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439B1 -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 Google Patents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439B1
KR101307439B1 KR1020087000184A KR20087000184A KR101307439B1 KR 101307439 B1 KR101307439 B1 KR 101307439B1 KR 1020087000184 A KR1020087000184 A KR 1020087000184A KR 20087000184 A KR20087000184 A KR 20087000184A KR 101307439 B1 KR101307439 B1 KR 10130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aling sheet
blade
hin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724A (ko
Inventor
미키오 이시모토
히데히또 나카미츄
히데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6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non integral with, or not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봉성이나 입에 닿는 느낌이 좋고, 특히 핫음료에 적용한 경우, 개봉시에 손가락이 핫음료에 접촉하는 일 없이 개구부를 밀봉한 밀봉 시트(4)을 개봉할 수 있는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락스틱제 캡(5)을 제공하는 것이다. 밀봉 시트(4)로 밀봉된 핫음료용 컵형 용기(1)의 플랜지(2)에 씌워지는 밀봉 시트 개봉용 캡(5)으로서, 칼날을 갖는 개봉 부재(30)와, 상기 개봉 부재(30)에 연결되어, 상기 개봉 부재(30)의 칼날을 눌러 내리기 위한 레버 부재(40)와, 개봉 부재(3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를 통하여, 상기 개봉 부재(30)와 레버 부재(40)를 연결,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캡 본체로 이루어지고, 캡 본체의 개구에는 개봉 부재(30)를 개봉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 부재(40)에는 개봉 후의 레버 부재(40)를 처음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43, 4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PLASTIC CAP FOR UNSEALING}
본 발명은 핫음료(hot beverage)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나, 이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컵형 용기에 씌워진 컵형 용기에 들어 있는 핫음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과즙 음료, 커피, 유산 음료, 액체 스프나 주류 등의 액체 식품의 분야에서는, 원통 형상의 액체용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용 용기로서, 사용시의 편리함 때문에, 개구부를 밀봉한 밀봉 필름을 개봉할 수 있는 개봉 부재를 구비한 주구(注口) 형성구를 장착한 것이나, 개구부를 밀봉한 밀봉 필름 위에, 이 밀봉 필름을 개봉할 수 있는 개봉 부재를 구비한 개봉용 캡을 씌운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개봉 부재의 개봉 기구로는, 개봉 부재를 직접 밀어 넣어 개봉하는 타입과, 개봉 부재에 접속된 개봉용 레버 부재를 들어 올림으로서 개봉 부재를 눌러 내려 개봉하는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예를 들면, 개봉 부재를 직접 밀어 넣어 개봉하는 개봉 부재를 구비한 주구 형성구를 장착한 액체용 용기로는 종이를 주로 한 시트로 이루어지는 액체용 종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적어도 중앙에 직선 형상의 점구멍 또는 칼집을 넣은 주출공(注出孔; 따르는 구멍) 예정부를 마련하고, 이 주출공 예정부의 이면에 파단 가능한 밀봉 필름이 접착되어 있으며, 이 주출공 예정부의 표면에 주출벽체와 이 주출벽체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수평으로 설치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출벽체의 내벽에 얇은 힌지를 통하여 하면에 돌기 형상 칼날을 갖는 개봉 플랩이 수평으로 설치된 마개를 장착하여, 개봉 플랩을 눌러 내림으로써 주출공 예정부의 적어도 직선 형상의 점구멍 또는 칼집부터 찢어 밀봉 필름이 부착된 시트를 좌우로 열고 개봉 플랩으로 걸어 멈추게 하여 주출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장착 액체용 종이 용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개봉 부재를 직접 밀어 넣어 개봉하는 개봉 부재를 구비한 개봉용 캡을 씌워진 액체용 용기로는, 용기 위에 장착되는 개봉 부재를 가지고, 틀체는 칼날 부재를 수용 가능한 높이를 갖는 짧은 통 형상을 이루어 하단에서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장착하고, 칼날 부재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칼날을 구비하여 윗판부에 힌지 결합하고 있어, 칼날을 힌지의 회전축 둘레로 변위시켜 덮개체를 절단하여 이 덮개체의 일부를 간이하게 개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덮개체의 개구를 정해진 형상 및 크기로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개봉 부재를 구비한 개봉용 캡을 씌운 액체용 용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2,3 참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개봉 부재에 접속된 개봉용 레버 부재를 들어 올림으로써 개봉 부재를 눌러 내려 개봉하는 주구 형성구를 장착한 액체용 용기로는, 용기의 일부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봉부와, 이 개봉부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이 조작부를 지지하여 상기 용기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개봉부와 조작부 사이에는 얇은 부분을 갖는 대략 U자 형상의 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홈부로부 터 소정 치수 떨어진 위치의 양측부에 돌출 설치된 지지축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개봉부, 