 2010-11-10 2012-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ㅊ치 및 그 구동 방법
TW201225055A (en) * 2010-12-09 2012-06-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A LCD panel working voltage switching system and a switching method thereof
KR101952936B1 (ko) * 2012-05-23 2019-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71939B1 (ko) 2013-05-23 2020-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42298B1 (ko) * 2013-10-31 2020-08-0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그의 구동 방법, 그리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회로
KR102286916B1 (ko) * 2014-12-31 2021-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펄스 변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61388B1 (ko) * 2015-12-31 2022-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0474280B2 (en) 2015-12-31 2019-11-12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active stylus pen
KR102443929B1 (ko) * 2016-05-02 2022-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컨트롤러 및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CN105845067B (zh) * 2016-05-30 2019-06-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驱动信号控制电路
KR102513988B1 (ko) * 2016-06-01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47973B2 (en) 2016-06-01 2023-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f uniform brightness
CN106128408A (zh) * 2016-09-18 2016-11-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的驱动电路及液晶显示面板
CN110322847B (zh) * 2018-03-30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及驱动方法
KR102654591B1 (ko) * 2018-08-03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럭 및 전압 발생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13306A (ko)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전원관리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59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60130328A (ko) * 2005-06-14 2006-12-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8122913A (ja) * 2006-11-09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020A (en) * 1996-03-29 2000-09-05 Fujitsu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JP3774678B2 (ja) * 2002-05-10 2006-05-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フトレジスタ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70121318A (ko) * 2006-06-22 200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859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60130328A (ko) * 2005-06-14 2006-12-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8122913A (ja) * 2006-11-09 200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パネル一体型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61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펄스 변조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1058B1 (ko) 2013-12-24 2020-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펄스 변조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3708A1 (en) 2010-05-20
US8552956B2 (en) 2013-10-08
TWI419127B (zh) 2013-12-11
KR20100056147A (ko) 2010-05-27
TW201021012A (en) 201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378B1 (ko) 액정표시장치
TWI426482B (zh) 顯示裝置及控制該裝置之閘脈衝調變之方法
KR10128505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08338B1 (ko)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펄스 제어방법
KR10126351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동 장치 및 방법
US75611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653006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소비전력 저감방법
KR20120031651A (ko) 표시장치와 그 클럭신호 제어방법
KR10197080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1090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85424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68606B1 (ko)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158889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101901A (ko) 게이트펄스 변조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32787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80014337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118963A (ko) 공통전압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0485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7786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13823242B (zh) 一种低功耗高稳定性的gip电路及其驱动方法
KR2007012082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70064458A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KR2008005792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8004707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80045468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