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77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773B1
KR101303773B1 KR1020090080940A KR20090080940A KR101303773B1 KR 101303773 B1 KR101303773 B1 KR 101303773B1 KR 1020090080940 A KR1020090080940 A KR 1020090080940A KR 20090080940 A KR20090080940 A KR 20090080940A KR 101303773 B1 KR101303773 B1 KR 10130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image
force
rol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896A (ko
Inventor
준이치 무라카미
아츠유키 기타무라
마사히로 사토
사토루 도리마루
아츠시 오기하라
데츠지 오카모토
슈이치 니시데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7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deskewing or alig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03G15/6564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with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09Transfer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 G03G2215/00565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확실히 반송하면서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사행(斜行) 롤(22)은 반송력 Fg로 기록 매체를 반송함으로써, 보정 안내 부재(64)가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분력(分力) Fg1을 가하고,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력 Fg2를 가하고 있다. 또한, 사행 롤(22)은 밴드 형상의 영역인 전사 위치 T 내에 있는 기록 매체 위의 점 P에도, 분력 Fg2의 크기에 따른 힘 Fg3을 가하고 있다. 전사 롤(28)은 상(像)유지체(26)와 함께 기록 매체를 사이에 삽입하고, 반송력 Ft로 기록 매체를 반송한다. 반송력 Ft가 반(反) 보정 안내 부재(64)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전사 롤(28) 및 상유지체(26)는 밴드 형상의 영역인 전사 위치 T 내에 있는 기록 매체 위의 예를 들면 점 P에도, 분력 Ft2를 가하고 있다. 사행 롤(22)의 반송력 Fg는 힘 Fg3이 분력 Ft2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기록 매체, 반송력, 현상제, 사행 롤, 전사 롤, 상유지체, 분력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화상 형성 스테이션에서 형성된 화상을 시트재에 전사할 때에, 전사 롤러와 함께 시트재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이 반송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기준 부재에 시트재를 눌러 접하게 하면서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레지스트 롤러 및 반송 롤러에 의해 컷 시트(cut sheet)를 반송할 때에, 레지스트 롤러의 회전 주속(周速)이 반송 롤러의 회전 주속보다 소정 속도 느린 주속으로 된 복사기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23994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8-188301호 공보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확실히 반송하면서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상(像)유지체와, 이 상유지체가 유지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상유지체와 함께 기록 매체를 전사 위치에서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함으로써, 상기 현상 수단이 현상한 현상제 화상을 상기 상유지체로부터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이 전사 부재에 대한 기록 매체의 자세를 보정하도록, 상기 전사 부재와 동시에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시간을 갖고, 상기 전사 위치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보정 안내 부재와, 이 보정 안내 부재가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이,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상기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힘의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分力)보다 커지도록, 상기 보정 안내 부재에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측단(側端)을 부딪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전사 위치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가 상기 상유지체와 함께 기록 매체를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하는 경우에,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에 대하여, 상기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가 미리 정한 속도비(速度比)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보다, 상기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가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은,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있어서,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보다, 상기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가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확실히 반송하면서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태양의 효과에 더하여, 상유지체 및 전사 부재가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힘이 강할 경우에도,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확실히 반송하면서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의 효과에 더하여,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을 전사 위치까지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의 효과에 더하여,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을 전사 위치까지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태양의 효과에 더하여, 본 구성을 갖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을 전사 위치까지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예를 들면 단일 카세트의 급지 유닛(14)이 배치되어 있다.
급지 유닛(14)은 용지 등의 기록 매체가 수용되는 급지 카세트(16)를 갖는다. 급지 카세트(16)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기록 매체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16)의 상부에는 급지 카세트(16)로부터 기록 매체를 취출(取出)하는 취출 롤(18)이 배치되어 있다.
취출 롤(18)은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고, 기록 매체를 제 1 반송로(20)를 향하여 공급하도록 회전한다. 제 1 반송로(20)는 취출 롤(18)로부터 사행(斜行) 롤(22)까지의 기록 매체 통로이다.