조작부 및 지지부는 상기 얇은 부분과 지지축부를 통하여, 일체 성형되는 주구 형성구를 장착한 액체용 용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개봉 부재에 접속된 개봉용 레버 부재를 들어 올림으로써 개봉 부재를 눌러 내려 개봉하는 개봉 부재를 구비한 개봉용 캡을 씌우는 액체용 용기로는, 요(凹) 형상의 윗판의 거의 중앙 위치에 지주판을 설치하고, 지주판의 전방 근방에 저변이 지주판에 평행하고 정각(頂角)이 둥근 삼각 형상인 전방 절삭부를 윗판에 설치하고, 지주판의 후방에 전방 절삭부의 저변보다 폭이 큰 저변을 갖는 사각 형상의 후방 절삭부을 설치하며, 전방 절삭부 내에, 저변 이외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접촉벽을 설치하고 하면에 개봉칼을 설치하는 정각이 둥근 삼각 형상의 개봉판을, 저변 이외의 주위에 간격을 두고 저변을 윗판에 접속하고, 후방 절삭부보다 폭 및 길이가 작고 폭이 개봉판의 저변보다 큰 개봉 조작판을, 지주판의 선단 후방에 접속하여 후방 절삭부 상방에 설치하며, 개봉판과 개봉 조작판의 좌우의 윗판의 위치에 돌기벽을 형성하고, 이 돌기벽 간의 전방 둘레 가장자리부에 환형 음용구벽을 설치하고, 전방에 음용구부 후방에 손가락 삽입구부를 설치한 개봉용 캡을 씌운 액체용 용기(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실개평 7-22921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 2004-123155호 공보.
특허문헌 3 : 특개 2005-22757호 공보.
특허문헌 4 : 특개평 09-301357호 공보.
특허문헌 5 : 특개 2001-1900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시의 개봉성이나 입에 닿는 느낌이 좋으며, 특히 핫음료에 적용한 경우, 개봉시에 손가락이 핫음료에 접촉하는 일 없이 개구부를 밀봉한 밀봉 시트를 개봉할 수 있는 개봉 부재가 형성된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락스틱제 캡이나, 이 개봉용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컵형 용기의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복합재인 경우에, 분별 회수가 용이한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밀봉 알루미늄 시트 또는 밀봉 알루미늄 수지 필름 복합재 시트로 개구부가 밀봉된 핫음료용 컵형 용기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씌워지는 밀봉 시트 개봉용 캡으로서, 상기 밀봉 시트를 개봉할 수 있는 칼날과 칼날의 반대측에 형성된 힌지 형성 수직판을 갖는 개봉 작용판으로 이루어지는 개봉 부재와,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힌지 형성 수직부를 가지며,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 부분과 힌지 형성 수직부와 그 사이의 얇은 부분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홈부로서 구성되는 중앙 힌지를 통하여 상기 개봉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밀봉 시트를 개봉하기 위하여 개봉 부재의 칼날을 눌러 내리기 위한 레버 부재와, 개봉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판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부 힌지를 통하여, 상기 개봉 부재와 레버 부재를 중앙 요(凹)형상으로 연결, 수용하기 위한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벽을 갖는 캡 본체로 이루어지고, 캡 본체의 개봉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부에는, 개봉 부재의 칼날을 눌러 내렸을 때, 상기 개봉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판에 걸려 개봉 부재를 개봉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한 쌍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개봉 부재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 부재에는 개봉 부재 및/또는 캡 본체와의 걸림에 의해, 개봉 후의 레버 부재를 음용시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에 있어서, (2) 캡 본체의 측둘레면 내면측에, 핫음료용 컵형 용기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단부의 컬(curl) 가장자리 또는 두꺼운 부분과 밀접하게 결합하기 위한 둘레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 (3) 캡 본체의 측둘레면에, 핫음료용 컵형 용기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씌워진 밀봉 시트 개봉용 캡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 (4) 개봉 부재에 형성된 칼날이, 원호 형상 혹은 지붕 형상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양단부에 비해 길고, 양날 혹은 편날 형상 칼날을 갖는 선단 칼날과, 좌우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선단 톱날 형상 칼날로 한 구성, (5) 개봉 후의 레버 부재를 음용시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가, 개봉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에 수직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철(凸)편에 걸리는, 레버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부의 중앙에 설치된 L자 형상의 걸림편으로 한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6) 컵형 용기에 들어 있는 핫음료를, 상기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핫음료가 수납되고, 밀봉 알루미늄 시트 또는 밀봉 알루미늄 수지 필름 복합재 시트로 개구부가 밀봉된 컵형 용기에 씌워져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7) 컵형 용기에 들어 있는 핫음료에 있어서, 컵형 용기의 재질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수지 필름 복합재로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A-A 단면도(미개봉 상태).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개봉 상태).