사행 롤(22)은 예를 들면 경도가 40°이하로 되고, 롤의 직경이 예를 들면 12mm 내지 30mm로 된 우레탄 등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사행 롤(22)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안내 부재(64)에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측단(側端)을 부딪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보정 안내 부재(64)와 함께 기록 매체의 자세를 보정하도록, 전사 위치 T(도 1)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반송한다(도 3 등을 이용하여 상술). 예를 들면, 기록 매체가 반송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사행 롤(22)에 도달하면, 사행 롤(22)은 기록 매체를 사이에 삽입하면서 보정 안내 부 재(64)를 향하여 반송하여,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후단(後端)측을 먼저 보정 안내 부재(64)에 접촉시킨다. 또한, 사행 롤(22)이 기록 매체를 보정 안내 부재(64)측을 향하여 반송하면, 기록 매체는 보정 안내 부재(64)를 따라 이동하도록 보정 안내 부재(64)에 안내된다. 즉, 기록 매체는 측면 에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렬되고, 보정 안내 부재(64)를 따라 미리 정해진 반송 방향(안내 방향)으로 반송된다. 보정 안내 부재(64)와 후술하는 전사 롤(28)은 동시에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제 1 반송로(20)(도 1)는 후술하는 제 2 반송로(32)의 일부와, 제 3 반송로(40)에 의해 배출구(25)까지의 기록 매체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 기록 매체 통로의 정착 장치(60)의 상류측에는 상유지체(26)와, 예를 들면 표면에 탄성을 갖는 전사 롤(28)이 배치되고, 상유지체(26)와 전사 롤(28)의 상류측에 상술한 사행 롤(22)이 배치되어 있다. 상유지체(26)와 전사 롤(28)의 접촉 부분은 상유지체(26)가 유지하는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위치 T(밴드 형상 영역인 닙(nip) 부)로 되어 있다.
또한, 상유지체(26) 및 전사 롤(28)은 기록 매체를 사이에 삽입하여 반송하고, 사행 롤(22)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미리 정한 속도비)로 기록 매체를 반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사행 롤(22)의 하류측에는 후술하는 노광 장치(58)가 정전 잠상을 상유지체(26)에 기입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노광 타이밍 센서)(24)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24)는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선단을 검출하였을 경우(기록 매체의 통과를 검출하였을 경우)에 검출 결과를 후술하는 제어부(62)에 대하여 출력하는 광 센서이다.
제 2 반송로(32)는 기록 매체가 사행 롤(22)로부터 전사 위치 T 및 정착 장치(60)를 통과하여 다시 사행 롤(22)까지 주회(周回)하도록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주회 반송로이다. 또한, 제 2 반송로(32)에는 정착 장치(60)를 통과한 기록 매체를 사행 롤(22)을 향하여 반송하는 예를 들면 반송 롤(34)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34)은 정착 장치(60)가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 기록 매체를 사행 롤(22)을 향하여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한다.
제 2 반송로(32)의 정착 장치(60)의 하류측에는 스위칭 장치(38)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반송로(32)로부터 스위칭 장치(38)에 의해 분기되어 배출구(25)까지 계속되는 제 3 반송로(40)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반송로(40)의 배출구(25)의 근방에는 배출 롤(42)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 유닛(14)의 급지 카세트(16)로부터 취출 롤(18)에 의해 취출된 기록 매체는 제 1 반송로(20)에 인도되어, 사행 롤(22) 및 보정 안내 부재(64)에 의해 자세가 보정되고, 상유지체(26)와 전사 롤(28) 사이를 통과하여 예를 들면 흑색의 현상제 화상이 전사되고, 이 전사된 흑색의 현상제 화상이 정착 장치(60)에 의해 정착되어, 배출 롤(42)에 의해 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다.
단, 컬러 인쇄일 경우에는, 스위칭 장치(38)가 스위칭되어, 기록 매체는 제 2 반송로(32)를 통과하여 주회하고, 사행 롤(22)을 합계 4회 통과한다. 즉, 기록 매체는 사행 롤(22), 전사 위치 T 및 정착 장치(60)를 합계 4회 통과하여 배출 구(25)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예를 들면 대략 중앙 하부에 로터리 현상 장치(44)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현상 장치(44)는 옐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4색의 현상제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현상기(46a 내지 46d)를 갖는다. 현상기(46a 내지 46d)는 현상 롤(48a 내지 48d)과, 착탈 자재(自在)로 된 현상제 수용기(50a 내지 50d)를 각각 갖고, 현상제 수용기(50a 내지 50d)가 수용하는 현상제를 현상 롤(48a 내지 48d)에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유지체(26)가 유지하는 정전 잠상을 각 색의 현상제로 순서대로 현상한다.
상유지체(26)의 정면측에는 상기 상유지체(26)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예를 들면 대전 롤로 이루어진 대전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유지체(26)에는 상기 상유지체(26)의 회전 방향의 대전 장치(52)보다 상류측에 상유지체용 클리너(54)가 접촉하고 있다. 상유지체용 클리너(54)는 전사 후에 상유지체(26)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긁어모은다. 또한, 상유지체용 클리너(54)의 정면측에는 상유지체용 클리너(54)가 긁어모은 현상제를 회수하는 현상제 회수기(56)가 착탈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 현상 장치(44)와 현상제 회수기(56) 사이에는, 대전 장치(52)에 의해 대전된 상유지체(26)에, 레이저 광 등의 광선에 의해 정전 잠상을 기입하는 노광 장치(5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유지체(26)의 배면측에는 상술한 전사 롤(28)이 위치한다. 전사 롤(28)은 예를 들면 경도가 40°이하로 되고, 롤의 직경이 예를 들면 12mm 내지 20mm로 된 발포 우레탄 등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전사 롤(28)은 상유지체(26)와 함께 기록 매체를 전사 위치 T에서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함으로써, 현상기(46a 내지 46d)에 의해 현상된 현상제 화상을 전사 위치 T에서 상유지체(26)로부터 기록 매체에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전사한다.
예를 들면, 상유지체(26)로부터 첫번째 색의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는, 전사 롤(28)이 두번째 색의 현상제 화상의 전사를 개시하여도, 사행 롤(22)이 보정 안내 부재(64)에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측단을 부딪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전사 위치 T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반송함으로써, 도 2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이한 색의 현상제 화상(예를 들면 단부를 포함함)이 대략 동일한 위치에 중첩되도록 전사된다.
전사 위치 T의 하류에는 정착 장치(60)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60)는 가열 롤과 가압 롤을 갖고, 상유지체(26)와 전사 롤(28)에 의해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를 가열 롤과 가압 롤의 접촉 부분(닙 부 : 정착 위치)에서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하고, 현상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 매체에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2)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사행 롤(22)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과, 전사 롤(28)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사행 롤(22)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과, 전사 롤(28)(및 상유지체26)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 롤(22)은 반송력 Fg로 기록 매체를 반송함으로써, 보정 안내 부재(64)에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측단을 부딪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전사 위치 T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반송한다. 즉, 사행 롤(22)은 보정 안내 부재(64)가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방향(안내 방향)으로 분력(分力) Fg1을 가하고,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력 Fg2를 가하고 있다. 또한, 사행 롤(22)은 기록 매체 전체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있고, 밴드 형상의 영역인 전사 위치 T 내에 있는 기록 매체 위의 예를 들면 점 P에도, 분력 Fg2의 크기에 따른 힘 Fg3을 가하고 있다.
한편, 전사 롤(28)은 상유지체(26)와 함께 기록 매체를 사이에 삽입하고, 반송력 Ft로 기록 매체를 반송한다. 단, 전사 롤(28)은 보정 안내 부재(6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반(反) 보정 안내 부재(64)측)으로 반송력 Ft의 방향이 기우는 경우가 있다(도 6 참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안내 부재(64)가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방향(안내 방향)에 대하여 반송력 Ft가 반 보정 안내 부재(64)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전사 롤(28) 및 상유지체(26)는 안내 방향으로 분력 Ft1을 가하고,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력 Ft2를 가하고 있다. 즉, 전사 롤(28) 및 상유지체(26)는 기록 매체 전체에 대하여 힘을 가하고 있고, 밴드 형상의 영역인 전사 위치 T 내에 있는 기록 매체 위의 예를 들면 점 P에도, 분력 Ft2를 가하고 있다.