도 9는 도 1의 A-A 단면도(음용시의 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사시도(음용시의 상태).
도 11은 본 발명의 컵형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핫음료용 컵형 용기
2 플랜지
3 플랜지의 컬 가장자리
4 밀봉 시트
5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6 단부 힌지
7 중앙 힌지
10 캡 본체
11 개구 수직벽
12 원형 윗판부
13 제 1 측 둘레부
14 제 2 측 둘레부
15 단(段)부
16 박후(薄厚)부
17 원형 윗판부의 오목부
18 단부 힌지 형성용 돌기편
19 개봉 부재 스토퍼
20 제 2 측 둘레부 내면측의 둘레홈
21 제 2 측 둘레부의 얇은 부분
22 단부의 얇은 홈
23 오목부 선단 부분
30 개봉 부재
31 힌지 형성 수직판
32 개봉 작용판
33 선단 칼날
34 양측 칼날
35 원형 요(凹)부
36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에 수직 형상으로 설치된 철(凸)편
37 개봉 부재 연결체
40 레버 부재
41 힌지 형성 수직부
42 레버 작동판
43 힌지 형성 수직부의 중앙에 설치된 L자 형상의 걸림편
44 레버 작동판의 후단에 설치된 L자 형상의 걸림편
45 긴 원형의 요(凹)부
46 원호 형상 홈
47 레버 부재 연결체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A-A 단면도(미개봉 상태),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개봉 상태), 도 9는 도 1의 A-A 단면도(음용시의 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의 사시도(음용시의 상태), 도 11은 컵형 용기의 변형예이다. 이하, 편의상, 도 1에서의 하방을 선단, 상단을 후단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7~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핫음료용 컵형 용기(1)의 개구 둘레 단부에 는 그 단부가 컬 가장자리(3) 또는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가 형성되어 있다. 컵형 용기(1)에 핫음료(커피, 홍차, 일본차, 스프 등)가 충전/수납된 후, 이 플랜지(2) 상면에 밀봉 알루미늄 시트 또는 밀봉 알루미늄-수지 필름 복합재 시트(이하 '밀봉 시트(4)'라 한다)가 히트씰 등에 의해 방수 부착되어, 용기의 개구부가 밀봉된다. 상기 밀봉 알루미늄-수지 필름 복합재 시트로는 알루미늄 박층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실런트층이 라미네이트된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컵형 용기(1)의 재질로는, 종래부터 이 종류의 용기에 이용되고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수지 필름 복합재인 것이 밀봉 시트(4)의 알루미늄 재질과 맞아 분별 회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컵형 용기(1)는 예를 들면, 두께 60~200㎛의 알루미늄박 심(芯)층과 그 양면에 형성된 각각 두께 1~300㎛의 함성 수지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를 다단 압축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도 11 참조).