여기서, 사행 롤(22)이 점 P에 가하는 힘 Fg3은 전사 롤(28)이 점 P에 가하는 분력 Ft2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힘 Fg3이 분력 Ft2보다 커 지도록 사행 롤(22)의 반송력 Fg는 설정되어 있다. 즉, 힘 Fg3은 사행 롤(22)의 분력 Fg2의 크기에 따라 전사 위치 T에 있는 기록 매체 위의 점에 전달되는 힘이며,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분력(반 보정 안내 부재(64)측으로의 응력) Ft2보다 크고, 기록 매체를 보정 안내 부재(64)에 계속해서 부딪치게 하도록 작용하는 기록 매체 구속력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 롤(28)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고, 탄성률(탄성 계수) K와 전사 롤(28)의 변형량 L의 곱(=Ft2)이 힘(기록 매체 구속력) Fg3보다 작아지도록 탄성률 K가 설정되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 내지 (c)는 전사 롤(28) 및 상유지체(26)와, 사행 롤(22)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예시하는 모식도이고, (d)는 기록 매체가 미리 정한 반송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중첩하여 형성되는 상이한 색의 현상제 화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향하여 사행 롤이 기록 매체에 반송력을 가해도, 안내 부재로부터 이간(離間)되는 방향으로 전사 롤이 사행 롤보다 강한 힘으로 기록 매체를 보정 안내 부재로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반송력을 가하면, 기록 매체는 안내 부재가 안내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향하여 사행 롤이 기록 매체에 반송력을 가해도, 전사 롤의 기 록 매체에 대한 접촉 압(닙 압)이 양단에서 상이하면, 기록 매체는 안내 부재가 안내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매체를 미리 정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향하여 사행 롤이 기록 매체에 반송력을 가해도, 전사 롤과 사행 롤 사이에서 기록 매체가 휘게 되면, 전사 위치의 기록 매체에 사행 롤의 반송력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기록 매체는 안내 부재가 안내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안내 부재가 안내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기록 매체가 이동하면, 도 6의 (d)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 현상제 화상의 위치 및 형상 등이 어긋나게 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동작(컬러 인쇄)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보내지면, 상유지체(26)가 대전 장치(5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대전된 상유지체(26)에는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노광 장치(58)로부터 옐로의 화상에 대응하는 광선이 출사된다. 노광 장치(58)로부터의 광선은 상유지체(26)의 표면을 노광하여,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유지체(26)에 유지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46a)의 현상 롤(48a)에 공급되는 옐로의 현상제로 현상되고, 급지 유닛(14)으로부터 공급된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옐로의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는 정착 장치(60)에 인도되어, 가열 롤과 가압 롤에 의해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다.
여기서, 옐로의 현상제 화상이 정착한 기록 매체는 스위칭 장치(38)에 의해 반송 롤(34)을 향하여 안내된다. 반송 롤(34)은 사행 롤(22)을 향하여 기록 매체 를 반송한다.
상유지체(26)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상유지체용 클리너(54)에 의해 긁어모아져, 현상제 회수기(56)로 회수된다.
그리고 다시 상유지체(26)가 대전 장치(5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 대전된 상유지체(26)에는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노광 장치(58)로부터 마젠타의 화상에 대응하는 광선이 출사된다. 노광 장치(58)로부터의 광선은 상유지체(26)의 표면을 노광하여,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유지체(26)에 유지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46b)의 현상 롤(48b)에 공급되는 마젠타의 현상제로 현상되고, 제어부(62)의 제어에 의해 반송 롤(34)에 반송되어 사행 롤(22) 및 보정 안내 부재(64)로 자세가 보정된 기록 매체에 중첩하여 전사된다.
마젠타의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는 정착 장치(60)에 인도되어, 가열 롤과 가압 롤에 의해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다. 마젠타의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는 스위칭 장치(38)에 의해 반송 롤(34)을 향하여 안내된다. 상유지체(26)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상유지체용 클리너(54)에 의해 긁어모아져, 현상제 회수기(56)로 회수된다.
기록 매체가 반송 롤(34)을 향하여 합계 3회 되돌아감으로써, 옐로 및 마젠타의 현상제 화상과 마찬가지로, 시안 및 블랙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된 현상제 화상이 정착 장치(60)에 의해 기록 매체에 정착되면, 기록 매체 위에서 현상제 화상이 중첩된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컬러 화상이 정착한 기록 매체는 스위칭 장 치(38)에 의해 배출 롤(24)에 인도되어 배출된다.
다음에, 사행 롤(22)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각각 사행 롤(22)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 롤(22)은 기록 매체에 접하는 폭이 좁은 부재가 복수 설치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 롤(22)은 기록 매체에 접하는 폭이 넓은 1개의 고무 롤과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 롤(22)은 기록 매체에 접하는 폭이 좁은 주름 형상의 부분이 복수 설치된 1개의 롤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사행 롤(22)의 폭(축 방향의 길이)은 예를 들면 2mm 내지 250mm의 범위로 설정된다.
다음에, 분력 Ft2 및 힘(기록 매체 구속력) Fg3의 측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분력 Ft2의 측정 방법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사 위치 T에 포함되는 점 P에 대하여, 전사 롤(28) 및 상유지체(26)가 가하는 반송력 Ft의 분력 Ft2는 판 형상 부재(M1) 및 센서(S1)를 통하여 측정된다. 판 형상 부재(M1)는 기록 매체의 점 P를 포함하는 영역(전사 위치 T에 대응)의 기록 매체 반송 방향 측단(안내 방향과 평행한 반 보정 안내 부재(64)측의 기록 매체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기록 매체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서(S1)는 하중(힘)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하중 변환기이며, 판 형상 부재(M1)가 센서(S1)를 누르는 힘을 검출함으로써, 분력 Ft2를 검출한다.
도 9는 힘 Fg3의 측정 방법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사 위치 T에 포함되는 점 P에 대하여, 사행 롤(22)이 가하는 힘 Fg3은 판 형상 부재(M2) 및 센서(S2)를 통하여 측정된다. 이 때 상유지체(26)와 전사 롤(28)은 이간한 상태로 한다. 판 형상 부재(M2)는 기록 매체의 점 P를 포함하는 영역(전사 위치 T에 대응)의 기록 매체 반송 방향 측단(안내 방향과 평행한 보정 안내 부재(64)측의 기록 매체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기록 매체로부터 받는 힘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센서(S2)는 하중(힘)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하중 변환기이며, 판 형상 부재(M2)가 센서(S2)를 누르는 힘을 검출함으로써, 힘 Fg3을 검출한다.
또한, 판 형상 부재(M1, M2) 및 센서(S1, S2)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가 주회 반송로를 주회하도록 반송되어 복수색의 현상제 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반송 벨트에 의해 기록 매체를 반송하여 복수색의 현상제 화상을 순차적으로 전사하는 소위 탠덤식의 화상 형성 장치이어도 되고, 단색의 현상제 화상만을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사행 롤과, 전사 롤 및 상유지체가 기록 매체를 반송한 결과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a)는 전사시의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b)는 반송 결과에 따라 형성된 복수 색의 현상제 화상을 예시하는 모식도.
도 3은 사행 롤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과, 전사 롤(및 상유지체)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사행 롤이 점 P에 가하는 힘 Fg3과, 전사 롤(및 상유지체)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의 분력 Ft2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사행 롤이 점 P에 가하는 힘 Fg3과, 전사 롤(및 상유지체)이 기록 매체에 가하는 힘의 분력 Ft2의 관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 내지 (c)는 전사 롤 및 상유지체와, 사행 롤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의 이동 방향을 예시하는 모식도이고, (d)는 기록 매체가 미리 정한 반송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 중첩하여 형성되는 상이한 색의 현상제 화상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사행 롤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분력 Ft2의 측정 방법을 예시하는 모식도.