본 발명의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5)은 도 2~4 및 도 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시트(4)로 캡 개구부가 밀봉된 핫 음료용 컵형 용기(1)의 컵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에 씌워진다.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5)은 도 1 및 도 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 부재(30)와, 레버 부재(40)와, 이들을 중앙 요(凹) 형상으로 연결, 수용하기 위한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벽(11)을 갖는 캡 본체(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시에는 개봉 부재(30)가 눌러 내려진 부분이 음용구가 된다.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5)의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또한,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5)은 인젝션 성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캡 본체(10)는 도 5,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개구 수직벽(11)에 의해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윗판부(12)와, 이 원형 윗판부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제 1 측 둘레부(13)와, 이 제 1 측둘레부보다 큰 지름의 제 2 측 둘레부(14)와, 이들 제 1 측 둘레부와 제 2 측 둘레부를 평면에서 보아 동심원상에 형성하기 위한 단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원형 윗판부(12)의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의 선단은 제 1 측 둘레부에 도달하여, 도 5,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 둘레부가 개구 수직벽이 되도록 하는 박후(薄厚)부(16)로서 구성되어 있어, 핫음료를 마시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원형 윗판부(12)의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의 후단측에는, 개구 수직벽(11)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용기 개봉시에 레버 부재(40)의 레버 작동판(45)의 하측으로 손가락을 안내할 수 있는 오목부(17)를 설치하고 있다.
개봉 부재(30)와 레버 부재(40)의 연결 위치에 상당하는,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벽(11)의 좌우 양측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힌지 형성용 돌기편(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 힌지 형성용 돌기편(18)과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양단부 사이에 얇은 부분을 통하여 형성되는 단부 힌지(6)에 의해, 캡 본체(10)와 개봉 부재(30)가 연결된다. 또한,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약간 선단측에 상당하는,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벽(11)의 좌우 양측에는 도 1, 6,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 높이가 커지는 돌조로 이루어지는 개봉 부재 스토퍼(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봉 부재 스토퍼(19)와, 개봉시에 회동된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이 서로 걸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 부재(30)를 개봉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밀봉 시트 개봉용 캡(5)은 상기 제 2 측둘레부(14)가 핫음료용 컵형 용기(1)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에 씌워지는데, 이 제 2 측둘레부 내면측에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음료용 컵형 용기(1)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단부의 컬 가장자리(3) 또는 두꺼운 부분과 밀접하게 결합하기 위한 둘레홈(20)을 형성해 둘 수도 있다. 이러한 둘레홈(20)에 의해, 파단된 밀봉 시트(4)로부터 유출된 핫음료가 음용구 이외에서 외부로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둘레부(14)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형상으로 2개의 얇은 부분(21)을 형성해 두면, 음용 후에 컵형 용기(1)로부터의 밀봉 시트 개봉용 캡(5)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분별 회수가 촉진되게 된다. 그 때, 상기 2개의 얇은 부분 사이에 상당하는 단부(15)에 얇은 홈(22)을 형성해 두면, 음용 후에 컵형 용기(1)로부터의 밀봉 시트 개봉용 캡(5)의 분리가 한층 용이해진다.
개봉 부재(30)는 개봉 작용판(32)과, 밀봉 시트(4)를 개봉할 수 있는 칼날(33, 34)(도 6~9)과, 칼날(33, 34)의 반대측에 형성된 힌지 형성 수지판(31)(도 6~10)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칼날(33, 34)은 개봉 작용판의 원호 형상 혹은 지붕 형상 선단 및 좌우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고, 힌지 형성 수직판(31)은 개봉 작용판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에 형성된 칼날(33)의 칼끝은 양날 혹은 편날 또는 톱날로 할 수 있는데, 선단의 칼날(33)은 컵형 용기의 밀봉 시트(4)의 개봉 동작에 있어서 밀봉 시트(4)에 초기 파단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중앙 부분이 양단부에 비해 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양날 혹은 편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좌우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하는 칼날의 칼끝(34)은 초기 파단 부위를 확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양날 혹은 편날로 하기보다도 톱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 작용판 상면에는 그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도 1,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중앙 부분에 원형의 요(凹)부(35)를 형성시켜 둘 수도 있다. 개봉 작용판(32)의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힌지 형성 수직판(31)은 얇은 부분을 통하여, 그 길이 방향 중앙 부분에서 레버 부재(40)의 힌지 형성 수직부(41)와의 대략 U자 형상의 홈부로서 구성되는 중앙 힌지(7)를, 그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캡 본체(10)의 단부 힌지 형성용 돌기편(18)과의 대략 U자 형상의 홈부로서 구성되는 단부 힌지(6)를 형성하고 있다. 이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개봉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걸림부로서도 기능한다.
레버 부재(40)는 레버 작동판(42)과 그 선단에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힌지 형성 수직부(41)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레버 부재(40)는 그 힌지 형성 수직부(41)와 상기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중앙 부분 사이의 얇은 부분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홈부로서 구성되는 중앙 힌지(7)를 통하여 상기 개봉 부재(30)에 연결되어 있다. 이 힌지 형성 수직부(41)는 레버 작동판(42)을 들어 올렸을 때, 상기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에 먼저 면으로 접촉 하고, 더욱 들어 올리면 힌지 형성 수직판(31)을 가압하여 개봉 부재(30)를 단부 힌지(6)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시켜, 그 칼날(33, 34)에 의해 밀봉 시트의 개봉이 수행된다. 또한, 레버 부재(40)에는 개봉 부재(30) 및/또는 캡 본체(10)와의 걸림에 의해, 개봉 후의 레버 부재(40)를 원형 윗판부(12)로부터 컵 용기(1) 쪽으로 우묵한 음용시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43, 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봉 후의 레버 부재를 음용시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로는, 도 6, 7에 도시된,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중앙에 수직 형상으로 설치된 철(凸)편(36)에 걸리는, 레버 부재(40)의 힌지 형성 수직부(41)의 중앙에 설치된 단면 L자 형상의 걸림편(43)이나, 도 7, 8, 9에 도시된, 캡 본체(10)의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의 후단에 위치하는 오목부(17) 선단 부분(23)에 걸리는, 레버 작동판(42)의 후단에 설치된 단면 L자 형상의 걸림편(44)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43, 44)에 의해, 핫음료의 음용시에 코가 캡 본체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핫음료를 마시기 쉬워진다. 상기 레버 작동판 상면에는 그 강도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도 1,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중앙 부분에 긴 원형의 요(凹)부(45)를 형성시켜 둘 수도 있다. 또한, 레버 작동판 상면 후단측에는 레버 부재를 들어 올리기 쉽게 하기 위한 원호 형상 홈(46)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5)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미개봉 상태의 캡(5)에서는 개봉 부재(30)의 개봉 작용판(32) 및 레버 부재(40)의 레버 작동판(42)이 원형 윗판부(12)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지 않고, 개봉 부재(30)는 개봉 부재 연결체(37)에 의해, 또한 레 버 부재(40)는 오목부(17)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레버 부재 연결체(47)에 의해, 각각 캡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먼저 레버 부재(40)의 레버 작동판(42)을 들어 올려 레버 부재(40)의 힌지 형성 수직부(41)를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에 면 접촉시키고, 더욱 들어 올림으로써 힌지 형성 수직판(31)을 가압하여 개봉 부재(30)를 회동시켜, 그 칼날(33, 34)에 의해 밀봉 시트(4)를 개봉하고, 회동한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양 단부가, 캡 본체(10)의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벽(1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개봉 부재 스토퍼(19)를 휘게 하여 걸어, 개봉 부재(30)를 개봉 위치에서 멈추게 한 후(도 8), 레버 부재(40)의 레버 작동판(42)을 음용시의 위치까지 쓰러뜨려, 레버 부재(40)의 힌지 형성 수직부(41)의 중앙에 설치된 단면 L자 형상의 걸림편(43)을 개봉 부재(30)의 힌지 형성 수직판(31)의 중앙에 수직 형상으로 설치된 철(凸)편(36)에 걸리게 함과 동시에, 레버 부재(40)의 후단에 설치된 단면 L자 형상의 걸림편(44)을 캡 본체(10)의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의 후단에 위치하는 오목부 선단 부분(23)에 걸리게 하여 음용구를 형성한다(도 9). 이와 같이, 미개봉 상태(도 7)에서는 레버 작동판(42)과 오목부(17)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격에 용이하게 손가락을 삽입하여 개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용시의 상태(도 9)에서는, 레버 작동판(42)이 원형 윗판부(12)보다 들어간 상태로 걸려 있기 때문에, 핫음료의 음용시에 코가 캡 본체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핫음료를 마시기 쉬워진다. 이 상태에서 핫음료를 음용하고, 다 마신 후, 캡 본체(10)의 제 2 측둘레부(14)에 설치된 2개의 제 2 측둘레부의 얇 은 부분(21) 사이를 집어 올려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5)을 핫음료용 컵형 용기(1)로부터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개봉 부재나 레버 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등 사용시의 개봉성이 좋으며, 특히 핫음료에 적용한 경우, 개봉시에 손가락이 핫음료에 접촉하는 일 없이 개구부를 밀봉한 밀봉 필름을 개봉할 수 있는 개봉 부재가 형성된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락스틱제 캡이나, 이 개봉용 캡이 씌워진 컵형 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컵형 용기의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복합재인 경우에,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을 간편하게 분별 회수할 수 있다.