도 9는 힘 Fg3의 측정 방법을 예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22 : 사행 롤
26 : 상유지체 28 : 전사 롤
44 : 로터리 현상 장치 64 : 보정 안내 부재

Claims (5)

  1. 상(像)유지체와,
    이 상유지체가 유지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상유지체와 함께 기록 매체를 전사 위치에서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함으로써, 상기 현상 수단이 현상한 현상제 화상을 상기 상유지체로부터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이 전사 부재에 대한 기록 매체의 자세를 보정하도록, 상기 전사 부재와 동시에 기록 매체에 접촉하는 시간을 갖고, 상기 전사 위치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보정 안내 부재와,
    이 보정 안내 부재에 의해 기록 매체를 안내하는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에 의해 상기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힘의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分力)보다 커지도록, 상기 보정 안내 부재에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측단(側端)을 부딪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전사 위치를 향하여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사 위치는 상기 상유지체와 상기 전사 부재의 접촉 부분이고,
    상기 보정 안내 부재에 의해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에 가해지는 힘과,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에 의해 상기 전사 위치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힘의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인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는, 상기 상유지체와 함께 기록 매체를 사이에 삽입하면서 반송하는 경우에,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화상 형성 장 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에 대하여, 상기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가 미리 정한 속도비(速度比)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보다, 상기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가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유지체 및 상기 전사 부재가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보다, 상기 반송 수단이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속도가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80940A 2009-03-24 2009-08-31 화상 형성 장치 KR101303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1239 2009-03-24
JP2009071239A JP2010224203A (ja) 2009-03-24 2009-03-2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896A KR20100106896A (ko) 2010-10-04
KR101303773B1 true KR101303773B1 (ko) 2013-09-04

Family

ID=4277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940A KR101303773B1 (ko) 2009-03-24 2009-08-31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3847B2 (ko)
JP (1) JP2010224203A (ko)
KR (1) KR101303773B1 (ko)
CN (1) CN101846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4839B2 (ja) * 2011-03-29 2015-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搬送装置
CN103926787A (zh) * 2014-04-08 2014-07-16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颗粒清理装置
CN105084060A (zh) * 2015-06-30 2015-11-2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薄片类介质纠偏传输装置
JP6919284B2 (ja) * 2017-04-05 2021-08-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91720B2 (ja) * 2018-03-06 2022-06-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971A (ja) * 1996-11-06 1998-05-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230734A (ja) * 2007-03-19 2008-10-02 Fuji Xerox Co Ltd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1400A (ja) * 2007-06-22 2009-01-08 Kyocera Mita Corp 用紙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2747A (en) * 1980-02-27 1981-09-26 Ricoh Co Ltd Corrector for skew and lateral position of paper
JP2798143B2 (ja) * 1990-07-13 1998-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284333A (en) * 1990-10-26 1994-02-0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EP0496398B1 (en) * 1991-01-24 1998-04-0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JP2741128B2 (ja) * 1992-03-02 1998-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45542B2 (ja) * 1992-07-16 1999-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316288A (en) * 1993-01-04 1994-05-31 Xerox Corporation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sheet using a gate device
JP3086393B2 (ja) 1995-01-10 2000-09-1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複写機
US5651539A (en) 1995-01-10 1997-07-29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mooth transfer sheet roller transport
US5657983A (en) * 1996-01-11 1997-08-19 Xerox Corporation Wear resistant registration edge guide
JPH10239945A (ja) * 1997-02-28 1998-09-11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967511A (en) * 1997-03-17 1999-10-19 Xerox Corporation Sheet registration assembly including a force reducing deskew roll
JP3769913B2 (ja) * 1997-12-26 2006-04-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整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879305B2 (ja) * 1999-02-17 2007-0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用紙束生成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を用いた用紙束の生成方法
JP4654578B2 (ja) * 2001-07-23 2011-03-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85627B2 (ja) * 2003-03-24 2009-1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JP4708900B2 (ja) * 2005-07-28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7676B2 (ja) * 2006-03-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4324A (ja) * 2006-05-26 2007-12-06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78532B2 (ja) * 2007-10-05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63583B2 (ja) * 2008-05-30 2013-08-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4209B2 (ja) * 2009-06-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2971A (ja) * 1996-11-06 1998-05-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230734A (ja) * 2007-03-19 2008-10-02 Fuji Xerox Co Ltd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1400A (ja) * 2007-06-22 2009-01-08 Kyocera Mita Corp 用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24203A (ja) 2010-10-07
CN101846910A (zh) 2010-09-29
CN101846910B (zh) 2014-09-17
KR20100106896A (ko) 2010-10-04
US20100247177A1 (en) 2010-09-30
US8213847B2 (en)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151C (zh) 图像形成装置
JP496896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303773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9576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marginless printing
JP482166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321459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933148B2 (ja) 画像形成装置
CN102556740A (zh) 传送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2008233446A (ja) 画像形成装置
US8971731B2 (en) Recording material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5826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046947B1 (en) Free sheet color digital output terminal architectures
JP7020358B2 (ja) 印刷媒体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67955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ontroller of the transport speed of a recording medium
US86821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aintaining clean back surface of recording material
JP6070335B2 (ja) 画像形成装置
JP6003678B2 (ja) 画像形成装置
US8548346B2 (en) Label press fuser algorithm for feeding a continuous roll of label material through a sheet fed printing device
JP2010091814A (ja) 画像形成装置
JP477484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重連印刷装置、並びに連続紙搬送制御方法
US9242824B2 (en) Transpor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153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66993A (ja) 転写材のカール矯正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422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4953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