Claims (7)

  1. 밀봉 알루미늄 시트 또는 밀봉 알루미늄 수지 필름 복합재 시트로 개구부가 밀봉된 핫음료용 컵형 용기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씌워지는 밀봉 시트 개봉용 캡으로서,
    개봉 작용판, 상기 개봉 작용판에 형성된 밀봉 시트를 개봉할 수 있는 칼날,및 개봉 작용판의 칼날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힌지 형성 수직판을 갖는 개봉 부재와,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힌지 형성 수직부를 가지며,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 부분과 힌지 형성 수직부와 그 사이의 얇은 부분으로 U자 형상의 홈부로서 구성되는 중앙 힌지를 통하여 상기 개봉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밀봉 시트를 개봉하기 위하여 개봉 부재의 칼날을 눌러 내리기 위한 레버 부재와,
    개봉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판의 양단부 사이에 U자 형상의 홈부로서 구성되는 단부 힌지를 통하여 개봉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개봉 부재와 레버 부재를 중앙 요(凹)형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개봉 부재-레버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벽을 갖는 캡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힌지 및 단부 힌지는, 힌지 형성 수직판을 따라 동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구 수직벽에서의 캡 본체의 개봉 부재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수직부에는, 개봉 부재의 칼날을 눌러 내렸을 때, 상기 개봉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판에 걸려 개봉 부재를 개봉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한 쌍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개봉 부재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 부재에는 개봉 부재 및 캡 본체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와의 걸림에 의해, 개봉 후의 레버 부재를 음용시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캡 본체의 측둘레면 내면측에, 핫음료용 컵형 용기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단부의 컬 가장자리 또는 두꺼운 부분과 밀접하게 결합하기 위한 둘레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캡 본체의 측둘레면에, 핫음료용 컵형 용기의 개구 둘레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씌워진 밀봉 시트 개봉용 캡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 형상으로 설치된 2개의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개봉 부재에 형성된 칼날이, 원호 형상 혹은 지붕 형상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양단부에 비해 길고, 양날 혹은 편날 형상 칼날을 갖는 선단 칼날과, 좌우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형성된 선단 톱날 형상 칼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5. 제 1 항에 있어서,
    개봉 후의 레버 부재를 음용시의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한 걸림부가, 개봉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판의 중앙에 수직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철(凸)편에 걸리는, 레버 부재의 힌지 형성 수직부의 중앙에 설치된 L자 형상의 걸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음료의 밀봉 시트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6. 삭제
  7. 삭제
KR1020087000184A 2005-06-10 2006-05-31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KR101307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1746 2005-06-10
JP2005171746A JP4778734B2 (ja) 2005-06-10 2005-06-10 開封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
PCT/JP2006/310850 WO2006132117A1 (ja) 2005-06-10 2006-05-31 開封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724A KR20080031724A (ko) 2008-04-10
KR101307439B1 true KR101307439B1 (ko) 2013-09-12

Family

ID=3749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184A KR101307439B1 (ko) 2005-06-10 2006-05-31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78734B2 (ko)
KR (1) KR101307439B1 (ko)
CN (1) CN101193804B (ko)
TW (1) TW200722345A (ko)
WO (1) WO2006132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3020B2 (ja) * 2006-02-27 2012-05-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ES2273607B1 (es) * 2006-05-26 2008-02-16 Grup Vemsa 1857 S.L. Cierre para un recipiente del tipo que presenta una boca de suministro sellada inicialmente de forma hermetica por una lamina rasgable.
FR2910883A1 (fr) * 2006-12-29 2008-07-04 Biomind Corp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recipient du type canette
JP5236237B2 (ja) * 2007-09-28 2013-07-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JP5395485B2 (ja) * 2009-03-25 2014-01-22 森永乳業株式会社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及び当該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を利用した飲食品包装体
CN102030136A (zh) * 2010-04-06 2011-04-27 洪啟瑞 杯盖
TWI392625B (zh) * 2010-10-22 2013-04-11 Rich Cup Bio Chem Tech Co Ltd 杯蓋
TW201235271A (en) * 2011-02-24 2012-09-01 Fieldct Inc Cup cover capable of conveniently adding creamer or granulated sugar
DK2919741T3 (en) * 2012-11-14 2017-09-11 Abbott Lab Capsule for a container for enteral nutrition
EP2913276A1 (fr) * 2014-02-27 2015-09-02 Estavayer Lait SA Cannette en plast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6456660B2 (ja) * 2014-11-06 2019-01-23 森永乳業株式会社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及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を利用した飲食品包装体
JP6476071B2 (ja) * 2015-05-29 2019-0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カップ容器
JP6501697B2 (ja) * 2015-11-30 2019-04-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きカップ容器
WO2017100829A1 (en) * 2015-12-14 2017-06-22 Cryovac Australia Pty Ltd Lid for container
JP7490192B2 (ja) 2020-02-20 2024-05-27 四国化工機株式会社 液体充填容器用口栓および同口栓を備えた液体充填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357A (ja) * 1996-04-30 1997-11-2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容器の注口形成装置
JPH10167249A (ja) * 1996-12-13 1998-06-23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のステイオンタグ方式イージーオープン口栓
JP2004123155A (ja) * 2002-10-01 2004-04-22 Toyo Seikan Kaisha Ltd カップ型容器の開封補助具
JP2004359314A (ja) * 2003-06-06 2004-12-24 Toppan Printing Co Ltd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442U (ko) * 1980-10-31 1982-05-18
JPH0223552Y2 (ko) * 1986-08-27 1990-06-27
MX163427B (es) * 1986-09-16 1992-05-12 Nippon Steel Corp Extremo de facil abertu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357A (ja) * 1996-04-30 1997-11-2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容器の注口形成装置
JPH10167249A (ja) * 1996-12-13 1998-06-23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のステイオンタグ方式イージーオープン口栓
JP2004123155A (ja) * 2002-10-01 2004-04-22 Toyo Seikan Kaisha Ltd カップ型容器の開封補助具
JP2004359314A (ja) * 2003-06-06 2004-12-24 Toppan Printing Co Ltd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3804A (zh) 2008-06-04
JP2006341919A (ja) 2006-12-21
WO2006132117A1 (ja) 2006-12-14
TW200722345A (en) 2007-06-16
TWI361786B (ko) 2012-04-11
KR20080031724A (ko) 2008-04-10
JP4778734B2 (ja) 2011-09-21
CN101193804B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439B1 (ko) 개봉용 플라스틱제 캡
US6460712B2 (en) One-piece tamper-evident closure system with a resealable, hinged lid
RU2326034C2 (ru) Гарантийная шарнирная пробка для запечатанных пленочным материалом бутылок и других емкостей с текучим содержимым
EP0580593B1 (en) Package closure and package preparation
NL8204730A (nl) Houder met deksel.
KR101878512B1 (ko) 식료품용 재폐쇄 캔
KR20100119887A (ko) 용기의 덮개
KR20210031521A (ko) 마개 디본딩 시스템
JP2009298449A (ja) オーバーキャップ
US20070108153A1 (en) Drinking and pouring closure with a piercing cutter devic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container and bottle spouts sealed with a film material
JP4300882B2 (ja) 開封刃をもつキャップ付カップ容器
JP5169067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
CA2719260C (en) Closure for a package
MXPA06001107A (es) Cierre vertedor con un arreglo de borde perforador para envases combinados o recipientes sellados con material de papel metalizado.
US6536627B1 (en) Reclosable pourer spout for a container
CN209796259U (zh) 一种瓶盖
JP6459265B2 (ja) 開封刃を備えるオーバーキャップとこのオーバーキャップが被せ付けられている容器
WO2017100829A1 (en) Lid for container
JP2006008178A (ja) 液体包装容器用口栓
CA2695290A1 (en) Closure of vessel
JP5626789B2 (ja) 紙容器の再封性開封装置
BE1024800A1 (nl) Hersluitbaar deksel voor drankblik
CN211663807U (zh) 穿刺盖及饮料瓶
US20230249882A1 (en) Bottle cap with a flip lid
JP6076639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